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레지오넬라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레지오넬라증은 레지오넬라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주로 오염된 물이나 토양의 에어로졸 흡입을 통해 전파된다. 레지오넬라 폐렴과 폰티악 열로 나타날 수 있으며, 잠복기는 2~10일이다. 진단은 객담, 소변, 혈액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마크롤리드, 테트라사이클린, 퀴놀론 등의 항생제로 치료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대규모 수도 시스템의 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레지오넬라균 번식 온도 관리, 물의 정체 방지, 생물막 예방, 소독 등을 실시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업 위생 - 레지오넬라
    레지오넬라는 냉각탑 등 인공 수계 환경에서 증식하여 에어로졸 형태로 사람에게 흡입되어 폐렴인 레지오넬라증과 폰티악열을 유발하는 세균이며, 항생제로 치료하고 급수 시스템 개선 및 증식 조절을 통해 예방한다.
  • 산업 위생 - 개인 보호 장비
    개인 보호 장비는 신체를 위험 요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장비 또는 의류로, 작업 환경과 요구되는 보호 수준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선택되며, 각 장비는 특정 유해 물질이나 물리적 위험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비정형폐렴 - 홍역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코플릭 반점, 홍반 반점구진성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이며, 폐렴, 중이염, 뇌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MMR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이며 반백신 운동으로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 비정형폐렴 - 수두
    수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전염병으로 특징적인 발진과 가려움증을 동반하며, 호흡기 비말이나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되고,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감염병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감염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레지오넬라증
질병 정보
이름레지오넬라증
다른 이름레지오넬라병, 레지온열
레지오넬라균의 투과형 전자현미경 사진
분야호흡기내과
증상기침, 호흡곤란, 고열, 근육통, 두통, 메스꺼움, 구토, 설사
발병노출 후 2-10일
원인레지오넬라균류
위험 요인고령, 흡연 경력, 만성 폐쇄성 폐질환, 면역력 저하
진단ELISA, 가래 배양
예방수도의 위생 유지
치료항생제 투여
사망률10%
빈도연간 약 13,000건의 심각한 사례 (미국)
상세 정보
원인 및 전파오염된 미스트를 통해 전파되는 레지오넬라 속의 세균
발병 후 경과노출 후 2~10일 후에 증상이 나타남
관련 질환폰티악열
진단 방법소변 항원 검사, 가래 배양
위험군고령, 흡연 경력, 만성 폐질환, 면역 억제 환자
치료 방법항생제 치료
합병증호흡부전
패혈증
신부전
예방 방법수계의 적절한 유지 관리
역사 및 역학
최초 발견1976년 미국 필라델피아의 재향군인 대회에서 처음 발견
주요 발병 사례미국에서 주로 발생
유행 패턴주로 여름과 가을에 발생 빈도가 높음
임상 특징
주요 증상기침
호흡곤란
고열
근육통
두통
기타 증상메스꺼움
구토
설사
심각한 경우호흡 부전
패혈증
신부전
추가 정보
예방수계의 적절한 유지 관리 및 소독
치료마크로라이드
퀴놀론
테트라사이클린
사망률약 10%
추가 정보질병통제예방센터 레지오넬라 정보

2. 원인

레지오넬라증의 90% 이상은 레지오넬라 뉴모필라 (''Legionella pneumophila'')에 의해 발생한다. 다른 종류로는 레지오넬라 롱비케이 (''L. longbeachae''), 레지오넬라 필리이 (''L. feeleii''), 레지오넬라 미카데이 (''L. micdadei''), 레지오넬라 아니사 (''L. anisa'')가 있다.

레지오넬라증은 1976년에 처음 보고된 신종감염병으로, 일본에서는 감염병의 예방 및 감염병 환자에 대한 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4종 감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2. 1. 전파 경로

레지오넬라증은 일반적으로 ''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된 물이나 토양의 에어로졸을 흡입하여 전파된다.[2] 전문가들은 레지오넬라증이 사람 간에 전파되지 않는다고 밝혔지만,[21] 2014년에는 환자로부터 간병인에게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사례가 한 건 있었다.[22] 드물게는 오염된 물과 수술 상처 사이의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되기도 한다.[2]

전시 케이스에 담긴 더러운 누런 물이 가득 찬 큰 유리 주전자
1976년 발생 당시 벨뷰-스트랫퍼드 호텔 냉각 시스템에서 채취한 냉각수가 담긴 주전자. 데이비드 J. 센서 CDC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음


이 균은 따뜻한 온도에서 가장 잘 자라며[5] 25°C에서 45°C 사이의 수온에서 번성하며, 최적 온도는 35°C이다.[32] 60°C 이상의 온도에서는 균이 죽는다.[23] 균의 번식을 허용하는 곳에는 온수 탱크, 냉각탑, 호텔이나 대형 사무실 건물에 흔히 있는 대형 에어컨 시스템의 증발식 응축기 등이 있다.[24]

'''레지오넬라 뉴모필라'''는 수생 시스템에서 번성하며, 공생 관계로 아메바 내에 서식한다.[26] ''레지오넬라'' 박테리아는 아메바와 같은 수중 원생동물의 세포내 기생충으로서 물 속에서 생존한다. 아메바는 종종 생물막의 일부이며, ''레지오넬라''와 감염된 아메바가 생물막 내에서 보호되면 파괴하기가 특히 어렵다.[2]

