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르비투르산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비투르산계는 1864년 독일 화학자 아돌프 폰 바이어에 의해 처음 합성된 중추 신경계 억제제 계열의 약물이다. 과거에는 항불안제 및 수면제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과다 복용 시 독성이 덜한 벤조디아제핀으로 대체되었다. 바르비투르산계는 GABA의 작용을 강화하여 진정, 최면, 항경련 작용을 나타내며, 현재는 항경련제, 전신 마취제, 조력 자살, 안락사 및 사형 등에 사용된다. 부작용과 위험성으로 인해 엄격하게 규제되며, 약물 의존성, 과다 복용, 금단 증상, 다른 중추신경계 억제제와의 병용 위험이 있다. 바르비투르산염은 작용 시간에 따라 초단시간형, 단시간형, 중간시간형, 장시간형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르비투르산계 - 펜토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은 불면증 치료, 마취, 안락사 등에 사용되는 바르비투르산염 계열의 약물이며, GABA-A 수용체에 작용하여 진정 효과를 나타내지만, 호흡 억제 등의 부작용과 과다 복용 시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 바르비투르산계 - 바비탈
    바비탈은 1902년 독일 화학자들이 합성하여 수면 및 항경련 효과를 나타내는 중추신경계 억제제로, 과거 수면제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부작용 문제로 사용이 줄고 대중문화에서 어두운 소재로 활용된다.
  • 카이닌산 수용체 대항제 - 테아닌
    테아닌은 녹차, 특히 옥로와 말차에 많이 함유된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으로, 뇌 기능에 영향을 주어 정신 안정, 스트레스 감소, 인지 기능 향상, 수면의 질 개선 등에 기여하며 건강 보조 식품으로도 활용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안전성 우려로 사용이 제한되기도 한다.
  • 카이닌산 수용체 대항제 - 펜토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은 불면증 치료, 마취, 안락사 등에 사용되는 바르비투르산염 계열의 약물이며, GABA-A 수용체에 작용하여 진정 효과를 나타내지만, 호흡 억제 등의 부작용과 과다 복용 시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 AMPA 수용체 대항제 - 테아닌
    테아닌은 녹차, 특히 옥로와 말차에 많이 함유된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으로, 뇌 기능에 영향을 주어 정신 안정, 스트레스 감소, 인지 기능 향상, 수면의 질 개선 등에 기여하며 건강 보조 식품으로도 활용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안전성 우려로 사용이 제한되기도 한다.
  • AMPA 수용체 대항제 - 펜토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은 불면증 치료, 마취, 안락사 등에 사용되는 바르비투르산염 계열의 약물이며, GABA-A 수용체에 작용하여 진정 효과를 나타내지만, 호흡 억제 등의 부작용과 과다 복용 시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바르비투르산계

2. 역사

1832년 클로랄 수화물이 합성되면서 현대적인 수면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49][48] 1869년에는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고,[48] 연극이나 소설에도 등장했다.[49] 이후 브롬화물도 주목받았지만 독성이 강했다.[49]

1864년 11월 27일 독일 화학자 아돌프 폰 바이어요소와 말론산 디에틸을 축합하여 바르비투르산을 처음 합성했다. 바이어가 이 물질을 발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마을의 포병 수비대가 성 바르바라 축제를 기념하고 있던 선술집으로 가서 축하했는데, 한 포병 장교가 '바르바라'와 '요소'를 합쳐 이 새로운 물질에 이름을 붙였다는 이야기가 있다.[31] 또 다른 설로는 바이어가 뮌헨의 바르바라라는 이름의 웨이트리스의 소변을 모아 이 물질을 합성했다는 이야기도 있다.[32]

1903년 독일의 화학자 에밀 피셔와 요제프 폰 메링 등이 디에틸바르비투르산인 바르비탈을 합성했다.[49][50] 바이엘사에서는 베로나르, 셰링사에서는 메디나르로 판매되었다.

