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쿠시마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시마성은 도쿠시마시 중심부에 위치한 평산성으로, 가마쿠라 시대에 축조되어 센고쿠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에는 도쿠시마번의 번청으로 사용되었다. 1585년 하치스카 이에마사가 완성하여 도쿠시마번의 거처로 사용되었으며, 1869년 폐성되었다. 현재는 도쿠시마 중앙공원으로 정비되어 와시노 문과 해자, 석벽 등이 남아 있으며, 도쿠시마성 박물관, 오모테고텐 정원 등 주변 문화시설과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쿠시마현의 성 - 이치노미야성 (도쿠시마현)
    이치노미야성은 1338년 오가사와라 나가무네가 축성한 일본의 성으로, 남북조 시대와 센고쿠 시대를 거쳐 하치스카 이에마사에게 주어졌으나 1638년 폐성되었고, 현재는 석벽과 해자가 남아 있으며 2017년 속 일본 100명성으로 선정되었다.
  • 일본의 명승지 - 헤이안 신궁
    헤이안 신궁은 헤이안쿄 천도 1100주년 기념으로 헤이안 시대의 대내리 일부를 재현하여 건립되었으며, 간무 천황과 고메이 천황을 모시고, 헤이안 시대 후기 교토 고쇼의 조당원을 재현한 건축물과 일본식 정원을 갖춘 신사로서 지다이 마쓰리 축제가 열리는 일본 중요문화재이다.
  • 일본의 명승지 - 와카야마성
    와카야마성은 와카야마시 중앙 도라후스산 정상에 위치한 평산성으로, 도요토미 히데나가가 축성하고 아사노 요시나가가 확장했으며, 화재 후 재건되어 현재는 와카야마시의 상징이자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고, 일본 3대 연립식 평산성 중 하나이며 오카구치 문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도쿠시마성
지도
기본 정보
이름도쿠시마 성
원어 이름徳島城
로마자 표기Tokushima-jō
다른 이름渭山城 (이산 성)
渭津城 (이진 성)
위치도쿠시마시, 도쿠시마현, 일본
좌표34°4′30.69″N 134°33′18.99″E
유형일본의 성
축조 시기1601년-1602년
축조자하치스카 이에마사
사용 기간1601년 ~ 1874년
철거 시기1874년
현재 상태유적
기타 정보일본의 사적
일본의 명승지
산노마루 해자
구조
구조 형식제곽식 평산성
망루 구조있음(1588년・비현존)
동 니노마루 고산카이 망루 (1615년 이후)
지배 가문하치스카 씨
폐성 시기메이지 2년 (1869년)
잔존물석벽
해자
정원
문화재 지정국가 사적
국가 명승 (오모테고텐 정원)
재건 건축물와시노몬

2. 역사

도쿠시마성의 역사는 가마쿠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 지역은 이요 국의 지토였던 고노 가문의 지배하에 있었으나, 무로마치 시대1385년 호소카와 요리유키가 시로야마(城山)에 작은 성을 축조하며 시작되었다. 이 성은 이후 이노쓰 성(渭津城) 또는 이노야마 성(渭山城)으로 불리며 아와 국 슈고 호소카와 가문의 거점이 되었다.

센고쿠 시대에는 호소카와 가문의 가신이었던 미요시 가문이 실권을 잡았고, 이후 1582년 도사 국의 조소카베 모토치카시코쿠 통일을 목표로 침공하여 성을 점령했다.[3] 조소카베 모토치카는 1585년 시코쿠 통일을 달성했지만, 같은 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시코쿠 정벌로 패배하였다.

