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 클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요 클럽은 1972년 다나카 가쿠에이가 결성한 일본 자유민주당 내 파벌로, 칠일회, 정치동우회, 목요 클럽으로 이름을 변경하며 활동했다. 다나카 가쿠에이가 록히드 사건으로 몰락한 후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유지하며 '다나카 군단'을 형성했으나, 1980년대 후반 다케시타 노보루의 경세회 결성으로 분열되었고, 1990년 니카이도 그룹의 소멸과 함께 해산되었다. 목요 클럽은 다나카 가쿠에이의 정치적 영향력과 파벌 정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민주당의 사라진 파벌 - 신재정연구회
신재정연구회는 일본 자유민주당 내 파벌로, 1957년 이케다 하야토에 의해 굉지회로 창립되어 여러 총리를 배출하며 자민당 내 주요 파벌로 성장하다가 분열과 재통합을 거쳐 2012년 재분열되었다. - 자유민주당의 사라진 파벌 - 창정회
다케시타 노보루가 주도한 창정회는 다나카 가쿠에이 파벌 내 정책 연구 모임으로, 다케시타의 정치적 기반이 되었으나 다나카의 반발로 해산 후 경세회로 이어졌으며 일본 정치 파벌 형성과 권력 투쟁의 사례로 평가받는다. - 하시모토 류타로 - 헤이세이 연구회
헤이세이 연구회는 자유민주당 내 다케시타 노보루와 가네마루 신을 중심으로 성장한 정치 파벌로, 여러 지도자를 거치며 일본 정치에 영향을 미쳤으나 파벌 정치 심화 및 정경유착 비판 속에서 2024년 정치단체 신고 철회로 전환점을 맞았다. - 하시모토 류타로 - 제1차 하시모토 내각
제1차 하시모토 내각은 1996년 1월 11일부터 1996년 11월 7일까지 존속한 일본의 내각이며, 하시모토 류타로가 총리대신으로 선출되어 자민당 단독 내각으로 출범했다. - 다케시타 노보루 - 다케시타 내각 (개조)
다케시타 개조내각은 소비세 도입 후 리크루트 사건 여파로 출범했으나, 리크루트 사건 연루 의혹과 지지율 급락, 쇼와 천황 서거 등으로 총사퇴하고 우노 소스케 내각으로 이어졌다. - 다케시타 노보루 - 헤이세이 연구회
헤이세이 연구회는 자유민주당 내 다케시타 노보루와 가네마루 신을 중심으로 성장한 정치 파벌로, 여러 지도자를 거치며 일본 정치에 영향을 미쳤으나 파벌 정치 심화 및 정경유착 비판 속에서 2024년 정치단체 신고 철회로 전환점을 맞았다.
목요 클럽 |
---|
2. 역사
1972년 사토 에이사쿠 총리의 퇴진이 예상되자, 다나카 가쿠에이는 오키나와 반환 협정 발효를 계기로 사토파 내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1972년 5월 9일, 사토파 의원 102명 중 중의원 40명(대리인 7명 포함), 참의원 41명(대리인 5명 포함) 등 총 81명이 다나카 지지 모임에 집결하여 사토파는 다나카파와 후쿠다 다케오파로 분열되었다.[1]
같은 해 7월 5일 1972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다나카는 후쿠다, 오히라 마사요시, 미키 다케오를 누르고 총재로 당선되었고, 7월 7일 총리대신에 취임했다. 이에 따라 "'''칠일회'''"가 정식으로 결성되었고, 니시무라 에이이치가 회장에 취임했다.
칠일회는 중일 국교 정상화를 이룬 다나카의 영향으로 중화민국(대만)과 거리를 두는 친중파가 많았다. 또한, 도로나 우정 등 공공사업을 통해 자금과 표를 확보하는 족의원이 많았다. 이들은 자민당 내 모든 정책 부회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지방 자치 단체장들은 "다나카 파벌에 소속되면 지역의 모든 진정을 파벌 내에서 처리받을 수 있다"는 인식을 가졌다. 이는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 붕괴 후에도 다나카파가 구심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다나카는 자신의 파벌을 종합병원으로 평가했다.
1976년 록히드 사건으로 다나카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가 체포되었다. 다나카는 자민당 탈당계와 칠일회 퇴회계를 제출했지만, 보석 후에도 형사 피고인 신분으로 파벌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어둠의 장군"으로 불렸다. 이때에도 다나카 파벌 탈락자는 없었다.
