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미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미닌은 기저막의 주요 구성 성분인 당단백질로, 세포 부착, 분화, 이동, 조직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970년대 후반에 발견되었으며, 1979년 독일의 루퍼트 팀플에 의해 명명되었다. 라미닌은 α, β, γ 세 종류의 사슬로 구성된 헤테로삼량체 구조를 가지며, 1994년 명명법 통일 이후 현재는 라미닌-111과 같은 방식으로 명명된다. 라미닌의 기능 이상은 선천성 근육병, 연접부 수포성 표피 박리증, 신증후군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암 발생과도 관련이 있다. 최근에는 줄기 세포 배양, 항암제 개발, 항균 바이오 소재 개발 등 의학적 응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미닌 | |
---|---|
개요 | |
![]() | |
유형 | 당단백질 |
기능 | 세포 부착, 분화, 이동, 표현형 유지, 세포 생존 |
위치 | 세포외기질 |
상세 정보 | |
하위 유닛 | α, β, γ 사슬 |
분자량 | 약 400 ~ 900 kDa |
관련 질병 | 피부 근육염 접합부 수포성 표피 박리증 근이영양증 |
추가 정보 | |
유전자 | LAMA1 LAMA2 LAMA3 LAMA4 LAMA5 LAMB1 LAMB2 LAMB3 LAMB4 LAMC1 LAMC2 LAMC3 |
2. 역사
라미닌은 기저막의 주요 구성 단백질 중 하나로, 1970년대 후반 EHS 육종이라는 특수한 종양 조직을 통해 처음 분리 및 정제되었다. 이후 다양한 종류의 라미닌 유사 단백질들이 발견되면서, 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명명하기 위한 방법 또한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쳐 현재의 방식으로 정립되었다.
2. 1. 발견
기저막의 구성 분자는 현재 IV형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라미닌이 3대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지만, 과거에는 이를 밝혀내기 어려웠다. 형태학적 방법인 광학 현미경이나 전자 현미경으로 기저막의 존재는 확인할 수 있었지만, 조직 내 함량이 매우 적고 효소 활성 같은 지표가 없어 생화학적 분석에 필요한 만큼 충분히 분리하고 정제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이러한 상황에서 1977년, 미국 NIH 국립 치과・두개 안면 연구소의 조지 마틴(G. R. Martin) 연구팀이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 마우스 피하에 이식 가능한 EHS 육종(Engelbreth-Holm-Swarm sarcoma)이라는 특이한 육종이 기저막 성분을 대량으로 합성한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33]. 이 육종은 마우스 한 마리당 습중량으로 5g에서 15g까지 얻을 수 있었으며, 나중에 밝혀진 바로는 냉동 보존하여 라미닌 정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했다.
1979년, 독일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의 루퍼트 팀플(Rupert Timpl [34])은 조지 마틴과 공동 연구를 통해 EHS 육종에서 새로운 단백질을 성공적으로 정제했다. 이들은 이 단백질이 기저막의 한 층인 베이설 라미나(basal lamina, 기저판)에서 유래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lamina'라는 단어에서 이름을 따 "라미닌(laminin)"이라고 명명했다[35].
2. 2. 명명법 변천
1987년까지는 주로 마우스 EHS 육종에서 유래한 라미닌만이 연구 대상이었다. 그러나 1988년 슈반 세포, 횡문근 등에서 기존 라미닌과 유사한 새로운 단백질인 메로신(merosin)이 발견되고[56], 1989년에는 쥐의 신경근 접합부 시냅스 간극에서 s-라미닌(s-laminin)이 발견되면서[57] 여러 라미닌 유사 단백질들의 명칭에 혼란이 생기기 시작했다.이러한 혼란을 정리하기 위해 1994년, 전 세계의 주요 라미닌 연구자들이 모여 새로운 명명법에 합의했다. 이 방식은 각 라미닌을 구성하는 서브유닛인 α, β, γ 사슬의 종류에 따라 숫자를 부여하고, 발견된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초기에 연구된 EHS 육종 유래 라미닌은 '라미닌-1'로 명명되었고, 이는 α1, β1, γ1 서브유닛으로 구성된다. 당시까지 α사슬 5종, β사슬 3종, γ사슬 3종이 발견되어 이론적으로 최대 45종류(5×3×3)의 라미닌 조합이 가능했지만, 실제로 발견된 것은 일부였다. (2013년 8월 기준 17종 또는 19종[58], 선택적 스플라이싱을 고려하면 더 다양함)
하지만 이 명명법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라미닌-15'처럼 번호만으로는 어떤 서브유닛(α5, β2, γ3)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바로 알기 어려워 연구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었다. 둘째, 라미닌-15 이후 새로 발견되는 라미닌은 순서에 따라 '라미닌-16' 등으로 명명되지만, 이 번호가 서브유닛 구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시간이 지날수록 통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2005년,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명명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식은 각 서브유닛의 번호를 그대로 이어 붙여 라미닌의 이름을 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α1, β1, γ1으로 구성된 라미닌-1은 '라미닌-111'로, α5, β2, γ3으로 구성된 라미닌-15는 '라미닌-523'으로 명명한다. 이 방법은 이름만 보고도 서브유닛 구성을 명확히 알 수 있으며, 만약 α1, β2, γ3 조합의 새로운 라미닌이 발견될 경우, 발견 순서에 상관없이 '라미닌-123'으로 명명하여 명칭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새로운 명명법에 따라 기존 방식으로는 라미닌-16, 라미닌-17 등으로 불렸을 라미닌-212/222와 라미닌-522 등이 발견되었다[59]。
3. 구조
라미닌은 α 사슬, β 사슬, γ 사슬 각각 1개씩 결합하여 이루어진 헤테로 삼량체 구조의 거대한 당단백질이다. 전체 분자량은 약 400~900 kDa 범위에 속하며, 약 15%의 당, 약 30%의 α 나선 구조, 약 15%의 β 시트 구조를 포함한다.[36] 전자 현미경 관찰을 통해 비대칭적인 "십자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는 긴 팔 1개와 짧은 팔 3개로 구성된다.[36] 각 사슬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단백질 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도메인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라미닌이 존재한다.
