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시오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시오강은 홋카이도 기타미 산지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홋카이도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다. 시베츠에서 발원하여 산악 계곡과 데시오 평원을 지나며, 하류 158km 구간은 댐과 보가 없어 자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유역에는 12개의 자치체가 있으며, 임업, 낙농업, 어업 등이 이루어진다. 데시오강은 과거 홍수로 인해 여러 차례 하천 개수가 이루어졌으며, 1940년 샤코탄반도 앞바다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로 피해를 입기도 했다. 데시오강 역사 자료관에는 강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으며, 2004년 홋카이도 유산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의 강 - 소세이강
    소세이강은 삿포로시를 관통하는 하천으로, 1866년 개척 당시 용수로로 개착되어 삿포로 시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는 소세이강 공원으로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된다.
  • 홋카이도의 강 - 도요히라강
    도요히라강은 홋카이도 삿포로시를 흐르는 강으로, 상수도 공급, 수력 발전, 시민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지만, 급류로 인해 잦은 홍수 피해를 겪기도 한다.
  • 동해 수계 - 모가미강
    모가미강은 야마가타현을 흐르는 일본의 대표적인 강으로, 빠른 유속과 수운, 농업용수, 치수 사업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해 왔으며, 현재는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고려한 하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 동해 수계 - 라즈돌나야강
    라즈돌나야강은 중국 지린성에서 발원하여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거쳐 아무르만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우수리스크 건설 지점이고 한반도와 연해주의 강들 중 넓은 유역 면적을 가지며, 현재 주변 지역의 경제 및 생태계와 중-러 교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데시오강
개요
소야 본선의 다리를 건너는 열차에서 바라본 모습 (2008년 9월)
어원(제공된 문서에 어원 정보가 없습니다.)
지리
국가일본
지방홋카이도
지역루모이, 가미카와, 소야
관련 도시비후카정
호로노베정
겐부치정
나카가와정
나요로시
오토이넷푸촌
시베쓰시
시모카와정
데시오정
도요토미정
왓카나이시
왓사무정
발원지데시오산
발원지 위치시베쓰시, 홋카이도, 일본
발원지 고도1558m
하구동해
하구 위치데시오정호로노베정, 홋카이도, 일본
하구 고도0m
길이256km
유역 면적5590km2
평균 유량110m3/s
흐름(제공된 문서에 정보가 없습니다.)
강 체계(제공된 문서에 정보가 없습니다.)
왼쪽 지류(제공된 문서에 정보가 없습니다.)
오른쪽 지류(제공된 문서에 정보가 없습니다.)
기타 정보
추가 정보(제공된 문서에 추가 정보가 없습니다.)

2. 지리

데시오강의 발원지는 기타미 산지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데시오산(1558m)이다.[4] 시베츠정에서 발원하여 산악 계곡을 따라 흐르며, 나요로강을 포함한 약 160개의 지류와 합류한다.[1] 이후 오토이넷푸정의 좁은 지형을 통과하고 데시오 평야에 진입하여 만곡하며 흘러 데시오정에서 동해로 유입된다.[4] 하류 158km 구간은 이나 와 같은 인공 구조물이 없어 자연적인 흐름이 잘 보존되어 있다.[4][3]

2. 1. 하천 지형

데시오강은 홋카이도 시베쓰시 남동쪽, 몬베츠군 다키노우에정과의 경계에 있는 기타미 산지의 데시오산 부근에서 발원한다. 상류에서는 아름다운 계곡을 이루며 임업이 이루어지고, 이와오나이호와 이와오나이 댐을 지난다. 중류에서는 벼농사 북쪽 한계 지대인 나요로 분지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곳에서는 철갑상어연어 양식업이 이루어진다. 나요로 분지를 북쪽으로 흐른 뒤, 나카가와군 오토이네ップ촌에서 다시 산간 계곡 지대로 들어선다. 하류에서는 주로 낙농업이 이루어지는 데시오 평야에 이르러, 데시오군 데시오정호로노베정의 경계를 따라 서쪽으로 흐른다. 해안 근처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해안단구를 따라 약 10km 정도 흐르다가 데시오정 시가지 앞에서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하구 부근에서는 재첩연어 어업 및 양식업이 활발하다.

