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NISMO)은 1964년 프린스 자동차의 모터스포츠 참가를 시작으로 설립되었다. 1984년 닛산의 두 모터스포츠 부서를 통합하여 스포츠카 경주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1988년 닛산 스카이라인 R32 GT-R을 선보였다. NISMO는 전일본 GT 선수권/SUPER GT, 르망 24시 레이스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에 참여하여 드라이버 및 팀 타이틀을 획득했다. 현재는 튜닝 부품 생산 및 니스모 브랜드 로드카를 판매하고 있으며, 2022년부터는 닛산 포뮬러 E 팀으로 포뮬러 E에도 참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스카 제조사 - 혼다 레이싱
    혼다 레이싱(HRC)은 혼다의 모터사이클 및 자동차 경주 활동을 총괄하는 회사로, 1982년 설립되어 그랑프리 모터사이클 레이싱, 슈퍼바이크 세계 선수권 대회, 포뮬러 원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분야에 참가하며 2026년 포뮬러 원 복귀를 위해 애스턴 마틴 팀에 파워 유닛을 공급할 예정이다.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니스모 로고
니스모 로고
회사명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
영문 회사명Nissan Motorsports International
종류주식회사, 자회사
분야자동차
서비스튜닝 및 경주
설립일1984년 9월 17일 (회사)
부서 설립일2022년 4월 1일 (부서)
본사 위치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쓰루미구 오구로초 6번 1호
국가일본
모기업닛산 모터스포츠 & 커스터마이징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임원진
대표가타기리 다카오 (대표이사 사장 겸 최고 경영자)
재무 정보 (2021년 3월 31일 기준)
자본금4억 9,480만 엔
순이익200만 엔
순자산45억 3,400만 엔
총자산59억 7,900만 엔
기타 정보
사업 내용모터스포츠용 부품, 차량 개발, 제작 및 판매
종업원 수194명 (2015년 3월 기준)
주주닛산 자동차 100%

2. 역사

wikitext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NISMO)의 역사는 1964년, 지역 회사인 프린스 자동차가 경쟁적인 모터스포츠 사업에 진출하여 판매를 증진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서 시작되었다. 닛산 모터스포츠의 첫 번째 경쟁 데뷔는 1964년 5월 1일이었으며, 첫 레이스에서 아쉽게 우승을 놓쳤지만, 스카이라인이 2위부터 6위까지 모든 순위를 차지하면서 달콤 쌉싸름한 결과를 얻었다.

1984년, 닛산은 1960년대에 설립된 두 개의 모터스포츠 부서를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이 부서는 요코스카 오파마 공장에 위치한 오파마 워크스/追浜ワークス일본어 ('''Publication Division 3'''로 알려짐)로, 개인 팀의 지원을 담당했고, 오모리 공장 내에 위치한 오모리 워크스/大森ワークス일본어 ('''Special Car Testing Division''')는 공장 운영을 담당했다. 통합 이후 회사의 목표는 스포츠카 경주에 특화하는 것이었지만, 국내 F3 시리즈에 참가하는 팀에 대한 지원도 제공했다.

1988년, 닛산에서 처음으로 모터스포츠 전용 레이스카가 데뷔하여 서킷 레이스에서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 차량은 닛산 스카이라인 R32로, GT-R 배지를 달고 있었다.

1988년, 닛산은 원 메이크 시리즈를 위해 모터스포츠 용 사우루스를 처음으로 제작했다. 이듬해에는 경주용 닛산 스카이라인 GT-R을 개발하는 한편, 도로 주행용 500대 한정판 에디션을 제작했다. R32의 세대 후손인 R34는 V-Spec으로 생산된 최초의 차량이었다.

2021년 12월, 닛산은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과 자매 회사인 오토텍 (튜닝 및 개조 사업부)을 "닛산 모터스포츠 & 커스터마이징 주식회사"(Nissan Motorsports & Customizing Co., Ltd.)라는 새로운 회사로 통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통합은 2022년 4월 1일에 완료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64년, 프린스 자동차는 판매 증진을 위해 모터스포츠 진출을 결정, 스카이라인으로 첫 레이스에 참가했다. 1984년, 닛산요코스카 오파마 공장에 위치한 오파마 워크스/追浜ワークス일본어 (Publication Division 3)와 오모리 공장 내에 위치한 오모리 워크스/大森ワークス일본어 (Special Car Testing Division)의 두 모터스포츠 부서를 통합하여 NISMO를 설립했다. 통합 이후 회사의 목표는 스포츠카 경주에 특화하는 것이었지만, 국내 F3 시리즈에 참가하는 팀에 대한 지원도 제공했다.

2. 2. 초기 활동 (1980년대 ~ 1990년대)

NISMO는 스포츠카 경주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국내 전일본 F3 선수권 팀도 지원했다. 1988년, 닛산 최초의 모터스포츠 전용 레이스카인 스카이라인 R32 GT-R을 선보였다.

1980년대에 NISMO는 그룹 5 블루버드, 스카이라인, 실루엣 실비아로 후지 그랑 챔피언 시리즈에 참가했고, 생산형 스카이라인 모델로 일본 투어링카 선수권(JTC/JTCC)에 참가했다. 1990년대에는 닛산 프리메라로 전 세계의 슈퍼투어링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로랑 아이엘로와 함께 1999년 영국 투어링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그룹 A 시리즈의 CALSONIC R32 GT-R


NISMO는 원래 닛산 사내의 워크스 팀이 분사하는 형태로 설립되어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레이스 활동을 펼쳤다. 초기에는 츠치우라의 종합 연구소, 혹은 츠루미의 기술 차량 설계부가 차량 및 엔진 개발을 담당하고, NISMO가 서킷에서의 운영을 담당하는 역할 분담이 많았지만, 이후 NISMO 자체적으로 개발 기능도 갖게 되었다.

과거에는 르망 24시 레이스 등의 해외 레이스와 국내 레이스인 전일본 스포츠 프로토타입카 내구 선수권 (JSPC), 전일본 투어링카 선수권 (JTC/JTCC) · 전일본 GT 선수권 (JGTC) → SUPER GT 등에 참가하여 수많은 타이틀을 획득했다.

구체적인 연도별 활동은 다음과 같다.

