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츨라프 니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츨라프 니진스키는 러시아 제국 출신의 폴란드계 발레 무용수이자 안무가이다. 그는 20세기 초 발레 뤼스에서 활동하며 혁신적인 안무와 뛰어난 기량으로 명성을 얻었다. 니진스키는 《목신의 오후》, 《봄의 제전》과 같은 작품을 통해 고전 발레의 틀을 깨고 새로운 시도를 했다. 1913년 결혼 후 세르게이 댜길레프와 결별하고,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으며 불우한 말년을 보냈다. 그의 삶과 예술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발레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남자 발레 무용수 - 아르템 다시신
    우크라이나 국립 오페라단 솔리스트 발레 무용수 아르템 다시신은 1997년 데뷔 후 주요 발레 작품 주역으로 활동하며 국제 콩쿠르 금메달을 수상했으나, 2022년 키이우 공습으로 사망했다.
  • 러시아의 성소수자 인물 - 표트르 차이콥스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러시아 낭만주의 작곡가로, 서정적인 선율과 풍부한 감정, 화려한 관현악법으로 사랑받는 〈비창〉, 발레 음악, 오페라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후원과 연금을 받으며 창작에 전념하고 유럽과 미국 순회공연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러시아의 성소수자 인물 - 마리나 츠베타예바
    마리나 츠베타예바는 격렬한 감정 표현과 대담한 언어 실험으로 20세기 러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시인이자 작가로, 혁명, 망명, 사랑과 고뇌를 다룬 독창적인 작품들을 남겼으나, 망명 생활과 소련 귀국 후 불행한 삶을 살다가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바츨라프 니진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유 역의 바츨라프 니진스키
바츨라프 니진스키, 니콜라이 레가트의 마리우스 프티파의 탈리스만 부활 공연, 상트페테르부르크, 1909년
본명바츨라프 니진스키
러시아어 표기러시아어: Вацлав Фомич Нижинский (바츨라프 포미치 니진스키)
로마자 표기Vatslav Fomich Nizhinsky
폴란드어 표기폴란드어: Wacław Niżyński (바츠와프 니진스키)
출생1889년 3월 12일/1890년
출생지키예프, 키예프 현, 러시아 제국 (현재의 우크라이나)
사망1950년 4월 8일 (60세 또는 61세)
사망지런던, 잉글랜드
국적러시아 제국, 프랑스, 영국
직업발레 무용수, 안무가
활동 기간1908년–1917년
배우자로몰라 드 풀스키 (1913년 결혼)
자녀2명

2. 생애

아돌프 드 메이어가 촬영한 《목신의 오후》 공연 모습, 1912년


바츨라프 니진스키는 1889년 또는 1890년 러시아 제국 키예프에서 폴란드계 순회 무용수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1][6][4]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황실 발레 학교(현 바가노바 발레 아카데미)에서 교육받으며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졸업 후 마린스키 극장에 입단하여 빠르게 주역 무용수로 성장했다.[16][17] 특히 중력을 거스르는 듯한 그의 도약은 당대 관객들에게 경이로움을 선사했다.

1908년경 예술 기획자 세르게이 댜길레프와의 만남은 그의 경력에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19] 댜길레프가 창단한 발레 뤼스의 스타 무용수로서 니진스키는 파리를 중심으로 유럽 전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미하일 포킨 안무의 《세헤라자데》, 《장미의 정령》, 《페트루슈카》 등에서 독보적인 기량과 표현력을 선보이며 20세기 최고의 남성 무용수로 명성을 떨쳤다.[25][26]

무용수 활동과 더불어 니진스키는 안무가로서도 혁신적인 시도를 했다. 드뷔시의 음악에 기반한 《목신의 오후》(1912)는 파격적인 안무로 스캔들을 일으켰고, 스트라빈스키 음악의 《봄의 제전》(1913)은 원시적이고 격렬한 움직임으로 초연 당시 극장 폭동에 가까운 소동을 빚으며 현대 무용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딸 키라와 함께 있는 니진스키, 1916년경


1913년 발레 뤼스의 남미 투어 중, 니진스키는 헝가리 귀족 여성 로몰라 드 풀스키와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결혼했다.[38] 이 결혼은 그의 후원자이자 연인이었던 댜길레프의 분노를 사 발레 뤼스에서 해고되는 결과를 낳았다.[39] 이후 독자적인 무용단을 이끌고 런던 공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며 재정적, 정신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46][50]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러시아 국적이었던 그는 적성국 국민으로 간주되어 부다페스트에서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다. 전쟁 중 댜길레프와의 관계 회복 노력 끝에 1916년 미국으로 건너가 발레 뤼스 투어에 참여하고 직접 안무한 《틸 오일렌슈피겔》을 공연하기도 했으나,[51][52] 투어 운영 미숙 등으로 어려움은 계속되었다.[54]