1911년에는 페노바르비탈이 합성되었다.[48] 1912년 바이엘사는 페노바르비탈을 상표명 루미날로 출시했으며,[49] 간질 입원 환자의 수면을 위해 사용하던 중 항경련 작용이 우연히 발견되었다.[48] 그 전까지는 아편이나 클로랄 수화물, 브롬화물이 사용되었다.[48]

1915년 취리히 대학교 정신과의 정신과 의사 야코프 크레지가 정신분열증에 바르비투르산을 이용한 지속 수면 치료를 시작했다.[49][48] 1920년대에는 큰 호평을 받았으나, 사망률은 약 5%였다.[48]

1923년에는 아모바르비탈, 1930년에는 펜토바르비탈, 티오펜탈도 합성되었다.[48]

1950년대에는 정신약리학의 발전과 함께 바르비투르산계의 전성기는 지나가고, 클로르프로마진과 같은 항정신병 약물이 등장했다. 1950년대 후반 카르바마제핀의 발견으로 바르비투르산계의 항간질약 사용이 감소했다.[48]

1960년대에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이 등장하여 바르비투르산계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1961년 10월의 "수면제 단속에 관한 통달"에서는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인 이소미탈과 라보나르 등이 "수면제 놀이" 등 비행 청소년에게 악용되는 주요 수면제로 언급되어 판매 자제가 통달되었다.[53]

1971년에는 정신성 의약품에 관한 조약이 체결되어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이 규제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이후 미국에서의 사형에 항의하여 유럽 연합이 바르비투르산계 수출을 중단하면서 입수가 어려워졌다.[54] 2014년 오하이오 주에서 바르비투르산계 대신 벤조디아제핀계 미다졸람이 사형에 사용되어 논란이 되었다.[59]

3. 작용 기전

γ-아미노낙산(GABA)는 포유류 중추 신경계(CNS)의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다. 바르비투르산계는 알로스테릭 조절제의 양성 조절제 역할을 하며, 고용량에서는 GABAA 수용체의 작동제 역할을 한다.[24] 바르비투르산계는 GABAA 수용체의 서브유닛 인터페이스에 위치한 여러 개의 상동 막 경계면에 결합하는데,[25] 이 부위는 GABA 자체와 벤조디아제핀 결합 부위와는 구별된다. 벤조디아제핀과 마찬가지로 바르비투르산계는 이 수용체에서 GABA의 효과를 증폭시킨다. 바르비투르산계는 GABAA 수용체에서 염화 이온 채널의 개방 시간을 증가시켜 약리적 효과를 나타낸다(약력학: 이는 GABA의 효능을 증가시킨다). 반면 벤조디아제핀은 GABAA 수용체에서 염화 이온 채널 개방 빈도를 증가시킨다(약력학: 이는 GABA의 효능을 증가시킨다). 염화 이온 채널의 직접적인 게이팅 또는 개방은 과다 복용 시 벤조디아제핀에 비해 바르비투르산계의 독성이 증가하는 이유이다.[27][28]

이러한 GABA 작용 외에도 바르비투르산계는 AMPA 및 카이네이트 수용체인 이온성 글루탐산 수용체의 하위 유형을 차단하기도 한다. 글루탐산은 포유류 CNS의 주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다. 바르비투르산계가 억제성 GABAA 수용체를 증폭시키고 흥분성 AMPA 수용체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종합하면, 벤조디아제핀 및 퀴나졸리논과 같은 대체 GABA 증폭제에 비해 이러한 약제의 우수한 CNS 억제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고농도에서는 P/Q-type 전압 의존성 칼슘 통로에 영향을 미쳐 글루탐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Ca2+ 의존적 방출을 억제한다.[26]