총 길이는 256km로 홋카이도에서는 이시카리강 다음으로 길고, 일본 전체에서는 네 번째로 긴 강이다. 그러나 큰 지류가 적어 유역 면적은 5590km2로 일본 내 10위에 해당한다. 일본인 이주 이후 여러 차례 유로 변경 등 하천 개수가 이루어져, 총 길이는 메이지 시대 이전보다 상당히 짧아졌다. 하류를 중심으로 하천 개수의 흔적인 삼각주가 연안에 많이 남아 있다. 데시오강은 하구에서 158km 지점까지[13] 댐과 같은 강을 가로지르는 구조물이 없고, 콘크리트 호안 공사도 적어 자연 상태의 강둑이 많이 보존된 것이 특징이다.

하구에서는 만조 때 해수가 역류한다. 염분을 포함한 무거운 바닷물은 강물과 잘 섞이지 않고 강바닥으로 가라앉아 흘러 들어가며, 만조가 지나도 한동안 남아 있다. 데시오대교보다 상류, 하구에서 약 22km 지점까지는 수면 아래 4m를 경계로 염분 농도가 낮은 층과 높은 층으로 나뉜다. 4m보다 얕은 층은 약간의 염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더 깊은 층의 염분 농도는 해수와 거의 비슷하다. 또한, 하구에서 약 20km 지점까지의 강바닥은 해발 고도 -5m에서 -7m 정도로 해수면보다 낮다. 22km 지점에서 강바닥의 해발 고도가 -3m가 되면서 고농도 염수 유입이 끝난다.

겨울철 혹한기에는 하구에서 130km 지점까지 강바닥까지 얼어붙는다[14]. 봄이 되면 데시오강의 얼음이 한꺼번에 깨져 흘러내리는 해빙 현상을 볼 수 있다[15]. 매년 나카가와정 관광 협회에서는 해빙 날짜를 맞히는 퀴즈 이벤트를 열어 홍보하고 있다.

2. 2. 유역의 자치체

데시오강의 유역 면적은 5590km2이며, 다음 12개의 자치체를 포함한다.[4]



2010년 인구 조사 기준, 유역에는 약 122,000명이 거주하고 있다.[4]

3. 역사

데시오강(天塩川)의 이름은 아이누어 tesh・o・pet|테시 오 펫ain, 즉 '어살(魚殺)이 많은 강'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이는 강에 흩어져 있던 바위들의 모양 때문에 붙여졌을 가능성이 있다.[4][5] 다른 설에 따르면, 비후카정에 있는 天塩川由来の地|데시오강 유래지일본어가 시 지정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는 마쓰우라 다케시로(松浦武四郎)가 강 상류를 탐사하던 중 안세이 4년(1857년) 6월 7일, 그곳에서 어살을 보고 강의 이름을 기록했기 때문이라고 한다.[6] 하지만 최근의 강 공사로 인해 이름의 유래가 되었을지도 모르는 중류의 바위들은 대부분 사라졌다.[4]

데시오강 유역에 인류가 처음 도착한 것은 약 1만 5천 년 전으로 추정된다.[7] 강이 동해로 흘러 들어가는 홋카이도 데시오정의 川口遺跡|가와구치 유적일본어에서는 약 230개의 움집 터가 발견되었으며, 조몬 시대 말기인 속조몬 시대뿐만 아니라 삿몬 문화와 오호츠크 문화 유물도 함께 출토되었다.[8]

덴메이 6년(1786년), 강 하구에 天塩場所|데시오 교역소일본어가 설치되면서 와진(和人)들이 들어와 내륙의 아이누와 교역을 시작했다.[7] 간세이 9년(1797년)에는 마쓰마에 번의 가신 高橋壮四郎|다카하시 소시로일본어 등 3명이 처음으로 강 하류에서 오토이넷푸촌까지 강을 측량했다.[7] 이후 에도 시대 말기인 1857년(안세이 4년), 마쓰우라 다케시로가 데시오강을 탐사하고 天塩日誌|데시오 일지일본어를 남겼으며, 이 과정에서 '홋카이도'라는 지명의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전해진다. (자세한 내용은 근대 개발 문단 참고)

메이지 시대 이후 홋카이도 개척사가 설치되면서 본격적인 이주와 개발이 시작되었고, 잦은 홍수로 인해 치수 사업이 꾸준히 진행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근대 개발 문단 참고)