1977년, 당 내 파벌 해소 흐름으로 "칠일회" 간판을 내렸지만, 다음 해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를 계기로 파벌 활동을 부활시켜 "'''정치 동우회'''"(회장 니시무라 에이이치)를 발족시켰다.
1980년, "'''목요 클럽'''"으로 파벌명을 변경하고, 니카이도 스스무가 회장에 취임했다. 이는 과거 사토파의 파벌명 "'''목요 연구회'''"에서 유래했다. 다나카는 파벌 확대를 시작하여 후나다파나 미즈타파 등 구 중도파・무파벌 의원을 영입했다. 1984년에는 118명으로, "'''다나카 군단'''"이라 불렸다.
오히라, 스즈키 젠코, 나카소네 야스히로 정권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다나카는 자신의 영향력 저하를 우려하여 다케시타 노보루의 총재 선거 출마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니카이도 회장이 당내 반 나카소네파의 사주를 받아 총재 선거 출마 의욕을 보이는 등 (니카이도 옹립 구상), 자파 총재 후보를 내세우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1985년 2월 7일, 다케시타를 수장으로 하는 파벌 내 중도파인 "창정회"가 결성되었다.[2] 다나카는 격분하여 억제했지만, 같은 해 2월 27일 뇌경색으로 쓰러졌다.
1987년 7월 4일, 목요 클럽에서 113명이 참가하여 경세회 결성 대회가 열렸다.[2] 이로써 다나카 파벌은 (1) 다케시타 파벌, (2) 목요 클럽, (3) 중립계의 3개 그룹으로 분열되었다. 니카이도 그룹은 독립 세력을 유지했지만, 소수 인원으로 정계 영향력은 감소했다. 중립계도 내각관방장관 고토다를 제외하고 총재 선거 직전에 다케시타 지지로 움직였다.[4]
1990년 제3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후, 니카이도 그룹은 사실상 해산되었다.[9] 다나카 정치는 종언을 고했다.
2. 1. 칠일회 결성 (1972년)
사토 에이사쿠 총리가 1972년에 퇴진 의사를 밝히면서, 후쿠다 다케오를 후계자로 지명하려 하자, 다나카 가쿠에이는 사토에게 오키나와 반환을 임기 내에 완수해야 한다고 설득하여 2년 더 총리직을 수행하도록 했다. 그 사이 다나카는 사토파 의원들을 포섭하는 작업을 진행했다.[10] 1972년 5월 9일, 사토파 의원 102명 중 중의원 40명과 참의원 41명을 모아 파벌 내 파벌을 결성했다.같은 해 7월 5일 1972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한 다나카는 이틀 뒤 총리 겸 자유민주당 총재가 되었고, 자신의 파벌을 '칠일회(七日会)'로 명명하며 공식적으로 다나카파를 창설했다. 칠일회 회장에는 니시무라 에이이치가 취임했다.
칠일회는 중일국교정상화를 추진한 다나카의 영향으로 중화민국(대만)과 거리를 두고 중화인민공화국과 가까운 친중파 의원들이 많았다. 또한, 도로, 우정 등 공공사업을 통해 경기 부양과 표 관리에 능숙한 족의원들이 많았다. 이들은 자민당 내 모든 정책 부회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지방자치단체장들은 다나카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중앙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다나카가 총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다나카파가 강한 결속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다나카는 자신의 파벌을 종합병원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1976년 록히드 사건으로 다나카와 파벌 간부 하시모토가 체포되면서, 다나카는 칠일회와 자민당을 탈당했지만, 여전히 칠일회의 실질적인 오너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당시 언론은 다나카를 '어둠의 쇼군(闇将軍)'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다나카파를 이탈하는 의원은 한 명도 없을 정도로 결속력이 강했다.
1977년 당내 파벌 해소 움직임으로 칠일회는 일시 해산되었지만, 1978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를 계기로 파벌 활동이 부활하면서 '정치동우회(政治同友会)'로 이름을 바꾸고 활동을 재개했다. 회장은 니시무라 에이이치가 계속 맡았다.