극심한 스트레스 속에 그의 정신 상태는 점차 악화되어, 1917년 남미 투어 중 몬테비데오 공연을 마지막으로 무대 활동을 중단했다.[55] 스위스에서 요양하던 중 1919년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고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1] 이후 약 30년간 정신병원과 요양원을 오가며 투병 생활을 이어갔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아내 로몰라와 함께 영국에서 지내던 니진스키는 1950년 4월 8일 런던에서 신부전으로 사망했다.[58][59] 그의 유해는 1953년 파리 몽마르트르 묘지로 이장되어 다른 저명한 예술가들 곁에 안장되었다.[60]

파리 몽마르트르 묘지에 있는 바츨라프 니진스키의 묘비. 페트루슈카 인형 모습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니진스키는 정신 질환 발병 직전인 1919년 약 6주간 일기를 남겼다. 이 일기는 그의 혼란스러운 내면과 예술적 고뇌를 담고 있어 그의 삶과 예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처음에는 아내 로몰라에 의해 일부 내용이 검열된 채 출판되었으나,[1] 1995년 완전판이 출간되었다.[61] 비록 니진스키가 춤추는 영상은 남아있지 않지만,[62] 수많은 사진과 기록을 통해 그의 혁신적인 예술 세계는 후대에 전해지고 있다.

2. 1. 초기 생애

1907년 크라스노예 셀로에서 찍은 니진스키


바츨라프 니진스키는 1889년[1][6] 또는 1890년[4] 러시아 제국의 키예프(현재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러시아로 귀화한 폴란드인 순회 무용수 토마시 니진스키(Tomasz Niżyński, 1862년 출생)와 엘레오노라 베레다(Eleonora Bereda, 1856년 출생)였다. 니진스키는 바르샤바에서 가톨릭 세례를 받았으며, 본명은 Wacław Niżyński|바츠와프 니진스키pl였다. 스스로 폴란드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졌지만, 러시아 내륙에서 성장하여 폴란드어 구사에는 어려움을 겪었고 러시아어를 모국어처럼 사용했다.[7]

니진스키는 3형제 중 둘째였다. 그의 어머니 엘레오노라는 어린 시절 부모를 잃고 바르샤바 국립 대극장 발레단에서 활동하다 키예프에서 솔로 무용수가 되었고, 아버지 토마시 역시 바르샤바에서 무용 교육을 받고 솔리스트로 활동했다. 두 사람은 1884년 결혼하여 순회 오페라단에서 활동했다.[1] 엘레오노라는 세 자녀를 낳으면서도 계속 무용수로 활동했는데, 장남 스타니슬라프(1886년 티플리스 출생), 차남 바츨라프, 그리고 딸 브로니슬라바('브로니아', 1891년 민스크 출생)가 있었다. 브로니슬라바 역시 오빠를 따라 발레 무용가가 되었고, 훗날 발레 뤼스의 안무가로 활동했다. 형 스타니슬라프는 어릴 때 창문에서 떨어져 뇌 손상을 입은 것으로 추정되며, 점차 정신적으로 불안정해져 1902년 정신병원에 입원했고[10] 제1차 세계 대전 중 생을 마감했다. 니진스키는 어릴 때 매우 활발하고 과잉 행동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형 스타니슬라프에게도 나타난 특성이었다. 어머니는 우울증을 앓았는데, 이는 니진스키에게도 유전적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1]

1897년경 아버지가 다른 여성과 떠나자, 어머니 엘레오노라는 자녀들과 함께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했다. 그녀는 지인의 도움을 받아 1900년 바츨라프를 황실 발레 학교(현 바가노바 발레 아카데미)에 입학시켰다.[9] 그는 처음에는 세르게이 레가트와 그의 형 니콜라이 레가트에게 무용을 배웠고, 이후 엔리코 체케티, 니콜라이 레가트, 파벨 게르트 등 당대 최고의 교사들에게 발레와 마임을 배웠다. 미하일 오부호프(Mikhail Oboukhov) 역시 그의 스승 중 한 명으로, 니진스키에게 최고 점수를 주었다. 여동생 브로니아도 2년 뒤 같은 학교에 입학했다.

니진스키, 아르미드의 파빌리온에서 아르미드 노예 역할. 1909년 파리에서 초연된 발레 뤼스 공연 장면.


