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는 1963년 10월 15일에 실시되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민정이양의 형식으로 치러졌다. 선거 결과, 민주공화당의 박정희 후보가 46.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윤보선 후보는 45.1%를 득표했다. 이 선거는 5·16 군사 정변에 대한 심판의 성격을 띠었으며, 지역별 지지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박정희는 경상도, 전라도, 부산광역시에서, 윤보선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에서 우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16 군사정변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5·16 군사정변 - 대한민국 헌법 제6호
    대한민국 헌법 제6호는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의해 추진되어 대통령 중심제와 단원제 국회 구성을 골자로 하며, 국민투표를 통해 확정되어 공포되고 시행된 헌법이다.
  • 1963년 10월 - 1963년 동독 총선거
    1963년 동독 총선거는 국민전선이 단일 후보 목록을 제시하여 찬반 투표로 진행되었으며, 사회주의통일당 주도의 민족전선 연합체를 통해 치러져 99.95%의 지지를 얻었지만, 비민주성과 결과 조작 의혹으로 서방 세계에서 인정받지 못했다.
  • 1963년 10월 - 1963년 인터콘티넨털컵
    1963년 인터콘티넨털컵은 AC 밀란과 산투스가 맞붙어 1, 2차전 무승부 후 플레이오프에서 산투스가 승리하여 우승했으나, 심판 판정 논란과 폭력적인 행위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경기"라는 오명을 얻은 대회이다.
  •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1963년 10월 15일에 치러진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전라북도 지역은 총 유권자 986,136명 중 884,577명이 투표에 참여하여 박정희 후보가 83.27%의 득표율로 윤보선 후보를 크게 앞섰다.
  •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전라남도
    1963년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전라남도는 85.28%의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으며 윤보선 후보가 68.59%의 득표율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지도 정보
시군별 우세지역, 박정희, 윤보선
선거 정보
국가대한민국
선거 유형대통령
이전 선거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60년 8월
다음 선거196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67년
선거일1963년 10월 15일
투표율85.0%
후보 1
후보박정희
정당민주공화당
득표수4,702,640
득표율46.6%
후보 2
후보윤보선
정당민정당
득표수4,546,614
득표율45.1%
후보 3
후보오재영
정당추풍회
득표수408,664
득표율4.05%
선거 결과
당선자박정희
당선 정당민주공화당
이전 대통령박정희 (권한대행)
이전 대통령 소속 정당국가재건최고회의

2. 경과

5·16 군사 쿠데타로 출범한 국가재건최고회의의 민정 이양 방침에 따라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1962년 12월 17일 헌법 개정안이 국민투표로 승인되었고, 12월 26일부터 시행된 헌법에 따라 제2공화국의 책임내각제에서 대통령제로 회귀하였다.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는 1963년 8월 30일 예비역으로 편입되고, 다음 날 31일 민주공화당 총재에 취임하여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2]

야당에서는 윤보선(민정당), 허정(국민의당), 송요찬(자유민주당) 등이 출마하였다. 선거는 9월 5일에 공고되었고, 9월 15일에 후보 등록이 마감되어 7명이 출마하였다.

후보자 목록
후보자명정당
박정희민주공화당
윤보선민정당
허정국민의당
송요찬자유민주당
오재영추풍회
변영태정민회
장이석신흥당



선거 운동 기간 중 10월 2일 허정, 10월 7일 송요찬이 "야당 후보 단일화"를 명분으로 출마를 포기하여, 사실상 박정희윤보선의 양자 대결이 되었다.

