남천 (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천(Nandina domestica)은 히말라야에서 일본에 이르는 동아시아 원산의 반상록 관목으로, 겨울에도 붉은 열매가 달려 관상수로 널리 재배된다. 한국어 명칭은 중국어 발음에서 유래되었으며, 학명은 일본어 '난텐'에서 변형되었다. 남천은 가을 단풍과 붉은 열매로 정원수로 인기가 높으며, 잎, 줄기, 열매는 약재로도 사용된다. 또한, 남천은 "어려움을 뒤집는다"는 의미로 상서로운 나무로 여겨져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상징성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자나무과 - 깽깽이풀
깽깽이풀은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둥근 잎과 옅은 보라색 꽃이 특징이며, 뿌리줄기는 약재로, 전체는 관상용으로도 쓰인다. - 매자나무과 - 삼지구엽초
산지 숲속에서 자라는 삼지구엽초는 독특한 잎 모양과 닻 모양의 꽃이 피는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 음양곽이라 불리며 자양강장제로 쓰이고 관상용으로도 가치가 높아 씨앗 파종이나 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 칼 페테르 툰베리가 명명한 분류군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칼 페테르 툰베리가 명명한 분류군 - 해당화
해당화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으로, 동아시아 원산이며 해안 모래땅에서 자생하고, 분홍색 또는 흰색 꽃과 붉은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사용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1784년 기재된 식물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1784년 기재된 식물 - 단풍나무
단풍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가을의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잎 모양, 색깔, 크기 등이 다양한 1,000가지가 넘는 품종이 있어 관상용, 정원수, 가로수, 분재 등으로 널리 재배된다.
남천 (식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andina domestica Thunb. (1781) |
한국어 이름 | 남천 (南天) |
영어 이름 | heavenly bamboo |
분류 | |
계 | 식물계 Plantae |
문 계급 없음 | 피자식물 Angiosperms |
강 계급 없음 | 진정쌍자엽류 Eudicots |
목 | 미나리아재비목 Ranunculales |
과 |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
아과 | 남천아과 Nandinoideae |
속 | 남천속 Nandina |
종 | 남천 N. domestica |
품종 |
2. 명칭
한국어 명칭 '남천'은 중국어 발음에서 유래했다.[2] 한자 이름은 '남천촉'(南天燭)이며, 겨울에 붉은 열매가 등불을 연상시킨다는 데서 유래했다. 잎과 줄기가 대나무와 비슷하여 '남천죽'(南天竹)이라고도 한다.
히말라야에서 일본에 이르는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일본에서는 이바라키현 이서의 혼슈, 시코쿠, 규슈의 온난한 지역, 산지 계곡에 자생한다.(고대에 도래한 재배종이 야생화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관상용으로 정원수로 하거나 현관 앞에 심는 등 재배되고 있다. 원산지(중국) 외에도 중국 남부에서 인도까지 분포한다. 야마구치현 하기시 가와카미의 "가와카미의 유자 및 남천 자생지"는 일본의 천연기념물(1941년 지정)이다.
상록 활엽수 관목이다. 높이는 1~3m 정도이며, 높은 것은 4~5m까지 자라며 군생한다. 줄기는 총생하며, 줄기 끝에만 잎이 모여 붙어 있는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남천은 가을에 붉게 물드는 단풍과 겨울에도 붉은 열매가 달려 있어 관상수로 심거나 꽃꽂이 재료로 사용한다. 열매는 '남천실'(南天実), 잎은 '남천엽'(南天葉)이라는 생약으로 쓰이며, 잎은 요리 장식으로도 활용된다. 재질은 단단하지만 성장이 느려 목재로 유통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난(難)을 돌린다(転じる)"라는 발음 때문에 좋은 징조로 여겨져 젓가락이나 지팡이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미나카타 구마구스에 따르면, 3장의 잎이 특징적인 남천은 옛날에 "세 가지"라고 쓰고 '사에구사'라고 읽었으며, '사에구사'에 "세 가지(三枝)"라는 한자를 붙였다고 한다.