시코쿠 정벌 후 아와 국은 하치스카 이에마사에게 주어졌고, 그는 1586년 현재의 위치에 도쿠시마성을 완성하여 거처를 옮겼다. 성은 하치스카 가문의 정치적 상황 속에서 세키가하라 전투를 거치며 도쿠가와 막부 하에서 도쿠시마번의 번청으로 자리 잡았다. 하치스카 가문은 오사카 전투 등에서의 공으로 영지를 확장하여 아와지섬까지 포함, 총 25만 7천 석의 다이묘가 되었다.[3] 도쿠시마성은 에도 시대 내내 하치스카 가문의 거성으로 유지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73년 폐성령에 따라 성은 폐지되었고, 1875년 와시노몬(鷲の門)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이 철거되었다.[5] 1905년 성터는 러일전쟁 승전을 기념하여 도쿠시마 공원(현 도쿠시마 중앙공원)으로 정비되었으나,[5] 1945년 도쿠시마 대공습으로 유일하게 남았던 와시노몬마저 소실되는 비운을 겪었다.[5] 전후 1989년 와시노몬이 복원되고 도쿠시마성 박물관이 개관했으며, 2006년에는 국가 사적 및 일본 100대 명성으로 지정되었다.[6]

2. 1. 가마쿠라 시대 ~ 무로마치 시대

가마쿠라 시대에는 현재 도쿠시마성 자리 일대가 도미타 장원으로 불렸으며, 이요 국의 지토였던 고노 가문(河野氏)이 지배하였다. 이후 무로마치 시대1385년, 호소카와 요리유키(細川頼之)가 시코쿠 지방남조 세력을 토벌하고 현재 성터가 있는 시로야마(城山)에 작은 성을 쌓았다.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조닌가와(助任川) 주변 풍경이 중국의 웨이수이 강(渭水)과 비슷하다고 여겨 이곳을 이노쓰(渭津), 산을 이노야마(渭山)라고 이름 붙였다. 이 때문에 성은 이노쓰 성(渭津城) 또는 이노야마 성(渭山城)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아와 국의 슈고였던 호소카와 가문의 지배하에 놓였다.

『성터기』에는 도쿠시마성 축성에 대해 "이노야마성(渭山城)과 테라시마성(寺島城)을 합쳐 하나의 성으로 만든다"는 기록이 있다. 테라시마성은 평지에 있던 성으로, 문헌상으로는 테라시마 서쪽 끝(현재 향토문화회관 부근)으로 추정되지만, 발굴 조사를 통해 후대의 하나바타케(花畑, 현재 시립체육관 부근)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10]

2. 2. 센고쿠 시대

센고쿠 시대가 도래하자 아와 국의 슈고였던 호소카와 가문의 세력이 약화되고, 그 가신이었던 미요시 가문이 실권을 장악하여 아와 지역을 세력하에 두었다. 이 무렵인 덴쇼 연간(1558년~1569년)에는 모리 다카쓰구(毛利高次)가 성주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82년(덴쇼 10년), 도사 국의 조소카베 모토치카시코쿠 통일을 목표로 아와 국을 침공하여 미요시 세력을 격파하고 이노야마 성(渭山城, 후일의 도쿠시마성)을 함락시켰다.[3] 이후 1585년에는 시코쿠 통일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1585년(덴쇼 13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시코쿠 정벌을 단행하였다. 당시 이노야마 성은 조소카베 가문의 가신 요시다 야스토시(吉田康俊)가 수비하고 있었으나, 조소카베 군은 히데요시 군대에 패배하였다.[3] 시코쿠 정벌에서 공을 세운 하치스카 이에마사(하치스카 마사카쓰의 아들)는 히데요시로부터 아와 국 18만 6천 석을 하사받았다. 이에마사는 처음에는 도쿠시마 서부의 이치노미야 성에 입성하였다.

2. 3.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1582년 도사 국의 조소카베 모토치카시코쿠 통일을 목표로 이노야마 성(도쿠시마성의 전신)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이후 1584년 아와 지역을 완전히 평정하고 1585년 시코쿠 통일을 달성했다. 그러나 같은 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시코쿠 정벌이 시작되었고, 당시 성은 조소카베 가문의 가신 요시다 야스토시가 지키고 있었다.

시코쿠를 평정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정벌에서 공을 세운 하치스카 이에마사(하치스카 마사카쓰의 아들)에게 아와 국 18만 6천 석을 하사했다.[3] 이에마사는 처음에는 이치노미야 성에 입성했으나, 곧바로 현재 위치에 새로운 성을 짓기 시작하여 1586년에 도쿠시마성을 완성하고 거처를 옮겼다. 이치노미야 성은 가신에게 맡겨졌다.

