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강 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강 김씨는 김알지의 34대손이자 경순왕의 7대손인 김희조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김희조는 고려 명종 때 병부상서를 거쳐 문하시중을 역임했으며, 정중부 제거에 공을 세워 도성부원군과 도강백에 봉해졌다. 본관은 전라남도 강진이며, 태인 동정공파, 강진 시직공파, 인천 병사공파, 강진 전공조사공파 등 4개의 주요 파로 나뉜다. 조선 개국원종공신 김회련, 동학 농민 운동의 지도자 김개남 등이 도강 김씨에서 배출되었으며, 2015년에는 약 3만 1천 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강 김씨 - 김개남
김개남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1894년 전봉준과 함께 동학 농민 운동을 주도하며 전라도 남원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제2차 봉기 때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전봉준과 함께 핵심 인물로 평가받지만 노선과 연계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도강 김씨 - 김추리
김추리는 연극 '품바' 창시자의 딸이자 2008년 '소녀'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로, 《너의 목소리가 보여 시즌5》, 《내일은 미스트롯》, 《헬로트로트》 등 다양한 방송과 《가요무대》, 연극 《불효자는 웁니다》에서 활동하며 대중에게 알려졌다.
도강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도강 김씨 정보 | |
성씨 | 도강 김씨 |
한자 표기 | 道康金氏 |
관향 | 전라남도 강진군 |
시조 | 김희조(金希祖) |
원시조 | 김알지(金閼智) |
중시조 | 김원경(金原卿), 김을경(金乙卿), 김일(金鎰), 김을상(金乙祥) |
집성촌 |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영광군 전라남도 진도군 전라북도 정읍시 |
주요 인물 | 김회련 김응정 김약묵 김후진 김급 김개남 김택술 김락연 김원기 김영진 김생기 |
통계 연도 | 2015년 |
인구 | 31,496명 |
나라 | 한국 |
2. 역사
김알지의 34대손이자 신라 경순왕 김부의 7대손인 '''김희조'''(金希祖)[1][2]는 고려 명종 때 병부상서를 거쳐 문하시중을 역임하였다. 1178년, 병부상서 재임 시절 장군 경대승과 함께 정중부를 제거하고 종묘사직을 구한 공훈으로 도성부원군(道城府院君)과 도강백(道康伯)에 봉해졌으며, 식읍지로 도강현(道康縣, 현재 강진군)을 하사받았다. 이후 후손들은 도강(道康)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2. 1. 시조
김알지의 34대손이자 신라 경순왕 김부의 7대손인 '''김희조'''(金希祖)[1][2]는 고려 명종 때 병부상서를 거쳐 문하시중을 역임하였다. 1178년, 병부상서 재임 시절 장군 경대승과 함께 정중부를 제거하고 종묘사직을 구한 공훈으로 도성부원군(道城府院君)과 도강백(道康伯)에 봉해졌으며, 식읍지로 도강현(道康縣, 현재 강진군)을 하사받았다. 이후 후손들은 도강(道康)을 본관으로 삼아 4개의 파로 분파되어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2. 2. 분파
파명 | 파조 | 세수(世數) 및 비고 |
---|---|---|
태인 동정공파(泰仁 同正公派) | 사온서직장(司醞署直長) 김원경 | 도강 김씨 7세(6대손)(동정공파 1세) |
강진 시직공파(康津 侍直公派) | 사재감정(司宰監正) 김을경 | 도강 김씨 7세(6대손)(시직공파 1세) |
인천 병사공파(仁川 兵使公派) | 팔도병사(八道兵使) 김을상 | 도강 김씨 9세(8대손)(병사공파 1세) |
강진 전공조사공파(康津 典工曹事公派) | 전공조사(典工曹事) 김일 | 도강 김씨 10세(9대손)(전공조사공파 1세) |
도강(道康)은 전라남도 강진군(康津郡) 일원의 옛 지명이다. 백제 시대에 도무군(道武郡)과 동음현(冬音縣)이 설치되었고, 757년(경덕왕 16)에 도무군은 양무군(陽武郡)으로, 동음현은 탐진현(耽津縣)으로 개칭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도강현(道康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광주에 예속시켰다가 1018년(현종 9)에 영암군에 속하게 했다. 탐진현도 처음 영암군에 속했다가 후일 장흥부에 속하게 되었다. 1417년(태종 17)에 도강현과 탐진현을 합쳐 강진현(康津縣)으로 만들고, 병마도절제사영(兵馬都節制使營)을 도강의 옛 치소로 옮겼다.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정으로 전라남도 강진군이 되고 나주부(羅州府)가 관할하게 되었다. 1936년 강진면이 강진읍(康津邑)으로 승격되었다.
3. 본관
4. 주요 인물
5. 과거 급제자
도강 김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고려 시대 과거 급제자로는 김자앙, 김분 등이 있다. 조선 시대 과거 급제자는 하위 섹션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5. 1. 고려
김자앙 (金子盎), 김분 (金汾)5. 2. 조선
이름 |
---|
김약묵(金若默) |
김우정(金友正) |
김천정(金天挺) |
김만형(金萬衡) |
김순형(金舜衡) |
김명형(金命衡) |
김도언(金道彦) |
김도원(金道元) |
김광윤(金光潤) |
김홍제(金弘濟) |
김헌구(金憲球) |
김광우(金光遇) |
김건(金健) |
김길(金佶) |
김응길(金應吉) |
김지백(金知白) |
김영원(金永元) |
김영인(金永仁) |
김진설(金震卨) |
김경신(金慶臣) |
김경회(金慶會) |
김세성(金世成) |
김유석(金有錫) |
김정삼(金鼎三) |
김장악(金長岳) |
김재량(金載亮) |
김희윤(金希尹) |
김면성(金勉成) |
김약허(金若虛) |
김약회(金若晦) |
김구정(金九鼎) |
김대형(金大衡) |
김두해(金斗海) |
김우형(金宇衡) |
김상열(金商說) |
김광철(金光喆) |
김응도(金膺道) |
김형후(金炯厚) |
김치응(金致膺) |
김재희(金在羲) |
김약현(金若玄) |
김복억(金福億) |
김관(金灌) |
김기(金墍) |
김환규(金煥圭) |
김한철(金漢哲) |
김택(金澤) |
김원(金元) |
6. 집성촌
지역 |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송덕리 |
전라남도 강진군 신전면 용화리 |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석문리 |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면 월암리 |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연동리 |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 통석리 |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면 신월리 |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두월리 |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정량리 |
전라북도 정읍시 옹동면 비봉리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외 |
7. 인구
연도 | 가구 수 | 인구 수 |
---|---|---|
1985년 | 5,208 | 21,981 |
2000년 | 6,639 | 21,274 |
2015년 | 31,496 |
참조
[1]
문서
김공
[2]
문서
김희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