건축 환경에서 사무실 건물, 호텔 및 병원의 중앙 공조 시스템은 오염된 물의 원인이 된다.[32]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는 다른 장소로는 산업용 냉각 시스템에 사용되는 냉각탑, 증발 냉각기, 네뷸라이저, 가습기, 월풀 스파, 온수 시스템, 샤워기, 와이퍼 세척기, 분수, 실내 공기 가습기, 제빙기 및 식료품점 농산물 코너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분무 시스템이 있다.[2][27]

소독 및 유지 관리 프로그램이 철저히 준수되지 않으면 온수 욕조에서 생성된 오염된 에어로졸을 통해 박테리아가 전염될 수도 있다.[28] 담수 연못, 개울 및 장식용 분수는 ''레지오넬라''의 잠재적 원인이다.[29] 이 질병은 복잡한 식수 시스템과 냉각 시스템을 갖춘 호텔, 분수, 유람선 및 병원과 특히 관련이 있다. 오염된 수돗물을 사용하는 가습기 및 네뷸라이저와 같은 호흡 치료 장치에는 ''레지오넬라'' 종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살균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30] 기타 원인으로는 화분 흙과 퇴비 노출이 있다.[31]

레지오넬라균은 자연의 담수에 서식하며,[81] 온수 탱크, 온수 욕조, 냉각탑, 대형 에어컨을 오염시킬 수 있다.[81] 일반적으로 감염된 물의 미립자를 호흡하여 감염된다.[81] 또한, 오염된 물을 흡인하는 경우에도 감염될 수 있다.[81] 일반적으로 사람 간에 감염되지는 않으며, 균에 노출된다고 해서 반드시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81]

에어컨 배수관이 탱크에 연결된 일본식 변기의 예


냉방 냉각수 내에서 증식한 세균이 냉각탑에서 비산되거나, 입욕 시설의 수순환 장치나 욕조 표면에서 증식한 세균이 샤워 등으로 이용되거나, 욕조의 기포 장치에서 거품에 포함되거나, 또는 에어컨 등의 냉매 장치의 배수관 배수가 수세식 변기의 탱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변기 세척 시 물보라 등에 의해 먼지(에어로졸)가 되어, 그것이 기도를 통해 흡입되어, 폐에 존재하는 대식세포(폐포 대식세포)에 감염됨으로써 발병한다.

2. 2. 서식 환경

레지오넬라균(''Legionella'')은 따뜻한 물에서 잘 자라며, 25°C에서 45°C 사이 온도에서 번성하고, 35°C에서 가장 잘 자란다.[32] 60°C 이상 온도에서는 균이 죽는다.[23] 레지오넬라균은 수생 시스템에서 공생 관계아메바 내에 서식하며,[26] 아메바는 종종 생물막의 일부이기 때문에 레지오넬라균과 감염된 아메바가 생물막 내에서 보호되면 파괴하기가 특히 어렵다.[2]

레지오넬라균은 자연의 담수에 서식하며,[81] 온수 탱크, 온수 욕조, 냉각탑, 대형 에어컨을 오염시킬 수 있다.[81] 이러한 시설은 레지오넬라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건축 환경에서 사무실 건물, 호텔 및 병원의 중앙 공조 시스템은 오염된 물의 원인이 된다.[32]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는 다른 장소로는 산업용 냉각 시스템에 사용되는 냉각탑, 증발 냉각기, 네뷸라이저, 가습기, 월풀 스파, 온수 시스템, 샤워기, 와이퍼 세척기, 분수, 실내 공기 가습기, 제빙기 및 식료품점 농산물 코너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분무 시스템이 있다.[2][27]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의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은 최대 온수 발생, 저장 및 분배 온도를 약 43.3°C로 규정했는데, 이는 레지오넬라균의 이상적인 번식 온도였다.[25] 1988년 이후 미국 난방, 냉동 및 공조 기술자 협회는 권장 온수 발생 및 저장 온도를 약 57.2°C 에서 약 60.0°C로, 최소 분배 온도를 약 51.1°C로 높였다.[25]

담수 연못, 개울 및 장식용 분수는 ''레지오넬라''의 잠재적 원인이며,[29] 복잡한 식수 시스템과 냉각 시스템을 갖춘 호텔, 분수, 유람선 및 병원과 특히 관련이 있다. 오염된 수돗물을 사용하는 가습기 및 네뷸라이저와 같은 호흡 치료 장치에는 ''레지오넬라'' 종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살균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30] 기타 원인으로는 화분 흙과 퇴비 노출이 있다.[31]

2. 2. 1. 한국 내 감염원

레지오넬라균은 한국 내에서 다양한 장소에서 발견될 수 있다. 사무실 건물, 호텔, 병원의 중앙 공조 시스템은 오염된 물의 원인이 될 수 있다.[32] 이 외에도 산업용 냉각 시스템에 사용되는 냉각탑, 증발 냉각기, 네뷸라이저, 가습기, 월풀 스파, 온수 시스템, 샤워기, 와이퍼 세척기, 분수, 실내 공기 가습기, 제빙기, 그리고 식료품점 농산물 코너의 분무 시스템 등도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할 수 있는 장소이다.[2][27]

특히, 일본에서는 욕조 시설에서의 감염 사례가 많다. 1996년 통상산업성은 가정용 24시간 목욕탕 욕수에서 레지오넬라균이 쉽게 발견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제조업체 및 판매업체에 위생 대책을 요구하였다. 1997년에는 각 업체에서 레지오넬라 대책 24시간 목욕탕을 출시했지만, 그 후에도 각지의 온천과 공동 목욕 시설에서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하여 위생 관리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레지오넬라균은 목욕 시설에서 자주 사용되는 여과 순환 장치의 여과재로는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순환식 욕조를 갖춘 공동 목욕 시설에서는 다음 두 가지 사항이 지도되고 있다.