2. 1. 배경

5·16 군사정변으로 민주당 정권이 붕괴되고, 민정 이양 형식으로 대통령 선거가 실시될 예정이었다. 1962년 12월 17일, 국가재건최고회의는 국민투표를 통해 헌법을 개정하여 권력 구조를 대통령제로, 선거 제도를 제1공화국의 직접선거제로 되돌려 놓았다.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출범한 국가재건최고회의의 민정 이양 방침에 따라 제5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1962년 12월 17일 헌법 개정안이 국민투표로 승인되었고, 12월 26일부터 시행된 헌법에 따라 제2공화국 시대의 책임내각제에서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는 대통령이 강력한 행정권을 가지는 대통령제로 회귀하였다.[2]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1963년 8월 30일 예비역으로 편입되고, 다음 날인 8월 31일 민주공화당 총재에 취임하여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2]

2. 2. 야권의 상황

5·16 군사 정변으로 민주당 정권이 붕괴된 후, 민정 이양 형식으로 대통령 선거가 실시될 예정이었다. 여권은 민주공화당으로 통일되었으나, 야권은 여러 정당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신민당 출신 인사들은 민정당을, 민주당 출신 인사들은 민주당을 창당하였다. 자유당이나 무소속 출신 인사들은 자유당, 신정당, 민우당, 정민회 등을 창당하였다. 친여 정당으로 출발했던 자유민주당도 야권으로 성향이 바뀌었다.[5]

민정당, 신정당, 민우당 등은 국민의당으로 합당하고 후보 단일화를 추진했으나, 윤보선 측과 허정 측이 서로 양보하지 않아 실패하였다. 민주당은 장면 전 국무총리가 정치활동 규제를 당해 후보를 내지 않았지만, 민정당의 윤보선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지도 않았다.[5]

민간 정치인들은 박정희에 맞서 단결하기보다는 여러 정당으로 심하게 분열되었다. 5월 14일, 윤보선과 그의 추종자들은 민정당을 창당하고 윤보선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전 국무총리 허정을 후보로 지명한 신정당도 민간 정치인들을 대표한다고 주장했다.[5]

윤보선은 두 후보가 모두 출마할 경우 박정희가 쉽게 승리할 것이 분명해지자, 민간 정치인들이 하나의 정당 아래 단결할 것을 제안했고, 신정당은 이에 동의했다. 한국민주당은 9월에 공식적으로 창당되어, 민정당, 신정당, 그리고 전 국무총리 이범석의 민주친목당을 통합했다. 그러나 윤보선허정 중 누구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할지에 대한 합의에 실패한 후, 9월 13일 민정당은 한국민주당에서 분당하여 윤보선을 공식적으로 재지명했다. 한국민주당에 남은 허정과 이범석의 세력은 허정을 지명했다.[5]

10월 2일, 허정은 대통령직 입후보를 철회하고 박정희를 물리치기 위해 윤보선을 지지했다.[5][6]

2. 3. 야권 단일화 운동

윤보선 전 대통령을 대통령 후보로 내세운 민정당, 허정 전 국무총리가 이끌던 신정당 등 보수 야권 정당들은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군사 정권이 출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야권 후보 단일화를 추진하였다.

1963년 7월 5일, 윤보선 후보가 야권 통합을 위해 후보직을 사퇴한다고 선언한 것을 시작으로 야권의 통합 운동은 본격화되었다. 이로써 민정당, 신정당, 민우당 등은 국민의당을 결성하게 되었으며, 통합 야당 국민의당의 대통령 후보를 선정하기 위한 협상에 들어갔다. 윤보선 전 대통령, 김병로 민정당 대표최고위원, 이범석 민우당 고문 등이 불출마를 선언한 가운데, 국민의당의 후보 지명전은 신정당에서 내세운 허정 신정당 창준위원장과 김도연 전 신민당 위원장의 양자 대결로 좁혀졌다. 그러나 인지도와 지지도 면에서 김도연은 허정에게 밀렸고, 결국 김도연은 불출마를 선언하였으며, 민정당은 다시 윤보선을 후보로 내세웠다.

그러나 민정당 측과 신정당 측은 끝내 후보를 합의하지 못했고, 결국 윤보선 후보와 허정 후보 둘 다 출마하여 야권 통합은 실패로 끝났다.