도쿠시마성은 동서로 길게 뻗은 능선에 지어진 평산성으로, 전국 시대 성곽의 특징을 보여준다. 성은 지형을 따라 구불구불한 돌담으로 둘러싸인 여러 개의 구루와(郭)로 구성되었으며, 복잡한 구조의 마스가타(枡形) 문으로 방어력을 높였다. 나중에는 언덕 동쪽 끝에 3층짜리 천수각이 추가되었다.[4] 하치스카 이에마사는 성 아래에 조카마치(城下町, 성하마을)도 설계했다.

하치스카 이에마사는 이시다 미쓰나리와 사이가 좋지 않아 도요토미 정권과 거리를 두려 했고, 아들 하치스카 요시시게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양녀와 결혼시키는 등 도쿠가와 가문과의 관계를 다졌다. 이 때문에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가 발발하자, 이시다 미쓰나리는 병을 핑계로 직접 참전하지 않은 이에마사에게 강제로 출가시켜 고야산으로 보냈고, 성은 모리 가문의 군대가 점령했다. 그러나 이에마사의 아들 하치스카 요시시게는 동군에 가담했기 때문에, 전투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하치스카 가문의 영지를 인정해주었다. 이로써 도쿠시마번이 성립되었고, 하치스카 요시시게가 초대 번주가 되었다.[3]

하치스카 요시시게는 1614년부터 1615년까지 이어진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워 도쿠가와 히데타다 쇼군으로부터 여러 차례 상을 받았다. 그의 영지는 아와 국 전체와 아와지 국의 7만 1천 석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고, 1617년에는 아와지 섬의 나머지 지역까지 하사받아 총 고쿠다카(石高)는 25만 7천 석에 달하게 되었다.[3] 이후 도쿠시마성은 에도 시대 내내 도쿠시마번의 번청이자 하치스카 가문의 거성으로 사용되었으며, 메이지 유신 때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아와국 도쿠시마성 그림

2. 4. 메이지 시대 이후

1869년(메이지 2년) 판적봉환에 따라 도쿠시마성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5] 1873년(메이지 6년) 발표된 폐성령에 의해 폐성 처분이 내려졌고, 1875년(메이지 8년)에는 와시노몬(鷲の門)을 제외한 천수각(御三階櫓) 등 성안의 모든 건물이 철거되었다.[5] 성의 외곽 일부는 일반에게 매각되거나 학교, 감옥과 같은 공공 시설 건설에 사용되었다. 구 고하나바타케(御花畠) 지역은 막말에 연병장으로 사용되다가 1889년부터 도쿠시마 감옥서(현 도쿠시마 교도소)가 설치되어 공원 구역에서 제외되었다.

1905년(메이지 38년) 러일전쟁에서의 승리를 기념하여 성터의 대부분을 정비하여 1906년 도쿠시마 공원(현 도쿠시마 중앙공원)으로 개설하였고, 1910년 일반에 공개하였다.[5] 현재 공원 범위는 옛 성터 중 고하나바타케 서쪽 절반(현 합동청사 및 민유지), 서쪽 마루(丸) 대부분(현 우치마치 소학교), 미키곽(寺島郭) 남부(현 문화센터) 등 일부 지역은 포함하지 않는다.

1941년(쇼와 16년)에는 표어전 정원(表御殿庭園)이 국가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945년(쇼와 20년) 7월 4일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쿠시마 대공습으로 인해 성터 내 대부분의 건물과 함께 유일하게 남아있던 와시노몬마저 소실되었다.[5]

1989년(헤이세이 원년) 9월 27일, 도쿠시마 시 승격 100주년을 기념하여 와시노몬이 복원되었으며,[13] 도쿠시마성 박물관도 같은 해에 개관하였다. 복원된 와시노몬은 문 앞 도로 사정으로 인해 원래의 규모나 위치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2006년(헤이세이 18년) 1월 26일 도쿠시마성 터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같은 해 4월 6일에는 일본 성곽 협회에 의해 일본 100대 명성 중 하나(76번)로 선정되었다.[6]

복원된 와시노몬. 후방 우측의 숲은 시로야마


마이산에서 바라본 시로야마

3. 구조

도쿠시마성의 항공사진, 1974년 촬영


도쿠시마성은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시 중심부에 있는 해발 61m의 시로야마(城山)를 중심으로 축조된 연곽식 평산성이다. 시로야마 정상부에 혼마루를 두고, 그 양옆으로 히가시니노마루와 니시니노마루를 배치했으며, 니시니노마루 옆에는 니시산노마루를 두었다. 산 아래에는 니시산노마루 앞에 다이묘의 은거처였던 니시노마루가 있었고, 히가시니노마루 앞에는 어전과 정원이 조성된 산노마루가 위치했다.