또한 바르비투르산계는 GABAA 수용체 채널이 여러 대표자 중 하나일 뿐인 전체 리간드 개폐 이온 채널 슈퍼패밀리에 결합하는 비교적 비선택적인 화합물이다. 이러한 Cys-루프 수용체 이온 채널 슈퍼패밀리에는 신경 nACh 수용체 채널, 5-HT3 수용체 채널 및 글리신 수용체 채널이 포함된다. 그러나 GABAA 수용체 전류는 바르비투르산계(및 기타 전신 마취제)에 의해 증가하지만, 양이온에 대해 주로 투과성이 있는 리간드 개폐 이온 채널은 이러한 화합물에 의해 차단된다. 예를 들어, 신경 nAChR 채널은 임상적으로 관련된 마취 농도의 싸이오펜탈 나트륨과 펜토바르비탈에 의해 모두 차단된다.[29] 이러한 발견은 바르비투르산계의 일부 (부작용) 효과를 매개하는 데 (비-GABA-ergic) 리간드 개폐 이온 채널, 예를 들어 신경 nAChR 채널이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30] 이것이 마취 농도에서 사용될 때 고용량의 바르비투르산계의 (경미한 ~ 보통의) 마취 효과를 담당하는 메커니즘이다.

바르비투르산계는 벤조디아제핀계와 마찬가지로 GABA 수용체에 결합하여 염소 이온 채널의 개구 횟수를 연장함으로써 GABA의 약리 효과를 증강시킨다. 그러나 바르비투르산계는 고농도가 되면 개구 시간을 연장하게 되는데, 이는 벤조디아제핀계와 다르며, 이러한 차이점이 위험성의 차이에 반영된다. 또한 마취 농도에서는 AMPA형 글루탐산 수용체 활성화를 억제하거나, 전압 의존성 나트륨 이온 채널 활성도 저하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4. 용도

바르비투르산염은 과거에 항불안제수면제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이 개발되면서 대체되었다.[4][5][6] 하지만 여전히 항경련제 (예: 페노바르비탈, 프리미돈) 및 전신 마취제 (예: 티오펜탈 나트륨)로는 사용되고 있다.[6]

바르비투르산염은 고용량으로 조력 자살에 사용되기도 하며, 근이완제와 함께 안락사사형 시 약물 주사에도 사용된다.[7][8] 수의학에서는 소동물 안락사에 사용되기도 한다.

바르비투르산염은 뇌 기능을 억제하여 진정, 최면, 마취 효과를 나타내며, 호흡 억제 및 항경련 작용도 있다.[68] 뇌혈류량과 뇌척수액압을 감소시켜 뇌 손상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혈압 저하, 심박출량 감소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심부전 환자나 저혈량성 쇼크 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68]

얕은 마취 상태에서는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후두 경련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깊은 마취 상태에서는 동공 반응, 각막 반응 등이 사라진다.[68]

바르비투르산염의 사용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17]


  • 발작
  • 신생아 금단 증후군
  • 불면증
  • 불안
  • 마취 유도




노인과 임산부는 바르비투르산염의 부작용 위험이 더 높으므로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19][20] 드물게 스티븐스-존슨 증후군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아편유사제, 벤조디아제핀, 알코올 등을 복용하는 환자는 바르비투르산염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21] 천식, 신장 질환, 간 질환, 심장병, 물질 사용 장애, 우울증, 자살 충동 등의 병력이 있는 환자도 주의가 필요하다.

명칭적응증작용 시간
티오펜탈마취 도입과 단기 유지, 간질 발작의 응급 치료초단시간 작용형 (5~15분)
펜토바르비탈불면, 수술 전 진정, 간질 발작의 응급 치료단시간 작용형 (3~8시간)
아모바르비탈불면, 수술 전 진정, 간질 발작의 응급 치료단시간 작용형 (3~8시간)
페노바르비탈간질 발작 치료, 간질 중첩장시간 작용형 (수일)



