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당 애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 애제는 당나라의 마지막 황제이다. 당 소종의 아홉 번째 아들로, 904년 주전충에 의해 옹립되어 황태자가 되었고, 이듬해 황위에 올랐다. 907년 주전충에게 선양을 강요당하여 당나라는 멸망했으며, 제음왕으로 봉해졌으나 908년 독살되었다. 사후 애황제로 추시되었고, 후당 명종 때 경종의 묘호와 소선광렬효황제의 시호를 추증하려 했으나 묘호는 채택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 소종의 황자 - 이유 (당나라)
    당 소종의 장남인 이유(당나라)는 897년 황태자에 책봉되었지만 900년 쿠데타로 잠시 황위에 올랐다가 이듬해 폐위되었고, 905년 주전충에 의해 살해당했다.
  • 892년 출생 - 석경당
    석경당은 사타족 출신으로 후당 시대에 활약하며 이종가의 견제를 받다가 거란과의 동맹을 통해 후진을 건국했지만, 요나라에 연운 16주를 할양하고 조공을 바치는 외교 정책을 펼치다 매국노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독살형된 사람 - 네스토르 라코바
    압하지야 출신 볼셰비키 혁명가이자 소련 정치인이었던 네스토르 라코바는 압하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고 1920년대부터 사망할 때까지 압하지야의 지도자로 활동하며 지역 발전에 기여했으나, 라브렌티 베리야와의 권력 다툼 끝에 독살당했다는 의혹을 받고 스탈린 사후 복권되어 현대 압하지야에서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독살형된 사람 - 영사황후
    영사황후는 후한 영제의 황후로, 백정 출신임에도 황후가 되었으며 아들 소제가 즉위한 후 황태후가 되어 섭정했으나, 동탁에 의해 독살당하고 어머니 또한 살해당했다.
당 애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당 애제
이조 (李祚) → 이축 (李柷, 904년 개명)
묘호경종 (景宗) (자주 사용되지 않음)
시호후량: 애황제 (哀皇帝)
후당: 소선광렬효황제 (昭宣光烈孝皇帝) 또는 소선황제 (昭宣皇帝) (약칭)
능호온릉 (溫陵)
생애
출생892년 10월 27일
사망908년 3월 26일 (15세)
재위
즉위904년 9월 26일
퇴위907년 5월 12일
연호천우 (天祐) (소종으로부터 계승)
가족 관계
아버지소종
어머니선목황후
기타 정보
왕조당나라
가문이씨
전임자소종
후임자당나라 멸망

2. 생애 및 사후

당 소종과 하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홉째 아들로, 폐위된 전 황태자 이유의 동생이었다. 처음에는 휘왕(輝王)에 책봉되었다. 904년 아버지 소종이 주전충(朱全忠)에 의해 살해되자, 주전충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이는 선양(禪讓)을 위한 것에 불과했다. 905년 2월, 덕왕 이유(李裕) 등 자신의 형제 9명이 주전충이 베푼 거짓 연회에서 살해당했고, 6월에는 당나라 조신들이 숙청되었다(백마의 화(白馬の禍)). 907년 주전충에게 선양을 강요당했다.

후량 건국 후, 제음에 봉해졌으나, 908년 2월 21일 주전충에게 독살당하고 '''황제'''(哀皇帝)로 추시되었다. 후당 건국 후 명종 연간에 '''경종'''(景宗)의 묘호와 소선광렬효황제(昭宣光烈孝皇帝)의 시호추증할 것을 청하는 의견이 있었으나, 시호만 받아들여지고 묘호는 채택되지 않았다.

908년 후환을 두려워한 주황(朱晃, 주전충에서 개명)에 의해 조주(曹州)의 제음궁에서 독살당했다. 향년 17세.

2. 1. 즉위 전

당 소종과 하황후 사이에서 892년 당나라 수도 장안의 궁궐에서 아홉째 아들로 태어났다.[3] 그의 어머니 하황후는 이전에 이좌의 형인 덕왕 이유를 낳았으며, 이유는 소종의 장남이었다.