성은 요시노강에서 갈라져 나온 스케토 강, 신마치 강, 데라시마 강을 천연의 해자로 활용했으며, 그 안쪽에는 인공 해자인 호리가와(堀川)와 표주박 모양의 효탄보리(瓢箪堀)도 있었다. 성벽은 주로 인근 미산에서 채취한 삼파가와 변성대의 변성암(결정편암)으로 쌓았다.[7]

3. 1. 입지



도쿠시마성은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시 중심부, 시코쿠 여객철도 도쿠시마역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3] 요시노강 하구 부근의 섬에 있는 해발 61m 높이의 시로야마(城山) 산을 중심으로 축조된 평산성이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 과거 시코쿠로 향하는 기나이 지역의 주요 관문 역할을 했다. 성 주변으로는 요시노강에서 갈라져 나온 스케토 강, 신마치 강, 데라시마 강이 흘러 천연의 해자 역할을 했다. 다만, 데라시마 강은 현재 매립되어 철로가 놓여있다.

성은 시로야마 산 정상부의 혼마루를 중심으로, 그 양옆에 히가시니노마루와 니시니노마루를 배치한 연곽식(連郭式) 구조를 가졌다. 니시니노마루 옆에는 니시산노마루가 있었고, 산 아래 니시산노마루 앞에는 다이묘의 은거처인 니시노마루, 히가시니노마루 앞에는 어전과 정원이 있는 산노마루가 조성되었다. 성곽은 원래 지형을 따라 구불구불한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복잡한 구조의 마스가타(枡形)식 문으로 방어력을 높였다. 이후 언덕 동쪽 끝에는 3층짜리 천수각이 추가되었다.[4]

현재 성터는 도쿠시마 중앙공원으로 정비되어 시민들에게 개방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조닌가와(助任川)가 흐르며, 산 안의 시로야마 원생림(城山原生林)은 도쿠시마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또한, 1922년 도리이 류조(鳥居龍蔵)에 의해 조몬 시대의 유적인 시로야마 패총이 발견되기도 했다. 근래에는 산허리에 왜가리가 번식하면서 배설물로 인한 수목 고사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곳은 여름철 아와오도리(阿波踊り) 연습 장소나 인근 학교의 소풍 장소로도 자주 이용된다.

3. 2. 부속 건물

'''천수'''

도쿠시마성이 지어질 당시 혼마루에 천수가 세워졌지만, 겐나 연간(1615년~1624년)에 소실되었다고 전해진다.[8] 이후 성산 중턱에 있는 히가시니노마루에 천수 대용의 3층 망루가 세워졌다.

'''히가시니노마루의 천수'''

히가시니노마루에 지어진 천수 대용의 3층 망루는 당시에는 御三階櫓|고산카이야구라일본어라고 불렸다. 히가시니노마루에 세워진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주변 경관과의 조화나 성의 방어상 편의를 위해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9] 1873년 폐성령이 반포된 후 1875년에 철거되었다.

이 건물은 3층 3계의 정사각형 구조로, 망루대는 없었다. 각 층의 평면은 아래에서부터 7칸, 5칸, 3칸 사방으로 줄어드는 층탑형의 특징을 보이지만, 외관은 망루형(복고형)이었다. 외벽은 전체적으로 덧널판벽으로 마감되었으며, 3층의 맞배지붕 박공 외에 1층에는 가라(唐) 하후와 이리모야(入母屋) 하후로 장식되어 있었다. 천수각의 목조 복원 계획이 논의되었으나 확정되지는 않았다.