2. 2. 칠일회 활동과 록히드 사건 (1972년 ~ 1976년)
1972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한 다나카 가쿠에이는 7월 7일 총리가 되었고, 자신의 파벌을 칠일회(七日会)라 명명하며 다나카파를 정식으로 창설했다.[10] 니시무라 에이이치가 회장을 맡았다.칠일회는 중일국교정상화를 추진한 다나카의 영향으로 중화민국보다 중화인민공화국과 가까운 친중파가 많았다. 또한, 도로나 우정 등 공공사업으로 경기를 부양하고 표를 관리하는 족의원이 다수였다. 다나카파 족의원들은 자민당 정책부회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지방자치단체장들은 다나카파와 관계를 맺어 중앙 지원을 얻어냈다. 이는 다나카가 총리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다나카파의 결속력 유지에 기여했다. 다나카는 자신의 파벌을 종합병원이라 불렀다.
1976년 록히드 사건으로 다나카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가 체포되었다. 다나카는 칠일회와 자민당을 탈당했지만, 보석 후에도 칠일회 오너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어둠의 쇼군'으로 불렸다. 여론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다나카파 이탈 의원은 없었고, 이는 다나카에 대한 저항이 곧 정치 생명 위협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1977년 당내 파벌 해소 주장으로 칠일회가 해산되었으나, 다음 해 후쿠다 다케오와 오히라 마사요시의 총재 선거 대립으로 파벌은 부활했다. 이때 정치동우회(政治同友会)로 개칭했고, 회장은 니시무라가 유임했다.
2. 3. 목요 클럽으로 개칭 (1980년)
1980년, 정치동우회는 '''목요 클럽'''(木曜クラブ일본어)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는 사토 에이사쿠가 이끌던 파벌인 주산회의 원래 이름이 목요연구회였기 때문에 이를 따른 것이었다.[1] 총선에서 니시무라 에이이치가 낙선하면서 니카이도 스스무가 회장직을 맡게 되었다.다나카 가쿠에이는 목요 클럽으로 바뀐 후 파벌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록히드 사건 재판이 길어지면서 자민당 복당이 어려워지자 당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후나다파나 미즈타파와 같은 소수 파벌이나 무파벌 의원들을 차례차례 영입했다. 1983년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이 참패했음에도 다나카파는 2석만 잃는 데 그쳤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의 선거구에 다나카파 후보를 대량으로 밀어넣은 결과였고, 실제로는 다나카파 중에서도 낙선자가 많았다. 1980년에 99명이던 소속 의원 수는 1984년에 118명에 달했고, 세간에서는 이를 '다나카 군단'이라 부를 정도였다.
당시 총리총재가 되기 위해서는 다나카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했고, 오히라 마사요시, 스즈키 젠코, 나카소네 야스히로가 그렇게 총리총재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다나카는 자신이 총리직에 복귀하고 싶은 야망이 있었고, 자신의 파벌에서 자신이 아닌 사람이 총리가 되면 파벌 내 영향력이 줄어들 것을 우려하여 자신의 파벌에서는 총리를 내지 않고 있었다. 이는 파벌 내 사기에 영향을 미쳤고, 다케시타 노보루가 총재 선거 출마 의향을 보이자 니카이도 스스무가 이를 억누르도록 하였다. 그런데 니카이도 본인이 반나카소네 세력의 중심에 서서 총재 선거에 출마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니카이도 옹립 구상) 결국 다나카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니카이도는 총재 선거 출마를 포기했다. 이 사건은 다나카의 파벌 지배력이 예전 같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2. 4. 다나카 군단의 위세 (1980년대 초)
1976년 록히드 사건으로 다나카 가쿠에이가 체포된 후에도 다나카 파벌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다나카는 당적을 이탈했지만, 파벌의 실질적인 오너로서 막후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했다. 언론은 그를 "어둠의 쇼군(闇将軍)"이라고 불렀다.[10] 이러한 상황에서도 파벌 이탈자는 한 명도 없었는데, 이는 다나카에게 반기를 드는 것이 곧 정치 생명의 위협을 의미했기 때문이다.1980년, 파벌 명칭을 '목요 클럽'으로 변경했다. 이는 사토 에이사쿠가 이끌던 파벌 '주산회'의 원래 이름인 '목요연구회'를 따른 것이다. 회장은 총선에서 낙선한 니시무라 에이이치를 대신해 니카이도 스스무가 맡았다.
다나카는 파벌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록히드 사건 재판이 장기화되면서 자민당 복귀가 어려워지자, 당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후나다파나 미즈타파 등 소수 파벌이나 무파벌 의원들을 영입했다.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이 참패했음에도 다나카파는 2석만 잃는 데 그쳤다. 1984년에는 소속 의원 수가 118명에 달해 '다나카 군단'이라 불릴 정도로 세력이 커졌다.