니진스키는 발레 학교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지만, 학업 성적은 좋지 않아 1902년 퇴학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그는 폴란드 출신이라는 이유로 놀림을 받았고, 당시 러일 전쟁 중이어서 일본인과 닮았다는 이유로 "자퐁체크(Japonczek, 작은 일본인)"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동급생들의 질투로 인해 1901년에는 넘어져 뇌진탕을 일으키고 4일간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했다.[11] 1903년에는 학생들이 새총으로 행인의 모자를 쏘는 장난에 연루되어 잠시 퇴학당했다가 복학하는 일도 있었다.[12]

1904년, 14세의 니진스키는 전설적인 안무가 마리우스 프티파의 마지막 작품이 될 뻔했던 발레의 주역으로 발탁되었으나, 러일 전쟁 발발로 공연되지 못했다. 1905년 1월 9일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피의 일요일 사건에 휘말려 군중 속에서 머리 부상을 입기도 했다.[13]

나이가 들면서 차분해졌지만, 그는 평생 친구가 거의 없는 내성적인 성격이었다. 춤을 출 때를 제외하고는 타인에게 무관심해 보이는 면모를 보였다.[14]

그는 학생 시절부터 마린스키 극장의 여러 공연에 출연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1907년 4월 졸업 공연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고, 마린스키 발레단의 수석 무용수였던 마틸데 크셰신스카의 파트너 제안을 받으며 졸업 후 군무(코르 드 발레)를 거치지 않고 바로 코리페(군무의 선두 무용수) 등급으로 입단하는 것이 보장되었다.[16]

1907년 9월, 니진스키는 연간 780RUB의 급여를 받는 코리페로 마린스키 극장에 정식 입단했다.[17] 그는 크셰신스카와 함께 춤춘 《라 피유 말 가르데》에서 성공을 거두었고, 미하일 포킨이 안무한 《아르미드의 파빌리온》에서는 작은 역할이었지만 뛰어난 도약과 회전으로 기술적 능력을 과시했다. 특히 《잠자는 숲속의 미녀》의 '파랑새' 파 드 되 공연은 관객들에게 열광적인 반응을 얻으며 그의 명성을 높였다.[18] 1910년에는 프티파의 《부적》 부활 공연에서 바람의 신 바유 역할로 다시 한번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2. 2. 무용 교육과 데뷔



1898년, 9세의 나이로 당시 러시아 제국의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러시아 황실 발레 학교에 입학했다.[1][6] 이 학교는 훗날 바가노바 발레 아카데미로 알려지게 된다. 그는 엔리코 체케티, 세르게이 레가트와 그의 형제 니콜라이 레가트, 파벨 게르트, 미하일 오부호프 등 당대 최고의 교사들에게 무용과 마임 연기를 배웠다.

학교 시절 니진스키는 뛰어난 무용 실력으로 일찍부터 두각을 나타냈으나, 학업 성적은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그는 파우스트, 호두까기 인형, 잠자는 숲속의 미녀, 백조의 호수 등 고전 발레 작품에서 작은 역할을 맡으며 무대 경험을 쌓았다. 폴란드계라는 이유로 동급생들에게 놀림을 받기도 했으며("자퐁체크"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1901년에는 한 동급생의 고의적인 행동으로 넘어져 뇌진탕을 일으켜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했다.[11] 1902년에는 좋지 않은 성적 때문에 퇴학당할 뻔했으나, 그의 뛰어난 무용 재능 덕분에 학교에 남을 수 있었다. 이후에도 1903년 잠시 퇴학당했다가 복학하는 등 순탄치만은 않은 학창 시절을 보냈다.[12]

1904년, 14세의 니진스키는 위대한 안무가 마리우스 프티파가 안무한 장미꽃과 나비의 로맨스의 주역으로 발탁되었으나, 이 작품은 러일 전쟁 발발로 인해 공연되지 못했다. 1905년 1월 9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발생한 피의 일요일 사건 당시 시위 군중에 휩쓸려 겨울 궁전 근처까지 가게 되었고, 군대의 진압 과정에서 머리 부상을 입었다.[13]

1907년 4월, 니진스키는 미하일 포킨이 안무한 파 드 되를 엘리자베타 게르트와 함께 추며 졸업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그는 졸업과 동시에 마린스키 극장 발레단에 군무(코르 드 발레)를 거치지 않고 바로 코리페 등급으로 입단하는 것이 보장될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았다.[16] 졸업 후 여름에는 크라스노예 셀로의 임시 극장에서 공연하며 귀족들과 군 장교들 앞에서 실력을 선보였고, 이는 그의 경력에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17]