그러나 선거 운동 개시 후 선거는 박정희 민주공화당 후보와 윤보선 민정당 후보의 양강 구도로 진행되었고, 결국 허정 국민의당 후보는 10월 3일 야권 단일화를 위한 후보직 사퇴를 선언하였다. 10월 12일에는 송요찬 자민당 후보도 사퇴를 선언하고 윤보선 지지를 선언해, 사실상의 야권 단일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선거 초기에는 기대를 모았던 허정이 이미 약세가 현저히 드러난 상황에서 뒤늦게 사퇴했음으로 단일화의 효과는 크지 않았다.[5][6]

2. 4. 사상 논쟁

윤보선 후보 측은 박정희의 남로당 경력을 문제 삼으며 색깔론을 제기했으나, 별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7] 훗날 박정희 정부 하에 투옥되기도 하는 임헌영은 자신은 당시 윤보선이 박정희가 좌파라며 공격하는 것을 보고 주변인들에게 박정희를 찍으라고 운동하고 다녔다고 술회하며, "지금 생각하면 너무 어리석어 당시의 진보 세력들의 한계를 느끼게 해준다, 윤보선의 매카시즘이 오히려 자신을 낙선시킨 것"이라고 말했다.

3. 후보

시민들이 거리에 걸려있는 제 5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포스터를 보고 있다.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출범한 군사 정권은 민정 이양 방침에 따라 대통령 선거를 실시하게 되었다. 주요 후보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민정당 윤보선, 국민의당 허정, 자유민주당 송요찬 등이 있었다. 그 외에도 추풍회 오재영, 정민회 변영태, 신흥당 장이석 등이 출마하였다.

야권에서는 후보 단일화가 주요 쟁점이었는데, 허정송요찬은 "야당 후보 단일화"를 명분으로 사퇴하여, 선거는 사실상 박정희윤보선의 양자 대결로 좁혀졌다.[5][6]

주요 후보
후보자명정당
박정희민주공화당
윤보선민정당
허정국민의당
송요찬자유민주당
오재영추풍회
변영태정민회
장이석신흥당


3. 1.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은 1963년 5월 27일 전당대회를 열고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을 대통령 후보로 만장일치로 추대하였다. 박정희 후보는 8월 31일 다시 열린 전당대회에서 후보직을 수락하였다.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군사 정부를 이끌었던 박정희는 1963년 4월 8일, 대통령에 출마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는 그가 군사 통치를 4년 더 연장할 계획을 발표한 후 미국이 모든 경제 원조를 중단하겠다고 위협한 데 따른 것이었다.

군부는 2월에 민주공화당을 결성했고, 박정희는 10월에 대통령 후보로 민주공화당의 지명을 받았다.

3. 2. 민정당

윤보선 후보의 서울 유세


신민당 출신 인사들로 결성된 민정당은 1963년 5월 14일 창당대회를 개최하고 윤보선 전 대통령을 대통령 후보에 만장일치로 추대하였다.[5] 그러나 윤보선 후보는 7월 5일 야권 단일화를 위해 후보직을 사퇴하였다.

이후 민정당은 야권 통합 운동에 참여했으나, 후보 단일화 협상이 결렬되자 9월 12일 다시 전당대회를 열고 윤보선 전 대통령을 대통령 후보에 만장일치로 재추대하였다.[6]

윤보선 전 대통령을 대통령 후보로 내세운 민정당, 허정 전 국무총리가 이끌던 신정당 등 보수 야권 정당들은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군사 정권이 출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야권 후보 단일화를 추진하였다.

1963년 7월 5일, 윤보선 후보가 야권 통합을 위해 후보직을 사퇴한다고 선언한 것을 시작으로 야권의 통합 운동은 본격화되었다. 이로써 민정당, 신정당, 민우당 등은 국민의당을 결성하게 되었으며, 통합 야당 국민의당의 대통령 후보를 선정하기 위한 협상에 들어갔다. 윤보선 전 대통령, 김병로 민정당 대표최고위원, 이범석 민우당 고문 등이 불출마를 선언한 가운데, 국민의당의 후보 지명전은 신정당에서 내세운 허정 신정당 창준위원장과 김도연 전 신민당 위원장의 양자 대결로 좁혀졌다. 그러나 인지도 면에서나 지지도 면에서나 김도연은 허정에게 밀렸고, 결국 김도연은 불출마를 선언하였으며, 민정당은 다시 윤보선을 후보로 내세웠다.