강의 역사는 홋카이도 데시오정에 있는 天塩川歴史資料館|데시오강 역사 자료관일본어에 기록되어 전시되고 있다.[10]

3. 1. 근대 개발

에도 시대 말기인 1857년(안세이 4년), 에도 막부의 명을 받은 마쓰우라 다케시로는 아이누의 도움을 받아 데시오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탐험을 진행했다. 그는 이 탐험 기록을 1862년(분큐 4년) 발간된 天塩日誌|데시오 일지일본어에 남겼다.[9] 이때 현재의 오토이넷푸촌 부근에 살던 아이누 노인과의 대화를 바탕으로 '홋카이도'라는 지명이 탄생했다고 전해진다.[7]

메이지 시대 2년(1869년) 홋카이도 개척사가 설치된 후, 본토로부터 이주민들이 도착하기 시작했다.[7] 1880년(메이지 13년) 데시오강 하구에 '데시오·나카가와·가미카와 3군 호적 역소'가 설치되면서 와진(和人)에 의한 유역 개척이 본격화되었다.

메이지 시대 후기에는 하천 주운이 발달했다. 운행은 강이 얼지 않는 4월 중순부터 11월 하순까지 이루어졌다. 하류 지역의 주운은 1900년(메이지 33년) 데시오정 운송점의 나가토마루(長門丸) 취항으로 시작되었고, 1909년(메이지 42년)부터는 소형 증기선이 운항하며 더욱 활발해졌다. 데시오에서 출발하는 배는 주로 나카가와정의 호로노베(幌延) 부근까지 운항하며, 상류에서 하류로는 농산물을, 하류에서 상류로는 생활 물자를 운반했다. 상·중류 지역의 주운은 1901년(메이지 34년) 시베쓰에서 시작되어 비후카정의 온네나이(恩根内) 부근까지를 주요 항로로 삼았다. 그러나 나요로시 이남에 소야 본선이 개통되면서 1904년(메이지 37년) 운항 구간이 시베쓰-나요로로 단축되었다. 또한, 유역의 삼림에서 벌채한 통나무는 봄철 해빙기에 뗏목 띄우기 방식으로 하구의 데시오까지 운송되었다. 메이지 시대 말기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강을 따라 철도가 개통되면서 하천 주운은 쇼와 시대 초기에 점차 사라졌다.[17] 데시오정의 天塩川歴史資料館|데시오강 역사 자료관일본어에는 나가토마루의 1/2 축척 복원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10]

치수 사업 이전의 데시오강은 굽이치고 사행하는 구간이 많았으며, 산지가 강 가까이 있어 봄철 해빙기부터 여름철까지 홍수가 잦았다. 메이지 시대 후기 내륙 개척이 진행되면서 홍수 피해는 더욱 심각해졌다. 1898년의 대규모 홍수는 홋카이도 전체에 홍수 방지 대책의 필요성을 일깨웠다.[7] 1906년부터 1908년까지 상세한 강 조사가 이루어졌고, 1919년(다이쇼 8년) 데시오강 최초의 홍수 통제 계획이 수립되었다.[7] 이후 제방 보강, 둑 건설, 하천 천이(河道 切替) 사업이 진행되었다.[7] 초기 치수 사업은 준설 등 소규모에 그쳤으나, 1932년(쇼와 7년) 8월 두 차례의 대규모 홍수 이후 본격적인 치수 사업이 시작되었다.

  • 1934년: 홋카이도 제2차 개척 계획의 일환으로 하구의 계획 홍수량을 4,174 m3/s로 설정하고, 지에분(智恵文), 나요로 부근의 만곡 구간을 직선화하는 공사에 착수했다. 이는 데시오강 대규모 치수 사업의 시작이었다.
  • 1939년: 치수 사업 제2기 공사가 시작되어 사행하는 물길을 직선화하는 작업이 본격화되었다.
  • 쇼와 시대: 계속되는 홍수로 지역 농민의 감자 농사가 피해를 입자, 추가적인 하천 천이와 새로운 수로 발굴이 이루어졌다.[7]


