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루터 킹 시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틴 루터 킹 시니어는 미국의 침례교 목사이자 시민 운동가로,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아버지이다. 1899년 조지아주에서 태어난 그는 모어하우스 칼리지에서 신학 학위를 받았으며, 1927년부터 40년 동안 에베네저 침례 교회의 담임 목사로 재직하며 흑인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킹 시니어는 시민권 운동의 지역 지도자로서 NAACP 등에서 활동했으며, 아들인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시민권 운동 참여를 격려했다. 그는 1984년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으며, 1974년에는 그의 아내가 교회에서 암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딜라드 대학교 동문 - 베아 리처즈
베아 리처즈는 미국의 배우, 작가, 사회 운동가로서, 연기 활동과 더불어 시집을 발표하고 미국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사회 운동에도 참여했으며,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오르고 에미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 딜라드 대학교 동문 - 개릿 모리스
개릿 모리스는 미국의 배우, 코미디언, 가수로,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초기 멤버로서 치코 에스쿠엘라 등 인기 캐릭터를 연기하며 이름을 알렸고 이후 영화, TV 드라마, 시트콤 등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로자 파크스 사건으로 촉발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은 흑인 공동체의 비폭력 저항을 통해 382일간 지속되어 연방 대법원의 버스 인종차별 정책 위헌 판결을 이끌어낸 미국 시민권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 I Have a Dream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나는 꿈이 있다" 연설은 1963년 워싱턴 대행진에서 인종차별 철폐와 평등을 염원하며 행해졌으며, 시민권 운동의 전환점이 되어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고, 현재까지도 인종 평등의 상징으로 기념된다. - 조지아주의 공화당 당원 - 제임스 롱스트리트
제임스 롱스트리트는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군의 장군으로, 로버트 E. 리 휘하에서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게티스버그 전투에서의 역할은 논쟁거리이며, 전쟁 후 공화당에 가입하여 공직을 역임했고 군사적 업적과 진보적인 면모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조지아주의 공화당 당원 - 허먼 케인
허먼 케인은 기업인, 라디오 진행자, 작가, 공화당 정치인으로서 코카콜라, 필즈베리, 버거킹, 갓파더스 피자 CEO를 역임하고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이사,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공화당 후보를 지냈으나 성추문 의혹으로 사퇴 후 라디오 진행자와 작가로 활동하다 코로나19로 사망했다.
마틴 루터 킹 시니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마틴 루터 킹 시니어 |
출생명 | 마이클 킹 |
출생일 | 1899년 12월 19일 |
출생지 | 조지아주 스톡브리지 |
사망일 | 1984년 11월 11일 |
사망지 | 조지아주 애틀랜타 |
묻힌 곳 | 사우스뷰 공동묘지 |
교육 | 모어하우스 칼리지 |
직업 | 목사 |
배우자 | 앨버타 윌리엄스 킹 (1926년 결혼, 1974년 사별) |
자녀 | 크리스틴 킹 페리스 마틴 킹 주니어 A. D. 킹 |
아버지 | 제임스 앨버트 킹 |
알려진 이유 | 마틴 루터 킹의 아버지 |
![]() | |
![]() |
2. 생애
1926년 추수감사절에 8년간 교제한 후, 킹 시니어는 에베네저 침례 교회에서 앨버타와 결혼했다.[3] 부부는 윌리 크리스틴 킹(1927–2023), 마틴 루터 킹 주니어(1929–1968), 알프레드 다니엘 윌리엄스 킹(1930–1969) 세 자녀를 두었다.
킹 시니어는 아들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암살(1968년), 막내 아들의 의문사(1969년), 그리고 부인 앨버타 윌리엄스 킹의 피살(1974년) 등 연이은 가족의 비극을 겪었다. 이러한 비극에도 불구하고, 그는 1980년 자신의 자서전을 출판하는 등 84세로 사망할 때까지 활동을 이어갔다.[18]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마틴 루터 킹 시니어는 1875년에 태어난 델리아(결혼 전 성씨는 린지)와 1864년에 태어난 제임스 앨버트 킹 부부의 아들로, 조지아주 스톡브리지에서 마이클 킹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1]플로이드 채플 침례교회의 신도였던 그는 인종 평등을 위해 헌신하는 목사들에게 영감을 받아 목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당시 에베네저 침례교회의 목사였던 A. D. 윌리엄스 목사의 집에서 하숙을 했는데, 킹이 윌리엄스 목사의 딸인 앨버타와 교제를 시작하자 그녀의 가족들은 그에게 학업을 마치고 목사가 되라고 권유했다. 킹은 브라이언트 예비학교에서 고등학교 교육을 마쳤고, 애틀랜타의 여러 흑인 교회에서 설교를 하기 시작했다.