  • 1985년
  • 전일본 랠리 선수권: '''시리즈 챔피언 획득''' (No.29 ''Z31페어레이디 300ZX'' 카미오카 마사오/나카하라 요시마사)
  • 전일본 F3 선수권: No.23 ''랄트 RT30/FJ20'' 스즈키 아구리
  • 재팬 슈퍼 스포츠 세단 레이스 (JSS): No.23 ''S12실비아 RS 터보'' 곤도 마사히코
  • 1986년
  • 전일본 투어링카 선수권 (JTC): '''시리즈 챔피언 획득''' (No.23 ''R30 스카이라인 RS 터보'' 와다 타카오/스즈키 아구리)
  • 전일본 F3 선수권: No.23 ''랄트 RT30/CA18'' 나카가와 타카마사
  • 재팬 슈퍼 스포츠 세단 레이스 (JSS): No.23 ''S12 실비아 RS 터보'' 곤도 마사히코
  • 르망 24시 레이스: No.23 ''NISSAN R86V'' (호시노 가즈요시/마츠모토 케이지/스즈키 아구리) '''DNF''', No.32 ''NISSAN R85V'' (제임스 위버/하세미 마사히로/와다 타카오) '''16위'''
  • 1987년
  • 전일본 투어링카 선수권 (JTC): No.23 ''R31 스카이라인 GTS-R'' (호시노 가즈요시/안데르스 올로프손/글렌 세튼)
  • 르망 24시 레이스: No.23 ''NISSAN R87E'' (호시노 가즈요시/타카하시 켄지/마츠모토 케이지) '''DNF''', No.32 ''NISSAN R87E'' (하세미 마사히로/와다 타카오/스즈키 아구리) '''DNF'''
  • 1988년
  • 전일본 투어링카 선수권 (JTC): No.23 ''R31 스카이라인 GTS-R'' (스즈키 아구리/안데르스 올로프손/도헤이 켄지)
  • 르망 24시 레이스: No.23 ''NISSAN R88C'' (호시노 가즈요시/와다 타카오/스즈키 아구리) '''DNF''', No.32 ''NISSAN R88C'' (앨런 그레이스/마이크 와일즈/윈 퍼시) '''14위'''
  • 전일본 스포츠 프로토타입카 내구 선수권 (JSPC): No.23 ''NISSAN R88C'' (호시노 가즈요시/타카하시 켄지), No.32 ''NISSAN R88C'' (하세미 마사히로/스즈키 아구리)
  • 1989년
  • 르망 24시 레이스: No.23 ''NISSAN R89C'' (하세미 마사히로/호시노 가즈요시/스즈키 토시오) '''DNF''', No.24 ''NISSAN R89C'' (줄리안 베일리/마크 브런들/마틴 도넬리) '''DNS''', No.25 ''NISSAN R89C'' (제프 브라밤/칩 로빈슨/알리 루옌다이크) '''DNF''' (No.24, 25는 NME 유지보수)
  • 전일본 스포츠 프로토타입카 내구 선수권 (JSPC): No.23 ''NISSAN R89C'' (호시노 가즈요시/스즈키 토시오), No.24 ''NISSAN R89C'' (하세미 마사히로/안데르스 올로프손)
  • 1990년
  • 르망 24시 레이스: No.23 ''NISSAN R90CP'' (하세미 마사히로/호시노 가즈요시/스즈키 토시오) '''5위''', No.24 ''NISSAN R90CK'' (줄리안 베일리/마크 브런들/장프랑코 브란카텔리) '''DNF''', No.25 ''NISSAN R90CK'' (케네스 애치슨/올리비에 그루이야르/마틴 도넬리) '''DNS''', No.83 ''NISSAN R90CK'' (제프 브라밤/칩 로빈슨/데릭 데일리) '''DNF''', No.84 ''NISSAN R90CK'' (밥 에어/마이클 로/스티브 밀렌) '''17위''' (No.24, 25는 NME 유지보수, No.83, 84는 NPTI 유지보수)
  • 전일본 스포츠 프로토타입카 내구 선수권 (JSPC): '''시리즈 챔피언 획득''' (No.24 ''NISSAN R90CP'' (하세미 마사히로/안데르스 올로프손)
  • 1991년
  • 전일본 스포츠 프로토타입카 내구 선수권 (JSPC): '''시리즈 챔피언 획득''' (No.23 ''NISSAN R91CP'' (호시노 가즈요시/스즈키 토시오))
  • 스파-프랑코르샹 24시 레이스: '''우승''' (No.25 ''R32스카이라인 GT-R'' 안데르스 올로프손/데이비드 브라밤/핫토리 나오키), 종합 6위 및 클래스 우승 (No.46 ''R32 스카이라인 GT-R'' 키스 오도르/키노시타 타카유키/디아크 쇼이스만)
  • 1992년
  • 전일본 투어링카 선수권 (JTC): No.55 ''R32 스카이라인 GT-R'' (안데르스 올로프손/키노시타 타카유키)
  • 전일본 스포츠 프로토타입카 내구 선수권 (JSPC): '''시리즈 챔피언 획득''' (No.1 ''NISSAN R92CP'' (호시노 가즈요시/스즈키 토시오, 최종전만 스즈키→와다 타카오))
  • 데이토나 24시 레이스: '''우승''' (No.23 ''NISSAN R91CP'' (하세미 마사히로/호시노 가즈요시/스즈키 토시오))
  • 스파-프랑코르샹 24시 레이스: No.1 ''R32 스카이라인 GT-R'' (하세미 마사히로/안데르스 올로프손/데이비드 브라밤) '''DNF'''
  • 1993년
  • 전일본 투어링카 선수권 (JTC): No.55 ''R32 스카이라인 GT-R'' (스즈키 토시오/이다 아키라)
  • 1994년
  • 전일본 투어링카 선수권 (JTCC): No.3 ''P10캐스트롤・프리메라'' 하세미 마사히로, No.12 ''P10칼소닉・프리메라'' 호시노 가즈요시, No.31 ''B14자나비・서니'' 이다 아키라, No.32 ''B14 캐스트롤・서니'' 카게야마 마사히코
  • 1995년
  • 르망 24시 레이스: No.22 ''NISMO GT-R LM'' (후쿠야마 히데아키/카스야 토시지/곤도 마사히코) '''10위''', No.23 ''NISMO GT-R LM'' (호시노 가즈요시/스즈키 토시오/카게야마 마사히코) '''DNF'''
  • 1996년
  • 르망 24시 레이스: No.22 ''NISMO GT-R LM'' (카게야마 마사히코/스즈키 아구리/곤도 마사히코) '''DNF''', No.23 ''NISMO GT-R LM'' (호시노 가즈요시/스즈키 토시오/하세미 마사히로) '''15위'''
  • 1997년
  • 르망 24시 레이스: No.21 ''NISSAN R390GT1'' (마틴 브런들/요르그 뮐러/웨인 테일러) '''DNF''', No.22 ''NISSAN R390GT1'' (리카르도 파트레세/에릭 반 드 폴/스즈키 아구리) '''DNF''', No.23 ''NISSAN R390GT1'' (호시노 가즈요시/에릭 코마스/카게야마 마사히코) '''12위'''
  • 1998년
  • 르망 24시 레이스: No.30 ''NISSAN R390GT1'' (존 닐슨/미하엘 크룸/프랑크 라골스) '''5위''', No.31 ''NISSAN R390GT1'' (얀 라머스/에릭 코마스/안드레아 몬테르미니) '''6위''', No.32 ''NISSAN R390GT1'' (호시노 가즈요시/카게야마 마사히코/스즈키 아구리) '''3위''', No.33 ''NISSAN R390GT1'' (모토야마 사토시/쿠로사와 타쿠야/카게야마 마사미) '''10위''' (No.33은 노바 엔지니어링 유지보수)
  • 1999년
  • 르망 24시 레이스: No.21 ''Courage C52 닛산'' (디디에 코타즈/마르크 호센스/프레드릭 에그봄) '''8위''', No.22 ''NISSAN R391'' (미하엘 크룸/모토야마 사토시/에릭 코마스) '''DNF''', No.23 ''NISSAN R391'' (스즈키 아구리/에릭 반 데 폴/카게야마 마사미) '''DNS'''

2. 3. 전일본 투어링카 선수권 (JTC/JTCC)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NISMO)은 1985년부터 1993년까지 그룹 A 차량으로 JTC에 참가했다. 1986년에는 와다 타카오와 스즈키 아구리가 R30 스카이라인 RS 터보로 시리즈 챔피언을 획득했다. 1992년에는 안데르스 올로프손과 키노시타 타카유키가 R32 스카이라인 GT-R로 출전했다.

