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는 김영삼 후보가 73.34%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한 선거이다. 총 유권자 2,565,831명 중 2,115,389명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김대중 후보가 12.52%로 2위, 박찬종 후보가 6.57%, 정주영 후보가 6.33%를 얻었다. 김영삼 후보는 부산의 모든 구에서 7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강세를 보였고, 범보수 계열 후보의 득표율이 80% 이상을 기록하며 보수적인 정치 지형을 나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64.2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신민당 윤보선 후보와의 큰 격차를 보였다. - 부산광역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에서 박정희 후보가 48.20%의 득표율로 윤보선 후보를 근소하게 앞서 승리했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대전직할시
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후보가 39.8%의 득표율로 대전직할시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모든 지역에서 승리하여 3당 합당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강원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강원도에서는 김영삼 후보가 51.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승리했고, 김대중, 정주영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대전직할시
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후보가 39.8%의 득표율로 대전직할시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모든 지역에서 승리하여 3당 합당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민중대통령후보선거대책본부 후보 선출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중 대통령 후보로 백기완을 추대하기 위해 결성된 선거대책본부는 민중회의준비위원회, 진보정당추진위원회 등의 참여로 구성되어 백기완을 공식 후보로 발표하고, 기존 정당 정치의 한계를 넘어 민중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민주주의 가치 실현과 민중의 삶 개선을 목표로 선거에 참여했다.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 | |
---|---|
선거 정보 | |
선거명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 |
국가 | 대한민국 |
선거 유형 | 대통령 |
이전 선거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 |
이전 선거 연도 | 1987년 |
선거일 | 1992년 12월 18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부산광역시 |
차기 선거 연도 | 1997년 |
직책 | 대통령 |
선거 전 대통령 | 노태우 |
선거 전 대통령 정당 | 무소속 |
선거 후 대통령 | 김영삼 |
선거 후 대통령 정당 | 민주자유당 |
후보 1 | |
![]() | |
후보 | 김영삼 |
정당 | 민주자유당 |
득표수 | 1,551,473 |
득표율 | 73.34% |
후보 2 | |
![]() | |
후보 | 김대중 |
정당 | 민주당 |
득표수 | 265,055 |
득표율 | 12.52% |
후보 3 | |
후보 | 박찬종 |
정당 | 신정치개혁당 |
득표수 | 139,004 |
득표율 | 6.57% |
후보 4 | |
![]() | |
후보 | 정주영 |
정당 | 통일국민당 |
득표수 | 133,907 |
득표율 | 6.33% |
2. 부산직할시 개표 결과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는 부산직할시에서 73.34%의 득표율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12.52%로 2위, 신정치개혁당 박찬종 후보는 6.57%,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6.33%를 기록했다.
김영삼 후보는 부산 내 모든 지역에서 70% 이상 득표했으며, 특히 강서구에서는 8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김대중 후보는 강서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10% 이상 득표했으며, 영도구에서 15% 이상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박찬종 후보는 서구, 동구, 영도구에서, 정주영 후보는 5~7%대 득표율을 보였다.
범보수계열 후보(김영삼, 정주영, 박찬종)는 모든 지역에서 80% 이상 득표율로 범민주계열 후보(김대중)를 크게 앞섰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
2. 1. 전체 결과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민주자유당 | 1,551,473 | 73.34% |
김대중 | 민주당 | 265,055 | 12.52% |
박찬종 | 신정치개혁당 | 139,004 | 6.57% |
정주영 | 통일국민당 | 133,907 | 6.33% |
백기완 | 무소속 | 21,736 | 1.02% |
김옥선 | 무소속 | 3,236 | 0.15% |
이병호 | 대한정의당 | 978 | 0.04% |
총합 | 2,115,389 |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가 73.34%의 득표율로 부산직할시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김영삼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도 부산에서 승리하였는데, 이번 대선에서는 지난 대선보다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12.52%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 김대중 후보는 지난 13대 대선에서 10%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신정치개혁당 박찬종 후보는 6.57%를 기록하며 3위에 자리했으며,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는 6.33%로 4위를 차지했다.
범보수계열은 부산에서 80%대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2. 2. 지역별 상세 결과
(민주자유당)(민주당)
(통일국민당)
(신정치개혁당)
(무소속)
(무소속)
(대한정의당)
(73.98%)
(11.89%)
(6.16%)
(6.88%)
(0.93%)
(0.09%)
(0.03%)
(75.05%)
(11.01%)
(5.40%)
(7.38%)
(0.94%)
(0.14%)
(0.04%)
(74.55%)
(11.23%)
(5.32%)
(7.71%)
(0.97%)
(0.15%)
(0.04%)
(70.30%)
(15.75%)
(5.09%)
(7.75%)
(0.88%)
(0.15%)
(0.03%)
(72.43%)
(13.88%)
(6.26%)
(6.04%)
(1.16%)
(0.15%)
(0.04%)
(74.86%)
(12.05%)
(5.66%)
(6.06%)
(1.14%)
(0.15%)
(0.05%)
(74.18%)
(10.57%)
(7.30%)
(6.65%)
(1.11%)
(0.12%)
(0.03%)
(73.02%)
(12.40%)
(6.78%)
(6.54%)
(1.05%)
(0.14%)
(0.03%)
(73.81%)
(12.01%)
(6.50%)
(6.46%)
(1.00%)
(0.15%)
(0.04%)
(73.83%)
(11.47%)
(6.74%)
(6.63%)
(1.11%)
(0.13%)
(0.04%)
(74.09%)
(12.60%)
(6.33%)
(5.85%)
(0.89%)
(0.17%)
(0.04%)
(70.59%)
(17.40%)
(5.93%)
(4.88%)
(0.96%)
(0.17%)
(0.04%)
(70.66%)
(13.66%)
(7.43%)
(6.89%)
(1.08%)
(0.19%)
(0.05%)
(73.99%)
(12.41%)
(5.60%)
(6.91%)
(0.86%)
(0.13%)
(0.05%)
(72.27%)
(11.93%)
(7.44%)
(6.96%)
(1.17%)
(0.15%)
(0.04%)
(80.75%)
(8.30%)
(5.22%)
(4.64%)
(0.83%)
(0.16%)
(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