'''다이코 망루와 쓰키미 망루'''

오테구치(정문 입구) 양쪽에 세워진 망루이다. 동쪽에는 月見櫓|쓰키미야구라일본어(달맞이 망루), 서쪽에는 太鼓櫓|다이코야구라일본어(북 망루)가 있었다. 특히 다이코 망루는 3층 4계의 망루 형식을 갖춘 대형 망루였다. 두 망루 모두 최상층에는 바깥쪽으로 난간(外廻縁高欄|소토마와리엔코란일본어)이 설치되어 있어 감시와 오락의 목적을 겸했다.

두 망루가 서 있던 망루대의 석축은 현재도 남아있지만, 다이코 망루 터의 석축 왼쪽 끝은 통행로 확보를 위해 일부 깎여나갔다.

'''와시노 문'''

와시노 문


도쿠시마성의 정문으로, 야구라몬(櫓門) 형식의 대형 문이었다. 성문의 이름 鷲之門|와시노몬일본어막부의 건축 허가를 쉽게 받기 위해 독수리 사육장으로 신청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와시(鷲)는 일본어로 독수리를 의미한다).

메이지 시대 폐성령으로 성내 대부분의 건물이 철거될 때 유일하게 살아남아 도쿠시마성의 상징이 되었다. 그러나 1945년 7월 4일 도쿠시마 대공습으로 인해 소실되었다. 이후 1989년 9월 27일, 도쿠시마 시(市) 승격 100주년을 기념하여 복원되었으며, 현재 도쿠시마 중앙공원 안에 세워져 있다. 『아단연표비록(阿淡年表秘録)』에는 1603년(게이초 8년)에 와시노 문에 관한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이미 존재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2]

3. 3. 석벽

석벽의 돌에는 미산의 삼파가와 변성대 변성암(결정편암)을 사용했다. 사용된 암석의 종류로는 청석(녹렴석-악티노섬록석편암·녹렴석-람섬석편암), 홍렴편암, 석영편암이다.[7] 또한, 표어전(表御殿) 정원의 정원석에는 미산의 돌 외에도 나루토아와지 해안에서 배로 운반된 돌도 사용했다. 이러한 운송의 어려움 때문에 내륙에서 채취되는 석재는 사용하지 않았다.[7]

산성(山城) 부분의 석벽은 대부분 현재까지 남아 있지만, 산노마루(三の丸) 터의 일부(현재 시로야마 배수지가 있는 곳) 등은 소실되었다. 평성(平城) 부분의 석벽도 남아 있는 것이 많지만, 테라시마가와(寺島川) 강변(현재 남아 있는 강둑의 석벽이 아니라 그 안쪽에 있던 성의 구루와 석벽)과 니시노마루(西の丸) 석벽 대부분(서쪽 석벽의 바깥쪽만 남아 있음) 등은 소실되었다.

3. 4. 해자

요시노가와(吉野川|요시노가와일본어)에서 갈라져 나온 助任川|조닌가와일본어, 福島川|후쿠시마가와일본어, 新町川|신마치가와일본어, 寺島川|테라시마가와일본어(현재 시코쿠 여객철도(JR) 도쿠시마역무기선 자리)를 바깥 해자(外堀|소토보리일본어)로 삼았다. 그 안쪽에는 堀川|호리가와일본어와 표주박 모양의 瓢箪堀|효탄보리일본어(현재 東出来島町|히가시데키시마초일본어 동부)가 있었다. 테라시마가와의 대부분과 효탄보리는 퇴적과 매립으로 인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3. 5. 남아 있는 건조물

현재 성터는 도쿠시마 중앙공원으로 정비되어 있다. 성의 건물은 1873년(메이지 6년) 폐성령에 따라 1875년(메이지 8년)에 와시노몬(鷲之門)을 제외하고 모두 철거되었으며, 유일하게 남아있던 와시노몬마저 1945년(쇼와 20년) 7월 4일의 도쿠시마 대공습으로 소실되었다. 따라서 창건 당시의 건물은 남아있지 않다.

현재 남아 있는 주요 구조물은 다음과 같다.