1907년 9월, 마린스키 극장에 정식 데뷔한 니진스키는 여러 작품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마틸데 크셰신스카의 파트너로 ''라 피유 말 가르데''에 출연하여 호평을 받았고, 포킨이 안무한 ''아르미드의 파빌리온''에서는 그의 기술적인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특히 ''잠자는 숲속의 미녀'' 중 '파랑새' 파 드 되에서의 표현력과 마치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도약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8] 1910년에는 크셰신스카가 재공연한 프티파의 ''부적''에서 바람의 신 바유 역할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마린스키 극장에서 활동하던 시기, 니진스키는 러시아 예술계의 혁신적인 기획자 세르게이 디아길레프를 만났다.[19] 디아길레프는 니진스키의 재능을 높이 평가했으며, 그의 후원자이자 연인으로서[20][21] 니진스키의 경력 관리에 깊이 관여하기 시작했다. 이 만남은 니진스키의 예술 인생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 3. 세르게이 댜길레프와의 만남과 발레 뤼스 활동

마린스키 극장에서 활동하던 니진스키는 천재적인 예술 기획자 세르게이 댜길레프를 만나면서 인생의 큰 전환점을 맞이했다.[19] 댜길레프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지식인이자 러시아 시각예술과 음악을 해외에 소개하는 데 열정적인 부유한 후원자였다. 두 사람은 연인 관계로 발전했으며,[20][21] 댜길레프는 니진스키의 예술 활동 전반에 깊이 관여하며 그의 경력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했다.

1909년, 댜길레프는 니진스키와 당대 최고의 발레리나였던 안나 파블로바를 주역으로 내세워 파리에서 러시아 발레 공연을 기획했다. 이 공연은 서유럽 관객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며 폭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니진스키와 파블로바는 유럽 예술계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이 성공을 발판 삼아 댜길레프는 미하일 포킨안무가로 영입하여 발레 뤼스(Ballets Russes)를 창단했다. 발레 뤼스는 당시 가장 혁신적이고 유명한 발레단 중 하나로 빠르게 자리매김했다. 창단 과정에서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제정 러시아 정부의 보조금이 취소되는 등 재정적 어려움도 있었으나,[22] 댜길레프는 여러 후원자들의 도움으로 이를 극복했다.[23]

세헤라자데의 황금 노예 역을 맡은 니진스키


니진스키는 발레 뤼스에서 그의 천재적인 재능을 마음껏 펼쳐 보였다. 미하일 포킨이 안무한 《아르미드의 집》(작곡: 니콜라이 체레프닌), 《클레오파트라》(작곡: 안톤 아렌스키 외), 《축제》 등 초기 작품들에서부터 그의 뛰어난 기량과 표현력은 빛을 발했다. 차이콥스키 음악에 맞춘 《잠자는 숲속의 미녀》에서의 파 드 뒤(pas de deux) 연기는 엄청난 찬사를 받았다.[25] 1910년에는 《지젤》과 포킨의 대표작인 《사육제》, 이국적인 분위기의 《세헤라자데》(작곡: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등에서 주역을 맡아 타마라 카르사비나와 함께 전설적인 무대를 선보였다.

특히 1911년 공연된 《장미의 정령》에서 니진스키가 보여준, 중력을 거스르는 듯한 경이로운 도약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그의 명성을 더욱 높였다. 같은 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작곡한 《페트루슈카》에서도 꼭두각시 인형 페트루슈카 역을 맡아 뛰어난 연기를 선보였다.

발레 뤼스 활동 초기, 니진스키는 마린스키 극장에도 소속되어 있었으나, 1911년 극장과의 갈등으로 인해 해고되면서 완전히 발레 뤼스로 활동 무대를 옮기게 되었다.

2. 4. 안무가로서의 도전과 논란

댜길레프의 지원 아래 니진스키는 안무가로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그는 드뷔시의 음악을 사용한 《목신의 오후》(L'après-midi d'un faune|라프레미디 뒨 폰프랑스어) (1912년), 드뷔시가 작곡한 《유희》(Jeux|죄프랑스어) (1913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음악을 사용한 《틸 오일렌슈피겔》(Till Eulenspiegel|틸 오일렌슈피겔de) (1916년) 등 여러 발레 작품의 안무를 맡았다.