1925년, 모어하우스 칼리지에서 신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낮에는 기계공 조수 및 철도 소방관으로 일하면서 공부를 했다.[2] 1931년 신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2. 2. 목회 활동
1927년 애틀랜타의 에베네저 침례 교회에서 부목사가 되었고, 1931년에는 담임 목사가 되었다.[3] 미국이 대공황에 시달리는 동안 교회 재정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킹은 회원 모집과 모금 활동을 조직하여 재정을 회복시켰다. 1934년 지역 교회의 존경받는 지도자가 된 킹은 스스로 점진적인 변화를 거친 후, 자신의 이름과 장남의 이름을 마이클 킹에서 마틴 루터 킹으로 개명했다.[4]같은 해 침례교 세계 연맹(BWA) 회의를 위해 독일을 방문했을 때 킹은 영감을 받았다. 종교 개혁 지도자 마틴 루터와 관련된 장소를 방문하는 동안, 참석자들은 나치즘의 부상 또한 목격했다. BWA 회의는 반유대주의를 규탄하는 결의안을 발표했지만, 킹 시니어는 루터의 항의의 힘에 대한 깊은 인식을 얻었다.[5]
킹은 40년 동안 에베네저 침례 교회의 목사로 재직하면서 흑인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백인 사회로부터 어느 정도의 존경을 받았다. 그는 또한 애틀랜타의 종교 라디오 방송국인 WAEC에서 방송을 했다.
시민권 운동의 지역 지도자였던 킹은 NAACP 애틀랜타 지부의 집행 위원회[6]와 시민 정치 연맹에서 임원으로 활동했다.[7] 그는 아들에게 운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했다.
1950년 에세이 "종교적 발전의 자서전"에서 킹 주니어는 "아버지의 영향력이 제가 목사가 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그가 저에게 목사가 되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그에 대한 저의 존경심이 큰 원동력이었습니다. 그는 제가 따르고 싶지 않을 수 없는 고귀한 본보기를 제시했습니다."라고 쓰며 그의 아버지가 자신이 목사가 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킹 주니어는 종종 그의 아버지가 그를 자주 들판에서 일하도록 보냈으며, 이런 식으로 조상에 대한 더 건강한 존경심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회상했다.
킹 주니어는 자서전에서 그의 아버지와 그가 자리를 바꾸라는 요청을 받아 신발 가게를 떠났던 것을 기억했다. 그는 "이것은 아버지가 그렇게 격노하는 것을 처음 본 순간이었습니다. 그 경험은 아주 어릴 때 아버지께서 이 시스템에 적응하지 못하셨고, 제 양심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셨다는 것을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저는 그가 '이 시스템과 얼마나 오래 살아야 하든, 절대 받아들일 수 없어.'라고 중얼거리며 그와 함께 거리를 걷던 것을 아직도 기억합니다."라고 말했다.[8]
킹 주니어가 전한 또 다른 이야기는 그의 아버지가 운전하던 차가 경찰관에게 정지당했고, 그 경찰관이 킹 시니어를 "소년"이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킹은 아들을 가리키며 "이 아이가 소년이고, 나는 남자입니다. 당신이 나를 그렇게 부르기 전까지는 당신의 말을 듣지 않겠습니다."라고 말했다.
킹 주니어는 1948년에 에베네저의 부목사가 되었고, 그의 아버지는 그가 펜실베이니아주 체스터에 있는 크로저 신학교에 입학하도록 추천서를 써주었다. 킹 시니어는 또한 킹 주니어가 가족 친구인 J. 파이어스 바버와 함께 일하도록 주선했는데, 그는 체스터의 갈보리 침례 교회에서 목사로 활동했다.[9] 아버지와 아들은 신학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나중에 함께 교회의 공동 목사로 섬기게 되었다.