1994년부터 1997년까지는 2,000cc 이하 4도어 차량으로 JTCC에 참가했다. 1994년에는 하세미 마사히로가 캐스트롤・프리메라로, 호시노 가즈요시가 칼소닉・프리메라로 출전했다. 서니로는 이다 아키라와 카게야마 마사히코가 참전했다.

2. 4. 전일본 랠리 선수권

1985년, Z31 페어레이디 300ZX로 카미오카 마사오/나카하라 요시마사 조가 시리즈 챔피언을 획득했다.

2. 5. 전일본 F3 선수권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NISMO)은 전일본 F3 선수권에 참가하여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

  • 1985년: 스즈키 아구리가 랄트 RT30/FJ20으로 참가하였다.
  • 1986년: 나카가와 타카마사가 랄트 RT30/CA18로 참가하였다.

2. 6. 재팬 슈퍼 스포츠 세단 레이스 (JSS)

1985년과 1986년에 곤도 마사히코가 S12 실비아 RS 터보로 재팬 슈퍼 스포츠 세단 레이스(JSS)에 참가했다.

2. 7. 르망 24시 레이스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니스모)는 1986년부터 르망 24시 레이스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1986년부터 1990년까지는 그룹 C 차량으로 출전했으며, 1986년에는 호시노 가즈요시, 마츠모토 케이지, 스즈키 아구리가 R86V로 출전했으나 완주에 실패했다. 하세미 마사히로, 제임스 위버, 와다 타카오가 R85V로 출전하여 16위를 기록했다.

1990년에는 R90CP로 출전한 하세미 마사히로, 호시노 가즈요시, 스즈키 토시오 조가 5위를 기록하며 닛산의 르망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1995년부터 1998년까지는 LMGT1 클래스 차량으로 참가했다. 1995년에는 후쿠야마 히데아키, 카스야 토시지, 곤도 마사히코가 GT-R LM으로 10위를 기록했다.

1998년에는 R390 GT1으로 출전한 호시노 가즈요시, 카게야마 마사히코, 스즈키 아구리 조가 3위를 기록했다.

1999년에는 LMP1 클래스 차량으로 참가했으며, 디디에 코타즈, 마르크 호센스, 프레드릭 에그봄이 Courage C52 닛산으로 8위를 기록했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닛산은 LMP2 엔진 공급업체로서 FIA 세계 내구 선수권 대회와 유럽 르망 시리즈에 참여했다.[8] 2014년 6월, 니스모는 아우디(Audi), 토요타(Toyota) 및 포르쉐(Porsche)를 상대로 FIA 세계 내구 선수권 대회에서 경쟁하기 위해 LMP1 카테고리에 진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 그러나 2015년 르망 24시에서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둔 후, 2015년 남은 일정은 연기되었고,[9] 2015년 12월 22일 닛산은 이 프로그램을 완전히 중단한다고 발표했다.[10]

2. 8. 전일본 스포츠 프로토타입카 내구 선수권 (JSPC)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NISMO)은 전일본 스포츠 프로토타입카 내구 선수권(JSPC)에 1988년부터 1992년까지 그룹 C 차량으로 참가했다. 1990년에는 하세미 마사히로/안데르스 올로프손 조가 NISSAN R90CP로 시리즈 챔피언을 획득했고, 1991년에는 하세미 마사히로/안데르스 올로프손 조와 호시노 가즈요시/스즈키 토시오 조가 NISSAN R91CP로 시리즈 챔피언을 차지했다. 1992년에는 호시노 가즈요시/스즈키 토시오 조가 NISSAN R92CP로 시리즈 챔피언을 획득했다.(최종전만 스즈키→와다 타카오) 주요 드라이버로는 호시노 가즈요시, 하세미 마사히로, 스즈키 토시오 등이 활약했다.

2. 9. 스파-프랑코르샹 24시 레이스

1991년, 닛산은 R32 스카이라인 GT-R로 안데르스 올로프손, 데이비드 브라밤, 핫토리 나오키가 출전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이 외에도 닛산은 No.46 R32 스카이라인 GT-R로 키스 오도르/키노시타 타카유키/디아크 쇼이스만이 종합 6위 및 클래스 우승을 달성했다. 1992년에는 하세미 마사히로/안데르스 올로프손/데이비드 브라밤이 No.1 R32 스카이라인 GT-R로 출전했으나 완주하지 못했다.

2. 10. 데이토나 24시 레이스

1992년 닛산은 데이토나 24시 레이스에서 R91CP로 우승을 차지했다. 드라이버는 하세미 마사히로, 호시노 가즈요시, 스즈키 토시오였다. 당시 타이어는 브리지스톤이 아닌 미국의 굿이어 제품을 사용했다.

2. 11. IMSA GT 챔피언십

닛산은 1979년 IMSA GT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240SX, 280ZX, 300ZX로 GT 클래스에서 경쟁했다. 1985년부터 1993년까지는 GTP ZX-Turbo와 NPT-90으로 주요 GTP 클래스에 출전했다. 제프 브라밤은 1988년부터 1991년까지 닛산과 함께 4번의 GTP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닛산은 1992년 데이토나 24시와 1989년, 1990년, 1991년 세브링 12시간에서 우승했다.

2014년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 참가한 닛산 GTP ZX-Turbo


1994년 데이토나 24시에서 우승한 클레이튼 커닝햄 레이싱 300ZX.

2. 12. 세계 스포츠 프로토타입 선수권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닛산은 전일본 스포츠 프로토타입 선수권과 르망 24시에 R88C, R89C, R90C, R391과 같은 스포츠 프로토타입으로 출전했다. 1990년, 1991년, 1992년 JSPC 타이틀을 획득했지만, 르망에서는 우승하지 못했다. 이 시대의 닛산 주요 드라이버로는 하세미 마사히로, 호시노 카즈요시, 카게야마 마사히코, 스즈키 토시오 등이 있다.

2012년 스즈카 국제 레이싱 코스에 있는 닛산 모터스포츠 시설에서 전시된 닛산 R88C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1989년 후지 24시간 레이스에서 우승하여 현재 닛산 오모리 공장에 전시되어 있는 닛산 R89C


2007년 6월 DAMC 05 올드타이머 페스티벌 뉘르부르크링에서 열린 닛산 R90CK

2. 13. 전일본 GT 선수권/SUPER GT (JGTC)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NISMO)은 주로 SUPER GT의 GT500 클래스(구 GT1 클래스)에 참가해왔다. 1993년부터 2003년까지는 스카이라인 GT-R (R32 - R34)로 참가하였으며, GT-R 생산 종료에 따라 2004년부터는 페어레이디 Z (Z33)를 베이스 차량으로 변경하였다. 2008년부터는 GT-R의 부활과 함께 다시 GT-R로 참가하고 있다.

NISMO는 전일본 GT 선수권/SUPER GT에서 여러 차례 드라이버즈 및 팀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주요 드라이버로는 모토야마 사토시, 미하엘 크룸, 로니 퀸타렐리, 마츠다 츠기오 등이 있다.