당시 총리총재가 되기 위해서는 다나카의 도움이 필수적이었고, 오히라 마사요시, 스즈키 젠코, 나카소네 야스히로가 그의 지원으로 총리총재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다나카는 자신의 파벌에서 총리가 나오면 영향력이 줄어들 것을 우려하여, 파벌 내에서 총리 후보를 내지 않았다. 이는 파벌 내 사기에 영향을 미쳤고, 다케시타 노보루가 총재 선거 출마 의향을 보이자 니카이도가 이를 억누르도록 했다. 그러나 니카이도 자신이 반(反)나카소네 세력의 중심에 서서 총재 선거에 출마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니카이도 옹립 구상). 결국 다나카의 반대로 니카이도는 출마를 포기했지만, 이 사건은 다나카의 파벌 지배력이 예전 같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목요 클럽의 주요 간부들은 다음과 같다.
2. 5. 창정회 결성과 다나카 파벌의 분열 (1985년 ~ 1987년)
1984년 12월 18일, 다케시타 노보루, 가네마루 신, 오부치 게이조 등 7명이 모여 차기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 다케시타를 옹립할 계획을 세웠다.[11] 이듬해 1985년 2월 7일, 다케시타를 리더로 하는 파벌 내 파벌인 창정회가 결성되었다.[11]당초 다나카 가쿠에이는 다케시타가 공부 모임을 만들겠다고 하자 이를 승인했지만, 파벌 내 파벌이라는 사실을 알고 매우 분노했다. 그러나 1985년 2월 27일, 다나카가 뇌경색으로 쓰러지면서 상황이 급변했다.[11]
총리직 복귀를 원했던 다나카에 대한 반감과 뇌경색으로 인한 정치 활동 불능 상태가 겹쳐, 다나카파 소속 의원들은 대거 다케시타 파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1987년 7월 4일, 목요 클럽에서 113명이 참여하여 정식으로 경세회를 창립하며 목요 클럽에서 독립했다.[11] 이로써 141명에 달하던 자민당 내 최대 파벌 목요 클럽은 경세회, 목요 클럽(니카이도 그룹), 중립파의 세 파벌로 분열되었다.
니카이도 스스무 그룹은 1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으나, 소수 파벌로 전락하여 당내 영향력이 저하되었고, 각료도 배출하지 못하는 처지가 되었다.[12] 중립파는 고토다 마사하루를 제외하고는 모두 총재 선거 직전에 다케시타 지지로 선회했다.[12]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다나카 가쿠에이의 시대가 저물고, 다케시타 노보루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세력이 부상했음을 보여준다.
분열 당시 각 그룹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3]
파벌 | 의원 수 | 의원명 |
---|---|---|
다케시타 파 | 113 | (생략) |
니카이도 그룹 | 15 | 에자키 마스미, 구노 다다하루, 니카이도 스스무, 마쓰노 사치야스, 야마시타 모토토시, 이나무라 도시유키, 고사카 도쿠사부로, 다무라 료헤이, 하야시 요시로, 아리마 모토하루, 야스오카 고지, 다나카 나오키, 이노우에 요시오, 가와하라 신지로, 깃카와 요시오 |
중립계 | 13 | 오자와 다쓰오, 와타나베 고조, 토이다 사부로, 고토다 마사하루, 이마에다 노리오, 기무라 무쓰오, 가와모토 가쿠조, 세코 마사타카, 오타카 요시코, 모리시타 야스시, 하세가와 신, 우라타 마사루, 우미에다 쓰루조 |
2. 6. 니카이도 그룹과 목요 클럽의 소멸 (1989년 ~ 1990년)
1976년 파벌의 오너인 다나카 가쿠에이와 파벌 간부인 하시모토 도미사부로가 록히드 사건의 여파로 체포되었다. 체포 직후 다나카는 칠일회를 탈퇴하고 자민당에서도 탈당하겠다고 밝혔다. 곧 보석으로 풀려났지만 자민당에 복귀하진 않았다.[10] 하지만 여전히 칠일회의 오너 역할을 수행하며 배후에서 정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를 두고 당시 언론은 다나카를 어둠의 쇼군(闇将軍)이라 불렀다. 여론과 언론으로부터 눈총을 받는 상황 속에서도 다나카파를 이탈하는 의원은 단 한 명도 없어 철의 결속력을 자랑했다. 이는 다나카에게 저항하면 즉시 정치 생명이 끊어질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1977년 당내 파벌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잠시 칠일회가 해산됐지만 다음 해 후쿠다 다케오와 오히라 마사요시가 총재 선거에서 격렬하게 대립하면서 파벌은 금방 부활했다. 이때 이름을 정치동우회(政治同友会)로 고쳤으며 회장은 여전히 니시무라 에이이치가 맡았다.
