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 내린 산기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이 내린 산기슭은 대한민국 고생대 지층과 관련된 이야기를 다룬 웹툰이다. 주요 배경은 고생대 캄브리아기에서 오르도비스기에 한반도에 퇴적된 조선 누층군 지층이며, 석회암, 돌로마이트, 셰일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화석이 발견된다. 작품에는 지질학자 오원경과 정령(흥월리층의 월리, 세송층과 화절층의 세송과 화절 등)을 비롯한 다양한 등장인물들이 등장하며, 주요 등장 지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태백시, 영월군 등이다. 웹툰은 각 화별로 주요 지질 구조와 지형을 소개하며, 석개재, 구문소, 백운산 향사대, 영월인편상구조대, 만항재 등의 지질학적 요소들을 다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는 MBC 에브리원에서 방송된 외국인 한국 여행 예능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국적의 게스트들이 한국 문화와 여행을 체험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인기를 얻어 MBC 연예대상 특별 예능 프로그램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유 퀴즈 온 더 블럭
유재석과 조세호가 진행하는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은 2018년 첫 방송 이후 일반인 퀴즈쇼에서 게스트 토크쇼로 변화하며 인기를 얻어 스핀오프 프로그램도 제작되었다.
달이 내린 산기슭 | |
---|---|
달이 내린 산기슭 | |
형태 | 소설, 웹툰 |
저자 | 손장원 |
제작일 | 2012년 4월 |
언어 | 한국어 |
장르 | 지질학, 판타지, 힐링 |
배경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삼척시, 태백시, 충청북도 단양군 |
주제 |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 |
2. 지질학적 배경
2. 1. 조선 누층군
조선 누층군은 고생대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에 한반도에 퇴적된 지층군이다. 이 지층군은 주로 석회암, 돌로마이트, 셰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화석이 발견되어 고생대 초기의 생물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태백층군
태백층군은 조선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그 이름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서 유래되었다. 태백층군은 주로 석회암, 돌로마이트, 셰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화석이 발견되어 고생대 초기의 생물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2. 1. 1. 태백층군
태백층군은 조선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그 이름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서 유래되었다. 태백층군은 주로 석회암, 돌로마이트, 셰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화석이 발견되어 고생대 초기의 생물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2. 1. 2. 영월층군
(소스 내용 없음)2. 1. 3. 세송층과 화절층
화절층과 세송층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조선 누층군 두무골층 위에 놓여 있다. 세송층은 주로 회색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절층은 세송층 상위에 위치하며 얇은 층의 석회암과 셰일이 교대로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웹툰 달이 내린 산기슭에서는 이러한 지질학적 특성이 중요한 배경으로 활용된다. 특히, 세송층과 화절층의 경계는 이야기 전개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2. 2. 기타 지질 구조
2. 2. 1. 영월인편상구조대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습니다. 내용을 추가해주세요.2. 2. 2. 백운산 향사대
백운산 향사대는 백운산 일대에 분포하는 향사대 구조이다.2. 2. 3. 단층
(원본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요약만을 바탕으로 내용을 작성합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더 정확하고 상세한 내용 작성이 가능합니다.)작품에 등장하는 단층은 그 종류와 특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3. 주요 등장 지역
3. 1. 강원특별자치도
3. 1. 1. 영월군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영월군의 지질, 특히 조선 누층군과 관련된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3. 1. 2. 태백시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태백시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으므로, 해당 섹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3. 1. 3. 삼척시
삼척시는 다양한 지질 구조와 지형을 보여준다. 특히 석개재는 고생대 지층과 단층, 습곡 등의 지질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지역이다. 검룡소는 석회암 동굴과 폭포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한강의 발원지로 알려져 있다. 과거 영동선 철도의 스위치백 구간은 급경사를 극복하기 위한 독특한 철도 건설 방식이었으나, 현재는 솔안터널 개통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3. 2. 경상북도
3. 2. 1. 봉화군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봉화군 석포면 또는 석개재와 관련된 내용이 전혀 없으므로, 빈 문자열을 출력한다.```text
3. 3. 충청북도
3. 3. 1. 단양군
(소스 내용 없음)3. 4. 서울특별시
4. 등장인물
4. 1. 인간
; 오원경: 가상의 지질학자로 전국을 돌며 화석을 채집하여 판매하고, 화석안내서를 집필하기도 하는 인물로 충청북도 단양군을 둘러보던 중 오원경은 우연히 2001년 지질 조사[1] 때 '사라진'(정확히는 지층명이 무효화된)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의 정령을 만난다.