  • 1993년: '''GT1 클래스 드라이버즈/팀 타이틀 획득''', 카게야마 마사히코 (No.2 칼소닉 GT-R) 시리즈 챔피언.
  • 1998년: '''GT500 클래스 드라이버즈/팀 타이틀 획득''', 에릭 코마스/카게야마 마사미 (No.23 펜조일 니스모 GT-R) 시리즈 챔피언.
  • 1999년: '''GT500 클래스 드라이버즈 타이틀 획득''', 에릭 코마스/모토야마 사토시 (No.1 펜조일 니스모 GT-R) 시리즈 챔피언.
  • 2003년: '''GT500 클래스 드라이버즈/팀 타이틀 획득''', 모토야마 사토시/미하엘 크룸 (No.23 자나비 니스모 GT-R) 시리즈 챔피언.
  • 2004년: '''GT500 클래스 드라이버즈/팀 타이틀 획득''', 모토야마 사토시/리차드 라이언 (No.1 자나비 니스모 Z) 시리즈 챔피언.
  • 2008년: '''GT500 클래스 드라이버즈 타이틀 획득''', 모토야마 사토시/브누아 트렐루이에 (No.23 자나비 니스모 GT-R) 시리즈 챔피언.
  • 2014년: '''GT500 클래스 드라이버즈/팀 타이틀 획득''', 마츠다 츠기오/로니 퀸타렐리 (No.23 모튤 오텍 GT-R) 시리즈 챔피언.
  • 2015년: '''GT500 클래스 드라이버즈/팀 타이틀 획득''', 마츠다 츠기오/로니 퀸타렐리 (No.1 모튤 오텍 GT-R) 시리즈 챔피언.

2. 14. 최근 활동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 이후 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니스모)은 다양한 모터스포츠 분야에서 활동을 이어왔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켈리 레이싱과 함께 슈퍼카 챔피언십에 4대의 닛산 알티마로 참가했다. 2018년 말 공장 지원이 종료된 후에도 알티마는 2019년까지 개인 자격으로 출전했다.[7] 2009년에는 닛산 GT-R로 FIA GT1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 2011년에는 미하엘 크룸과 루카스 루어가 드라이버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7] 2011년부터는 블랑팡 내구 시리즈에 닛산 GT-R Nismo GT3로 참가하고 있다.[7] 또한 뉘르부르크링 24시를 위해 양산 클래스 닛산 GT-R 차량을 개발하기도 했다.

알렉스 번콤, 치요 카츠마사, 볼프강 라이프가 닛산 GT-R Nismo GT3로 시리즈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Nismo Global Driver Exchange라는 드라이버 풀을 운영하여, 소속 드라이버들이 르망 24시, 두바이 24시, 바서스트 12시간 등 주요 대회에 참가할 기회를 제공했다.[7]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LMP2 엔진 공급업체로 FIA 세계 내구 선수권 대회와 유럽 르망 시리즈에 참여하여 그리브스 모터스포츠(Greaves Motorsport), 시그니처 팀(Signature Team), OAK 레이싱(OAK Racing) 등 여러 팀과 협력했다.[8] 2017년에는 익스트림 스피드 모터스포츠(Extreme Speed Motorsports)와 함께 WeatherTech 스포츠카 챔피언십의 DPi 클래스에 진출했다.[8]

2014년에는 LMP1 카테고리 진출을 발표하고, 2015년 르망 24시에 닛산 GT-R LM 니스모로 참가했으나[8] 저조한 성적을 거둔 후 2015년 잔여 일정 참가를 연기했다.[9] 결국 2015년 12월 22일, LMP1 프로그램을 전면 중단한다고 발표했다.[10]

2015년 르망 24시에서 23번 닛산 GT-R LM 니스모


포뮬러 E 포뮬러 E 초대 시즌에 DAMS (e.dams)는 르노와 협력하여 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닛산은 2018-19 시즌부터 르노를 대신하여 e.dam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포뮬러 E에 참가하기 시작했다.[11] 2022년 4월에는 닛산이 e.dams 레이스 팀을 인수하여, 2022-23 시즌부터는 닛산 포뮬러 E 팀으로 참가하고 있다.[12]

3. 제품 및 서비스

NISMO는 레이스에서의 경험과 기술을 활용한 시판차용 부품을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차량 전체의 튜닝을 실시한 컴플리트 카도 판매하고 있다.

2013년부터는 모회사인 닛산과의 협업으로 "니스모 브랜드 확대 전략"을 발표했다. "메이커 직계의 서드 파티"에서 "닛산 본체의 정식 서브 브랜드"로 위치를 변경, 니스모의 고성능을 닛산 순정 품질로 보증하는 모델로 개발하여 순차적으로 각 모델에 전개하고 있다. 판매 전략도 일본 국내 강화와 함께 본격적인 글로벌 전개를 도모하고 있다.

2013년 6월에는 F1의 윌리엄스 팀 관련 회사인 윌리엄스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과의 제휴를 발표했다. 2014년부터 순차적으로 닛산차 기반의 고성능 시판차를 공동 개발·릴리스 해 나갈 예정이다[15]

2017년 5월에는 컴플리트 카의 기획 개발을 오텍 재팬(AUTECH JAPAN)에 신설한 "니스모 카즈 사업부"에 통합했다. 마케팅 기능도 갖추어 국내외 글로벌 전략의 거점이 된다.

NISMO 버전 로드카는 서스펜션, 내외장, 머플러, 알루미늄 휠 외에도 등급에 따라 흡배기계, 컴퓨터, ECU까지 손을 보아 판매되고 있다. 오텍 사업소가 일관적으로 차체 개조를 담당한다. GT-R, 페어레이디 Z, 쥬크, 노트, 마치, 리프, 세레나, 패트롤, 센트라에 설정되어 있다.

2017년 11월 24일, 닛산은 니스모 라인업을 확충함과 동시에 새로운 스포츠 서브 브랜드 "AUTECH(오텍)"을 전개할 것을 발표했다[16]。 이에 따라 앞으로는 퓨어 스포츠 지향의 니스모, 프리미엄 스포티 지향의 오텍 두 가지로 전개해 나간다.

NISMO 브랜드를 내건 자동차 부품, 자동차 관련 액세서리, 굿즈를 출시하고 있으며, 엔진, 미션, 하체 튜닝 작업, 엔진 컨디션을 신차 상태에 가깝게 만드는 세팅 작업 등 서비스 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단종으로 인해 공급이 중단된 구형차 순정 부품의 복각 생산을 주축으로 하는 "NISMO 헤리티지 부품"을 판매한다.

==== 튜닝 키트 ====

니스모는 스포일러 및 디퓨저와 같은 공기역학 부품, 알로이 휠, 내연 기관 및 현가 장치 부품을 포함한 닛산 자동차용 다양한 애프터마켓 성능 부품을 설계 및 제조한다. 2017년 인피니티 Q60은 배기음이 약하다는 비판을 받아, 출시 약 6개월 후 인피니티 딜러를 통해 특별 튜닝된 니스모 머플러를 애프터마켓 아이템으로 출시했다.

대부분의 닷선, 닛산, 인피니티 브랜드 자동차는 니스모에서 생산 또는 재고품으로 성능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스모는 닛산 소형 픽업 트럭과 240SX의 1989년 및 1990년 모델에 사용되었던 KA24E 엔진용으로 언그라운드 캠 빌렛, 성능 캠, 피스톤 등을 판매한다. 240SX는 북미 지역의 수입차 튜닝 애호가(특히 드리프터)들에게 인기 있는 차량이다.

일본에서는 V35 스카이라인Z33 페어레이디 모두 여러 단계의 니스모 튜닝 패키지(E-타입, S-튠, R-튠 및 S1 패키지)를 받았으며, 2005년 (구) 후지 인터내셔널 레이스웨이에서 개최된 니스모 스피드 페스티벌에서 풀 트랙 사양의 페어레이디 Z가 데뷔했다.