3. 1. 헤테로삼량체
라미닌은 α 사슬, β 사슬, γ 사슬을 각각 1개씩 갖는 헤테로 삼량체 구조를 이룬다. 예를 들어, 생쥐 EHS 육종에서 유래한 라미닌-111은 분자량 440kDa의 α1 사슬, 220kDa의 β1 사슬, 205kDa의 γ1 사슬의 3개의 폴리펩티드 사슬이 S-S 결합으로 1:1:1 비율로 연결된 거대한 당단백질이다. 전체 분자량은 약 400-900 kDa 범위에 속한다. 라미닌은 약 15%의 당, 약 30%의 α 나선 구조, 약 15%의 β 시트 구조를 포함한다.1981년, 스위스의 위르겐 엥겔은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단일 라미닌 분자를 처음으로 관찰했다. 그는 라미닌 분자가 비대칭적인 "십자형" (긴 팔 1개 77nm, 짧은 팔 3개 37nm) 형태를 띠는 것을 발견하고 "라미닌의 십자형 모델"을 제안했다.[36]
3. 2. 십자형 모델
1981년, 스위스의 위르겐 엥겔이 단일 라미닌 분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처음 관찰했다. 이 관찰 결과, 라미닌 분자는 비대칭적인 "십자형" 모양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 십자형 구조는 긴 팔 1개(77nm)와 짧은 팔 3개(37nm)로 구성되어 있다. 엥겔은 이러한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라미닌의 십자형 모델"을 제창했다.[36]3. 3. 도메인 구조
라미닌은 α 사슬, β 사슬, γ 사슬 각각 1개씩으로 구성된 헤테로 삼량체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생쥐 EHS 육종에서 유래한 라미닌-111은 분자량 440kDa의 α1 사슬, 220kDa의 β1 사슬, 205kDa의 γ1 사슬, 이 세 개의 폴리펩티드 사슬이 이황화 결합(S-S 결합)으로 1:1:1 비율로 회합한 거대한 당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은 약 15%의 당, 약 30%의 α 나선 구조, 약 15%의 β 시트 구조를 포함한다. 라미닌의 각 사슬은 여러 개의 구형 단백질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각 도메인은 고유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다. 단백질 구조는 통상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설명하지만, 여기서는 라미닌의 주요 기능 도메인이 위치한 C말단 쪽부터 설명한다.=== G 도메인 (Globular Domain, LG) ===
G 도메인은 α 사슬의 C 말단 쪽에 위치하며, 라미닌의 세포 작용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 도메인은 세포 부착, 세포 이동, 세포 내 신호 전달, 세포 분화 등의 기능에 관여한다.[48] G 도메인은 5개의 반복 구조(LG 1, LG 2, …, LG 5)로 이루어져 있으며, 헤파린 결합 부위와 세포 부착 부위를 포함한다.[48] 5개의 LG 도메인 중 LG 4와 LG 5만이 헤파린, 황산화 당지질, α-디스트로글리칸에 결합하는 특성을 보인다.[48] G 도메인의 이차 구조는 펜트락신(pentraxin)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49] G 도메인을 가지는 유전자는 LAMA1, LAMA2, LAMA3, LAMA4, LAMA5이다.
=== 코일 코일 영역 ===
알파 나선의 코일 코일 구조를 가지는 영역으로, 라미닌 분자들이 기저막을 형성할 때 필요한 공간을 유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 도메인 III (EGF 유사 도메인, LE) ===
도메인 III은 글리신과 시스테인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펩타이드 사슬이 여러 번 접히는 구조를 가진다. 이 도메인은 약 6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반복 단위가 특징이며, 각 단위에는 8개의 보존된 시스테인 잔기가 포함된다.[23] 이 반복 구조의 아미노산 배열은 상피세포 성장인자(EGF) 및 형질전환 증식 인자 α와 유사하여 EGF 유사 도메인이라고 불린다.[50][51][52] 또는 '라미닌 타입 EGF 유사'(laminin-type EGF-like, LE) 도메인이라고도 한다.[24][25] LE 도메인의 3차 구조는 N-말단에서 EGF 유사 도메인과 유사하며,[24][25] 라미닌의 종류에 따라 그 수가 3개에서 22개까지 매우 다양하다. 생쥐 라미닌 감마-1(γ1) 사슬에서는 7번째 LE 도메인만이 니도겐과 높은 친화력으로 분자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6][51][52][53] 결합 부위는 루프(loop) C1-C3 및 C5-C6 내의 표면에 위치한다.[24][25] LE 도메인의 긴 배열은 제한된 유연성을 가진 막대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며, 이는 기저막에서 라미닌 네트워크 형성 시 분자 간의 간격을 결정하는 데 기여한다.[27][28]
도메인 III은 모든 라미닌 α, β, γ 사슬에 존재하며, 아그린(AGRIN), 아트린(ATRN), 셀서(CELSR), 크렐딘(CRELD1), 펄레칸(HSPG2), MEGF 계열 단백질 등 다른 여러 단백질에서도 유사한 배열이 발견된다. 관련 유전자로는 AGRIN, ATRN, ATRNL1, CELSR1, CELSR2, CELSR3, CRELD1, HSPG2, MEGF10, MEGF12, MEGF6, MEGF8, MEGF9, NSR1, NTN1, NTN2L, NTN4, NTNG1, NTNG2, RESDA1, SCARF1, SCARF2, SREC, STAB1, USH2A 등이 있다.