3. 다나카 가쿠에이와 한국
다나카 가쿠에이는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하여 7월 7일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하였다.[1] 그는 총리 취임 이전부터 사토 에이사쿠 내각의 오키나와 반환 협정을 이용하여 정치적 입지를 다졌으며, 사토파 내에서 자신의 파벌을 형성하여 세력을 확장했다.[1]
다나카 파벌은 중화민국(대만)과 거리를 두는 친중파가 많았으며, 총리 재임 중 중일 국교 정상화를 성사시켰다. 이는 한국의 외교 및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당시 한국 정부와 국민들은 이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동북아시아 정세 변화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고심했다. 한편, 1973년 김대중 납치 사건 당시 다나카 가쿠에이의 역할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한국 민주화 운동과 한일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김대중 납치 사건 연루 의혹
1973년 김대중 납치 사건 당시 다나카 가쿠에이의 역할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 사건은 한국 민주화 운동과 한일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3. 2. 중일 국교 정상화와 한일 관계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하고 내각총리대신이 된 다나카 가쿠에이는 중일 국교 정상화를 추진했다. 다나카 파벌은 중화민국(대만)과 거리를 두는 친중파가 많았다는 특징이 있었다.[1] 이는 다나카 가쿠에이가 오키나와 반환 협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려 했던 점과 연관된다.다나카는 총리 재임 중 중일 국교 정상화를 성사시켰는데, 이는 한국의 외교 및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당시 한국 정부와 국민들은 이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동북아시아 정세 변화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고심했다.
3. 3. 한일 경제 협력과 다나카 가쿠에이
다나카 가쿠에이는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승리하여 7월 7일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하였다.[1] 다나카 가쿠에이는 총리 취임 이전부터 사토 에이사쿠 내각의 오키나와 반환 협정을 이용하여 정치적 입지를 다졌으며, 사토파 내에서 자신의 파벌을 형성하여 세력을 확장했다.[1]참조
[1]
웹사이트
楠田實資料(佐藤栄作官邸文書):解題
https://j-dac.jp/KUS[...]
ジャパン デジタル アーカイブズ センター
2024-09-05
[2]
뉴스
田中角栄に反旗、竹下派旗揚げ 「政界のドン」金丸信(5)
https://www.nikkei.c[...]
2011-08-28
[3]
뉴스
特別企画 砂防会館あの日あの時 壁に刻まれた刀傷
https://www.jnpc.or.[...]
2016-06
[4]
서적
田中角栄VS竹下登
講談社+α文庫
2000
[5]
뉴스
木曜ク後任会長に江崎氏
1989-06-09
[6]
서적
国会便覧 平成2年2月新版
日本政経新聞社
1990-04-10
[7]
뉴스
二階堂グループが解散状態に 総選挙で田中氏落選、参院2人宮沢派へ
1990-02-20
[8]
뉴스
林義郎氏、宮沢派に加入へ
1990-03-08
[9]
뉴스
二階堂グループ、活動に“終止符” 江崎氏ら3氏を除き他派閥へ
1990-02-27
[10]
웹인용
楠田實資料(佐藤栄作官邸文書):解題
http://27.121.6.57/K[...]
ジャパン デジタル アーカイブズ センター
2024-01-10
[11]
뉴스
田中角栄に反旗、竹下派旗揚げ 「政界のドン」金丸信(5)
https://www.nikkei.c[...]
2011-08-28
[12]
서적
田中角栄VS竹下登
講談社+α文庫
2000
[13]
뉴스
木曜ク後任会長に江崎氏
1989-06-09
[14]
서적
国会便覧 平成2年2月新版
日本政経新聞社
1990-04-10
[15]
뉴스
二階堂グループが解散状態に 総選挙で田中氏落選、参院2人宮沢派へ
1990-02-20
[16]
뉴스
林義郎氏、宮沢派に加入へ
1990-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