  • 해자와 석벽: 성의 원형과 규모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해자와 석벽은 온전히 남아 있다.
  • 오모테고텐 정원: 오모테 정원(表御殿庭園)은 잘 보존되어 있으며, 1941년(쇼와 16년) 국가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 복원된 와시노몬: 에도 시대에 정문으로 세워졌던 와시노몬은 1945년 대공습으로 소실되었으나, 1989년9월 27일 도쿠시마 시제 100주년을 기념하여 복원되었다.[13] 다만, 문 앞에 있는 도로의 관계로 문의 규모와 위치는 당시와 약간 다르다. 현재 남아 있는 유일한 성문 형태의 건조물이다.


이 외에 혼마루 터에는 작은 신사가 있으며, 산노마루 어전 터에는 도쿠시마성 박물관이 건립되어 있다. 성터는 1906년 도쿠시마 공원으로 개설되어 1910년 일반에 공개되었고, 2006년 4월 6일에는 일본 100명성(76번)에 선정되었다.

4. 민속 자료

(내용 없음)

4. 1. 아와오도리

아와오도리는 도쿠시마성이 완공되자 성주 하치스카 이에마사가 마을 주민에게 "성의 완성을 축하하는 뜻에서 맘껏 춤을 추도록 한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아와오도리는 일본의 오본(백중) 기간에 추는 본오도리의 하나이며, 일본 3대 본오도리 중 하나로 꼽힌다. 아와오도리의 노래 구절 중에는 踊る阿呆に見る阿呆、同じ阿呆なら踊らな損々…일본어 (춤추는 바보에 구경하는 바보, 어차피 바보라면 춤추지 않으면 손해)라는 구절이 널리 알려져 있다. 여름이 되면 아와오도리 연습을 하기 위해 유명한 렌(連)들이 도쿠시마성에서 연습하는 모습이 눈에 띈다.

5. 관광

JR 시코쿠 도쿠시마역에서 도보로 약 10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성터 주변은 도쿠시마 중앙공원으로 정비되어 있으며, 도쿠시마성 박물관, 오모테고텐 정원 등 관련 시설과 아와오도리 회관, 비잔 공원 등 다양한 문화 및 관광 명소가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5. 1. 교통

5. 2. 주변 문화시설 및 관광명소


  • 도쿠시마 중앙공원
  • 도쿠시마성 박물관 - 하치스카 가문 관련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 구 도쿠시마성 표어전 정원 - 일본식 정원이다.
  • 아와오도리 회관 - 아와오도리 관련 자료를 전시하며, 춤 공연을 감상할 수 있다.
  • 신마치가와미즈기와 공원 - 관광 유람선이 운행된다.
  • 비잔 공원 - 도쿠시마시 시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 세부 공원 - 일본 벚꽃 명소 100선에 선정된 공원이다.
  • 도쿠시마 지방합동청사
  • 도쿠시마현립중앙무도관
  • 도쿠시마시립체육관
  • 도쿠시마시립우치마치소학교
  • 도쿠시마시민테니스장
  • 도쿠시마현호국신사
  • 도쿠시마현립도서관
  • 도쿠시마시립문화센터

참조

[1] 웹사이트 徳島城跡 https://bunka.nii.ac[...]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21-09-15
[2] 웹사이트 旧徳島城表御殿庭園 https://bunka.nii.ac[...]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21-09-15
[3] 서적 (国指定史跡事典) National Historic Site Encyclopedia 学生社 2012
[4] 웹사이트 Tokushima Castle Ruins http://en.japantrave[...] Japan Travel 2016-06-24
[5] 웹사이트 Tokushima Castle http://www.japanese-[...] Japanese Castle Explorer 2016-06-24
[6] 웹사이트 Japan Castle Foundation https://web.archive.[...]
[7] 논문 第一章 徳島中央公園の自然 二 城の石垣 徳島市立図書館 1994
[8] 서적 日本の100名城公式ガイドブック 学習研究社 2007
[9] 서적 復原「名城天守」 学習研究社 1996
[10] 서적 徳島 城と町まちの歴史 聚海書院 1982
[11] 논문 第三章 徳島城 一 縄張 徳島市立図書館 1994
[12] 논문 第三章 徳島城 一 縄張 徳島市立図書館 1994
[13] 웹사이트 徳島市:徳島中央公園 http://www.city.toku[...]
[14] 문서 「城山」徳島中央公園内案内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