# 염소 소독을 실시하고 정기적으로 물을 빼고 청소 (레지오넬라균 번식 억제)

# 거품 목욕을 하지 않고,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주입구가 아닌 욕조 내부에서 순환 (에어로졸 형성 억제)

레지오넬라균은 냉방 냉각수 내에서 증식하여 냉각탑에서 비산되거나, 입욕 시설의 수순환 장치나 욕조 표면에서 증식하여 샤워 등을 통해, 또는 욕조의 기포 장치에서 거품에 포함되어 에어로졸 형태로 인체에 흡입될 수 있다. 에어컨 등의 냉매 장치의 배수관 배수가 수세식 변기의 탱크에 연결된 경우, 변기 세척 시 물보라 등에 의해 에어로졸이 발생하여 감염될 수도 있다.

3. 증상

레지오넬라증은 레지오넬라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레지오넬라 폐렴과 폰티악 열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3. 1. 레지오넬라 폐렴

레지오넬라균에 노출된 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기간(잠복기)은 보통 2~10일이지만, 드물게는 최대 20일까지 길어질 수 있다.[16] 일반인의 경우, 노출된 사람 중 0.1~5.0%가 질병에 걸리고, 병원에 있는 사람들 중에서는 0.4~14%가 질병에 걸린다.[16]

레지오넬라증 환자는 대개 발열, 오한, 기침을 동반하며, 기침은 마른 기침일 수도 있고 을 동반할 수도 있다. 거의 모든 환자가 발열을 경험하고, 약 절반은 담을 동반한 기침을, 3분의 1은 객혈 또는 혈담을 한다.[2] 또한 근육통, 두통, 피로감, 식욕부진, 운동 실조(ataxia), 가슴 통증 또는 설사구토를 경험하는 경우도 있다.[2] 레지오넬라증 환자의 최대 절반이 위장 증상을 보이고, 거의 절반은 혼란과 인지 장애를 포함한 신경 증상을 보인다.[16] [17][18] 발열에도 불구하고 심박수가 낮거나 정상인 "상대적 서맥"이 나타날 수도 있다.[19]

검사 결과 신장 기능, 간 기능 및 전해질 수치가 비정상일 수 있으며, 이는 혈중 나트륨 수치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흉부 X선 사진에서는 종종 양쪽 폐 하부에 폐렴과 침윤이 나타난다. 증상이나 영상의학적 소견만으로는 레지오넬라증을 다른 유형의 폐렴과 구별하기 어렵다. 확진을 위해서는 다른 검사가 필요하다.

같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훨씬 가벼운 질병인 폰티악 열에 걸린 사람들은 폐렴 없이 발열과 근육통을 경험한다. 보통 치료 없이 2~5일 안에 회복된다. 폰티악 열의 경우, 노출 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은 보통 몇 시간에서 이틀이다.

레지오넬라 폐렴은 2~10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기침, 두통, 근육통,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행되면 호흡곤란을 일으키고 흉통, 설사, 의식장애 등을 동반한다. 사망률은 15%~30%로 높다. 다음은 레지오넬라 폐렴 확률이 높은 경우이다.[92]

기준
체온39.4℃ 초과
없음 (세포내 기생하기 때문에, 호중구대식세포에 탐식되지 않고, 농성 담을 생성하지 않는다)
혈청 나트륨치133mEq/L 미만
LDH255IU/L 초과
CRP18.7mg/dL 초과
혈소판17.1만 미만



위 6가지 중 4가지 이상을 충족하는 경우 레지오넬라 폐렴 확률이 66%라는 보고가 있다.[92]

3. 2. 폰티악 열

같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훨씬 가벼운 질병인 폰티악 열에 걸린 사람들은 폐렴 없이 발열과 근육통을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치료 없이 2~5일 안에 회복된다.[2] 폰티악 열의 경우, 노출 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은 일반적으로 몇 시간에서 이틀이다. 다량의 레지오넬라균을 흡입했을 때 발생하며, 잠복기는 1~2일이며 전신 권태감, 두통, 기침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대부분 수일 내에 회복된다.[2]

4. 진단

레지오넬라증의 진단에는 객담(기침으로 배출된 점액)에서 세균을 검출하거나, 소변에서 ''레지오넬라'' 항원을 찾는 방법이 사용된다. 3~6주 간격으로 채취한 두 혈액 샘플에서 ''레지오넬라'' 항체 수치를 비교하는 방법도 유용하다. 소변 항원 검사는 빠르고 신뢰성이 높지만, ''L. pneumophila'' 1 혈청군만 검출한다. 이는 ''L. pneumophila''에 의한 질병의 70%를 차지하므로, 소변 항원 검사만으로는 최대 30%의 경우를 놓칠 수 있다.[32] 이 검사는 1982년 Richard Kohler가 개발했다.[33] ''L. pneumophila'' 1 혈청군 감염의 경우, 소변 항원 검사는 조기 진단과 치료에 유용하며, 발생의 조기 진단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특정 아형을 식별하지 못해 감염의 환경적 원인과 사람을 일치시키는 데는 사용할 수 없다.