그러나 민정당 측과 신정당 측은 끝내 후보를 합의하지 못했고, 결국 윤보선 후보와 허정 후보 둘 다 출마하여 야권 통합은 실패로 끝났다.

그러나 선거 운동 개시 후 선거는 박정희 민주공화당 후보와 윤보선 민정당 후보의 양강 구도로 진행되었고, 결국 허정 국민의당 후보는 10월 3일 야권 단일화를 위한 후보직 사퇴를 선언하였다. 10월 12일에는 송요찬 자민당 후보도 사퇴를 선언하고 윤보선 지지를 선언해, 사실상의 야권 단일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선거 초기에는 기대를 모았던 허정이 이미 약세가 현저히 드러난 상황에서 뒤늦게 사퇴했음으로 단일화의 효과는 크지 않았다.

3. 3. 국민의당

국민의당은 1963년 9월 14일 전당대회를 열고 허정 신정당 창당준비위원장을 대통령 후보로 만장일치로 추대하였다.[5][6]

그러나 허정 후보는 선거전 내내 윤보선 민정당 후보에게 크게 뒤지는 모습을 보였고, 결국 10월 3일 야권 단일화를 위해 후보직을 사퇴하였다. 이는 박정희 민주공화당 후보를 꺾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

3. 4. 자유민주당

자유민주당은 1963년 9월 5일 중앙상무위원회를 열고 송요찬 최고위원을 대통령 후보로 만장일치 추대하였다. 송요찬육군참모총장 출신으로 박정희의 군 선배이지만, 오히려 박정희의 민정 참여와 민주공화당 창당 등에 비판적이었다.

그러나 송요찬 후보는 10월 7일 야권 단일화를 위해 후보직을 사퇴하였다.[8]

3. 5. 군소 후보

자유당은 1963년 9월 8일 중앙위원회를 열고 장택상 전 국무총리를 대통령 후보로 만장일치로 추대하였다. 그러나 장택상 후보는 9월 13일 야권 후보 단일화를 위하여 후보직을 사퇴하겠다고 선언하였다.[9]

정민회는 1963년 8월 29일 창당대회를 열고 변영태 전 국무총리를 대통령 후보로 만장일치로 추대하였다.

추풍회는 1963년 9월 11일 전당대회를 열고 오재영 전 의원을 대통령 후보로 만장일치로 추대하였다.

신흥당은 1956년 대통령 선거 당시 계룡산 산신의 계시를 받았다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으나 후보 등록을 하지 못했던 장이석 씨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다.

군소 후보자 목록
이름정당비고
변영태정민회
오재영추풍회
장이석신흥당


4. 선거 결과

1963년 10월 15일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박정희 후보가 46.6%의 득표율로, 45.1%를 얻은 민정당윤보선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박정희 후보는 5·16 군사정변으로 군정을 이끌다 미국의 경제 원조 중단 위협에 굴복하여 민정 이양을 약속하고 대선에 출마하였다.

박정희 후보의 승리 요인으로는 야당의 자금난과 분열, 그리고 민주공화당의 막대한 자금 동원력이 꼽힌다.

4. 1. 전국 결과

1963년 10월 15일에 실시된 제5대 대통령 선거 결과, 민주공화당박정희 후보가 46.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정당윤보선 후보는 45.1%를 득표하여 박정희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였다.

  • '''투표일''': 1963년 10월 15일
  • '''선거인''': 12,985,015명
  • '''투표자수''': 11,036,175명
  • '''투표율''': 85.0%
  • '''유효투표 총수''': 10,081,198표


제5대 대통령 선거 (1963년 10월 15일)
당락후보자당파득표수득표율
당선박정희(朴正熙)민주공화당4,702,64046.6
윤보선(尹潽善)민정당4,546,61445.1
오재영(吳在泳)추풍회408,6644.1
변영태(卞榮泰)정민회224,4332.2
장이석신흥당198,8372.0
합계10,081,198



지역별 득표
(박정희 후보와 윤보선 후보만 기재)
시·도박정희
(민주공화당)
윤보선
(민정당)
득표수득표율
서울특별시371,62730.2%802,05265.1%
경기도384,76433.1%661,98456.9%
강원도296,71139.6%368,09249.1%
충청북도202,78939.8%249,39748.9%
충청남도405,07740.8%490,66349.4%
전라북도408,55649.4%343,17141.5%
전라남도765,71257.2%480,80035.9%
부산광역시242,77948.2%239,08347.5%
경상북도837,12455.6%543,39236.1%
경상남도706,07961.7%341,97129.9%
제주특별자치도81,42269.9%26,00922.3%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1] 득표율은 「역대선거정보시스템」에서 인용한 득표수를 바탕으로 계산한 것이다.