그러나 이후에도 홍수 피해는 계속되었다. 주요 홍수 피해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주요 피해 내용
1952년 7월가옥 1,114호 피해, 침수 면적 400ha
1953년 7월사망 8명, 가옥 1,752호 피해, 침수 면적 9643ha
1955년 7월사망 8명, 가옥 200호 피해, 침수 면적 7006ha
1955년 8월가옥 1,177호 피해, 침수 면적 4927ha
1973년 8월가옥 1,255호 피해, 침수 면적 12775ha
1975년 8월가옥 2,642호 피해, 침수 면적 12121ha
1975년 9월가옥 117호 피해, 침수 면적 8609ha
1981년 8월태풍으로 인한 전후 최대 강수량 기록. 가옥 546호 피해, 침수 면적 15625ha (역대 최대 면적)[7]
1996년 8월가옥 138호 피해, 침수 면적 854ha
2016년2016년 태풍으로 가옥 72채 침수[7]



홍수 조절을 위해 댐 건설도 이루어졌다. 1971년에는 이와오나이 댐이, 2019년 3월에는 지류인 나요로강의 이차 지류 산루강에 산루 댐이 준공되었다.

한편, 1940년 샤코탄반도 앞바다 지진 당시 발생한 쓰나미가 강 하구까지 밀려와 10명의 사망자(익사)가 발생하기도 했다.[18] 1992년부터는 매년 8월 카누 투어링 대회인 "다운 더 텟시-오-펫"이 개최되고 있으며, 2004년 10월에는 홋카이도 유산으로 선정되었다.

3. 2. 홋카이도 유산

2004년 10월, 홋카이도 유산으로 선정되었다.

4. 경제

시베츠시와 시모카와정 등 상류 지역에서는 풍부한 내륙 삼림 자원을 활용한 임업이 발달했다.[4] 나요로시비후카정 사이의 나요로 분지는 일본의 쌀 생산에서 북쪽 한계선에 해당한다.[4] 하류의 데시오 평원에서는 낙농업이 이루어진다.[4] 강 어귀 부근에서는 연어송어를 대상으로 하는 어업이 활발하며, 특히 재첩 채취는 도도부현 중 가장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이다.[4] 수상 스포츠로는 카누가 인기가 있으며, 매년 ダウン・ザ・テッシ・オ・ペッ|다운 자 테시 오 펫일본어이라는 이름의 카누 경주가 열린다.[4][3]

5. 생태

데시오강 상류의 산악 지역은 다이세쓰산 국립공원까지 이어지며, 데시오다케 현립 자연공원에는 다양한 고산 식물이 자생한다.[4] 강 하구 근처에는 리시리-레분-사로베쓰 국립공원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곳에는 갯장미, 솔나리, 꽃창포, エゾカンゾウ|에조칸조일본어(원추리)를 포함한 100종 이상의 식물이 서식한다.[7]

강 유역에는 도쿄 유라시아 애기땃쥐를 비롯하여 이동성 조류인 흰꼬리수리(천연기념물), 바다수리(천연기념물), 큰흰죽지(천연기념물) 등이 서식하며, 사할린 연어도 발견된다.[7] ペンケ沼|펜케늪일본어와 パンケ沼|판케늪일본어은 철새들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 특히 데시오강의 지류인 사로베쓰강 유역의 사로베쓰 습지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인정받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다.[7][9][11]

중류역의 나요로 분지에서는 철갑상어연어 양식업이 이루어지며, 하구 부근에서는 재첩 어업과 연어 어업 및 양식이 활발하다.

데시오강은 하구에서 158km 상류까지 댐과 같은 강을 가로지르는 인공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았고, 콘크리트 제방 공사도 적어 자연 상태의 강둑이 많이 보존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13]