''레지오넬라'' 박테리아는 객담이나 기타 호흡기 샘플에서 배양할 수 있다. ''Legionella'' spp.는 그람 염색으로는 잘 염색되지 않고, 은 염색에 양성 반응을 보이며, 철과 시스테인이 함유된 목탄 효모 추출물(CYE 한천배지)에서 배양된다.

레지오넬라증은 상당한 보고 누락 문제가 있다. 효과적인 보건 서비스와 진단 검사가 가능한 국가에서도 약 90%가 간과된다. 이는 레지오넬라증이 드문 유형의 폐렴이라 많은 임상의가 접해보지 못해 잘못 진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환자 증상이 다양하고, 일부 증상(예: 설사)은 정확한 진단을 방해할 수 있다.[34]

일반적인 진단 방법으로는 소변 항원 검사와 객담 검사가 있다.[83]

5. 예방

레지오넬라증 예방을 위해서는 상수도 시스템 관리가 중요하다.[84] 레지오넬라균은 자연 담수에 서식하며,[81] 온수 탱크, 온수 욕조, 냉각탑, 대형 에어컨 등을 오염시킬 수 있다.[81] 감염은 주로 오염된 물의 미립자를 흡입하거나,[81] 오염된 물을 흡인할 때 발생한다.[81]

사람 간 감염은 드물며, 균에 노출되어도 항상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81] 고령, 흡연력, 만성폐쇄성폐질환, 면역 저하 등은 감염 위험 요인이다.[82]

5. 1. 관리 지침

대규모 수도 시스템을 통한 레지오넬라증 확산 위험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시설의 특성(사무실 건물, 병원, 호텔, 스파, 크루즈선 등)에 적합한 매우 상세하고 체계적인 상수 안전 계획을 작성하고 시행함으로써 크게 줄일 수 있다.[16] 이러한 계획에 포함될 수 있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레지오넬라균이 번식하는 20°C~55°C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를 유지한다.[16][25]
  • 정체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배관망에서 출구가 없는 구간(막다른 곳)을 제거한다. 호텔의 한 쪽 날개가 비수기에 문을 닫는 경우처럼 정체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온수 배관 시스템 전체의 온도를 높게 유지하고 정기적으로 소독하거나 냉수 시스템을 영구적으로 염소 처리하는 등의 개선 조치를 권장한다.[16]
  • 배관 시스템에서 일단 형성되면 제거하기 어려워지므로 생물막의 예방이 중요하다. 생물막 형성 가능성은 배관 스케일 및 부식, 따뜻한 물 온도, 정체 및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영양소의 양에 따라 증가한다.[16]
  • 고온 또는 화학적 생물 살균제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정기적으로 소독하고 적절한 경우 염소 소독을 사용한다. 모노클로라민은 잔류물이 배달 지점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유리 염소(차아염소산나트륨)보다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모노클로라민은 레지오넬라 생물막을 더 잘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16] 구리-은 이온화 또는 자외선을 이용한 물 처리도 효과적일 수 있다.[35]
  • 시스템 설계(또는 개조)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을 줄이고 건물 공기 흡입구에서 충분히 멀리 에어로졸을 배출하여 사람의 노출을 줄일 수 있다.


효과적인 상수 안전 계획에는 교육, 기록 보관, 직원 간 의사소통, 비상 계획 및 관리 책임과 같은 사항도 포함된다. 계획의 형식과 내용은 공중 보건 법률 또는 규정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상수 안전 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현장 특정 레지오넬라 위험 평가를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종종 권장된다.[36] 레지오넬라 위험 평가는 위험 요소, 위험 수준 및 포괄적인 상수 안전 계획 내에서 시행할 관리 조치에 대한 권장 사항을 식별한다.

욕조 시설, 초음파 가습기, 공조기기 및 덕트 등이 감염원이 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특히 일본에서는 욕조 시설에서의 감염 사례가 많다. 1996년, 통상산업성(経済産業省)에서 가정용 24시간 목욕탕 욕수에서 레지오넬라균의 존재가 확인되기 쉽다는 것이 확인되어 제조업체 및 판매업체에 위생 대책을 요구하였고, 1997년에는 각 업체에서 레지오넬라 대책 24시간 목욕탕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각지의 온천과 공동 목욕 시설에서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어 위생 관리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레지오넬라균은 목욕 시설에서 자주 사용되는 여과 순환 장치의 여과재로는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순환식 욕조를 갖춘 공동 목욕 시설에서는 다음 두 가지 사항이 지도되고 있다.