약제별로 진정 마취 작용이나 항간질 작용의 강도에 차이가 있어, 적응증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펜토바르비탈은 강한 진정 작용으로 인해 마취에 주로 사용되고, 페노바르비탈은 항간질 작용이 강해 간질 치료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의 부작용과 의존성 위험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2010년 간질 치료 가이드라인에서는 페노바르비탈을 1차 선택 약물로 권장하지 않으며,[61] 중단 시에는 점진적인 감량이 필요하다.[62] 일본의 우울증 및 수면 관련 학회에서도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63][64]

5. 부작용 및 위험성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은 투여량과 속도에 따라 진정, 최면, 마취 작용을 하며, 호흡 억제 및 항경련 작용도 나타낸다.[68] 중추신경계를 억제하여 뇌혈류량과 뇌척수액압을 낮추고, 뇌의 산소 소모량 및 대사를 감소시켜 저산소혈증으로 인한 뇌 손상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은 혈관운동중추를 억제하고 심장 수축력을 약화시켜 심박출량 감소, 말초혈관 확장 등을 유발할 수 있다.[68] 정상 심장 기능을 가진 환자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울혈성 심부전 환자, 저혈량성 쇼크 환자, 베타차단제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심근 억제가 심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68]

얕은 마취 상태에서는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후두 경련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동공은 처음에는 산대되었다가 곧 수축한다. 깊은 마취 상태에서는 대광반사가 남아있고, 더 깊어지면 각막 반응, 결막 반응, 속눈썹 반응, 안검 반응 등이 사라지며 안압이 떨어진다.[68]

싸이오펜탈 나트륨은 초단시간 작용 바르비투르산염으로, "진실 혈청"으로 오용되기도 한다. 이는 억제를 감소시키고 창의적 사고를 늦춰 질문에 대한 방심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허위 기억 형성 가능성 때문에 법정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9][10][11]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의 사용 적응증은 발작, 신생아 금단 증후군, 불면증, 불안, 마취 유도 등이다.[17]
주요 부작용 및 위험성:


  • 중추신경계 억제: 졸음, 어지러움, 운동실조, 혼란, 기억력 장애, 호흡 억제[21]
  • 심혈관계 억제: 혈압 저하, 심박출량 감소, 반사성 빈맥 (특히 울혈성 심부전, 저혈량성 쇼크 환자, 베타차단제 복용 환자에서 주의)[68]
  • 의존성 및 내성: 장기간 사용 시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이 발생하며, 내성이 빠르게 형성되어 효과가 감소한다.
  • 금단 증상: 갑작스러운 중단 시 불안, 초조, 불면, 경련, 진전 섬망 등 심각한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 과량 복용: 작용량과 치사량이 가까워 과량 복용 시 호흡 억제, 혼수, 사망 등의 위험이 높다.
  • 약물 상호작용: 다른 중추신경계 억제제(알코올, 오피오이드, 벤조디아제핀 등)와 병용 시 중추신경계 억제 효과가 증강되어 위험하다.[21]
  • 기타 부작용: 피부 발진, 알레르기 반응, 간 손상,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무과립구증, 거대적아구성 빈혈[21]
  • 임산부 및 노인: 특히 위험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19][20]
  • 간 효소 유도: CYP2C9, CYP2C19, CYP3A4 등 간 효소를 유도하여 다른 약물의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22]


특히, 노인과 임산부는 바르비투르산염의 유해한 영향을 경험할 위험이 더 높다.[19][20] 노인은 약물 제거 능력이 떨어지고, 임산부는 약물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르비투르산염을 정기적으로 사용하면 내성이 빠르게 나타나며, 금단 증상은 진전 섬망과 유사한 발작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바르비투르산염 금단은 알려진 중독성 물질 중 가장 위험한 금단 증상 중 하나로 간주된다.

바르비투르산염 과다 복용 시 무기력함, 부조화, 사고 곤란, 언어 속도 저하, 판단력 장애, 졸음, 얕은 호흡 등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혼수 상태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바르비투르산염은 다른 중추신경계 억제제와 함께 복용하면 더욱 위험하며, 특히 벤조디아제핀과의 병용은 벤조디아제핀 효과를 과장시킨다.