=== 도메인 B (도메인 IV) ===
도메인 B(또는 도메인 IV)는 짧은 사슬 라미닌의 α4 사슬과 β3 사슬을 제외한 대부분의 α 사슬과 모든 γ 사슬에 존재한다. 이 도메인의 구체적인 기능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라미닌 외에도 헤파란 황산 프로테오글리칸(HSPG2)이나 선충의 라미닌과 같은 다른 분자에서도 이 도메인이 발견된다.
=== 도메인 V ===
구조 및 특징이 도메인 III과 동일하다.
=== 도메인 VI (LN 도메인) ===
도메인 VI은 N 말단 근처에 위치하며 LN 도메인이라고도 불린다. 이 도메인은 라미닌 분자 자체의 회합(자기 회합)에 관여하여, 라미닌이 세포외기질을 구축할 때 필요한 네트워크 형성을 돕는다.[54] α2 사슬의 도메인 VI이 유전적으로 결핍되면 근이영양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5]
도메인 VI은 α3A, α4, γ2 사슬을 제외한 대부분의 라미닌 사슬에 존재한다 (관련 유전자: LAMA1, LAMA2, LAMA3, LAMA5, LAMB1, LAMB2, LAMB3, LAMB4, LAMC1, LAMC3). 또한, 세포외기질에 존재하는 다른 단백질인 네트린(netrins) 계열 단백질에서도 이 도메인 구조가 발견된다 (관련 유전자: NTN1, NTN2L, NTN4, NTNG1, NTNG2, USH2A).
4. 종류 (이소형)
사람에게는 15가지 이상의 라미닌 삼합체가 확인되었다. 라미닌은 서로 다른 알파(α), 베타(β), 감마(γ) 사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백질이다.[6]
라미닌을 구성하는 사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알파(α) 사슬 5종: LAMA1, LAMA2, LAMA3 (세 가지 스플라이스 형태 존재), LAMA4, LAMA5
- 베타(β) 사슬 4종: LAMB1, LAMB2, LAMB3, LAMB4 (단, LAMB4를 포함하는 라미닌 삼합체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그 기능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감마(γ) 사슬 3종: LAMC1, LAMC2, LAMC3
이론적으로 가능한 라미닌 조합의 최대 수는 5(α) × 4(β) × 3(γ) = 60가지이지만, 실제로 발견된 조합은 2013년 8월 기준으로 17종(또는 19종[58][60])이다. 또한 α2, α3, γ3 사슬에는 선택적 스플라이싱이 일어나므로 실제 다양성은 이보다 더 크다.
라미닌의 명명법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발견된 순서대로 번호를 매겼다. 예를 들어 1987년까지 주로 연구된 쥐의 EHS 육종 유래 라미닌은 라미닌-1(α1β1γ1)이었다. 이후 1988년 메로신(라미닌-2, α2β1γ1)[56], 1989년 s-라미닌(라미닌-3, α1β2γ1)[57] 등이 발견되면서 명칭이 복잡해졌다.
1994년에는 발견 순서에 따른 번호 부여 방식의 혼란을 줄이고자 통일된 명명법을 논의했지만, 여전히 새로운 라미닌 발견 시 서브유닛 구성과 명칭의 불일치 문제가 남았다.[3] 2005년에는 각 사슬의 번호를 조합하여 이름을 붙이는 개선된 명명법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라미닌-1(α1β1γ1)은 라미닌-111로, 라미닌-15(α5β2γ3)는 라미닌-523으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이 명명법은 서브유닛 구성을 직관적으로 나타내고 새로운 라미닌 발견 시에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현재 명칭에 붙는 하이픈(-)은 생략하여 "라미닌111"처럼 표기하기도 한다.[61][62]
주요 라미닌 이소형과 그 특징은 다음 표와 같다.[7][8]
현재 명칭 (사슬 구성) | 이전 명칭 | 동의어 / 구구 명칭 | 주요 기능 및 분포 |
---|---|---|---|
라미닌-111 (α1β1γ1) | 라미닌-1 | EHS 라미닌 | 신경 돌기 촉진, 세포 이동, 유선 세포의 밀크 합성 촉진, 아세틸콜린 수용체 회합, 신경근 접합부 형성 |
라미닌-211 (α2β1γ1) | 라미닌-2 | 메로신 | 신경 돌기 촉진, 신경근 접합부 형성 |
라미닌-121 (α1β2γ1) | 라미닌-3 | S-라미닌 | 신경근 접합부의 시냅스 |
라미닌-221 (α2β2γ1) | 라미닌-4 | S-메로신 | 근원 접합부, 영양막 |
라미닌-332 / 라미닌-3A32 (α3Aβ3γ2) | 라미닌-5 / 라미닌-5A | 칼리닌, 에피리그린, 니세인, 래드신 | 표피 수포증 관련, 상피 세포 부착, 세포 이동 촉진, 헤미데스모솜 형성, 피부 재생, 갭 결합 형성 |
라미닌-3B32 (α3Bβ3γ2) | 라미닌-5B | ||
라미닌-311 / 라미닌-3A11 (α3Aβ1γ1) | 라미닌-6 / 라미닌-6A | K-라미닌 | 상피 |
라미닌-321 / 라미닌-3A21 (α3Aβ2γ1) | 라미닌-7 / 라미닌-7A | KS-라미닌 | |
라미닌-411 (α4β1γ1) | 라미닌-8 | 맥락총의 모세 혈관 기저막 | |