# 염소 소독을 실시하고 정기적으로 물을 빼고 청소할 것 (레지오넬라균 번식 억제)

# 거품 목욕을 하지 않고,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주입구가 아닌 욕조 내부에서 순환시킬 것 (에어로졸 형성 억제)

또한, ''L. longbeachae''에 의한 질병도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토양에 존재하는 병원균이 원예용 퇴비 등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 흘림 방식

: 기존에는 순환식보다 오염 정도가 낮다고 여겨져 왔지만, 미야기현 보건환경센터의 22개 시설 조사에서는 약 30%의 시설에서 공중목욕장법 및 여관업법 시행세칙 기준을 초과하는 오염이 확인되었으며,[93] 욕조 내부의 세균과 욕조 주변의 미끈거림의 세균 PFGE 패턴이 일치하여 주변 미끈거림이 욕조 오염의 원인일 가능성을 보고하고 있다. 동시에 흘림 방식 온천에서도 충분한 위생 관리를 실시하여 감염 사고 예방이 필요하다고 하고 있다.

6. 치료

레지오넬라증 치료에는 주로 항생제가 사용된다.[87] 효과적인 항생제로는 마크롤리드, 테트라사이클린, 케톨리드, 퀴놀론 등이 있다.[2] 레지오넬라균은 세포 내에서 증식하기 때문에 세포 내 투과성이 뛰어난 항생제가 효과적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는 호흡기계 퀴놀론 (레보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젬플록사신) 또는 새로운 마크롤리드 (아지트로마이신, 클라리스로마이신, 록시트로마이신)이다. 레보플록사신, 독시사이클린, 아지트로마이신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마크롤리드 (아지트로마이신)는 모든 연령대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은 12세 이상, 퀴놀론 (레보플록사신)은 18세 이상에게 처방된다. 리팜피신은 퀴놀론 또는 마크롤리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지만, 치료 효과는 불확실하다. 미국 감염병 학회는 리팜피신 추가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최초 발병 당시에는 테트라사이클린과 에리스로마이신이 다른 항생제보다 효과적이었다. 이는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된 세포 내 투과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권장 치료법은 레보플록사신 5~10일 또는 아지트로마이신 3~5일 복용이지만, 면역 저하자나 중증 질환자는 더 দীর্ঘ 기간 복용해야 할 수 있다.[2] 발병 시 고위험군에게는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하기도 한다.[2]

1976년 미국 레지오넬라균 집단 발병 당시,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등 세포 내 투과성이 낮은 항생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사망률이 높았다 (182명 중 29명 사망).[37] 적절한 항생제를 신속하게 투여하면 사망률은 5% 미만으로 감소하지만, 투여가 지연되면 사망률이 높아진다.

레지오넬라균은 β-락타마제를 생성하므로 페니실린계, 세팔로스포린계 항균제는 효과가 없다. 세포 내 침투성이 높은 마크로라이드계, 퀴놀론계, 리팜피신, 테트라사이클린계 항균제를 투여한다.[85]

7. 역학

레지오넬라증은 1976년 7월, 미국 필라델피아 벨뷰-스트래트포드 호텔에서 열린 미국 레지온스(American Legion) 총회에 참석한 사람들 사이에서 폐렴이 발생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보고된 182건의 사례 중 대부분은 남성이었고, 그중 29명이 사망했다.[39] 1977년 1월 18일, 원인균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박테리아 균주로 확인되었고, ''레지오넬라(Legionella)''로 명명되었다. 발생을 일으킨 종은 ''레지오넬라 폐렴균(Legionella pneumophila)''으로 명명되었다.[40][41][42] 이 발견 이후, 1950년대부터 설명할 수 없었던 심각한 호흡기 질환 발생은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것으로 소급 적용되었다.[37]

레지오넬라증 발생은 언론의 주목을 받지만, 이 질병은 일반적으로 인지된 발생과 관련이 없는 단일한, 고립된 사례로 발생한다. 발생은 대개 여름과 초가을에 발생하지만, 연중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감염은 중년 또는 노년층에서 발생한다.[44]

국가 감시 시스템과 연구는 일찍이 설립되었고, 최근 몇 년 동안 진단 방법의 개선으로 많은 국가에서 보고된 사례가 증가했다. 환경 연구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감염원을 확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침과 규정이 정기적으로 개정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국에 따르면, 매년 미국에서 약 8,000~18,000건의 레지오넬라증이 발생한다.[45]

1995년부터 2005년까지 유럽 레지오넬라 감염 연구 그룹(European Working Group for Legionella Infections)에 32,000건 이상의 레지오넬라증 사례와 600건 이상의 발생이 보고되었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자료가 제한적이며, 레지오넬라균 관련 질병은 전 세계적으로 저진단될 가능성이 높다.[16]

2011년 연구에서는 과거 발생의 증상 시작일을 바탕으로 레지오넬라 발생 중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사례 수를 예측하는 모델링을 성공적으로 사용했다. 이를 통해 발생의 최종적인 규모를 예측하여 발생 관리에 있어 공중 보건 자원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46]

코로나19 범유행 동안 일부 연구원과 기관은 코로나19 봉쇄가 레지오넬라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47][48] 또한 영국에서는 적어도 두 명이 레지오넬라균과 SARS-CoV-2의 동시 감염으로 사망했다.[49]

일본에서는 감염병의 예방 및 감염병 환자에 대한 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레지오넬라증을 4종 감염병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는 2003년 개정 당시 레지오넬라 발생 증가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오염 시설 소독 등에 대한 행정 조치를 가능하게 하였다.