; 여주이
: 오원경의 대학 동기이다. 2화의 석개재 단면에서 등장한다.
; 최구일
: 오원경과 여주이의 대학 동기로 졸업 후에도 학교에 혼자 남아 있다.
; 배소연
: 오원경의 후배로 박사과정의 대학원생으로 화석을 연구한다.
4. 1. 1. 오원경
가상의 지질학자로 전국을 돌며 화석을 채집하여 판매하고, 화석안내서를 집필하기도 하는 인물로 충청북도 단양군을 둘러보던 중 오원경은 우연히 2001년 지질 조사[1] 때 '사라진'(정확히는 지층명이 무효화된)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의 정령을 만난다.4. 1. 2. 여주이
여주이는 오원경의 대학 동기이다. 2화의 석개재 단면에서 등장한다.4. 1. 3. 최구일
오원경과 여주이의 대학 동기로 졸업 후에도 학교에 혼자 남아 있다.4. 1. 4. 배소연
오원경의 후배로 박사과정의 대학원생이며 화석을 연구한다.4. 2. 정령
정령으로 이름은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에서 월리를 따 왔다. 지층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 하는 수 없이 지질학자 오원경과 동행하게 된다. 1화에서 오원경과 처음 대면했을 때부터 "앞장서라, 인간"과 같이 명령조로 말을 한다. 오원경과 만나 그와 같이 세상 나들이를 나선다. 정령이지만 오원경의 카메라 없는 휴대폰을 보며 '후졌다'라고 하거나, TV드라마를 재미있게 보는 등 인간세상 생활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함백산의 산신령은 인간 남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석개재 인근에 위치하며 조선 누층군 묘봉층의 표식지인 묘봉의 산신령은 인간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태백산의 산신령은 인간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 세송층과 화절층의 정령이다. 화절은 갈색 머리에 꽃을 꽂은 발랄한 여성이고, 세송은 머리를 틀어 올리고 블라우스와 롱 스커트를 입은 차분한 여성으로 절친한 단짝 친구 사이다. 이 지역의 지층은 1930년대에 세송층과 화절층으로 정립되었으나 1962년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이 세송층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화절층에 통합시키면서 실체화할 힘은 물론이고 존재 자체가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렀는데, 오원경의 연구로 세송층이 다시 분리되면서 되살아났다. 화절은 자신의 영역이 줄어드는데도 세송층의 구별이 원경에 의해 명확해져 세송이 실체화할 힘을 얻자 매우 기뻐했고, 감사의 뜻으로 원경의 외모에 대한 조언을 해 준다.
제24화 후기에 의하면, 작가는 태백층군의 다른 지층들에도 정령을 설정했지만 만화에는 나오지 않았다. 대기층은 하얗고 매끈한 석회암으로 창백한 남자 청년, 동점층은 사암 지층으로 친절한 아저씨, 묘봉층은 흑색의 사암으로 까칠한 여성 정령이다.
4. 2. 1. 월리 (흥월리층/와곡층)
정령으로 이름은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에서 월리를 따 왔다. 지층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 하는 수 없이 지질학자 오원경과 동행하게 된다. 1화에서 오원경과 처음 대면했을 때부터 "앞장서라, 인간"과 같이 명령조로 말을 한다. 오원경과 만나 그와 같이 세상 나들이를 나선다. 정령이지만 오원경의 카메라 없는 휴대폰을 보며 '후졌다'라고 하거나, TV드라마를 재미있게 보는 등 인간세상 생활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4. 2. 2. 산신령
월리는 정령으로 이름은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에서 따왔다. 지층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지질학자 오원경과 동행한다. 1화에서 오원경에게 "앞장서라, 인간"과 같이 명령조로 말한다. 정령이지만 오원경의 카메라 없는 휴대폰을 보며 '후졌다'라고 하거나, TV드라마를 재미있게 보는 등 인간세상 생활에는 문제가 없다.함백산 산신령은 인간 남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묘봉 산신령은 석개재 인근 조선 누층군 묘봉층의 표식지인 묘봉의 산신령으로, 인간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태백산 산신령은 인간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세송과 화절은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 세송층과 화절층의 정령이다. 화절은 갈색 머리에 꽃을 꽂은 발랄한 여성이고, 세송은 머리를 틀어 올리고 블라우스와 롱 스커트를 입은 차분한 여성으로 절친한 단짝 친구 사이다. 1930년대에 세송층과 화절층으로 정립되었으나 1962년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이 세송층을 화절층에 통합시키면서 세송은 위태로워졌다. 그러나 오원경의 연구로 세송층이 다시 분리되면서 되살아났다. 화절은 자신의 영역이 줄어드는데도 세송이 실체화할 힘을 얻자 매우 기뻐했고, 원경에게 감사의 뜻으로 외모에 대한 조언을 해 준다.