라미닌-421 (α4β2γ1) | 라미닌-9 | ||
라미닌-511 (α5β1γ1) | 라미닌-10 | 초파리형 라미닌 | 맥락총 상피 기저막 |
라미닌-521 (α5β2γ1) | 라미닌-11 | 슈반 세포 | |
라미닌-213 (α2β1γ3) | 라미닌-12 | ||
라미닌-423 (α4β2γ3) | 라미닌-14 | ||
라미닌-522 (α5β2γ2) | |||
라미닌-523 (α5β2γ3) | 라미닌-15 | ||
라미닌-212/222 (α2β1γ2/α2β2γ2) |
5. 기능
라미닌은 세포와 세포외 기질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핵심적인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은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IV형 콜라겐 네트워크와 엔탁틴,[9] 피브로넥틴,[10] 그리고 펄레칸과 같은 다른 세포외 기질 분자들과 연결된다. 또한, 인테그린 및 디스트로글리칸 당단백질 복합체, 루터란 혈액형 당단백질과 같은 세포막 분자를 통해 세포 표면에 결합한다.[4]
이러한 상호 작용을 통해 라미닌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 수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주요 기능으로는 세포 부착 및 분화, 세포 형태 및 이동 조절, 조직 표현형 유지, 그리고 조직 생존 촉진 등이 있다.[4][6] 라미닌의 특정 아미노산 서열이나 단편이 이러한 기능들과 연관되어 있기도 하다.[4] 예를 들어, 라미닌 알파 사슬에 위치한 펩타이드 서열 [GTFALRGDNGDNGQ]는 내피 세포의 부착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라미닌은 피브로넥틴 다음으로 발견된 주요 세포 부착 분자 중 하나이다.[40] 초기 연구에서는 피브로넥틴이 주로 섬유아세포를 부착시키는 것과 달리, 라미닌은 상피 세포와 신경 세포를 부착시키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지만 이후 연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세포가 특정 수용체 발현 여부에 따라 라미닌과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러한 단순한 유형화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다.
라미닌 분자 내에는 여러 곳에 세포 부착 활성을 지닌 부위가 존재한다. 단백질 분해 효소 처리, cDNA 염기 서열 분석, 유기 합성 펩타이드를 이용한 활성 검정 등의 방법을 통해 여러 세포 부착 모티프가 밝혀졌다. 주요 세포 부착 관련 아미노산 서열은 다음과 같다.
모티프 (1문자 표기) | 위치 (사슬/도메인) | 아미노산 서열 |
---|---|---|
YIGSR | β사슬 도메인 III | Tyr-Ile-Gly-Ser-Arg (929-933) |
PDSGR | β사슬 도메인 III | - |
RYVVLPR | β사슬 도메인 III | - |
LRE | β사슬 도메인 I | - |
IKVAV | α사슬 도메인 I | - |
RNIAEIIKDI | γ사슬 도메인 I | - |
RGD | α사슬 도메인 III | Arg-Gly-Asp |
이 중 YIGSR 서열은 가장 널리 알려진 라미닌의 세포 부착 모티프이다. 피브로넥틴에서도 발견된 RGD 모티프 역시 라미닌 α사슬에서 발견되었으나, 일반적으로 분자 내부에 위치하여 라미닌이 변성되거나 분해되지 않는 한 세포 부착 기능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노미즈 모토요시(野水基義) 등은 펩타이드 합성 연구를 통해 위 모티프들을 포함하여 총 22개의 세포 부착 활성 배열을 찾아내기도 했다.[41]
라미닌은 기저막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기저막 구조 형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라미닌이 어떻게 기저막을 형성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계속 연구되고 있다.[54][65][66]
5. 1. 신경 발달에서의 역할
라미닌-111은 신경 축삭이 생체 내 및 시험관 내에서 성장하는 주요 기질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발달 중인 망막 신경절 세포가 망막에서 시개로 이동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세포 배양 실험에서 신경 세포를 키우기 위한 기질로 자주 사용된다.라미닌-1은 신경 세포 말단의 성장 원뿔이 다른 신호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장 원뿔은 라미닌-111 위에서 배양될 때 네트린 신호에 의해 거부되는 반응을 보이지만, 피브로넥틴 위에서 배양될 때는 네트린에 끌리는 상반된 반응을 나타낸다. 이러한 라미닌-111의 효과는 세포 내 고리 AMP 수준의 감소를 통해 조절될 가능성이 있다.