8. 주요 감염 사례

레지오넬라증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며, 특히 냉각탑, 온수 시스템, 가습기 등에서 자주 발생한다. 발병은 질병 발생 시기와 공간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감염의 공통 원인에 대한 의심이나 증거가 존재하는 두 건 이상의 사례로 정의된다.[50]

레지오넬라증의 주요 감염 사례는 국제적인 사례와 일본 내 사례로 나눌 수 있다. (국제적 주요 감염 사례와 한국의 주요 감염 사례는 이미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생략)

8. 1. 국제적 주요 감염 사례

레지오넬라증의 국제적 주요 감염 사례는 다음과 같다.

발생 연도국가 및 지역발생 장소확진자 수사망자 수감염원
1985년 4월잉글랜드 스태퍼드병원175명28명에어컨 냉각탑[51]
1999년 3월네덜란드 보번카르스펠꽃 전시회318명최소 32명- [52]
2001년 7월스페인 무르시아-449명6명- [53]
2005년 9월캐나다요양원127명21명에어컨 냉각탑[54]
2012년 여름캐나다 퀘벡-165명10명- [97]
2005년캐나다 토론토-127명21명- [100]
-캐나다 퀘벡 시티하류 지역180명13명냉각탑[55]
2014년 11월포르투갈비료 공장302명7명냉각탑[56]
2014년 12월, 2015년 7월, 8월미국 뉴욕 브롱크스주택 개발 사업장, 호텔약 132명12명오염된 냉각탑[57][58]
2015년 8월미국 캘리포니아 산 퀸틴 주립 교도소-81명-냉각탑 슬러지[60]
2015년 6월 ~ 2016년 1월미국 미시간주 플린트-87명10명플린트 수질 위기와 관련 가능성 있음[61][62]
2017년 11월포르투갈 리스본병원최대 53명5명- [63]
2015년, 2017년 11월미국 일리노이주 퀸시재향군인 요양원50명 이상, 추가 3건12명오염된 상수도[64]
2017년 가을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디즈니랜드-22명-냉각탑[65]
2019년 7월미국 애틀랜타쉐라톤 호텔11명 (추가 55건 가능성)-- [66]
2019년 9월미국 노스캐롤라이나산악 주립 박람회141명4명온수 욕조 전시[67][68][69][70]
2019년 12월서호주발리 리조트 근처4명-- [71][72]
2024년 2월미국 미네소타 주 그랜드 래피즈-14명-시정 상수도[73]
2024년 1월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CBD-7명-- [74][75]


8. 2. 한국의 주요 감염 사례

원문에 따르면 레지오넬라증의 한국 내 주요 감염 사례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대신 일본에서 발생한 주요 감염 사례가 제시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발생 연도발생 위치 및 내용
1996년도쿄도 신주쿠구 대학병원. 신생아 3명 발병, 1명 사망. 가습기가 감염원으로 추정.
1999년아이치현. 자택 24시간 욕조에서 수중분만한 신생아 감염, 사망.
2000년시즈오카현 가케가와시 복합 레저 시설 내 온천. 23명 발병, 2명 사망.
2000년이바라키현 이시오카시 목욕시설. 143명 발병, 3명 사망.
2002년미야자키현 히유가시 온천 입욕 시설. 295명 발병, 7명 사망.
2002년가고시마현 사쓰마군 동고정(현 사쓰마가와내시) 온천 시설. 9명 발병, 1명 사망.
2007년니가타현 니가타시. 초음파식 가습기가 감염원, 남성 1명 사망.[94]
2008년가고시마현 이부스키시 족탕. 고압 세척기로 욕조 청소하던 남성 1명 발병 (일본 최초 족탕 감염 사례).
2008년군마현 천연광석 사용 입욕 시설 (감염 원인 추정).[95]
2011년군마현 미나카미정 여관. 60대 남성 입욕 시설 감염, 사망.
2012년사이타마현 히다카시 온천 시설 욕조. 이용객 4명 발병.
2013년지바현 후나바시시 입욕 시설. 60대 남성 발병, 사망.
2014년사이타마현 키타모토시 온천 시설. 남성 이용객 3명 발열, 호흡 곤란 등 증상, 60대 남성 사망.
2015년이와테현 모리오카시 공중목욕탕. 집단 감염, 50~80대 남녀 9명 입원, 70대 남성 폐렴으로 사망.
2015년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 입욕 시설. 이용객 레지오넬라증 진단, 일부 욕조에서 기준치 초과 균 검출.
2017년히로시마현 미하라시 당일치기 온천 시설. 이용객 40명 감염, 50대 남성 레지오넬라 폐렴으로 사망.
2022년효고현 고베시 온천숙박시설. 70대 남성 2명 감염, 1명 레지오넬라 폐렴으로 사망. 욕조에서 기준치 초과 균 검출.
2022년후쿠오카현 치쿠시노시 노포 온천 숙박 시설. 이용객 감염 사실 확인, 보건소 조사 결과 욕조에서 기준치 2배 초과 균 검출. 영업 정지 후 재개, 11월 불시 검사에서 기준치 3700배 균 검출. 공중목욕장법 및 후쿠오카현 조례 위반(온수 교체 연 2회, 관리대장 위장, 염소 소독약 미주입).[96] 2023년 3월 2일 사장 사임.