《목신의 오후》는 특히 마지막 장면에서 님프의 스카프를 이용한 자위행위를 연상시키는 마임으로 큰 스캔들을 일으켰다. 이 파격적인 성적 묘사로 인해 파리 여론의 절반은 그를 외설적이라 비난했지만, 오귀스트 로댕, 오딜롱 르동, 프루스트와 같은 예술가들은 그를 옹호했다. 비평가들의 혹평이 쏟아졌고, 댜길레프조차 니진스키의 안무 재능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

스트라빈스키 작곡의 《봄의 제전》(Le Sacre du Printemps|르 사크르 뒤 프랭탕프랑스어, 1913년)은 니진스키의 혁신성을 더욱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그는 19세기 고전 발레의 규범에서 완전히 벗어나, 다리를 안쪽으로 모으고 머리를 숙이는 등 급진적이고 각진 움직임을 도입했다. 이는 스트라빈스키의 혁신적인 음악과 결합하여 20세기 발레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파리의 샹젤리제 극장에서 열린 초연 당시, 이교도의 희생 제의를 다룬 주제와 파격적인 음악, 전례 없는 안무는 관객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격렬한 소동과 폭력 사태에 가까운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댜길레프는 이러한 악명에 오히려 만족감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레 뤼스의 주요 인물들. (왼쪽부터) 알렉산드라 보트키나, 파벨 코리붓-쿠비토비치, 타마라 카르사비나, 바츨라프 니진스키,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알렉상드르 베누아, 세르게이 댜길레프, K 해리스. 앞줄 알렉산드라 바실리에바. 1911년경 촬영.


이러한 예술적 도전과 별개로 개인적인 논란도 있었다. 1913년, 발레 뤼스의 남미 투어 중 니진스키는 동료 무용수이자 자신의 열렬한 팬이었던 헝가리 귀족 여성 로몰라 드 풀스키(Romola de Pulszky)에게 청혼하여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당시 바다 여행을 극도로 두려워하여 투어에 동행하지 않았던 댜길레프는 이 소식을 전해 듣고 격분하여 니진스키와 로몰라를 발레단에서 해고했다.

2. 5. 결혼과 댜길레프와의 결별

1913년 발레 루스는 남미 순회 공연에 나섰다. 세르게이 댜길레프는 항해 공포증을 이유로 들며 이 여정에 동반하지 않았는데[29], 일각에서는 니진스키로부터 떨어져 베네치아에서 휴가를 즐기며 다른 만남을 기대했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다.[29] 그의 정신적 지주이자 연인이었던 댜길레프가 없었고, 임신 중이었던 여동생 브로니슬라바 니진스카 역시 투어에 함께하지 못했기에[9] 니진스키는 불안정한 상태로 21일간의 항해를 시작했다.[30]

이 투어에는 헝가리 귀족 가문의 딸이자 유명 여배우 에밀리아 마르쿠스의 딸인 로몰라 드 풀스키[78]가 동행했다. 로몰라는 1912년 부다페스트에서 발레 루스 공연을 보고 니진스키에게 깊이 매료되어 약혼을 파기하고[31], 니진스키를 따라 유럽 전역을 다니며 그의 곁에 머물 기회를 엿보았다. 그녀는 엔리코 체케티에게 발레 수업을 받기도 했으나[33], 니진스키는 처음에는 그녀에게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32] 로몰라는 니진스키가 탑승하기로 예정된 배에 함께 올라탔고, 그의 마사지사와 친해지는 등 적극적으로 다가가 항해 기간 동안 그의 애정을 얻는 데 성공했다.

항해 중, 발레 루스의 투자자이자 회사를 감시하던 건스부르 백작이 니진스키를 대신하여 로몰라에게 청혼하는 역할을 했다. 니진스키 역시 서툰 프랑스어와 몸짓으로 다시 청혼했고, 로몰라는 이를 받아들였다.[37] 니진스키가 로몰라의 지위와 재산을 이용하여 댜길레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 했다는 추측도 제기되었지만, 세속적인 것과 거리가 멀었던 그의 성격상 실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1913년 9월 10일, 발레단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도착하자 두 사람은 결혼식을 올렸고, 이 소식은 전 세계 언론에 보도되었다.[38]

유럽에 있던 댜길레프는 니진스키의 결혼 소식에 질투와 배신감으로 격노하여, "니진스키의 배은망덕함, 로몰라의 배신, 그리고 자신의 어리석음을 저주하며"[39] 즉시 니진스키와 로몰라를 발레 루스에서 해고했다.[39] 결혼 직후 니진스키는 로몰라에게 발레를 가르치려 했으나 그녀는 관심이 없었고, 니진스키는 "내가 실수를 했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그 실수는 돌이킬 수 없었다. 나는 나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의 손에 나를 맡겼다"고 술회하며[40] 결혼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니진스키는 자신만의 무용단을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런던에서의 중요한 공연이 운영상의 문제로 실패하면서 큰 좌절을 겪었다.

3. 정신 질환과 말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러시아 국적이었던 니진스키는 헝가리에 구금되었다.[1] 세르게이 댜길레프1916년 북미 순회 공연을 위해 그를 구출하는 데 성공했으나,[51][52] 이 시기부터 니진스키는 점차 조현병 징후를 보이기 시작했다.[54]

1919년 신경쇠약으로 인해 니진스키의 무용수 경력은 사실상 막을 내렸다.[1] 그는 조현병으로 진단받았고, 아내 로몰라에 의해 스위스로 옮겨져 정신과 의사 에우겐 블로일러의 치료를 받기 시작했다.[1] 이후 니진스키는 남은 생애 대부분을 정신병원과 보호시설에서 보냈다.