라미닌 단백질의 구성 요소인 라미닌 G 도메인(Laminin G domain, LNS 도메인)은 평균 17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라미닌 계열 구성원뿐만 아니라 많은 다른 세포외 단백질에서 1개에서 6개의 복사본으로 발견될 수 있다.[29] 예를 들어, 모든 라미닌 알파 사슬은 5개의 라미닌 G 도메인을 가지고 있고, 모든 콜라겐 계열 단백질은 1개의 라미닌 G 도메인을 가지고 있으며, CNTNAP 단백질은 4개, 뉴렉신 1과 2는 각각 6개의 라미닌 G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
라미닌 G 단백질 도메인의 정확한 기능은 다양하며, 여러 결합 기능이 서로 다른 라미닌 G 모듈에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어, 라미닌 알파1 및 알파2 사슬은 각각 5개의 C-말단 라미닌 G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 LG4 및 LG5 도메인만이 헤파린, 설파타이드 및 세포 표면 수용체 디스트로글리칸에 대한 결합 부위를 포함한다.[30] 라미닌 G를 포함하는 단백질은 세포 부착, 세포 신호 전달, 세포 이동, 조립 및 분화 (세포)와 같은 광범위한 세포 과정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29][30] 이러한 기능들은 신경계의 발달 과정에서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5. 2. 말초 신경 손상 후 재생
말초 신경계가 손상되면, 슈반 세포는 병변 부위에 라미닌을 풍부하게 분비한다. 말초 신경계의 뉴런은 라미닌에 결합하는 인테그린 수용체를 발현하며, 이 결합은 손상 후 신경 재생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4]6. 라미닌 결합 분자
라미닌은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IV형 콜라겐 네트워크와 엔탁틴,[9] 피브로넥틴,[10] 그리고 펄레칸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라미닌은 인테그린 및 디스트로글리칸 당단백질 복합체, 루터란 혈액형 당단백질과 같은 다른 세포막 분자를 통해 세포막에 결합한다.[4] 이러한 상호 작용을 통해 라미닌은 세포 부착 및 분화, 세포 형태 및 이동, 조직 표현형 유지, 그리고 조직 생존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4][6] 라미닌의 특정 아미노산 서열이나 단편은 이러한 생물학적 기능 중 일부와 관련이 있다.[4] 예를 들어, 라미닌 알파 사슬에 있는 펩타이드 서열 [GTFALRGDNGDNGQ]는 내피 세포의 부착을 돕는다.[11]
라미닌과 결합하는 분자는 크게 세포 외 기질을 함께 구성하는 "세포외 기질 분자"와 세포 표면에 있는 "라미닌 수용체"로 나눌 수 있다.
'''세포외 기질 분자와의 결합'''
라미닌과 결합하는 주요 세포외 기질 분자 및 라미닌 측의 결합 부위는 다음과 같다.
- '''라미닌''': 스스로 결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결합 부위: β 사슬의 도메인 V, γ 사슬의 도메인 V)
- '''α디스트로글리칸'''(α-dystroglycaneng, 크레이닌 cranineng): (결합 부위: α 사슬의 도메인 I의 G 도메인)
- '''헤파란 황산'''(heparan sulfateseng), '''헤파린'''(heparineng)
- '''황산화 당지질'''(sulfated glycolipidseng): (결합 부위: β 사슬의 도메인 VI, γ 사슬의 도메인 VI)
- '''IV형 콜라겐'''(type IV collageneng)
- '''펄리칸'''(perlecaneng)
- '''아그린'''(agrineng)
- '''나이드젠'''(nidogeneng): (결합 부위: α 사슬의 도메인 III)
'''라미닌 수용체'''
라미닌 수용체는 크게 "인테그린" 계열과 "비인테그린" 계열로 분류할 수 있다. 라미닌은 피브로넥틴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 세포 부착 분자로, 발견 이후 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찾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 '''인테그린 수용체''': 피브로넥틴 수용체와 유사한 인테그린 계열의 단백질들이 라미닌 수용체로 밝혀졌다. 2013년 8월 기준으로 확인된 라미닌 수용체 인테그린은 다음과 같은 11종이다.
- α1β1, α2β1, α2β2, α3β1, α6β1, α6β4, α7β1, α9β1, αvβ3, αvβ5, αvβ8
- '''비인테그린 수용체''': 인테그린 외에도 여러 분자가 라미닌 수용체로 보고되었다.[42]
- '''37/67kDa 라미닌 수용체 (LPR/LR)''': 처음에는 67kDa 크기의 라미닌 수용체(67-LR)가 발견되었으나,[43] 이후 유전자 분석을 통해 295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37kDa 단백질(37-LRP)이 전구체임이 밝혀졌다. 현재는 37/67 kDa 라미닌 수용체로 통칭한다. 활성 부위는 아미노산 161-180번의 펩타이드(IPCNNKGAHSVGLMWWMLAR)이며, 펩타이드 G로 명명되었다.[44]
- '''크레이닌 (α-디스트로글리칸)''': 1987년에 120kDa 크기의 라미닌 수용체가 발견되어 크레이닌(cranineng)으로 명명되었다.[45] 1995년, 이전에 다른 분자로 여겨졌던 디스트로글리칸과 동일한 분자임이 확인되었다.[46]
- '''아스파르탁틴 (칼세퀘스트린)''' (현재 부정됨): 1988년, 라미닌에 결합하는 67kDa 단백질이 발견되어 아스파르탁틴(aspartactineng)으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1990년, 이 단백질이 근육 세포 내 단백질인 칼세퀘스트린과 동일하며 세포 내에 존재하여 수용체 기능을 할 수 없다는 보고가 나왔다. 결국 1991년, 아스파르탁틴은 라미닌 수용체가 아닌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47]
- '''기타''': 그 외에도 몇몇 분자들이 라미닌 수용체 후보로 보고된 바 있다.