2007년 2월, 니스모는 닛산 Z33 페어레이디 Z의 공장 개조 버전인 니스모 380RS의 출시를 발표했다. 트랙 전용 모델인 380RS-C와 닛산 딜러에서 판매되는 스트리트 모델 두가지 버전 모두 닛산 VQ 시리즈 V6 엔진을 사용하며, 보어 및 스트로크가 3.8L로 확대되었다. 트랙 전용 380RS-C는 400마력, 스트리트 버전은 약 350마력의 출력을 낸다. 니스모 380RS는 일본에서만 판매되었다.

==== NISMO 로드카 ====

2010년 니스모 370Z


2015년 니스모 GT-R


NISMO(니스모)는 레이스에서의 경험과 기술을 활용한 시판차용 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며, 차량 전체 튜닝을 실시한 컴플리트 카도 판매한다. 1987년 스카이라인 R31 GTS-R 그룹 A 진화 특별 모델(823대 한정 생산)을 시작으로, 1990년 스카이라인 GT-R 니스모(560대 한정 생산)를 출시했다. 이 두 차량은 그룹 A 경쟁에 필요한 중량 감소, 공기역학,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특징으로 했다.

이후 니스모는 R33 스카이라인 400R 및 S14 실비아 270R 모델을 출시했다. 두 모델 모두 구동계, 서스펜션, 브레이크, 섀시 및 에어로 작업에 대한 포괄적인 수정이 이루어졌으며, 1997년에 매우 제한된 수량으로 판매되어 현재 높은 재판매 가격을 기록하고 있다. 니스모 스트리트 튜닝 차량은 닛산 대리점에서 판매되었으며, 전체 보증이 제공되었다.

2013년부터 닛산과의 협업으로 "니스모 브랜드 확대 전략"을 발표, "메이커 직계의 서드 파티"에서 "닛산 본체의 정식 서브 브랜드"로 위치를 변경했다. 니스모의 고성능을 닛산 순정 품질로 보증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순차적으로 각 모델에 전개하고 있으며, 일본 국내 강화와 함께 본격적인 글로벌 전개를 도모하고 있다.

2013년 6월에는 F1의 윌리엄스 팀 관련 회사인 윌리엄스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과의 제휴를 발표, 2014년부터 닛산차 기반의 고성능 시판차를 공동 개발 및 출시하고 있다.

2017년 5월, 컴플리트 카 기획 개발을 오텍 재팬(AUTECH JAPAN)에 신설한 "니스모 카즈 사업부"에 통합하여 마케팅 기능도 갖추고 국내외 글로벌 전략의 거점으로 삼았다.

NISMO 버전 로드카는 서스펜션, 내외장, 머플러, 알루미늄 휠 외에도 등급에 따라 흡배기계, 컴퓨터, ECU까지 개조하여 판매되며, 오텍 사업소가 차체 개조를 담당한다. GT-R, 페어레이디 Z, 쥬크, 노트, 마치, 리프, 세레나, 패트롤, 센트라에 설정되어 있다.

2017년 11월 24일, 닛산은 니스모 라인업을 확충하고 새로운 스포츠 서브 브랜드로 "AUTECH(오텍)"을 전개할 것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퓨어 스포츠 지향의 니스모, 프리미엄 스포티 지향의 오텍 두 가지로 전개하고 있다.

==== 과거 로드카 ====

최초의 니스모 브랜드 차량은 1987년 스카이라인 R31 GTS-R 그룹 A 진화 특별 모델(823대 한정)이었다. 1990년에는 스카이라인 GT-R 니스모(560대 한정)가 출시되었다. 두 차량 모두 그룹 A 경쟁에 필요한 중량 감소, 공기역학,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특징으로 했다.

이후 니스모는 R33 스카이라인 400R 및 S14 실비아 270R 모델을 출시했다. 두 모델 모두 구동계, 서스펜션, 브레이크, 섀시 및 에어로 작업에 대한 포괄적인 수정이 이루어졌으며, 매우 제한된 수량으로 판매되어 현재 높은 재판매 가격을 기록하고 있다. 니스모 스트리트 튜닝 차량은 닛산 대리점에서 판매되었으며, 전체 보증이 제공되었다. 니스모는 또한 21대의 펄사 GTi-R 버전을 제작했는데,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니스모 그룹 N 부품을 완전히 조립된 차량에 담고 있었다.

'''튜닝 카'''는 다음과 같다:

  • S-tune: 각 차종에 맞는 라이트 튜닝의 총칭으로, 마크에서 엘그랜드까지 폭넓게 커버한다.
  • R-tune: 터빈 교환, 헤드 튜닝도 포함하는 본격적인 개조의 총칭으로, S-tune에 비해 대상 차종이 한정되어 있다.
  • Z-tune: 차량의 종합적인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로드 고잉 카로서 세계 최고 수준의 속도와 내구성을" 목표로 하는 대대적인 개조의 총칭으로, S-tune/R-tune에 비해 대상 차종이 더욱 한정되어 있다(스카이라인 R34 GT-R에만 적용).


'''컴플리트 카'''는 다음과 같다:

  • '''NISMO 180R''': 1996년에 발표된 B14형 써니 기반 컴플리트 카로, JTCC 참전 기념 모델이다. 최고 출력 180 PS에서 유래한 차량명을 가졌으며, 전용 파란색 헤드 커버를 가진 SR20DE형 엔진을 180 PS까지 파인 튜닝하여 탑재했다. 니스모제 강화 서스펜션, 15인치 알루미늄 휠, 에어로 파츠를 장착했다. 미출시되었으나, 주행 가능한 프로토타입이 1대 존재한다.
  • '''NISMO 270R''':
    NISMO 270R

S14형 실비아 (전기형 K's)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의 첫 번째 모델로, 니스모 창립 10주년 기념 모델이다. 최고 출력 270 PS에서 유래한 차량명을 가졌으며, 레이싱 드라이버 키노시타 타카유키가 개발에 관여했다. SR20DET형 엔진을 270 PS까지 튜닝하고, 니스모제 강화 서스펜션, 16인치 알루미늄 휠, 에어로 파츠를 장착했다. 30대 한정 판매였으나, 실제로는 32대를 생산했다.

  • '''NISMO GT-R LM''':
    NISMO GT-R LM

1995년, R33형 스카이라인 GT-R로 르망 24시 레이스에 참전하기 위해 제작한 로드 고잉 카이다. 호몰로게이션 취득용으로 1대만 제조되어 영국에서 등록되었다. RB26DETT형 엔진 기반으로 배기량을 2.8 L로 확대하고, 최고 출력 약 300 PS를 발휘한다. 4륜 구동 시스템은 제거되어 후륜 구동(FR)으로 변경되었고, 서스펜션은 멀티 링크식에서 더블 위시본식으로 변경되었다.