킹은 조지아주에서 시민권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애틀랜타의 NAACP와 시민 정치 연맹의 수장이 되었다. 그는 애틀랜타에서 교사들의 동일 임금 투쟁을 이끌었다. 그는 또한 주에서 짐 크로우 법을 종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킹은 1920년대부터 흑인 승객에 대한 악의적인 공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책임자에 대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자 애틀랜타의 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거부했다. 킹은 교육받고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흑인 목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1960년 10월, 킹 주니어가 애틀랜타에서 평화적인 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었을 때, 로버트 F. 케네디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 존 F. 케네디의 형이자 보좌관으로서 판사에게 전화하여 그의 석방을 도왔다. 킹 시니어는 이전에 존 케네디가 가톨릭 신자라는 이유로 그를 반대했지만, 이러한 전화에 감사를 표하며 지지를 케네디로 바꿨다. 이 때까지 킹 시니어는 평생 공화당 등록 유권자였으며, 케네디를 지지하기 전에 공화당의 리처드 닉슨을 지지했다.[10]
킹 주니어는 곧 인기 있는 시민권 운동가가 되었다.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에게서 영감을 받아,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권리 확대를 위해 비폭력 시위를 이끌었다.
킹 주니어는 1968년에 암살되었다. 킹 시니어의 막내 아들 알프레드 다니엘 윌리엄스 킹은 1969년 7월 21일, 그의 39번째 생일 9일 전에, 당국이 사고 익사로 규정한 의문의 상황에서 사망했다.
1969년, 킹은 학교의 교육 과정과 운영의 개혁을 요구하는 학생 그룹에 의해 캠퍼스에서 인질로 잡힌 모어하우스 칼리지 이사회의 여러 구성원 중 한 명이었다. 그 학생 중 한 명은 사무엘 L. 잭슨이었으며, 그는 자신의 행동으로 정학을 당했다. 잭슨은 이후 배우가 되었고 아카데미상 후보로 지명되었다.[11]
1975년, 지미 카터는 1976년 선거의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서 킹의 지지를 구했다.[12] 그는 부통령 넬슨 록펠러가 그의 시민권 평판 때문에 후보가 아니라면 지지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대답했다. 록펠러가 후보가 아니었기 때문에 킹은 수락했다. 그는 카터가 어색한 발언을 한 후,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회와 언론에서 그의 일반적인 기록을 옹호했다. 그는 1976년 민주당 전당 대회와 1980년에 기도를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13]
1980년, 그는 자신의 자서전을 출판했다.
2. 3. 시민권 운동 참여
그는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 애틀랜타 지부의 집행 위원[6]과 시민 정치 연맹에서 임원으로 활동하며 시민권 운동의 지역 지도자가 되었다.[7] 그는 아들 마틴 루터 킹 주니어에게 운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했다.1950년 에세이 "종교적 발전의 자서전"에서 킹 주니어는 그의 아버지가 자신이 목사가 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썼다. 그는 "아버지의 영향력이 제가 목사가 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그가 저에게 목사가 되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그에 대한 저의 존경심이 큰 원동력이었습니다. 그는 제가 따르고 싶지 않을 수 없는 고귀한 본보기를 제시했습니다."라고 말했다.
킹 주니어는 종종 그의 아버지가 그를 자주 들판에서 일하도록 보냈다고 회상했다. 그는 이런 식으로 조상에 대한 더 건강한 존경심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킹 주니어는 자서전에서 그의 아버지와 그가 자리를 바꾸라는 요청을 받아 신발 가게를 떠났던 것을 기억했다. 그는 "이것은 아버지가 그렇게 격노하는 것을 처음 본 순간이었습니다. 그 경험은 아주 어릴 때 아버지께서 이 시스템에 적응하지 못하셨고, 제 양심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셨다는 것을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저는 그가 '이 시스템과 얼마나 오래 살아야 하든, 절대 받아들일 수 없어.'라고 중얼거리며 그와 함께 거리를 걷던 것을 아직도 기억합니다."라고 말했다.[8]
킹 주니어가 전한 또 다른 이야기는 그의 아버지가 운전하던 차가 경찰관에게 정지당했고, 그 경찰관이 킹 시니어를 "소년"이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킹은 아들을 가리키며 "이 아이가 소년이고, 나는 남자입니다. 당신이 나를 그렇게 부르기 전까지는 당신의 말을 듣지 않겠습니다."라고 말했다.
킹 주니어는 1948년에 에베네저의 부목사가 되었고, 그의 아버지는 그가 펜실베이니아주 체스터에 있는 크로저 신학교에 입학하도록 추천서를 써주었다. 킹 시니어는 또한 킹 주니어가 가족 친구인 J. 파이어스 바버와 함께 일하도록 주선했는데, 그는 체스터의 갈보리 침례 교회에서 목사로 활동했다.[9] 아버지와 아들은 신학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나중에 함께 교회의 공동 목사로 섬기게 되었다.