7. 임상적 의의
라미닌은 다양한 질병의 발병 기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암 연구 및 진단, 치료제 개발, 재생 의학 등 여러 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자 응용 가능성을 지닌 단백질이다. 라미닌의 기능 이상은 특정 유전 질환이나 자가면역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세포 배양, 특히 줄기 세포 배양 기술의 발전에 기여하며, 새로운 항암제나 항균제 개발의 표적으로도 연구되고 있다.
7. 1. 질병과의 관련성
특정 라미닌의 기능 이상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라미닌-211: α2, β1, γ1 사슬로 구성된 라미닌-211의 기능 부전은 선천성 근육병의 한 형태를 유발한다.[15] 이 라미닌은 뇌와 근육 섬유에 분포하며, 근육에서는 알파-디스트로글리칸 및 인테그린 알파7—베타1과 결합하고 다른 쪽 끝은 세포외 기질에 연결된다.
- 라미닌-332: 기저막에 대한 상피 세포 부착에 필수적인 라미닌-332의 이상은 전신적인 물집, 피부 및 점막의 과도한 육아 조직, 치아 반점 등을 특징으로 하는 연접부 수포성 표피박리증을 일으킨다.
- 라미닌-521: 신장 여과기 내 라미닌-521의 기능 부전은 소변으로 단백질이 누출되는 신증후군을 유발한다.[5]
라미닌 관련 질환은 크게 유전자 결실이나 변이와 같은 라미닌 자체의 양적·질적 이상에 의한 질환과, 라미닌을 표적 항원으로 하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유전자 이상 관련 질환:
- 라미닌 α2 사슬의 결실이나 넌센스 변이는 일부 선천성 근이영양증의 원인이 된다.
- 라미닌 α3 사슬의 결실은 연접부 수포성 표피박리증을 유발한다.
- 라미닌 α4 사슬의 결실은 모세 혈관 형성 부전을 초래한다.[68]
- 라미닌 β2 사슬의 결실은 선천성 신증후군과 소동공증 등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슨 증후군(Pierson syndrome)[69]을 유발한다.[70][71]
자가면역 질환 관련:
- 자가면역 질환인 유천포창의 일부 환자에게서 라미닌 γ1 사슬[72] 또는 라미닌-332[73]를 표적 항원으로 하는 자가항체가 검출되어 질병과의 관련성이 연구되고 있다.
라미닌 유전자 결손(노크아웃) 생쥐 실험:특정 라미닌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결손시킨 생쥐의 증상을 통해 라미닌의 기능을 연구할 수 있다. 유전자를 결손시켜도 생존하는 경우는 다른 라미닌이나 부착 분자가 기능을 대신하기 때문일 수 있다.[63][64] 아래 표는 라미닌 유전자 결손 생쥐의 증상을 요약한 것이다. 표의 "사생" 란의 약호는 "E: 발생 도중의 사망과 사망일, P: 탄생 전후 사망, V: 생존"을 나타낸다.
라미닌 사슬 | 사생 | 증상 |
---|---|---|
α1 | E7 | 기저막 결손 |
α2 | V | 근이영양증 |
α3 | P | 피부 물집 |
α4 | V | 배아 출혈, 신생아 출혈, 운동 장애 |
α5 | E16.5 | 외뇌증, 손 또는 발의 합지증, 태반 이상 |
β1 | E5.5 | 기저막 형성 부전 |
β2 | V, 생후 3주에 사망 | 선천성 신증후군, 피어슨 증후군 |
β3 | V | 연접부 수포성 표피박리증(JEB) |
β4 | 미보고? | |
γ1 | P | 내배엽 형성 부전, 기저막 형성 부전, 운동 장애, 슈반 세포 분화 부전 |
γ2 | P, 생후 5일 이내 사망 | 헤미데스모좀 발달 부전, 피부 물집 |
γ3 | V | 정상 수명. 적은 이상. 망막 밖의 모세 혈관 증가 |
7. 2. 암과의 관련성
일부 라미닌 이소형은 암 생리학과 관련이 있다. 특히, 내부 리보솜 진입 부위(IRES)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전사체는 해당 단백질을 통해 암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종양 진행의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인 상피-간엽 전환 (EMT)은 암세포가 주변 조직으로 침투하고 퍼져나가는 침윤성을 갖도록 하는 과정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EMT 과정 동안 세포 외 기질을 구성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라미닌 B1(LAMB1)의 번역이 활발해지는데, 이는 IRES 매개 메커니즘을 통해 조절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6]
실험을 통해 LamB1의 IRES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다른 요소들(예: 암호화 프로모터, 스플라이스 부위, 대체 전사 시작 부위, 폴리아데닐화 신호 등)과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mB1 mRNA의 5'-비번역 영역(UTR)을 분석한 결과, 번역 시작 코돈 앞 -293 염기와 -1 염기 사이에 최소한의 IRES 활성을 나타내는 모티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6]
또한, RNA 친화성 정제 및 리보핵단백질 면역침강법과 같은 실험 기법을 통해 La 단백질이 LamB1 IRES에 직접 결합하며, EMT 동안 이 상호작용이 조절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La 단백질은 LamB1 IRES의 번역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결과적으로 간세포의 EMT 과정에서 La 단백질이 LamB1 IRES에 결합하여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LAMB1 단백질의 생산(번역 상향 조절)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16]
한편, 라미닌의 특정 펩타이드 서열인 YIGSR 모티프는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YIGSR 모티프 외에도 다른 라미닌 유래 펩타이드들이 암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
7. 3. 의학적 응용