니진스키는 1950년 4월 8일 런던의 한 진료소에서 신부전으로 사망했으며, 처음에는 런던에 매장되었다.[58][59] 1953년 그의 유해는 프랑스 파리의 몽마르트 묘지로 이장되어 가에타노 베스트리스, 테오필 고티에, 엠마 리브리 등 다른 예술가들의 무덤 가까이에 안치되었다.[60]

3. 1. 정신 질환 발병과 요양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러시아 국적이었던 니진스키는 헝가리에 구금되었다.[1] 세르게이 댜길레프1916년 발레 뤼스의 북미 순회 공연을 위해 니진스키를 구출하는 데 성공했다.[51][52] 니진스키는 이 공연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음악에 맞춘 발레 《틸 오일렌슈피겔》의 안무를 맡고 주역으로 직접 춤을 추었다. 그러나 이 시기부터 그의 정신 상태는 불안정해지기 시작했으며, 동료들은 니진스키에게서 조현병 초기 증상인 병적인 과민성과 피해망상을 발견했다. 그는 다른 무용수들을 두려워하고 통풍구가 열린 것조차 무서워했다.[54]

1917년 9월 30일,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적십자 자선 공연은 니진스키의 마지막 공식 무대가 되었다. 당시 함께 공연했던 피아니스트 아서 루빈스타인은 니진스키의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고 눈물을 흘렸다고 회고했다.[55] 이후 니진스키와 아내 로몰라는 투어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 스위스 생모리츠로 이주했다.[1]

1919년 1월 19일, 생모리츠의 수브레타 하우스(Suvretta House) 호텔에서 니진스키는 즉흥 공연을 펼쳤다. 그는 이 공연을 스스로 "신과의 결혼"이라 명명했으며, 이는 사실상 그의 마지막 춤이 되었다. 이 공연 직후 그는 신경쇠약 상태에 빠졌으며, 정신병원에 입원하기 전까지 약 6주간 자신의 내면 상태를 기록한 《니진스키의 수기》를 집필했다.[56] 그의 일기에는 감시받고 있다는 망상과 병원 입원에 대한 두려움이 가득했다.

결국 로몰라는 1919년 3월 5일, 취리히에서 저명한 정신과 의사 에우겐 블로일러에게 니진스키의 진료를 의뢰했다. 블로일러는 니진스키를 조현병으로 진단했고, 니진스키는 부르크횔츨리 정신병원에 입원했다.[1] 며칠 후 그는 좀 더 나은 시설인 벨뷰 요양소로 옮겨졌다. 이로써 니진스키의 무용수 경력은 완전히 막을 내렸다.

이후 약 30년간 니진스키는 정신병원과 요양원을 오가며 지냈다. 아내 로몰라는 평생 동안 헌신적으로 그를 간호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인 1945년, 오스트리아 근교에서 잠시 머물던 니진스키는 우연히 러시아 군인들을 만나 그들의 민속 음악 연주를 듣게 되었다. 모국어와 음악에 자극받은 그는 잠시 춤을 추며 놀라운 기량을 선보였고, 오랫동안 지켜온 침묵을 깨고 다시 말을 하기도 했다.[57]

1947년 니진스키 부부는 영국 서리의 버지니아 워터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다. 그는 1950년 4월 8일 런던의 한 진료소에서 신부전으로 사망했고, 처음에는 런던에 안장되었다.[58][59] 그러나 1953년 그의 유해는 프랑스 파리몽마르트르 묘지로 이장되어, 위대한 무용수였던 가에타노 베스트리스, 작가 테오필 고티에, 발레리나 엠마 리브리의 무덤 곁에 안장되었다.[60]