  • '''NISMO 400R''': R33형 스카이라인 GT-R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의 두 번째 모델이다. 최고 출력 400 PS에서 유래한 차량명을 가졌으며, 99대 한정 판매였으나 실제로는 55대 생산에 그쳤다. RB-X GT2 엔진을 탑재했으며, 이는 RB26DETT형 엔진 기반으로 배기량을 2.8 L로 업하고, N1 사양의 메탈제 대형 터빈, 인터쿨러 대형화, 메탈 헤드 개스킷, 전용 ECU 등을 적용한 것이다.
  • '''NISMO R34GT-R Z-tune''': R34형 스카이라인 GT-R(V스펙)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로, 니스모 창립 20주년 기념 모델이다. 2005년에 니스모는 20주년 기념으로 20대 한정 Z-Tune을 제작했다. 2003년 R34 생산 중단으로 인해 니스모는 주행거리가 30,000km 미만인 중고 V.spec 차량을 구매해야 했다. Z 튠은 일본에서 17,745,000엔에 판매되었다. 엔진은 RB28DETT Z2(2.8리터 스트로크 배기량 및 Z2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니스모 부품)이다. 차량 무게는 1600kg이다.
  • '''NISMO 마치 S-tune COMPLETE''': K12형 마치 (12C)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로, 원메이크 레이스 "마치 컵" 출전 차량을 이미지하여 기획되었다. CR12DE형 엔진에 전용 캐털리스트와 에기조스트 시스템, 리세팅된 ECU를 탑재하여 최대 출력 90 PS, 최대 토크 12.3 kg·m를 발휘한다.
  • '''NISMO 페어레이디 Z S-tune GT''': Z33형 페어레이디 Z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로, 2004년 전일본 GT 선수권 (JGTC) GT500 클래스 참전용 베이스 차량 "Type E"에 니스모제 파츠를 조합한 모델이다. VQ35DE S1 사양 엔진을 탑재하여 최대 출력 300 PS, 최대 토크 37.0 kg·m를 발휘한다.
  • '''GT-R NISMO CLUBSPORTS Package''': 2008년에 닛산과의 공동 개발로, GT-R과 GT-R 스펙 V의 중간 그레이드로 출시되었다. 전용 서스펜션, 타이어, 휠, 카본 버킷 시트, 티타늄 배기 시스템, 리어 디퓨저가 준비된다.
  • '''페어레이디 Z Version nismo''': Z34형 페어레이디 Z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이다. VQ37VHR형 엔진의 ECU를 현차 맞춤하여 최고 출력 355PS를 발생시킨다. 2013년부터 닛산 개입으로 nismo 통일 브랜드로 출시되며, Version nismo는 생산을 종료했다.
  • '''NISMO 페어레이디 Z Z-tune''': 2003년, 레이싱 게임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탄생한 가상의 차량이다. "최고의 튜닝 카"를 컨셉으로, 최고 출력 400 ps, 차량 중량 1250 kg을 달성했다.


==== 주요 NISMO 브랜드 차량 ====

==== NISMO 헤리티지 부품 ====

NISMO 브랜드를 내건 자동차 부품, 자동차 관련 액세서리, 굿즈를 출시하고 있으며, 엔진, 미션, 하체 튜닝 작업, 엔진의 컨디션을 신차 상태에 가깝게 만드는 세팅 작업 등 서비스 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단종으로 인해 공급이 중단된 구형차 순정 부품의 복각 생산을 주축으로 하는 "NISMO 헤리티지 부품"을 판매한다. 재생산이 어려운 부품에 대해서는 순정 부품의 도면을 기반으로 한 NISMO에 의한 동등품 생산, 리빌드품 제공 및 오버홀, NISMO 튜닝 부품으로의 대체 제안 등, 모든 각도와 방책에서 구형차의 컨디션 유지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17년 12월부터 우선 R32형 스카이라인 GT-R을 대상으로 공급을 시작했다. 복각 생산되는 부품의 부품 번호는 NISMO에 의해 새롭게 부여된다.

3. 1. 튜닝 키트

니스모는 스포일러 및 디퓨저와 같은 공기역학 부품, 알로이 휠, 내연 기관 및 현가 장치 부품을 포함한 닛산 자동차용 다양한 애프터마켓 성능 부품을 설계 및 제조한다. 2017년 인피니티 Q60은 배기음이 약하다는 비판을 받아, 출시 약 6개월 후 인피니티 딜러를 통해 특별 튜닝된 니스모 머플러를 애프터마켓 아이템으로 출시했다.

대부분의 닷선, 닛산, 인피니티 브랜드 자동차는 니스모에서 생산 또는 재고품으로 성능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스모는 닛산 소형 픽업 트럭과 240SX의 1989년 및 1990년 모델에 사용되었던 KA24E 엔진용으로 언그라운드 캠 빌렛, 성능 캠, 피스톤 등을 판매한다. 240SX는 북미 지역의 수입차 튜닝 애호가(특히 드리프터)들에게 인기 있는 차량이다.

일본에서는 V35 스카이라인Z33 페어레이디 모두 여러 단계의 니스모 튜닝 패키지(E-타입, S-튠, R-튠 및 S1 패키지)를 받았으며, 2005년 (구) 후지 인터내셔널 레이스웨이에서 개최된 니스모 스피드 페스티벌에서 풀 트랙 사양의 페어레이디 Z가 데뷔했다.

2007년 2월, 니스모는 닛산 Z33 페어레이디 Z의 공장 개조 버전인 니스모 380RS의 출시를 발표했다. 트랙 전용 모델인 380RS-C와 닛산 딜러에서 판매되는 스트리트 모델 두가지 버전 모두 닛산 VQ 시리즈 V6 엔진을 사용하며, 보어 및 스트로크가 3.8L로 확대되었다. 트랙 전용 380RS-C는 400마력, 스트리트 버전은 약 350마력의 출력을 낸다. 니스모 380RS는 일본에서만 판매되었다.

NISMO 브랜드를 내건 자동차 부품, 자동차 관련 액세서리, 굿즈를 출시하고 있으며, 엔진, 미션, 하체 튜닝 작업, 엔진의 컨디션을 신차 상태에 가깝게 만드는 세팅 작업 등 서비스 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단종으로 인해 공급이 중단된 구형차 순정 부품의 복각 생산을 주축으로 하는 "NISMO 헤리티지 부품"을 판매한다.

3. 2. 양산 차량

GT-R, 370Z, 센트라, 프론티어, 쥬크 니스모 등 다양한 닛산 차량의 고성능 버전을 생산한다.[5] 닛산 펄사 니스모 해치백과 전기차 닛산 리프가 추가될 예정이다.[5]

과거에는 스카이라인 GT-R 니스모, 실비아 270R, 스카이라인 400R 등 한정판 모델도 생산했다.

최초의 니스모 브랜드 차량은 1987년 스카이라인 R31 GTS-R 그룹 A 진화 특별 모델로 823대 한정 생산되었다. 이어서 1990년 스카이라인 GT-R 니스모가 출시되었으며, 560대만 생산되었다.

다음 니스모 출시작은 스카이라인 GT-R R34 'Z-Tune'이었다. 2005년 니스모 창립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되었지만, 2003년 R34 생산 중단으로 인해 니스모는 주행거리가 30,000km 미만인 중고 V.spec 차량을 고객으로부터 다시 구매하여 단 20대의 차량만 제작할 수 있었다. 엔진은 RB28DETT Z2(2.8리터 스트로크 배기량 및 Z2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니스모 부품이 장착된 일반 GT-R 엔진)이다.

2013년 6월에는, F1의 윌리엄스 팀의 관련 회사인 윌리엄스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과의 제휴를 발표했다. 2014년부터 순차적으로 닛산차 기반의 고성능 시판차를 공동 개발·릴리스 해 나갈 예정이다[15]

2017년 5월에는, 컴플리트 카의 기획 개발을, 오텍 재팬(AUTECH JAPAN)에 신설한 "니스모 카즈 사업부"에 통합했다.

NISMO 버전으로서 로드카는 서스펜션, 내외장, 머플러, 알루미늄 휠 외에도, 등급에 따라 흡배기계, 컴퓨터, ECU까지 손을 보아 판매되고 있다. 오텍 사업소가 일관적으로 차체 개조를 담당한다. GT-R, 페어레이디 Z, 쥬크, 노트, 마치, 리프, 세레나, 패트롤, 센트라에 설정되어 있다.