학명 ''Nandina domestica''의 속명 ''Nandina''는 일본어 이름 '난텐'에서 변형된 것이다. 영어 명칭 'Sacred Bamboo'(세이크리드 뱀부)는 가느다란 줄기가 여러 개로 서 있는 모습이나 중국에서 '성스러운 대나무'라고 부르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칼 툰베리가 1781년에 학명을 명명했지만, 일본 외 식물학자 중 남천을 처음 알고 기록한 것은 독일의 엥겔베르트 켐페르였다. 켐페르는 유럽에 일본을 소개한 『일본지』의 원저자로 알려져 있으며, 1690년 (겐로쿠 3년)에 일본에 와서 2년간 체류했지만 남천에 대한 기록은 발표하지 않았다. 1775년 (안에이 4년), 툰베르크는 네덜란드인 의사라는 명목으로 일본에 왔고, 이후 『일본 식물지』를 출판할 때 켐페르의 기록과 그림을 사용했다. 이것이 유럽에 남천이 처음 소개된 것으로 여겨진다.
3. 분포 및 생육지
4. 특징
잎은 어긋나기하며, 3회 3출 깃털 겹잎이다. 작은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약간 뾰족하며, 잎몸은 가죽질이며 짙은 녹색으로 약간 윤기가 있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의 밑부분은 부풀어 오르고, 줄기를 감싼다. 깃대와 작은 깃대에 마디가 있으며, 원예종에는 모양이나 색깔에 변화가 있다. 가을에는 잎이 노랗게, 이어서 주홍색, 붉은색으로 물드는 단풍이 아름다우며, 겨울에 잎이 붉어지는 품종도 있다.
꽃은 초여름(5~6월) 무렵, 줄기 끝 잎 사이에서 원추꽃차례를 위로 뻗어, 6개의 흰 꽃을 많이 피운다. 수술은 노란색으로 6개, 중앙의 암술에는 주두에 붉은색이 돈다.
열매는 만추부터 초겨울(11~12월)에 걸쳐 맺는다. 보통 붉은 주홍색이며, 때로는 흰색의 작은 구형 열매를 맺는다. 열매는 초겨울에 익으며, 과피는 얇고 찢어지기 쉽다. 열매가 흰 것은 흰 남천이라는 원예종으로, 이 또한 잘 재배되고 있다. 열매는 새가 먹음으로써 씨앗이 멀리 운반되어 분포를 넓힌다.
겨울눈은 적갈색으로 엽병 기부에 싸여 있기 때문에, 거의 직접 볼 수 없다. 봄이 되면 이 엽병 기부가 부풀어 올라 잎눈이나 꽃눈을 뻗어낸다.
5. 이용
5. 1. 원예
가을에 붉게 물드는 단풍과 겨우내 달려 있는 붉은 열매가 아름다워 남부 지방에서 정원이나 공원에 관상수로 심어 기른다. 상록 잎과 붉은 열매의 색채는 겨울 정원에 색채를 더한다.[2] 꽃꽂이 재료로도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정원수로 일반적이며, 주택 정원이나 큰 정원에도 사용된다.[1] 원예 품종도 다양하다.[3]
에도 시대에는 다양한 잎의 변이 품종이 선택된 원예종이 활발히 재배되었다.[6] 고전 원예 식물로 현재도 금사 남천 등 일부가 보존 재배되고 있다. 흰 열매가 열리는 시로미난텐은 약용으로 귀하게 여겨져 희소 가치가 있다.[7]
오타후쿠난텐(잎이 약간 둥글어 오카메난텐이라고도 함)은 잎이 선명하게 단풍이 들기 쉽고 열매가 열리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높이도 50cm 정도밖에 자라지 않아 정원이나 가로수로 자주 사용된다.