3. 2. 비극적인 말년과 죽음

1919년 신경쇠약으로 사실상 그의 경력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는 조현병으로 진단받았고, 아내 로몰라에 의해 스위스로 옮겨져 정신과 의사인 오이겐 블로일러에게 치료받았다.[1] 이후 니진스키는 남은 생애 대부분을 정신병원과 보호시설에서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며 보냈다. 로몰라는 니진스키의 간호에 헌신했지만, 때로는 정신과 의사의 조언을 무시하는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 판단 착오를 겪기도 했다.[74] 니진스키는 위험성 때문에 현재는 시행되지 않는 인슐린 쇼크 요법과 같은 치료를 받기도 했다.[74]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로몰라의 친가가 있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입원 생활을 했다. 1945년 3월, 독일군이 점령 지역의 정신질환자들을 24시간 내에 처형하라는 명령을 내리면서 니진스키 역시 처형될 위기에 처했으나 가까스로 피할 수 있었다.[75] 전쟁이 끝난 후, 독일군을 대신해 진주한 소련군 병사들은 조국의 위대한 예술가가 처한 상황에 놀라움을 표했다. 니진스키는 정신질환 발병 후 거의 말을 하지 않았지만, 젊은 소련 병사들과는 모국어인 러시아어로 대화하며 병으로 인한 공격성이 줄어들고 온순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 모습을 본 로몰라는 남편을 러시아로 돌려보내지 않은 것을 후회했다고 전해진다.[57][75]

1947년, 니진스키 부부는 영국 런던 근교 서리의 버지니아 워터로 이주하여 생활했다.[57] 그러나 그의 건강은 회복되지 못했고, 1950년 4월 8일 런던의 한 병원에서 신부전으로 사망했다.[58][59] 그의 유해는 처음에 런던에 매장되었으나, 1953년 프랑스 파리의 몽마르트 묘지로 이장되어 가에타노 베스트리스, 테오필 고티에, 엠마 리브리와 같은 유명 예술가들의 무덤 가까이에 안치되었다.[60]

4. 예술적 평가와 유산

바츨라프 니진스키는 20세기 초 발레 역사상 가장 혁신적이고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뛰어난 무용수였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발레의 관습을 깨고 현대 무용의 새로운 지평을 연 안무가이기도 했다.[1] 그의 예술 활동은 당대 관객들에게 큰 충격과 감동을 선사하며 예술계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그의 빛나는 예술 경력은 정신 분열증 발병으로 인해 30세 이전에 갑작스럽게 중단되었다.[1] 이후 30년 이상을 정신 병원과 요양원을 오가며 보냈고, 대중 앞에서 다시 춤을 추지 못했다.[57] 이러한 비극적인 삶은 그의 예술과 더불어 니진스키를 더욱 신화적인 존재로 만들었다.

니진스키가 춤추는 모습은 영상 기록으로 남아있지 않지만,[62] 다수의 사진과 그가 직접 쓴 일기가 그의 예술 세계와 내면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남아 있다.[61] 특히 그의 일기는 정신적 혼란 속에서도 예술과 인간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어 많은 연구자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비록 그의 혁신적인 안무들은 대부분 소실되었으나, 후대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일부 복원되어[76] 오늘날에도 그의 예술적 유산이 이어지고 있으며, 그의 삶과 예술은 연극, 영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이 재조명되고 있다.

4. 1. 무용 스타일과 영향력

니진스키는 당대 최고의 무용수였으나, 그의 파트너였던 타마라 카르사비나는 훗날 바가노바 발레 아카데미 출신 젊은 무용수들이 니진스키가 당시 선보였던 기술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이는 니진스키가 발레 무용수들의 기술적 기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음을 시사한다.

니진스키, ''장미의 정령''(1911)에서


한편, 여성 무용수와의 협연 능력 부족은 그의 약점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지젤》과 같이 파트너와의 호흡이 중요한 작품에서는 성공적이지 못했다는 평가가 있다. 그러나 《푸른 신》의 신, 《장미의 정령》의 장미, 《셰헤라자데》의 노예와 같은 양성적인 역할에서는 독보적인 표현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면들을 종합해 볼 때, 니진스키는 의심할 여지 없이 눈부시고 영향력 있는 예술가였다. 그는 경이로운 도약 능력으로 '마치 공중에서 정지한 듯한' 모습을 연출했으며, 중성적인 몸짓 등으로 전설적인 무용수로 남았다.[76]

니진스키는 안무가로서도 활동하며 기존 발레의 경계를 허무는 혁신적인 작품들을 선보였다. 클로드 드뷔시의 음악에 기반한 《목신의 오후》(1912), 《주 (발레)》(1913), 《틸 오일렌슈피겔》(1916)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목신의 오후》에서는 마지막 장면에서 님프의 스카프를 이용해 자위 행위를 연상시키는 안무로 큰 스캔들을 일으켰지만, 오귀스트 로댕, 오딜롱 르동, 마르셀 프루스트와 같은 예술가들의 지지를 받기도 했다.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음악과 함께한 《봄의 제전》(1913)은 전통 발레의 형식과 미학을 완전히 뒤엎는 파격적인 안무로 더욱 격렬한 반응을 낳았다. 각진 움직임과 원시적인 에너지를 표현한 이 작품은 파리 초연 당시 객석에서 격렬한 소동을 일으켰다. 이교도적 제의에서 젊은 처녀가 죽을 때까지 춤을 추는 내용을 다룬 주제와 스트라빈스키의 혁신적인 음악, 니진스키의 안무는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이는 현대 무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니진스키가 춤추는 모습은 영상으로 남아있지 않은데, 이는 당시 세르게이 디아길레프가 영화의 조악한 품질이 무용수들의 예술성을 제대로 담아낼 수 없다고 판단하여 러시아 발레단의 공연 촬영을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62] 대신 E. O. 호페 등이 촬영한 다수의 사진이 남아 그의 모습을 전하고 있다. 영상 기록의 부재는 오히려 그의 전설적인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 측면도 있다.[76]