박정희 후보는 야당의 분열과 자금난, 그리고 민주공화당의 막대한 선거 자금 투입에 힘입어 승리하였다. 지역별 득표 현황을 보면, 윤보선 후보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에서 우세했고, 박정희 후보는 전라도, 경상도, 부산광역시에서 우세했다. 특히 전라남도에서 박정희 후보가 윤보선 후보를 28만 표 이상 앞섰다는 점은, 이후 심화된 지역 갈등이 이 시점에는 심각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2]

4. 2. 지역별 결과

(민주공화당)윤보선
(민정당)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서울특별시371,62730.2%802,05265.1%경기도384,76433.1%661,98456.9%강원도296,71139.6%368,09249.1%충청북도202,78939.8%249,39748.9%충청남도405,07740.8%490,66349.4%전라북도408,55649.4%343,17141.5%전라남도765,71257.2%480,80035.9%부산광역시242,77948.2%239,08347.5%경상북도837,12455.6%543,39236.1%경상남도706,07961.7%341,97129.9%제주특별자치도81,42269.9%26,00922.3%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영남, 호남, 부산광역시에서, 민정당 윤보선 후보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도에서 우세했다. 충청도부산광역시에서는 두 후보의 지지세가 비슷했다. 특히 전라남도에서 박정희 후보가 윤보선 후보보다 28만 표 이상 앞섰는데, 이는 이후 심화된 지역 갈등이 당시에는 심각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5. 선거의 의미

이 선거는 5·16 군사 정변에 대한 심판의 성격을 띠었으며, 박정희는 이 선거를 통해 군사혁명으로 장악한 정권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의 경제 원조 중단 위협에도 불구하고, 박정희는 민정 이양 약속을 지키며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유권자들의 투표 행태는 남여북야(南與北野)라는 지역 대결 구도를 보였다.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서는 윤보선이, 영남과 호남에서는 박정희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충청부산에서는 두 후보의 지지세가 비슷했다.

야당의 자금난과 분열, 후보 난립은 박정희 후보의 승리 요인 중 하나였다.[1] 또한 혁명 정부의 농업 정책은 농촌 지역, 특히 호남 지역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는데 영향을 주었다.[10]

윤보선 후보 측은 박정희의 남로당 경력을 문제 삼아 색깔론을 제기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10]

5. 1. 5·16 군사정변의 심판 성격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군정을 이끌었던 박정희는 1963년 4월 8일, 민정 이양을 약속하며 대통령 선거 출마를 발표했다. 이는 군정 연장 계획 발표 후 미국의 경제 원조 중단 위협에 따른 것이었다.[1]

1963년 10월 15일 치러진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46.6%의 득표율로 민정당 윤보선 후보를 약 15만 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다.[1]

박정희 후보의 승리 요인으로는 여당의 막대한 자금력, 야당의 자금난, 야당 내 분열과 후보 난립 등이 꼽힌다. 지역별 득표를 보면, 윤보선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에서, 박정희전라도, 경상도, 부산광역시에서 우세했다. 특히 전라남도에서 박정희가 윤보선을 28만 표 이상 앞선 것은, 이후 심화된 지역 갈등이 당시에는 심각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1]

5. 2. 남여북야(南與北野) 지역 대결 구도

이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투표 행태는 남여북야(南與北野)의 지역 대결 구도를 나타냈다. 서울, 경기도, 강원도 지역에서는 윤보선을, 영남과 호남에서는 박정희를 압도적인 표 차이로 지지하였다. 충청도부산에서는 두 후보에 대한 지지세가 비슷했다.