킹은 조지아주에서 시민권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애틀랜타의 NAACP와 시민 정치 연맹의 수장이 되었다. 그는 애틀랜타에서 교사들의 동일 임금 투쟁을 이끌었다. 그는 또한 주에서 짐 크로우 법을 종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킹은 1920년대부터 흑인 승객에 대한 악의적인 공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책임자에 대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자 애틀랜타의 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거부했다. 킹은 교육받고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흑인 목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1960년 10월, 킹 주니어가 애틀랜타에서 평화적인 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었을 때, 로버트 F. 케네디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 존 F. 케네디의 형이자 보좌관으로서 판사에게 전화하여 그의 석방을 도왔다. 킹 시니어는 이전에 존 케네디가 가톨릭 신자라는 이유로 그를 반대했지만, 이러한 전화에 감사를 표하며 지지를 케네디로 바꿨다. 이 때까지 킹 시니어는 평생 공화당 등록 유권자였으며, 케네디를 지지하기 전에 공화당의 리처드 닉슨을 지지했다.[10]
킹 주니어는 곧 인기 있는 시민권 운동가가 되었다.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에게서 영감을 받아,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권리 확대를 위해 비폭력 시위를 이끌었다.
킹 주니어는 1968년에 암살되었다. 킹 시니어의 막내 아들 알프레드 다니엘 윌리엄스 킹은 1969년 7월 21일, 그의 39번째 생일 9일 전에, 당국이 사고 익사로 규정한 의문의 상황에서 사망했다.
1969년, 킹은 학교의 교육 과정과 운영의 개혁을 요구하는 학생 그룹에 의해 캠퍼스에서 인질로 잡힌 모어하우스 칼리지 이사회의 여러 구성원 중 한 명이었다. 그 학생 중 한 명은 사무엘 L. 잭슨이었으며, 그는 자신의 행동으로 정학을 당했다. 잭슨은 이후 배우가 되었고 아카데미상 후보로 지명되었다.[11]
1975년, 지미 카터는 1976년 선거의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서 킹의 지지를 구했다.[12] 그는 부통령 넬슨 록펠러가 그의 시민권 평판 때문에 후보가 아니라면 지지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대답했다. 록펠러가 후보가 아니었기 때문에 킹은 수락했다. 그는 카터가 어색한 발언을 한 후,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회와 언론에서 그의 일반적인 기록을 옹호했다. 그는 1976년 민주당 전당 대회와 1980년에 기도를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13]
2. 4. 가족의 비극과 말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1968년에 암살되었고, 막내 아들 알프레드 다니엘 윌리엄스 킹은 1969년 7월 21일, 39세 생일을 9일 앞두고 의문의 상황에서 사망했는데, 당국은 이를 사고 익사로 규정했다.[8] 1974년 6월 30일 일요일에는 킹 시니어의 아내이자 킹 주니어의 어머니인 앨버타 윌리엄스 킹이 에베네저 침례 교회에서 열린 주일 예배 중 마커스 웨인 체노울트의 총에 맞아 암살당했다.[14][15] 체노울트는 오하이오 출신의 23세 흑인 남성으로, 흑인 히브리인의 신학을 따랐으며,[14][15] 앨버타가 교회 오르간으로 "주기도문"을 연주하는 동안, "너는 거짓 신을 섬기고 있다"라고 외치며 총을 발사했다.[15] 체포된 암살범은 원래 마틴 루터 킹 시니어를 표적으로 삼았으나, 그를 만나지 못하자 앨버타 킹과 에드워드 보킨 목사를 대신 표적으로 삼았다고 밝혔다.[16] 체노울트는 "흑인 목사들이 흑인들에게 위협이 된다"고 결론 내렸으며 "모든 기독교인은 그의 적"이라고 말하면서 살인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17]1969년, 킹 시니어는 학교의 교육 과정과 운영 개혁을 요구하는 학생 그룹에 의해 모어하우스 칼리지 이사회의 여러 구성원 중 한 명으로 인질로 잡히기도 했다. 이 사건으로 사무엘 L. 잭슨이 정학을 당했는데, 그는 이후 배우가 되었고 아카데미상 후보로 지명되었다.[11]
킹 시니어는 1976년 선거에서 지미 카터를 지지했으며, 1976년 민주당 전당 대회와 1980년에 기도를 요청받았다.[13] 1980년에는 자신의 자서전을 출판했다.