2017년 11월 24일, 닛산이 니스모의 라인업을 충실히 함과 동시에, 새로운 스포츠 서브 브랜드로 "AUTECH(오텍)"을 라인업으로 전개할 것을 발표했다[16]。 이에 따라 앞으로는 퓨어 스포츠 지향의 니스모, 프리미엄 스포티 지향의 오텍의 두 가지로 전개해 나가게 된다.

'''=== 주요 NISMO 브랜드 차량 ==='''

3. 2. 1. 주요 NISMO 브랜드 차량

350Z 니스모 (2004년–2008년)[6]

370Z 니스모 (2009년–2020년)[6]

GT-R 니스모 (2014년–현재)[6]

쥬크 니스모 (2013년–2017년)[6]

마치 니스모 (2013년–현재)

노트 아우라 니스모 (2014년–현재)

패트롤 니스모 (2010년–현재, 중동 한정)

센트라 니스모 (2017년–2019년)

실비아 니스모 270R (1994년)

스카이라인 GT-R 니스모 (1989년–1994년)[6]

스카이라인 니스모 (2023년–현재)

아리아 니스모 (2024년–현재)

3. 3. NISMO 로드카



NISMO(니스모)는 레이스에서의 경험과 기술을 활용한 시판차용 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며, 차량 전체 튜닝을 실시한 컴플리트 카도 판매한다. 1987년 스카이라인 R31 GTS-R 그룹 A 진화 특별 모델(823대 한정 생산)을 시작으로, 1990년 스카이라인 GT-R 니스모(560대 한정 생산)를 출시했다. 이 두 차량은 그룹 A 경쟁에 필요한 중량 감소, 공기역학,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특징으로 했다.

이후 니스모는 R33 스카이라인 400R 및 S14 실비아 270R 모델을 출시했다. 두 모델 모두 구동계, 서스펜션, 브레이크, 섀시 및 에어로 작업에 대한 포괄적인 수정이 이루어졌으며, 1997년에 매우 제한된 수량으로 판매되어 현재 높은 재판매 가격을 기록하고 있다. 니스모 스트리트 튜닝 차량은 닛산 대리점에서 판매되었으며, 전체 보증이 제공되었다.

2013년부터 닛산과의 협업으로 "니스모 브랜드 확대 전략"을 발표, "메이커 직계의 서드 파티"에서 "닛산 본체의 정식 서브 브랜드"로 위치를 변경했다. 니스모의 고성능을 닛산 순정 품질로 보증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순차적으로 각 모델에 전개하고 있으며, 일본 국내 강화와 함께 본격적인 글로벌 전개를 도모하고 있다.

2013년 6월에는 F1의 윌리엄스 팀 관련 회사인 윌리엄스 어드밴스드 엔지니어링과의 제휴를 발표, 2014년부터 닛산차 기반의 고성능 시판차를 공동 개발 및 출시하고 있다.

2017년 5월, 컴플리트 카 기획 개발을 오텍 재팬(AUTECH JAPAN)에 신설한 "니스모 카즈 사업부"에 통합하여 마케팅 기능도 갖추고 국내외 글로벌 전략의 거점으로 삼았다.

NISMO 버전 로드카는 서스펜션, 내외장, 머플러, 알루미늄 휠 외에도 등급에 따라 흡배기계, 컴퓨터, ECU까지 개조하여 판매되며, 오텍 사업소가 차체 개조를 담당한다. GT-R, 페어레이디 Z, 쥬크, 노트, 마치, 리프, 세레나, 패트롤, 센트라에 설정되어 있다.

2017년 11월 24일, 닛산은 니스모 라인업을 확충하고 새로운 스포츠 서브 브랜드로 "AUTECH(오텍)"을 전개할 것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퓨어 스포츠 지향의 니스모, 프리미엄 스포티 지향의 오텍 두 가지로 전개하고 있다.

3. 4. 과거 로드카



최초의 니스모 브랜드 차량은 1987년 스카이라인 R31 GTS-R 그룹 A 진화 특별 모델(823대 한정)이었다. 1990년에는 스카이라인 GT-R 니스모(560대 한정)가 출시되었다. 두 차량 모두 그룹 A 경쟁에 필요한 중량 감소, 공기역학,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특징으로 했다.

이후 니스모는 R33 스카이라인 400R 및 S14 실비아 270R 모델을 출시했다. 두 모델 모두 구동계, 서스펜션, 브레이크, 섀시 및 에어로 작업에 대한 포괄적인 수정이 이루어졌으며, 매우 제한된 수량으로 판매되어 현재 높은 재판매 가격을 기록하고 있다. 니스모 스트리트 튜닝 차량은 닛산 대리점에서 판매되었으며, 전체 보증이 제공되었다. 니스모는 또한 21대의 펄사 GTi-R 버전을 제작했는데,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니스모 그룹 N 부품을 완전히 조립된 차량에 담고 있었다.

'''튜닝 카'''는 다음과 같다:

  • S-tune: 각 차종에 맞는 라이트 튜닝의 총칭으로, 마크에서 엘그랜드까지 폭넓게 커버한다.
  • R-tune: 터빈 교환, 헤드 튜닝도 포함하는 본격적인 개조의 총칭으로, S-tune에 비해 대상 차종이 한정되어 있다.
  • Z-tune: 차량의 종합적인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로드 고잉 카로서 세계 최고 수준의 속도와 내구성을" 목표로 하는 대대적인 개조의 총칭으로, S-tune/R-tune에 비해 대상 차종이 더욱 한정되어 있다(스카이라인 R34 GT-R에만 적용).


'''컴플리트 카'''는 다음과 같다:

  • '''NISMO 180R''': 1996년에 발표된 B14형 써니 기반 컴플리트 카로, JTCC 참전 기념 모델이다. 최고 출력 180 PS에서 유래한 차량명을 가졌으며, 전용 파란색 헤드 커버를 가진 SR20DE형 엔진을 180 PS까지 파인 튜닝하여 탑재했다. 니스모제 강화 서스펜션, 15인치 알루미늄 휠, 에어로 파츠를 장착했다. 미출시되었으나, 주행 가능한 프로토타입이 1대 존재한다.
  • '''NISMO 270R''':

S14형 실비아 (전기형 K's)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의 첫 번째 모델로, 니스모 창립 10주년 기념 모델이다. 최고 출력 270 PS에서 유래한 차량명을 가졌으며, 레이싱 드라이버 키노시타 타카유키가 개발에 관여했다. SR20DET형 엔진을 270 PS까지 튜닝하고, 니스모제 강화 서스펜션, 16인치 알루미늄 휠, 에어로 파츠를 장착했다. 30대 한정 판매였으나, 실제로는 32대를 생산했다.

  • '''NISMO GT-R LM''':

1995년, R33형 스카이라인 GT-R로 르망 24시 레이스에 참전하기 위해 제작한 로드 고잉 카이다. 호몰로게이션 취득용으로 1대만 제조되어 영국에서 등록되었다. RB26DETT형 엔진 기반으로 배기량을 2.8 L로 확대하고, 최고 출력 약 300 PS를 발휘한다. 4륜 구동 시스템은 제거되어 후륜 구동(FR)으로 변경되었고, 서스펜션은 멀티 링크식에서 더블 위시본식으로 변경되었다.