참조

[1]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About the Disease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01-26
[2] 논문 Legionnaires' disease 2016-01-23
[3]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Signs and Symptom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01-26
[4]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 Hill 2022
[5]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Causes and Transmission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03-09
[6]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People at Risk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01-26
[7] 웹사이트 Legionella: Causes, How it Spreads, and People at Increased Risk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9-09-17
[8]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Diagnostic Testing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5-11-03
[9]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Prevention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01-26
[10] 논문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American Thoracic Society consensus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adults 2007-03-01
[11]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Clinical Feature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5-10-28
[12]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Treatment and Complication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01-26
[13]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Prevention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5-10-28
[14]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History and Disease Pattern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01-22
[15]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01-15
[16] 서적 Legionella and the prevention of legionellosis https://iri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4-03-17
[17] 웹사이트 Legionnaires Disease: History and clinical findings http://www.open-acce[...] 2010-06-26
[18] 서적 Legionella: Molecular Microbiology Caister Academic Press 2008-03
[19] 논문 Relative bradycardia in infectious diseases 1996-11
[20] 서적 Textbook of Diagnostic Microbi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1]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01-22
[22] 논문 Probable Person-to-Person Transmission of Legionnaires' Disease 2016-01-23
[23] 웹사이트 HSE – Legionnaires' disease – Hot and cold water systems – Things to consider http://www.hse.gov.u[...]
[24] 논문 Confirmed and Potential Sources of Legionella Reviewed
[25] 웹사이트 Code Classroom: Legionella Growth in Hot Water Systems https://www.phcppros[...] PHCP Pros 2018-10-05
[26] 논문 Free-living amoebae protecting Legionella in water: The tip of an iceberg?
[27] 논문 Communitywide Outbreak of Legionnaires' Disease Associated with a Grocery Store Mist Machine 1992-04-01
[28] 판례 Silivanch v. Celebrity Cruises, Inc.
[29] 서적 Baron's Medical Microbiology Univ of Texas Medical Branch
[30] 논문 Transmission of Legionella by respiratory equipment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s 1992-11
[31] 논문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gionella infection in South Australia: implications for disease control
[32] 논문 Legionella and Legionnaires' Disease: 25 Years of Investigation
[33] 논문 Rapid diagnosis of pneumonia due to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 1982-09
[34] 논문 Legionella bacteria and solar pre-heating of water for domestic purposes http://www.wras.co.u[...] 2008-01
[35] 논문 Are there effective interventions to prevent hospital-acquired Legionnaires' disease or to reduce environmental reservoirs of Legionella in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2016-11-01
[36] 서적 Legionella and the prevention of legionellosis Geneva 2007-01-01
[37] 논문 Legionnaires disease: Historical perspective
[38] 논문 Role of environmental surveillance in determining the risk of hospital-acquired legionellosis: A national surveillance study with clinical correlations http://www.legionell[...] 2007-07-01
[39] 백과사전 Legionnaire disease https://www.britanni[...] 2013-10-30
[40] 논문 Legionnaires' disease bacterium isolated in 1947
[41] 논문 Legionnaires' disease: description of an epidemic of pneumonia
[42] 웹사이트 From the January 18, 1977, special issue of {MMWR} Epidemiologic Notes and Reports Follow-up on Respiratory Illness – Philadelphia https://www.cdc.gov/[...] 2020-01-18
[43] 논문 Showers, sweating and suing: Legionnaires' disease and 'new' infections in Britain, 1977–90 2012-01-01
[44] 웹사이트 Legionnaire disease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5-08-05
[45] 웹사이트 Legionellosis http://www.mass.gov/[...] 2012-11-12
[46] 논문 Modeling Legionnaires' disease outbreaks: Estimating the timing of an aerosolized release using symptom-onset dates 2011-03-01
[47] 논문 Legionnaires' disease in the time of COVID-19 2021-01-01
[48] 웹사이트 Legionnaires' disease: lockdown risks and reopening safely https://www.cieh.org[...] Chartered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2022-11-03
[49] 논문 Fatal Co-infections with SARS-CoV-2 and ''Legionella pneumophila'', England 2021-11-01
[50] 웹사이트 Legionella Outbreak Toolbox https://legionnaires[...] 2020-07-01
[51] 논문 The Stafford outbreak of Legionnaires' disease 1990-06-01
[52] 논문 A Large Outbreak of Legionnaires' Disease at a Flower Show, the Netherlands, 1999 https://wwwnc.cdc.go[...]
[53] 논문 Legionnaires' Disease Outbreak in Murcia, Spain 2003-08-01
[54] 뉴스 CBC – Toronto legionnaires' outbreak linked to 3 more deaths https://www.cbc.ca/n[...] 2005-10-12