제24화 후기에 따르면, 작가는 태백층군의 다른 지층들에도 정령을 설정했지만 만화에는 나오지 않았다. 대기층은 하얗고 매끈한 석회암으로 창백한 남자 청년, 동점층은 사암 지층으로 친절한 아저씨, 묘봉층은 흑색의 사암으로 까칠한 여성 정령이다.
4. 2. 3. 세송과 화절 (세송층/화절층)
세송과 화절에 대한 주어진 자료가 없습니다.4. 2. 4. 기타 정령
월리(조선 누층군 흥월리층에서 따온 이름)는 정령이다. 지층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지질학자 오원경과 동행한다. 1화에서 오원경에게 "앞장서라, 인간"과 같이 명령조로 말한다. 오원경과 함께 세상 구경을 하며, 정령이지만 오원경의 카메라 없는 휴대폰을 '후졌다'라고 하거나, TV 드라마를 즐겨 보는 등 인간 세상에 잘 적응한다.함백산 산신령은 함백산의 산신령으로, 인간 남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묘봉 산신령은 석개재 인근 조선 누층군 묘봉층의 표식지인 묘봉의 산신령으로, 인간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태백산 산신령은 태백산의 산신령이며, 인간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 세송과 화절은 정령이다. 화절은 갈색 머리에 꽃을 꽂은 발랄한 여성, 세송은 머리를 틀어 올리고 블라우스와 롱 스커트를 입은 차분한 여성으로, 둘은 매우 친한 친구 사이다. 1930년대에 세송층과 화절층으로 정립되었으나, 1962년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이 세송층을 화절층에 통합하면서 존재 자체가 위태로워졌다. 그러나 오원경의 연구로 세송층이 다시 분리되면서 되살아났다. 화절은 자신의 영역이 줄어듦에도 세송이 실체화할 힘을 얻자 매우 기뻐하며, 오원경에게 감사의 뜻으로 외모에 대한 조언을 해 준다.
제24화 후기에 따르면, 작가는 태백층군의 다른 지층들에도 정령을 설정했으나 만화에는 등장하지 않았다. 대기층은 하얗고 매끈한 석회암으로 창백한 남자 청년, 동점층은 사암 지층으로 친절한 아저씨, 묘봉층은 흑색의 사암으로 까칠한 여성 정령으로 설정되었다.
5. 줄거리 및 지질학적 요소 (각 화별)
충청북도 단양군 어상천면의 삼태산 부근 지방도 제519호선 도로를 지나던 지질학자 오원경은, 갑작스레 쏟아지는 비 속에서 벼락이 인근의 절벽에 떨어져 암석 절벽이 무너지는 광경을 목격한다. 이로 인해 영월군의 지층인 흥월리층의 정령 '월리'(월리/Wolri영어)는 오원경과 마주한다. 월리는 지층명이 사라져 자신의 지층 속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음을 깨닫는다. 오원경은 그녀가 낙담할 거라 생각했지만, 정작 월리는 의연하다. 오히려 오랫동안 한 동네에 머물렀더니 질렸던 참이라며 원경을 가이드 삼아 세상 나들이를 나서게 된다.[4]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가곡면과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의 경계에 위치한 석개재 단면이 등장한다. 석개재는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의 모든 지층이 1,100 m 두께로 드러나 있는 좋은 지질 단면이다. 2화에서 석개재 단면에 있는 화절층의 리본암과 삼엽충 화석에 대해 언급한다. 여주이가 정령에게 '월리'라는 이름을 붙여 준다.
3화 초반에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상동읍에 있는 꼴두바위가 등장한다. 이 바위는 풍화에 강한 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이 차별 침식의 결과로 돌출 지형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작중 인물의 대화 중 상동광산에 대한 언급이 있다.
조선 누층군 묘봉층, 동점 규암층, 두무골층 등에 대한 언급이 있다.
태백시 구문소 일대의 지질을 조사한다. 단층의 정령이 등장한다. 조선 누층군 세송층, 화절층, 막골층의 노두가 나온다.
서울특별시 남산을 방문한다.