6. 병행 교통

7. 주요 교량


  • 다키시타 다리
  • 토와리 다리 - 홋카이도도도 61호 시베쓰 타키노우에 선
  • 오쿠시베쓰 다리 - 홋카이도도도 61호 시베쓰 타키노우에 선
  • 이토우 다리 - 시베쓰 시도
  • 아사히 다리 - 시베쓰 시도
  • 반케이 다리 - 홋카이도도도 639호 가미시베츠 와사무 선
  • 카네나리 다리 - 시베쓰 시도
  • 키쿠스이 다리 - 홋카이도도도 984호 온네베츠 비바카루우시 선
  • 헤이와 다리 - 시베쓰 시도
  • 나카시베쓰 다리 - 홋카이도도도 61호 시베쓰 타키노우에 선
  • 구주쿠 다리
  • 시베츠 다리 - 국도 40호선
  • 데시오가와 교량 (시베츠 철도교) - JR 홋카이도 소야 본선
  • 시모키타 다리 - 홋카이도도도 976호 니시후렌 시베츠 선
  • 히나타 다리 - 홋카이도도도 976호 니시후렌 시베츠 선
  • 즈이세이 다리 - 홋카이도도도 729호 슈마리나이 후렌 선
  • 미나미오하시 다리 - 나요로 시도
  • 키타노카케하시 다리 - 국도 40호선 나요로 바이패스
  • ''데시오가와 교량 - JR 홋카이도 신메이선 (1995년 폐선, 이후 철거)''
  • 아케보노 다리 - 홋카이도도도 798호 니시후렌 나요로 선
  • 나요로 오하시 - 국도 40호선
  • 에나 오하시 - 홋카이도도도 252호 비후카 나요로 선
  • 히가시에 다리 - 나요로 시도
  • 텐치 다리 - 홋카이도도도 252호 비후카 나요로 선
  • 에후카 다리 - 국도 40호선
  • 비후카 다리 - 국도 275호선
  • 비후카 오하시 - 국도 40호선
  • 몬호나이 다리 - 홋카이도도도 445호 몬호나이 정거장 선
  • 온네나이 오하시 - 국도 40호선
  • 고쿠루마 오하시 - 홋카이도도도 118호 비후카 나카가와 선
  • 토마레와카나이 다리 - 오토이넷푸 촌도
  • 오토이네후 다리(오토이네후 오하시) - 국도 40호선
  • 오사시마 다리 - 오토이넷푸 촌도
  • ''코우지 오하시 (1963년 12월 18일, 바람에 의해 붕괴)''
  • 사쿠 다리 - 홋카이도도도 541호 토마리칸베츠 사쿠 정거장 선
  • 호마레 오하시 (←세오 다리) - 나카가와 정 촌도
  • 나카가와 다리 - 홋카이도도도 438호 텐시오 나카가와 정거장 선
  • 우타나이 다리 - 나카가와 촌도
  • 신토칸베츠 다리 - 홋카이도도도 395호 토칸베츠 정거장 시모코쿠후 선
  • 오시나이 오하시 - 홋카이도도도 256호 토요토 엔베츠 선
  • ''데시오가와 교량 - 국철 하보로선 (1987년 폐선, 이후 철거)''
  • 데시오 오하시 - 국도 40호선 데시오 방재
  • 데시오 하구치 다리(데시오 하구치 오하시) - 홋카이도도도 106호 왓카나이 데시오 선

8. 갤러리

하구의 마을, 데시오정 시가지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mlit.go.[...]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0-07-23
[2] 웹사이트 http://www.pref.hokk[...] Hokkaido Government 2020-07-23
[3] 웹사이트 http://www.pref.hokk[...] Hokkaido Government 2020-07-23
[4] 웹사이트 https://www.hkd.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0-07-23
[5] 서적 An Ainu-English-Japanese Dictionary Church Mission Society
[6] 웹사이트 http://www.dokyoi.pr[...] Hokkaido Government Board of Education 2020-07-23
[7] 웹사이트 https://www.mlit.go.[...]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0-07-23
[8] 웹사이트 http://www.teshiotow[...] Teshio Town 2020-07-23
[9] 웹사이트 https://www.hkd.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0-07-23
[10] 웹사이트 http://www.teshiotow[...] Teshio Town 2020-07-23
[11] 웹사이트 Sarobetsu-genya http://www.env.go.jp[...]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20-07-23
[12] 뉴스 "「重要湿地」 No.008 天塩川" https://www.env.go.j[...] 環境省 2021-07-14
[13] 문서 名寄市の風連20線堰堤まで。
[14] 뉴스 凍った河川の秘密に迫る「北海道道 天塩川~"氷の一本道"の秘密~」NHK総合28日(水)後7:30 毎日新聞 2021-05-27
[15] 웹사이트 迫力満点!音立て砕ける氷板 天塩川にも春、中川町民歓声 https://web.archive.[...] 北海道新聞 2018-04-07
[16] 웹사이트 アイヌ語地名リスト ツキサ~トヨコ P81-90P http://www.pref.hokk[...] 北海道 環境生活部 アイヌ政策推進室 2017-11-24
[17] 문서 北海道名勝誌 1911
[18] 서적 北海道の地震 北海道大学図書刊行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