세포외 기질(ECM)의 주요 구성 요소인 라미닌은 콜라겐, 피브로넥틴 등 다른 ECM 단백질과 함께 포유류 세포 배양, 특히 다능성 줄기 세포 배양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다른 기질에서는 배양하기 어려운 일부 1차 세포 배양에도 활용된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라미닌에는 마우스 육종에서 추출한 라미닌-111과 사람 태반에서 유래한 라미닌 혼합물(주로 라미닌-211, 411, 511 등이며 공급자에 따라 다름)이 있다.[17] 하지만 조직 내 다양한 라미닌 이소형은 광범위한 가교 결합, 단백질 분해 효소의 작용, 낮은 pH와 같은 추출 조건 때문에 순수한 형태로 분리하기 어렵고 분해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0년부터 재조합 단백질 기술을 이용한 라미닌 생산이 시작되었다.[18] 이를 통해 라미닌이 생체 내에서와 같이 생체 외(''in vitro'')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검증할 수 있게 되었다.줄기 세포를 이용하는 재생 의학 분야에서는 피더 세포나 혈청과 같은 동물 유래 성분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여겨진다. 2008년, 두 연구팀은 각각 재조합 라미닌-511 위에서 마우스 배아 줄기 세포를 수개월 동안 성공적으로 배양할 수 있음을 독립적으로 보고했다.[19][20][74][75] 이후 로딘(Rodin) 등은 재조합 라미닌-511을 사용하여 사람의 배아줄기세포(ES 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세포)를 위한 동물 유래 성분이 없고(무이종, xeno-free) 성분이 명확히 규정된(defined) 세포 배양 환경을 만들 수 있음을 증명했다.[21] 또한 이 시스템에서 배지 중의 불순 성분을 제거하는 데도 성공하여[76][77] 향후 줄기 세포 치료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발전으로 평가된다.
라미닌은 다음과 같은 의학적 응용 가능성도 가지고 있다.
- 항암제 개발:
- 라미닌의 특정 서열인 YIGSR 모티프 펩타이드는 암세포의 부착과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이를 이용한 암 전이 방지 치료제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YIGSR 모티프 참조)
- 악성도가 높은 암세포에서 67kDa 라미닌 수용체(67LR)가 과발현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 개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78]
- 항균 펩타이드 및 바이오 소재 개발:
- 많은 종류의 세균은 사람 세포 표면의 라미닌 수용체에 결합하여 감염을 일으킨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차단하기 위해 라미닌 자체 또는 라미닌의 구조를 모방한 유사체(미메틱스)를 이용하여 항균 작용을 가지는 바이오 소재를 설계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79][80]
참조
[1]
논문
Laminin--a glycoprotein from basement membranes
1979-10
[2]
논문
Laminins
2010-01
[3]
논문
A simplified laminin nomenclature
2005-08
[4]
서적
Extracellular Matrix: A Practical Approach
IRL Press
1995
[5]
논문
Developmental and pathogenic mechanisms of basement membrane assembly
[6]
논문
Form and function: the laminin family of heterotrimers
2000-06
[7]
서적
Connective tissue and its heritable disorders: molecular, genetic, and medical aspects
Wiley-Liss
2002
[8]
서적
Integrin-ligand interaction
Chapman & Hall
1997
[9]
논문
Laser scanning confocal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nidogen (entactin) with laminin in term human amniochorion
1994-01
[10]
논문
Micro-trabeculae, macro-plaques or mini-basement membranes in human term fetal membranes?
1993-10
[11]
문서
Beck et al., 1999.
[12]
논문
Identification of neurite outgrowth active sites on the laminin alpha4 chain G domain
2005-04
[13]
논문
Merging extracellular domains: fold prediction for laminin G-like and amino-terminal thrombospondin-like modules based on homology to pentraxins
1998-02
[14]
논문
Integrins promote axonal regeneration after injury of the nervous system
2018-08
[15]
논문
The zebrafish candyfloss mutant implicates extracellular matrix adhesion failure in laminin alpha2-deficient congenital muscular dystrophy
2007-04
[16]
논문
La enhances IRES-mediated translation of laminin B1 during malignant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2012-01
[17]
논문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laminin preparations from human placenta in comparison to recombinant laminins 2 (α2β1γ1), 8 (α4β1γ1), 10 (α5β1γ1)
2006-03
[18]
논문
Recombinant Laminin-8 (α4β1γ1) Production, purification,and interactions with integrins
2000-05
[19]
논문
Laminin-511 but not -332, -111, or -411 enables mouse embryonic stem cell self-renewal in vitro
2008-11
[20]
논문
Recombinant human laminin isoforms can support the undifferentiated growth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2008-10
[21]
논문
Long-term self-renewal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on human recombinant laminin-511
2010-06
[22]
논문
Laminin, a multidomain protein. The A chain has a unique globular domain and homology with the basement membrane proteoglycan and the laminin B chains
1988-11
[23]
논문
EGF-like domains in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localized signals for growth and differentiation?