바르비투르산염은 간 효소를 유도하여 전구약물의 효과를 과장시키거나, 다른 약물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22]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은 다형성 포르피린증이나 천식 중증 발작 환자에게는 금기이다.[23]

6. 종류 및 분류

바르비투르산염은 작용 시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6]


  • 초단시간형 (30분): 티오펜탈, 메토헥시탈
  • 단시간형 (2시간): 헥소바르비톤, 시클로바르비톤, 펜토바르비톤, 세코바르비탈
  • 중간형 (3~6시간): 아모바르비탈, 부타바르비탈
  • 장시간형 (6시간 이상): 페노바르비탈


바르비투르산염
약칭R1R2IUPAC 명칭작용 지속 시간
알로바르비탈CH2CHCH2CH2CHCH25,5-디알릴바르비투르산단시간형
아모바르비탈[46]CH2CH3(CH2)2CH(CH3)25-에틸-5-이소펜틸바르비투르산중간형
아프로바르비탈CH2CHCH2CH(CH3)25-알릴-5-아이소프로필바르비투르산중간형
알페날CH2CHCH2C6H55-알릴-5-페닐바르비투르산중간형
바르비탈CH2CH3CH2CH35,5-다이에틸바르비투르산장시간형
브랄로바르비탈CH2CHCH2CH2CBrCH25-알릴-5-(2-브로모-알릴)-바르비투르산단시간형
펜토바르비탈[46]CH2CH3CH CH3(CH2)2CH35-에틸-5-(1-메틸부틸)-바르비투르산단시간형
페노바르비탈[46]CH2CH3C6H55-에틸-5-페닐바르비투르산장시간형
프리미돈CH2CH3C6H55-에틸-5-페닐-1,3-다이아자네-4,6-다이온장시간형
세코바르비탈[46]CH2CHCH2CHCH3(CH2)2CH35-[(2R)-펜탄-2-일]-5-프로프-2-에닐-바르비투르산; 5-알릴-5-[(2R)-펜탄-2-일]-바르비투르산단시간형
티오펜탈CH2CH3CHCH3(CH2)2CH35-에틸-5-(1-메틸부틸)-2-티오바르비투르산초단시간형


7. 규제

바르비투르산염은 의존성 및 남용 위험이 있어 대부분의 국가에서 엄격하게 규제된다. 국제적으로는 1971년에 체결된 향정신성 의약품에 관한 조약에 따라 규제된다.[66]

향정신성 의약품에 관한 조약에 따라 관리되는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은 다음과 같다.[66]

스케줄약물비고
스케줄 II세코바르비탈1988년에 스케줄 III에서 이동[66]
스케줄 III아모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67]
스케줄 IV바르비탈, 페노바르비탈[67]
국제적인 규제 없음티오펜탈[66]


8. 사회문화적 측면

바르비투르산염은 과거 "구프볼"이라는 이름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인들에게 지급되었으나, 전후 중독 문제와 의존성 증가를 야기했다.[40]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에 바르비투르산염 과다 복용과 의존성 문제가 증가하면서 의사들은 처방을 줄였고, 규제 약물로 분류되었다.[34] 마릴린 먼로 등 유명인들의 사망 원인이 바르비투르산염 과다 복용으로 언급되기도 했다.[48]

1961년 10월 일본에서 "수면제 단속에 관한 통달"을 통해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인 이소미탈과 라보나르 등이 "수면제 놀이" 등 비행 청소년에게 악용되는 주요 수면제로 언급되어 판매 자제를 요청했다.[53] 1971년에는 정신성 의약품에 관한 조약이 제정되어 바르비투르산계 약물 등 남용 위험이 있는 약물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현재 미국에서는 사형 집행에 바르비투르산염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유럽 연합(EU)의 수출 중단으로 인해 입수가 어려워지고 있다.[54] 유럽 위원회는 사형이나 비인도적인 형벌을 위해 규제되는 약물 목록에 8종의 바르비투르산계를 추가했으며,[55] 미국의 사형 제도는 펜토바르비탈과 티오펜탈에 의존하고 있다.[55] 2010년 오클라호마 주에서는 펜토바르비탈이 사형 집행에 사용되었는데,[57] 집행된 사형수는 "온몸이 불타는 것 같다"는 마지막 말을 남겼다.[58]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은 향락적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barbs", "barbies", "bluebirds", "dolls", "wallbangers" 등의 속어로 불린다.[45] 반복적인 사용은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40] 만성적인 오남용은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41]