킹 시니어는 1984년 11월 11일, 애틀랜타의 크로포드 W. 롱 병원에서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향년 84세였다. 그는 애틀랜타의 사우스 뷰 묘지에 아내 곁에 안장되었다.[18]
3. 개인 생활
마틴 루터 킹 시니어는 제임스 앨버트 킹(1864–1933)과 델리아 킹(née 린지, 1875–1924) 사이에서 조지아주 스톡브리지에서 마이클 킹으로 태어났다.[1]
1926년 추수감사절에 8년간의 교제 끝에 앨버타와 이브네제 교회에서 결혼했다.[3] 부부는 4년 동안 세 자녀를 두었다. 윌리 크리스틴 킹 (1927–2023),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본명 마이클 킹 주니어, 1929–1968), 알프레드 다니엘 윌리엄스 킹 (1930–1969)이 그들이다.
킹 시니어의 아내이자 킹 주니어의 어머니인 앨버타는 1974년 6월 30일 일요일, 이브네제 침례 교회 주일 예배 중 마커스 웨인 체노울트에게 암살당했다. 체노울트는 오하이오 출신의 23세 흑인 남성으로, 흑인 히브리인 신학을 따랐다.[14][15] 앨버타가 교회 오르간으로 "주기도문"을 연주하는 동안, 체노울트는 일어서서 "너는 거짓 신을 섬기고 있다"라고 외치며 총을 발사했다.[15] 체포된 암살범은 일요일에 다른 곳에 있었던 마틴 루터 킹 시니어를 표적으로 삼았다고 밝혔다. 킹 시니어를 만나지 못하자 앨버타 킹과 에드워드 보킨 목사를 대신 표적으로 삼았다.[16] 체노울트는 "흑인 목사들이 흑인들에게 위협이 된다"고 결론 내렸으며 "모든 기독교인은 그의 적"이라고 말하면서 살인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17]
킹 시니어는 1984년 11월 11일, 애틀랜타의 크로포드 W. 롱 병원에서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향년 84세였다. 그는 애틀랜타의 사우스 뷰 묘지에 아내 곁에 안장되었다.[18]
4. 수상 및 영예
참조
[1]
웹사이트
King, Martin Luther (Michael) Sr.
https://kinginstitut[...]
2017-06-12
[2]
뉴스
Rev. King dies at 84; with son, a leader in rights movement
https://www.nytimes.[...]
nytimes.com
1984-11-12
[3]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History: 5-Volume Set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9
[4]
서적
The Papers of Martin Luther King Jr., Volume I: Called to Serve, January 1929 – June 195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5]
뉴스
The story of how Michael King Jr. became Martin Luther King Jr.
https://www.stltoday[...]
2019-01-15
[6]
웹사이트
King Sr., reappointed to Atlanta NAACP executive committee
https://kinginstitut[...]
2017-04-18
[7]
웹사이트
Atlanta Civic and Political League reelects King Sr.
https://kinginstitut[...]
2017-06-12
[8]
웹사이트
Chapter 1: Early Years
http://www.stanford.[...]
[9]
서적
There Is a Balm in Gilead: The Cultural Roots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books.google[...]
Fortress Publishing
1991
[10]
서적
Black Republican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GOP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
[11]
웹사이트
Samuel L. Jackson
http://www.thespiann[...]
[12]
뉴스
The Carters and the Kings formed an alliance for race relations though Jimmy and Martin never met
https://apnews.com/a[...]
apnews.com
2023-06-05
[13]
뉴스
Martin Luther King Sr.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1984-11-13
[14]
뉴스
Slaying of Mrs. Martin Luther King Sr.
https://www.newspape[...]
2022-07-12
[15]
뉴스
The murder of Alberta King
http://www.atlantama[...]
2012-06-28
[16]
뉴스
Church shooting evokes memories, prayers and more letters to the editors
http://www.timesfree[...]
2015-06-24
[17]
뉴스
Suspect Believed in Religious Hate
https://news.google.[...]
1974-07-08
[18]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s Atlanta: Other historic sites
https://www.ajc.com/[...]
2018-01-31
[19]
웹사이트
Honorees
https://www.dillard.[...]
Dillard University
2023-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