1989-07
[24]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ree consecutive laminin-type epidermal growth factor-like (LE) modules of laminin gamma1 chain harboring the nidogen binding site
1996-04
[25]
논문
Structure of the nidogen binding LE module of the laminin gamma1 chain in solution
1996-04
[26]
논문
Low nidogen affinity of laminin-5 can be attributed to two serine residues in EGF-like motif gamma 2III4
1995-05
[27]
논문
Structure and function of laminin: anatomy of a multidomain glycoprotein
1990-02
[28]
논문
Self-assembly and calcium-binding sites in laminin. A three-arm interaction model
1993-08
[29]
웹사이트
Laminin G domain
http://www.ebi.ac.uk[...]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
2016-02-22
[30]
논문
Structure of the C-terminal laminin G-like domain pair of the laminin alpha2 chain harbouring binding sites for alpha-dystroglycan and heparin
2000-04
[31]
논문
Murine muscular dystrophy caused by a mutation in the laminin alpha 2 (Lama2) gene
1994-11
[32]
논문
Expression of nidogen and laminin in basement membranes during mouse embryogenesis and in teratocarcinoma cells
[33]
논문
A murine tumor producing a matrix of basement membrane
[34]
문서
de:Rupert Timpl
[35]
논문
Laminin--a glycoprotein from basement membranes
[36]
논문
Shapes, domain organizations and flexibility of laminin and fibronectin, two multifunctional proteins of the extracellular matrix
[37]
논문
Sequence of the cDNA encoding the laminin B1 chain reveals a multidomain protein containing cysteine-rich repeats
[38]
논문
The laminin B2 chain has a multidomain structure homologous to the B1 chain
[39]
논문
Laminin, a multidomain protein. The A chain has a unique globular domain and homology with the basement membrane proteoglycan and the laminin B chains
[40]
논문
Role of laminin in the attachment of PAM 212 (epithelial) cells to basement membrane collagen
[41]
논문
ラミニンにはいくつの活性部位があるのか?
http://lifesciencedb[...]
[42]
논문
Receptors for laminin on mammalian cells
[43]
논문
Isolation of a tumor cell laminin receptor
[44]
논문
Functional domains of the 67-kDa laminin receptor precursor
[45]
논문
Cranin: a laminin-binding protein of cell membranes
[46]
논문
Purification of Cranin, a Laminin Binding Membrane Protein. IDENTITY WITH DYSTROGLYCAN AND REASSESSMENT OF ITS CARBOHYDRATE MOIETIES
[47]
논문
Evidence against a laminin receptor role for calsequestrin
[48]
논문
Structure of the C-terminal laminin G-like domain pair of the laminin alpha2 chain harbouring binding sites for alpha-dystroglycan and heparin
[49]
논문
Merging extracellular domains: fold prediction for laminin G-like and amino-terminal thrombospondin-like modules based on homology to pentraxins
[50]
논문
EGF-like domains in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localized signals for growth and differentiation?
[51]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ree consecutive laminin-type epidermal growth factor-like (LE) modules of laminin gamma1 chain harboring the nidogen binding site
[52]
논문
Structure of the nidogen binding LE module of the laminin gamma1 chain in solution
[53]
논문
Low nidogen affinity of laminin-5 can be attributed to two serine residues in EGF-like motif gamma 2III4
[54]
논문
Self-assembly and calcium-binding sites in laminin. A three-arm interaction model
[55]
논문
Murine muscular dystrophy caused by a mutation in the laminin alpha 2 (Lama2) gene
[56]
논문
Merosin, a protein specific for basement membranes of Schwann cells, striated muscle, and trophoblast, is expressed late in nerve and muscle development
[57]
논문
A laminin-like adhesive protein concentrated in the synaptic cleft of the neuromuscular junction
[58]
문서
세포접착분자
[59]
논문
A simplified laminin nomenclature
[60]
문서
세포접착분자
[61]
웹사이트
http://www.lm.lncc.b[...]
2013-08-10
[62]
논문
Laminin database: a tool to retrieve high-throughput and curated data for studies on laminins
[63]
논문
Bridging structure with function: structural, regulatory, and developmental role of laminins
[64]
논문
Form and function: the laminin family of heterotrimers
[65]
논문
Laminins in basement membrane assembly
[66]
논문
Structure and function of laminin: anatomy of a multidomain glycoprotein
[67]
논문
Laminin-111-derived peptides and cancer
[68]
논문
Deletion of the laminin alpha4 chain leads to impaired microvessel maturation
[69]
웹사이트
OMIM#609049 Pierson syndrome
http://omim.org/entr[...]
2012-03-19
[70]
논문
Human laminin beta2 deficiency causes congenital nephrosis with mesangial sclerosis and distinct eye abnormalities
[71]
학술지
Mutations in the human laminin beta2 (LAMB2) gene and the associated phenotypic spectrum
[72]
학술지
Anti-laminin gamma-1 pemphigoid
[73]
학술지
Mucous membrane pemphigoid with generalized blisters: IgA and IgG autoantibodies target both laminin-332 and type XVII collagen
[74]
학술지
Laminin-511 but not -332, -111, or -411 enables mouse embryonic stem cell self-renewal in vitro
[75]
학술지
Recombinant human laminin isoforms can support the undifferentiated growth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76]
학술지
Long-term self-renewal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on human recombinant laminin-511
[77]
학술지
Biologically Relevant Laminins. Key to Derivation and Culture of Stem Cells and Differentiated Cells Lies with These ECM Proteins
http://www.genengnew[...]
[78]
웹사이트
特許研究室
http://windofweef.we[...]
[79]
학술지
Binding sites on laminin receptors as components for antibiotics
[80]
학술지
ラミニンレセプターのラミニン結合部位を基にした抗菌ペプチドの設計
http://www2.toagosei[...]
[81]
저널
Laminin – a glycoprotein from basement membranes
[82]
저널
A simplified laminin nomenclature
[83]
서적
Extracellular matrix: a practical approach
IRL Press
[84]
저널
Developmental and Pathogenic Mechanisms of Basement Membrane Assembl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