지역별 득표 (박정희 후보와 윤보선 후보만 기재)
시·도박정희 (민주공화당)윤보선 (민정당)
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
서울특별시371,62730.2%802,05265.1%
경기도384,76433.1%661,98456.9%
강원도296,71139.6%368,09249.1%
충청북도202,78939.8%249,39748.9%
충청남도405,07740.8%490,66349.4%
전라북도408,55649.4%343,17141.5%
전라남도765,71257.2%480,80035.9%
부산광역시242,77948.2%239,08347.5%
경상북도837,12455.6%543,39236.1%
경상남도706,07961.7%341,97129.9%
제주특별자치도81,42269.9%26,00922.3%


5. 3. 혁명 정부의 농업정책에 호응

한국민주당의 텃밭이자 제1·2공화국 내내 민주당계 보수 정당의 텃밭이었던 호남에서 진보 개혁 세력의 지지를 받은 박정희가 승리한 것은 여수·순천 사건 등으로 색깔론에 대한 반감이 있었던데다 혁명 정부의 중농정책이 농업이 발달한 호남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는데 주효했던 탓으로 분석되었다.[10] 특히 전라남도에서는 윤보선에 비해 박정희가 28만 표 이상 차이로 앞섰는데, 이는 이후 심화된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 갈등이 이 시점에는 심각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5. 4. 좌파공산주의 문제에 둔감

윤보선 후보 측은 박정희의 남로당 경력을 문제 삼으며 색깔론을 제기했으나, 별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훗날 박정희 정부 하에 투옥되기도 하는 임헌영은 자신은 당시 윤보선이 박정희가 좌파라며 공격하는 것을 보고 주변인들에게 박정희를 찍으라고 운동하고 다녔다고 술회하며, "지금 생각하면 너무 어리석어 당시의 진보 세력들의 한계를 느끼게 해준다, 윤보선의 매카시즘이 오히려 자신을 낙선시킨 것"이라고 말했다.

혁신계 세력이 많은 영남, 특히 한국 전쟁의 피해를 상대적으로 덜 본 경남 지역 역시 박정희에 대한 윤보선의 사상 공격이 포항과 경주 등 한국 전쟁의 피해가 컸던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효과를 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형욱 당시 중앙정보부장은 선거전 중에 윤보선이 사상 문제를 제기한 직후 여론조사를 돌린 결과 박정희 후보의 지지율이 내려가긴 했으나 좌익 유권자가 많은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급상승하기도 했다고 회고했다.[10]

5. 5. 한국 지역 갈등의 초기 양상

1963년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朴正熙) 후보는 전라남도에서 윤보선(尹潽善) 후보보다 28만 표 이상을 더 얻었다. 이는 경상도전라도의 지역 갈등이 이 시점에는 심각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지역별 득표 (박정희 후보와 윤보선 후보만 기재)
시·도박정희
(민주공화당)
윤보선
(민정당)
득표수득표율
서울특별시371,62730.2%802,05265.1%
경기도384,76433.1%661,98456.9%
강원도296,71139.6%368,09249.1%
충청북도202,78939.8%249,39748.9%
충청남도405,07740.8%490,66349.4%
전라북도408,55649.4%343,17141.5%
전라남도765,71257.2%480,80035.9%
부산광역시242,77948.2%239,08347.5%
경상북도837,12455.6%543,39236.1%
경상남도706,07961.7%341,97129.9%
제주특별자치도81,42269.9%26,00922.3%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001
[2] 서적
[3] 뉴스 Park Declared Winner In Korea The Miami News 1963-10-19
[4]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5] 서적 박정희 정권의 시작과 종말 1 https://books.google[...] ebookspub(이북스펍) 2012-07-31
[6] 웹사이트 신정당(新政黨) http://encykorea.aks[...] 2018-04-21
[7] 서적 분단後の韓国政治-1945~1986- 木鐸社
[8]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20-09-18
[9]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20-09-18
[10] 서적 한국 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2 : 4·19 혁명에서 3선 개헌까지 https://books.google[...] 인물과사상사 2004-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