5. 1. 1권
충청북도 단양군 어상천면의 삼태산 부근 지방도 제519호선 도로를 지나던 지질학자 오원경은, 갑작스레 쏟아지는 비 속에서 벼락이 인근의 절벽에 떨어져 암석 절벽이 무너지는 광경을 목격한다. 이로 인해 영월군의 지층인 흥월리층의 정령 '월리'(Wolri)는 오원경과 마주한다. 월리는 지층명이 사라져 자신의 지층 속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음을 깨닫는다. 오원경은 그녀가 낙담할 거라 생각했지만, 정작 월리는 의연하다. 오히려 오랫동안 한 동네에 머물렀더니 질렸던 참이라며 원경을 가이드 삼아 세상 나들이를 나서게 된다.[4]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가곡면과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의 경계에 위치한 석개재 단면이 등장한다. 석개재는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의 모든 지층이 1,100 m 두께로 드러나 있는 좋은 지질 단면이다. 2화에서 석개재 단면에 있는 화절층의 리본암과 삼엽충 화석에 대해 언급한다. 여주이가 정령에게 '월리'라는 이름을 붙여 준다.
3화 초반에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상동읍에 있는 꼴두바위가 등장한다. 이 바위는 풍화에 강한 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이 차별 침식의 결과로 돌출 지형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작중 인물의 대화 중 상동광산에 대한 언급이 있다.
조선 누층군 묘봉층, 동점 규암층, 두무골층 등에 대한 언급이 있다.
태백시 구문소 일대의 지질을 조사한다. 단층의 정령이 등장한다. 조선 누층군 세송층, 화절층, 막골층의 노두가 나온다.
서울특별시 남산을 방문한다.
5. 1. 1. 1화: 여우비와 날벼락과 낙석 주의
충청북도 단양군 어상천면의 삼태산 부근 지방도 제519호선 도로를 지나던 지질학자 오원경은, 갑작스레 쏟아지는 비 속에서 벼락이 인근의 절벽에 떨어져 암석 절벽이 무너지는 광경을 목격한다. 이로 인해 영월군의 지층인 흥월리층의 정령 '월리'(Wolri)는 오원경과 마주한다. 월리는 지층명이 사라져 자신의 지층 속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음을 깨닫는다. 오원경은 그녀가 낙담할 거라 생각했지만, 정작 월리는 의연하다. 오히려 오랫동안 한 동네에 머물렀더니 질렸던 참이라며 원경을 가이드 삼아 세상 나들이를 나서게 된다.[4]5. 1. 2. 2화: 월리라고 불러도 될까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가곡면과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의 경계에 위치한 석개재 단면이 등장한다. 석개재는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의 모든 지층이 1,100 m 두께로 드러나 있는 좋은 지질 단면이다. 2화에서 석개재 단면에 있는 화절층의 리본암과 삼엽충 화석에 대해 언급한다. 여주이가 정령에게 '월리'라는 이름을 붙여 준다.
5. 1. 3. 3화: 수상한 트럭 운전사
3화 초반에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상동읍에 있는 꼴두바위가 등장한다. 이 바위는 풍화에 강한 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이 차별 침식의 결과로 돌출 지형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작중 인물의 대화 중 상동광산에 대한 언급이 있다.
5. 1. 4. 4화: 박사 1년차가 앞길이 깜깜함
조선 누층군 묘봉층, 동점 규암층, 두무골층 등에 대한 언급이 있다.5. 1. 5. 5화: 화석을 캐자
태백시 구문소 일대의 지질을 조사한다. 단층의 정령이 등장한다. 조선 누층군 세송층, 화절층, 막골층의 노두가 나온다.5. 1. 6. 6화: 남산에 놀러가자
서울특별시 남산을 방문한다.5. 2. 2권
5. 2. 1. 7화: 고양이와 지층의 정령
석개재 단면이 다시 나온다. 조선 누층군 묘봉층의 표식지인 묘봉 산신령이 등장한다.석개재는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가곡면과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의 경계에 위치한 고개로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의 모든 지층이 1,100 m 두께로 드러나 있는 좋은 지질 단면이다. 2화에서 석개재 단면에 있는 화절층의 리본암과 삼엽충 화석에 대해 언급한다.
5. 2. 2. 8화: 연구실 신입생 조연희입니다.

영월군의 지질을 조사한다.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 마차리층, 와곡층(흥월리층의 현재 이름), 문곡층(삼태산층의 현재 이름), 리본암, 영월인편상구조대의 역단층에 대한 언급이 있다. 흥월리층(의 이름)을 없애고 와곡층으로 대체시킨 논문이 나온다.[1]
5. 2. 3. 9화: 지층에 녹아들다.
wikitext영월군의 지질을 조사한다. 조선 누층군 영월층군 마차리층, 와곡층(흥월리층의 현재 이름), 문곡층(삼태산층의 현재 이름), 리본암, 영월인편상구조대의 역단층에 대한 언급이 있다. 흥월리층(의 이름)을 없애고 와곡층으로 대체시킨 논문[1]이 나온다.