향정신성 의약품에 관한 조약에 따라 12종류의 바르비투르산계가 관리되고 있다.[66]

종류내용
스케줄 II세코바르비탈(1988년에 스케줄 III에서 이동)[66]
스케줄 III아모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67]
스케줄 IV바르비탈, 페노바르비탈[67]
국제적인 규제 없음티오펜탈[66]


참조

[1] 웹사이트 The Harvard Dialect Survey http://dialect.redlo[...] Harvard University Linguistics Department 2003
[2] 논문 Kinetics of hydrolysis of barbituric acid derivatives 2006-09-21
[3] 웹사이트 DIGNITAS http://www.dignitas.[...] 2011-06-14
[4] 논문 Suicide in Brisbane, 1956 to 1973: the drug-death epidemic 1975-06-14
[5] 논문 Sleep and hypnotic drugs
[6] 논문 Nuevos hipnóticos: perspectivas desde la fisiología del sueño [New hypnotics: perspectives from sleep physiology] https://web.archive.[...] 2007
[7] 웹사이트 Administration and Compounding Of Euthanasic Agents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Why do lethal injections have three drugs? https://slate.com/ne[...] Slate Magazine 2006-05-03
[9] 뉴스 Some Believe 'Truth Serums' Will Come Back https://www.washingt[...] 2006-11-20
[10] 웹사이트 Neuroscience for Kids – Barbiturates http://faculty.washi[...]
[11] 논문 Recovered memory therapy: a dubious practice technique
[12] 논문 Molecular recognition of biologically interesting substrates: Synthesis of an artificial receptor for barbiturates employing six hydrogen bonds
[13] 웹사이트 Barbiturates drug profile {{!}} www.emcdda.europa.eu https://www.emcdda.e[...]
[14] 웹사이트 Wolf D. Kuhlmann, "Buffer Solutions" https://web.archive.[...] 2006-09-10
[15] 웹사이트 Plant Microtechnique and Microscopy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16] 웹사이트 JaypeeDigital {{!}} Drugs Acting on Central Nervous System Sedative-Hypnotics, Alcohols, Antiepileptics and Antiparkinsonian Drugs https://www.jaypeedi[...]
[17] 웹사이트 Barbiturate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1
[18] 논문 Development of a rational scale to assess the harm of drugs of potential misuse. 2007-03-24
[19] 웹사이트 Toxicity, Barbiturate http://www.emedicine[...] eMedicine
[20] 논문 Anticonvulsant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Transplacental, maternal and neonatal pharmacokinetics 1982-11
[21] 웹사이트 Barbiturates: Side Effects, Dosages, Treatment, Interactions, Warnings https://www.rxlist.c[...]
[22] 웹사이트 Livertox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Barbiturate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1
[24] 논문 How theories evolved concerning the mechanism of action of barbiturates
[25] 논문 Specificity of Intersubunit General Anesthetic-binding Sites in the Transmembrane Domain of the Human α1β3γ2 γ-Aminobutyric Acid Type A (GABAA) Receptor http://www.jbc.org/c[...] 2013-05-15
[26] 서적 Goodman & Gilman's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Hill
[27] 웹사이트 Barbiturates http://www.acnp.org/[...] Neuropsychopharmacology