[55] 뉴스 DRSP – Direction régionale de santé publique de la Capitale-Nationale http://www.dspq.qc.c[...] 2012-09-12
[56] 뉴스 Surto de legionella é o terceiro maior de sempre no mundo: 302 infetados e sete mortos https://expresso.sap[...] Jornal Expresso
[57] 뉴스 Legionnaires' disease kills two, sickens 31 in New York City https://www.reuters.[...] Reuters 2015-07-29
[58] 뉴스 One Dead in New Bronx Outbreak of Legionnaires' Disease https://www.nytimes.[...] 2015-09-30
[59] 뉴스 Legionnaires' Bacteria Regrew in Bronx Cooling Towers That Were Disinfected https://www.nytimes.[...] 2015-10-01
[60] 뉴스 Officials track down source of Legionnaires' in Calif. prison https://www.cbsnews.[...] 2015-10-01
[61] 뉴스 Flint, Mich., has 10 fatal cases of Legionnaires' disease; unclear if linked to water https://www.washingt[...] 2016-01-14
[62] 웹사이트 This is our "Chernobyl": Frontline's "Flint's Deadly Water" exposes shocking Legionnaires' crisis https://www.salon.co[...] 2019-09-10
[63] 웹사이트 Legionella. Número de casos sobe para 53 – Renascença https://rr.sapo.pt/n[...] 2017-11-15
[64] 웹사이트 Third case of Legionnaires reported at Quincy veterans home http://wqad.com/2017[...] 2017-11-29
[65] 웹사이트 Disneyland tower suggested as Legionnaires' disease source https://www.foxnews.[...] 2018-12-05
[66] 웹사이트 11 former guests of an Atlanta hotel now have Legionnaires' disease. Authorities have identified 55 more probable cases https://www.cnn.com/[...] 2019-07-30
[67] 웹사이트 Hot tub exhibit linked to 124 cases of Legionnaires' disease at NC Mountain State Fair https://www.wral.com[...] 2019-10-03
[68] 웹사이트 Four People Have Died From A Legionnaires' Outbreak Linked To A Hot Tub Display At A State Fair https://www.buzzfeed[...] 2019-10-19
[69] 웹사이트 4 dead from Legionnaires' disease linked to hot tub display at North Carolina state fair https://www.cbsnews.[...] 2019-10-21
[70] 뉴스 Legionnaires' case associated with Quilt Show at WNC Ag Center Asheville Citizen Times 2019-10-17
[71] 웹사이트 Legionnaires' disease warning for Bali travellers https://ww2.health.w[...] 2020-01-18
[72] 웹사이트 Legionnaires' disease warning for Australians who have visited Bali https://www.sbs.com.[...] 2020-01-18
[73] 웹사이트 Health officials identify source of Legionnaires' disease outbreak in Grand Rapids https://www.health.s[...] 2024-02-13
[74] 웹사이트 Seven hospitalised after contracting Legionnaires' disease after visiting Sydney CBD https://www.abc.net.[...] 2024-01-04
[75] 웹사이트 Legionnaires' disease alert for Sydney CBD https://www.health.n[...] 2024-01-04
[76] 웹사이트 Gambling is good, except for the 'toxic' Internet type that offends Sheldon Adelson https://www.mcall.co[...] 2019-09-11
[77] 논문 Legionnaires' disease. 2016-01-23
[78] 서적 Textbook of Diagnostic Microbi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79]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About the Disease https://www.cdc.gov/[...] 2016-03-21
[80]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Signs and Symptoms https://www.cdc.gov/[...] 2016-03-21
[81]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Causes and Transmission https://www.cdc.gov/[...] 2016-03-21
[82]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People at Risk https://www.cdc.gov/[...] 2016-03-21
[83]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Diagnostic Testing https://www.cdc.gov/[...] 2016-03-21
[84]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Prevention https://www.cdc.gov/[...] 2016-03-21
[85] 논문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American Thoracic Society consensus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adults. 2007-03-01
[86]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Clinical Features https://www.cdc.gov/[...] 2016-03-21
[87]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Treatment and Complications https://www.cdc.gov/[...] 2016-03-21
[88]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Prevention https://www.cdc.gov/[...] 2016-03-21
[89]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History and Disease Patterns https://www.cdc.gov/[...] 2016-03-21
[90]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https://www.cdc.gov/[...] 2016-03-21
[91] 웹사이트 レジオネラ症とは https://www.niid.go.[...] 2020-03-06
[92] 논문 Clinical predictors for Legionella in patients presenting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to the emergency department 2009
[93] 간행물 掛け流し式温泉における微生物生息状況 (pdf) http://www.pref.miya[...] 宮城県保健環境センター 2006
[94] 간행물 家庭用超音波式加湿器が感染源と考えられたレジオネラ症の1例 http://idsc.nih.go.j[...] 国立感染症研究所
[95] 간행물 天然鉱石を使用した入浴施設が原因であると推定されたレジオネラ感染事例-群馬県 http://idsc.nih.go.j[...] 国立感染症研究所
[96] 뉴스 福岡の老舗旅館、湯の交換は年2回だけ 基準の3700倍の菌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3-02-28
[97] 뉴스 CNN.co.jp 2023-09-03
[98] 웹사이트 http://www.cbc.ca/ne[...]
[99] 뉴스 http://www.globaltve[...] The Canadian Press 2012-09-07
[100] 뉴스 Legionnaires' kills 11 people in Quebec City http://www.cbc.ca/ne[...] CBC News 2012-09-07
[101]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https://archive.org/[...] McGraw Hill
[102] 서적 Legionella: Molecular Microbiology Caister Academic Pr
[103] 웹인용 Top 10 things every clinician needs to know about Legionellosis http://www.cdc.gov/l[...] CDC 2008-10-19
[104] 웹인용 Legionnaires' Disease http://www.sciencecl[...] 2008-10-19
[105] 서적 Baron's Medical Microbiology http://www.ncbi.nlm.[...] Univ of Texas Medical Branch
[106] 웹인용 Legionnaire's disease http://www.nlm.nih.g[...] Nlm.nih.gov 2010-09-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