897년, 이좌는 형제들과 함께 왕으로 책봉되었고, 휘왕(輝王)에 봉해졌다.[7]

903년, 주전충이 재상 최윤과 연합하여 소종의 궁정을 장악했다. 그해 소종은 주전충에게 전군부원수 직을 수여하면서 아들 중 한 명을 원수로 삼으려 했다. 주전충은 더 어린 황자를 원수로 삼아 권력 분산을 막고자 했고, 이에 따라 이좌가 원수로 임명되었다.[5]

904년, 주전충은 소종에게 수도를 낙양으로 옮기도록 강요했다.[5] 같은 해, 주전충은 소종을 암살하고 이좌를 황태자로 책봉한 후 이름을 이축(李柷)으로 고쳤다.[1]

2. 2. 재위 기간

당 소종과 하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홉째 아들로, 904년 아버지 소종이 주전충(朱全忠)에 의해 살해되자 그에 의해 옹립되었다. 그러나 이는 선양(禪讓)을 위한 것에 불과했다.[1] 즉위 당시, 주전충의 심복 유간(유간)이 재상으로 있었다. 905년 유간의 주장에 따라 주전충은 백마의 화(白馬の禍)를 일으켜 배숙, 독고순, 최원, 노의, 왕포를 비롯한 30여 명의 귀족들을 학살했다.[1] 주전충의 심복 장현휘, 유간, 장정범은 주전충에게 선양하는 의식을 준비했으나, 주전충은 이들을 의심하여 처형했다. 효헌태후(소종의 황후)는 장현휘와 간통했다는 모함을 받아 살해되었다.[1]

907년, 주전충은 위보군 절도사 나사오웨이의 조언에 따라 즉위하기로 결심하고, 애제로부터 선양받아 후량을 건국했다. 이극용, 리마오전, 양오, 왕건 등 여러 군벌은 주전충을 인정하지 않고, 각자의 영토를 다스렸다.[4]

2. 3. 최후

907년 주전충선양을 통해 후량을 건국한 후, 이축은 제음왕(濟陰王)으로 책봉되어 낙양에서 조주(현재의 산둥성 허쩌시)로 거처를 옮겼다. 그곳에서 이축은 가시 울타리에 둘러싸여 삼엄한 경비 속에서 생활해야 했다.[4]

908년, 주전충은 이축에게 독약을 내려 살해하고, 시호를 애제(哀帝)라 하였다.[4]

3. 사후

908년, 후량 태조 주전충은 당 애제에게 독약을 먹여 살해하고 애제(哀帝)라는 시호를 추증했다.[4]

후당이 건국된 후인 928년, 후당 명종은 애제를 기리는 사당을 조주(曹州)에 건립했다.[8] 929년, 명종의 신하들은 애제에게 '소선광렬효황제(昭宣光烈孝皇帝)'라는 시호와 '경종(景宗)'이라는 묘호를 추존할 것을 건의했으나,[8] 황실 종묘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묘호는 채택되지 않았다.[8]

따라서 역사 기록에서는 주로 애제(哀帝)로 불리지만, 때때로 조선황제(昭宣皇帝)라고도 불린다.[4][3][9]

4. 연호

연호기간
천우904년 ~ 907년



당 애제는 연호로 천우(天祐)를 사용하였다. 진, 기, 등의 국가들은 계속해서 천우 연호를 사용하여, 애제를 황제로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4]

5. 가계

당 소종과 하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홉째 아들이다. 주전충에게 제위를 선양하여 당나라가 멸망한 후, 908년 독살당했다.[3]

공식 역사 기록에는 자녀에 대한 기록은 없다. 다만, 송나라 장군 이강이 이희조(李熙照)라는 아들을 통해 후손이라고 주장했다.

관계이름
아버지당 소종
어머니하황후
덕왕 이유를 비롯한 다수의 형제 (905년 주전충에 의해 살해)[1]


6. 기타

이극용, 리마오전, 양오, 왕건 등은 후량 태조(주전충)를 인정하지 않고, 사실상 자신들의 영토(각각 진, 기, , 전촉)를 다스리는 지배자가 되었다. 이들은 애제의 연호인 천우(天祐)를 계속 사용하여 애제를 황제로 암묵적으로 인정했다.[4] 전통적인 역사 기록에서는 주로 애제로 불리지만, 때때로 소선황제(昭宣皇帝)라고도 불린다.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2013-10-16
[3] 서적 Old Book of Tang
[4] 서적 Zizhi Tongjian
[5] 서적 Zizhi Tongjian
[6] 서적 A Dictionary of Current Chinese (7th ed.) The Commercial Press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Zizhi Tongjian
[9] 서적 New Book of Ta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