  • '''NISMO 400R''': R33형 스카이라인 GT-R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의 두 번째 모델이다. 최고 출력 400 PS에서 유래한 차량명을 가졌으며, 99대 한정 판매였으나 실제로는 55대 생산에 그쳤다. RB-X GT2 엔진을 탑재했으며, 이는 RB26DETT형 엔진 기반으로 배기량을 2.8 L로 업하고, N1 사양의 메탈제 대형 터빈, 인터쿨러 대형화, 메탈 헤드 개스킷, 전용 ECU 등을 적용한 것이다.
  • '''NISMO R34GT-R Z-tune''': R34형 스카이라인 GT-R(V스펙)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로, 니스모 창립 20주년 기념 모델이다. 2005년에 니스모는 20주년 기념으로 20대 한정 Z-Tune을 제작했다. 2003년 R34 생산 중단으로 인해 니스모는 주행거리가 30,000km 미만인 중고 V.spec 차량을 구매해야 했다. Z 튠은 일본에서 17,745,000엔에 판매되었다. 엔진은 RB28DETT Z2(2.8리터 스트로크 배기량 및 Z2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니스모 부품)이다. 차량 무게는 1600kg이다.
  • '''NISMO 마치 S-tune COMPLETE''': K12형 마치 (12C)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로, 원메이크 레이스 "마치 컵" 출전 차량을 이미지하여 기획되었다. CR12DE형 엔진에 전용 캐털리스트와 에기조스트 시스템, 리세팅된 ECU를 탑재하여 최대 출력 90 PS, 최대 토크 12.3 kg·m를 발휘한다.
  • '''NISMO 페어레이디 Z S-tune GT''': Z33형 페어레이디 Z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로, 2004년 전일본 GT 선수권 (JGTC) GT500 클래스 참전용 베이스 차량 "Type E"에 니스모제 파츠를 조합한 모델이다. VQ35DE S1 사양 엔진을 탑재하여 최대 출력 300 PS, 최대 토크 37.0 kg·m를 발휘한다.
  • '''GT-R NISMO CLUBSPORTS Package''': 2008년에 닛산과의 공동 개발로, GT-R과 GT-R 스펙 V의 중간 그레이드로 출시되었다. 전용 서스펜션, 타이어, 휠, 카본 버킷 시트, 티타늄 배기 시스템, 리어 디퓨저가 준비된다.
  • '''페어레이디 Z Version nismo''': Z34형 페어레이디 Z 기반 시판 컴플리트 카이다. VQ37VHR형 엔진의 ECU를 현차 맞춤하여 최고 출력 355PS를 발생시킨다. 2013년부터 닛산 개입으로 nismo 통일 브랜드로 출시되며, Version nismo는 생산을 종료했다.
  • '''NISMO 페어레이디 Z Z-tune''': 2003년, 레이싱 게임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탄생한 가상의 차량이다. "최고의 튜닝 카"를 컨셉으로, 최고 출력 400 ps, 차량 중량 1250 kg을 달성했다.

3. 5. NISMO 헤리티지 부품

NISMO 브랜드를 내건 자동차 부품, 자동차 관련 액세서리, 굿즈를 출시하고 있으며, 엔진, 미션, 하체 튜닝 작업, 엔진의 컨디션을 신차 상태에 가깝게 만드는 세팅 작업 등 서비스 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단종으로 인해 공급이 중단된 구형차 순정 부품의 복각 생산을 주축으로 하는 "NISMO 헤리티지 부품"을 판매한다. 재생산이 어려운 부품에 대해서는 순정 부품의 도면을 기반으로 한 NISMO에 의한 동등품 생산, 리빌드품 제공 및 오버홀, NISMO 튜닝 부품으로의 대체 제안 등, 모든 각도와 방책에서 구형차의 컨디션 유지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17년 12월부터 우선 R32형 스카이라인 GT-R을 대상으로 공급을 시작했다. 복각 생산되는 부품의 부품 번호는 NISMO에 의해 새롭게 부여된다.

4. 기타

슈퍼 전대 시리즈의 《염신전대 고온저》에서는 고온 레드가 가입하기 전에 소속되어 있던 레이싱 팀의 테스트 주행 장면에 XANAVI 모츄루 NISMO-Z가 모토야마 사토루와 함께 등장했다.

5. 현재 팀

5. 1. Super GT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GT300 ===

  • HELM Motorsports
  • 콘도 레이싱(Kondo Racing)
  • NILZZ 레이싱(NILZZ Racing)
  • 토메이 스포츠(Tomei Sports)
  • GAINER

5. 1. 1. GT500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1. 2. GT300


  • HELM Motorsports
  • 콘도 레이싱(Kondo Racing)
  • NILZZ 레이싱(NILZZ Racing)
  • 토메이 스포츠(Tomei Sports)
  • GAINER

5. 2. FIA Formula E

포뮬러 E 초대 시즌에, DAMS (e.dams)는 자매 회사인 르노와 파트너십을 맺고 '''팀 e.dams 르노'''를 결성하여 포뮬러 E 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17-18 시즌이 끝날 무렵, 르노는 포뮬러 원에 집중하기로 결정했고, 닛산이 e.dams와의 파트너십에서 르노의 자리를 이어받아 2018-19 시즌을 위해 '''닛산 e.dams'''를 결성했다.[11] 2022년 4월, 닛산은 e.dams 레이스 팀을 인수하여 2022-23 시즌부터 '''닛산 포뮬러 E 팀'''으로 참가했다.[12]

6. 현역 드라이버


  • 치요 카츠마사
  • 마츠다 츠기오
  • 로니 퀸타렐리
  • 토미타 류이치로
  • 야나기다 마사타카
  • 타카보시 미츠노리
  • 히라테 코헤이
  • 이시카와 케이시
  • 베르트랑 바게트
  • 사사키 다이키

참조

[1] 보도자료 NISMO Heritage: A History of Maverick Engineering in Motorsports and Attainable Performance https://usa.nissanne[...] Newsroom 2022-10-24
[2] 비디오 게임 Enthusia Professional Racing Konami
[3] 보도자료 Nissan to establish new vehicle customization and motorsports company https://global.nissa[...] Nissan 2021-12-17
[4] 웹사이트 Nismo and Autech to be integrated! Nissan to establish new specially-equipped and motorsports vehicle company https://car-moby.jp/[...] 2021-12-17
[5] 웹사이트 2018 Nissan Leaf first drive review http://www.motortren[...] 2017-09-06
[6] 문서
[7] 뉴스 Official: Nissan to Quit Supercars https://autoaction.c[...] Auto Action 2018-05-15
[8]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arren Cox Director Global Motorsport Nissan http://www.motownind[...] 2014-06-29
[9] 웹사이트 Nissan LMP1 delayed until 2016; new team principal announced http://www.foxsports[...] 2015-12-28
[10] 웹사이트 Nissan Fired Its Le Mans Team Over E-Mail http://www.roadandtr[...] 2015-12-28
[11] 뉴스 Nissan to replace Renault in Formula E https://www.reuters.[...] 2017-10-25
[12] 보도자료 Nissan acquires e.dams race team https://global.nissa[...] Nissan 2023-03-11
[13] 웹사이트 ニッサン・モータースポーツ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第37期決算公告 https://catr.jp/comp[...]
[14] 웹사이트 日産自動車、特装・モータースポーツの新会社を設立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 2021-12-17
[15] 웹사이트 F1のウイリアムズとニスモが技術提携を発表! 協力して日産車ベースの高性能モデル開発へ! http://jp.autoblog.c[...] autoblog日本版 2013-06-28
[16] 보도자료 日産自動車、日本国内の「NISMO」ロードカーラインナップの拡充と、新たなスポーティーサブブランド「AUTECH」の投入を発表 https://newsroom.nis[...] 日産自動車 2017-11-27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