[28] 웹사이트 Basic Neurochemistry – Molecular, Cellular and Medical Aspects https://www.ncbi.nlm[...]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9] 논문 Intravenous anaesthetics inhibit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mediated currents and Ca2+ transients in rat intracardiac ganglion neurons 2005-01
[30] 논문 Which molecular targets are most relevant to general anaesthesia? 1998-11-23
[31] 웹사이트 Barbiturates http://www.ch.ic.ac.[...]
[32] 서적 Medical Curiosities Robinson Publishing 1997
[33] 서적 Drug Discovery John Wiley and Sons 2005-06-23
[34] 서적 Th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Textbook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008-07-01
[35] 서적 Geschichte der medikamentösen Therapie der Schizophrenie Berlin 1992
[36] 법률 Pub. L. 91-513 1970-10-27
[37] 법규 United States Code 21, 812
[38] 법규 United States Code 21, §1308.12
[39] 웹사이트 List of Psychotropic Substances under International Control ("Green List")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Narcotics Control Board 2014-01-25
[40] 논문 Drugs and drug abusers 2001-02-17
[41] 논문 Long-term prognosis in addiction on sedative and hypnotic drugs analyzed with the Cox regression model 1987-05
[42] 웹사이트 Barbiturate Abuse http://www.emedicine[...] 2008-07-15
[43] 논문 Dose-response studies on tolerance to multiple doses of secobarbital and methaqualone in a polydrug abuse population
[44] 논문 Barbiturates 1997-08
[45] 논문 Substance Abuse: Medical and Slang Terminology https://www.medscape[...] 2005-03
[46] 서적 Forensic Science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1-09-22
[47] 웹사이트 Barbiturate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1
[48] 논문 The history of barbiturates a century after their clinical introduction https://www.ncbi.nlm[...]
[49] 서적 精神医学の歴史 青土社 1999-10
[50] 논문 Ueber eine neue Klasse von Schlafmitteln
[51] 서적 ヒーリー精神科治療薬ガイド みすず書房 2009-07
[52] 서적 精神医学文献事典 弘文堂 2003
[53] 간행물 資料 通牒通達 1962-02
[54] 뉴스 EU Tightens Export of Death Penalty Drugs http://www.medpageto[...] 2011-12-21
[55] 뉴스 Europe moves to block trade in medical drugs used in US executions https://www.theguard[...] 2011-12-20
[56] 뉴스 米の死刑、執行できない?メーカー製造撤退で薬物不足に http://www.asahi.com[...] 2011-01-24
[57] 뉴스 動物安楽死用の薬品で死刑執行 オクラホマ州 http://www.cnn.co.jp[...] 2010-12-17
[58] 뉴스 アメリカで「26分間苦しむ死刑」が行われている理由 https://www.huffingt[...] 2014-04-10
[59] 뉴스 Killing Pain: Benzo 'Boost' Can Be Deadly http://www.medpageto[...] 2014-02-25
[60] 뉴스 アメリカで「26分間苦しむ死刑」が行われている理由 https://www.huffingt[...] 2014-04-10
[61] 서적 てんかん治療ガイドライン2010 http://www.neurology[...] 医学書院 2010
[62] 서적 てんかん治療ガイドライン2010
[63] 보고서 日本うつ病学会治療ガイドライン II.大うつ病性障害2012 Ver.1 http://www.secretari[...] 日本うつ病学会、気分障害のガイドライン作成委員会 2012-07-26
[64] 보고서 睡眠薬の適正な使用と休薬のための診療ガイドラインー出口を見据えた不眠医療マニュアル http://www.jssr.jp/d[...] 日本うつ病学会、気分障害のガイドライン作成委員会 2013-06-25
[65] 서적 ヒーリー精神科治療薬ガイド みすず書房 2009-07
[66] 웹사이트 Barbiturates http://www.emcdda.eu[...] The European Monitoring Centre for Drugs and Drug Addiction 2011-09-13
[67] 서적 薬物・アルコール関連障害 中山書店 1999-06
[68] 서적 마취과학 제3판 여문각 1994-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