5. 2. 약용
열매는 '남천실'(南天実), 잎은 '남천엽'(南天葉)이라는 생약으로 사용된다.[11] 남천실은 진해(기침을 멎게 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도메스틴, 이소코리진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11] 민간에서는 기침, 백일해, 숙취 등에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글액으로 활용한다.[11] 남천엽은 건위, 해열, 진해 작용이 있으며, 습진 치료를 위한 입욕제로 사용되기도 한다.[11] 최근 연구에서 남천의 성분인 난테닌이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7]
주의: 남천에는 독성 성분(난테닌, 난지닌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과다 복용 시 경련, 신경 마비, 호흡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전문가의 지시 없이 함부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5. 3. 기타
재질은 견고하지만 성장이 느려 굵은 재목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목재로 유통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난(難)을 돌린다(転じる)"라는 발음으로 해석되어 좋은 징조의 나무로 여겨져 젓가락이나 지팡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4] 덩어리 뿌리 형태의 지하 부분은 찻잔, 찻상자 등 공예품의 재료로 쓰인다.[5] 드물게 크게 자란 줄기는 토코바시라로 사용되기도 한다.[6]
잎은 평평하게 퍼진 겹잎 전체의 느낌이 보기 좋아 요리의 장식이나 긁어 깐 데(かいしき)에 선호된다.[7][8] 잎에 포함된 시안화수소는 맹독이지만, 함유량이 적어 위험성은 거의 없으며, 식품의 방부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색을 내기 위해 도시락 등에 넣기도 한다.[9]
건조시킨 열매는 약용으로 사용되며,[10] 남천실(南天実)이라 하여 기침을 멎게 하는 전통 의약으로 여겨진다. 성분으로는 도메스틴, 이소코리진 등이 있다. 한약재(국방외생약규격)이며 한약은 아니다. 민간요법에서는 기침, 백일해, 숙취에 남천 열매 1일량 3~10그램을 물 400~500 cc로 반량이 될 때까지 달여, 3번으로 나누어 복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11] 그러나 천식의 기침에는 효과가 없으므로 전문의의 지도가 필요하다.
6. 문화
남천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복을 가져온다(難転)"는 의미로 해석되어 상서로운 나무로 여겨졌다. 꽃말은 "복을 이룬다"이다. 하이쿠에서는 남천의 꽃은 늦여름의 계절어, 열매는 겨울의 계절어로 여겨진다.
"어려움을 굴러 복을 가져오고, 재앙을 굴러 복으로 삼는다"는 의미로, 복수초나 꽃양배추와 함께 화분에 심어 정월 장식으로 벽감에 장식하거나, 순산을 기원하는 선물로 사용되었다. 붉은색은 액막이의 힘이 있다고 믿어져, 에도 시대 후기부터 경사에 사용하게 되었다.[2]
에도 시대의 백과사전 『화한삼재도회』에는 "남천을 뜰에 심으면 화재를 피할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붉은 열매가 오히려 "화재 방지"로 현관 앞에[9] 정원수로 심었다.[2]
남천 젓가락을 사용하면 병에 걸리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유아의 첫 돌에 사용된다고 한다. 증정용 팥밥에 남천 생잎을 올리는 것도, 난전(難転)의 상서로움에서 비롯되었다.
감단의 베개는 당나라 심기제의 소설 『침중기』에 나오는 고사 중 하나인데, 그 베개는 남천 나무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여기에서 베개 밑에 남천 잎을 깔고 자면 악몽을 쫓는다는 이야기가 있다. 일본에서는 바닥에 남천을 깔고 임산부의 순산을 기원하거나, 무사가 출진 전에 바닥에 꽂아 전쟁의 승리를 기원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었다.
6. 1. 문장
난쟁이의 잎과 열매에서 도안화한 가문 문장[1]은 남천 문이라고 불리며, "둥근 잎 세 개 남천", "세 개로 갈라진 남천", "세 개가 다른 남천", "남천 마름모", "남천 수레", "세 잎 남천" 등이 있다.7.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Nandina domestica Thunb. ナンテン(標準)
2023-03-25
[2]
웹사이트
南天竺
2024-05-01
[3]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主情報詳細
https://kunishitei.b[...]
2011-11-22
[4]
Youtube
https://www.youtube.[...]
[5]
서적
日本の食生活全集43 聞き書 熊本の食
1987
[6]
문서
1979
[7]
학술지
The Extract from Nandina domestica THUNBERG Inhibits Histamine- and Serotonin-Induced Contraction in Isolated Guinea Pig Trachea
https://doi.org/10.1[...]
日本薬学会
[8]
웹사이트
リザベン(トラニラスト)
http://kusuridukuri.[...]
[9]
웹사이트
南天研究所~南天豆知識~
常盤薬品
[10]
학술지
土佐の風土と食べもの
1971
[11]
서적
종합 약용식물학
학창사
2001-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