5. 2. 4. 10화: 세송에서 길을 잃다
웹툰 첫 페이지에 사군다리 단면의 지질주상도 중 세송층, 화절층 부분과 삼엽충 화석에 근거하여 설정된 ''Asioptychaspis subglobosa'' 생층서대의 이름이 나온다. 백운산 남측 단면과 구문소 부근에서 세송층과 화절층의 정령이 등장한다. 또한 11화에서 등장인물들의 작중 대화 중에 ''Kaolishania'' 삼엽충 생층서대(Biozone; 바이오존)가 언급된다.5. 2. 5. 11화: 밝혀지는 원경의 과거
웹툰 첫 페이지에 사군다리 단면의 지질주상도 중 세송층, 화절층 부분과 삼엽충 화석에 근거하여 설정된 ''Asioptychaspis subglobosa'' 생층서대의 이름이 나온다. 백운산 남측 단면과 구문소 부근에서 세송층과 화절층의 정령이 등장한다. 또한 11화에서 등장인물들의 작중 대화 중에 ''Kaolishania'' 삼엽충 생층서대(Biozone; 바이오존)가 언급된다.5. 2. 6. 12화: 삼척 바닷가에서
현재는 폐지된 영동선 스위치백에 대한 언급이 있다. 영동선의 스위치백은 작품이 나온 직후 2012년 6월 솔안터널 개통으로 폐지되었다. 지질학적 내용은 없다.
5. 2. 7. 13화: 바보들의 금
구문소와 태백고생대자연사박물관, 삼엽충 화석, 황철석이 등장한다.5. 2. 8. 14화: 태백시 축제 가이드


구문소 옆 태백고생대자연사박물관 앞의 조선 누층군 막골층 노두와 태백산의 산신령이 등장한다. 해당 노두에 대해서는 태백시의 지질과 막골층 문서를 참조하라.
5. 3. 3권
5. 3. 1. 15화: 난 네 전공범위였어?

만항재 부근의 평안 누층군과 직운산층의 삼엽충 화석이 등장한다.
5. 3. 2. 16화: 함백산과 백운산을 태백산에서 만나다

백운산 향사대 구조가 언급된다.
5. 3. 3. 17화: 지층의 전문가들
태백레이싱파크 부근의 세송층과 화절층이 출현하는 사군다리 단면이 등장한다.5. 3. 4. 18화: 힘들었겠다 그동안
(소스 및 요약에 해당 섹션 내용 없음)5. 3. 5. 19화: 안녕
태백시 황지연못 공원이 등장한다. 지질학적 내용은 없다.5. 3. 6. 20화: 정하는 건 사람이니까

한강의 발원지 검룡소가 등장한다. 웹툰에는 언급되지 않지만 실제로 검룡소 일대에 분포하는 지층은 조선 누층군 막골층이다.[5]
5. 3. 7. 21화: 다 같이 소풍을
(소스와 요약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5. 3. 8. 22화: 부르지 못한 이름
(소스가 비어 있으므로, 요약에 따라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에 "지질학적 내용 없음"이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5. 3. 9. 23화: 달이 내린 산기슭
(소스 내용 없음)참조
[1]
저널
단양군 어상천면 삼태산 부근 캄브리아-오르도비스계의 층서 (Stratigraphy of the Cambro-Ordovician Strata in the Mt Samtae area, Danyang, Korea)
https://www.dbpia.co[...]
2001-06
[2]
뉴스
"서울대 박사공부도 만화가가 되기위한 여정이었죠"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3-10-10
[3]
웹인용
달이 내린 산기슭
https://product.kyob[...]
교보문고
2012-04
[4]
뉴스
달이 내린 산기슭, 웹툰계에 힐링을 불러오다 느림과 편안함이 장점인 웹툰, 손장원의 달이 내린 산기슭 웹툰으로 힐링하고 싶다면, 일독을
https://ch.yes24.com[...]
체널 예스
2022-06-10
[5]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
저널
전기고생대 태백산분지 영월층군의 순차층서 연구를 통한 고지리적 추론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Yeongweol Group (Cambrian-Ordovician), Taebaeksan Basin, Korea: Paleogeographic Implications)
https://scienceon.ki[...]
2012
[7]
웹인용
영월트러스트시스템의 구조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Structural geometry of the Yeongwol thrust system, Taebaeksan zone, Korea)
http://www.riss.kr/s[...]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