그의 안무는 대부분 소실되었으나, 무용 역사학자이자 안무가인 밀리센트 호드슨과 케네스 아처 부부의 노력으로 《봄의 제전》과 《유희》가 복원되었다. 또한 1988년에는 앤 허친슨 게스트가 니진스키가 직접 기록한 《목신의 오후》의 라반 무용보를 해독하여 그의 안무를 재현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복원 작업들은 니진스키의 혁신적인 예술 세계와 그의 지속적인 영향력을 보여준다.

4. 2. 대중문화 속의 니진스키

바츨라프 니진스키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매체에서 언급되거나 소재로 다루어졌다.

  • 그루초 막스의 노래, ''Lydia the Tattooed Lady영어''
  • W. H. 오든의 시, ''September 1, 1939영어''
  • 샘 셰퍼드의 1막짜리 연극, ''Action영어''
  • 유명한 경주마인 니진스키 II (Nijinsky II)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으로 추정된다.
  • 아칸소주 시인 프랭크 스탠포드의 비극시, ''The Battlefield Where the Moon Says I Love You영어''
  • 프랭크 비다트의 시 ''The War of Vaslav Nijinsky영어''에서 중심 화자로 등장한다.
  • 알리체(Alice)의 노래 ''Prospettiva Nevskiit''
  • 1992년 영화, 채플린
  • 프랑스 시리즈인 ''Les Dames de la côte프랑스어''[1]
  • 록밴드 록시 뮤직의 1973년 노래 ''Do the Strand영어''. 가사 중 "If you feel blue/look through who's who/ see La Goulue/and Nijinsky/Do the Standsky"라는 구절이 있다.


니진스키의 삶을 다룬 발레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니진스키, 신의 광대'' (Nijinsky, clown de Dieu프랑스어): 모리스 베자르 안무, 피에르 앙리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음악. 1971년 20세기 발레단(Ballet du XXe siècle), 브뤼셀에서 초연.
  • ''바슬라프'' (Vaslavde) (1979): 함부르크 발레단, 존 노이마이어 안무.
  • ''니진스키 - 신성한 무용수'' (Nijinsky – Divine Dancer영어) (1990): 요제프 휠덜레(작곡가)와 유하 반하카르타노(안무가)의 작품. 니진스키의 일기를 바탕으로 한 대본(유하 반하카르타노). 2막 발레 (1막 "삶" / 2막 "죽음")는 니진스키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1989년 핀란드 국립 오페라에 의해 위촉되었으며 1990년 1월 18일 헬싱키의 핀란드 국립 오페라에서 초연되었다.[63]
  • ''니진스키'' (Nijinskide): 마르코 괴케 안무, 프레데리크 쇼팽의 음악.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테아터하우스 슈투트가르트에서 고티에 댄스(Gauthier Dance)에 의해 초연되었다. 2019/2020 시즌 하노버 국립 오페라에서 공연되었다.

5. 관련 작품

(Nijinsky, Clown de Dieu프랑스어)모리스 베자르피에르 앙리,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1971년, 20세기 발레단, 브뤼셀바슬라프
(Vaslavde)존 노이마이어1979년, 함부르크 발레단니진스키 – 신성한 무용수
(Nijinsky – Divine Dancer영어)유하 반하카르타노요제프 휠덜레1990년 1월 18일, 핀란드 국립 오페라, 헬싱키[63]니진스키
(Nijinskide)마르코 괴케프레데리크 쇼팽독일 슈투트가르트 테아터하우스, 고티에 댄스



또한, 니진스키의 모습은 수많은 사진으로 남아 기록되었다. 특히 사진작가 E. O. 호페는 1909년부터 1921년 사이 런던에서 공연된 발레 뤼스 시즌 동안 니진스키의 모습을 다수 촬영했다.[62] 폴란드 바르샤바바르샤바 대극장에는 조각가 기엔나디 예르쇼프가 제작한 니진스키와 그의 여동생 브로니슬라바 니진스카의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

니진스키의 삶과 예술은 여러 편의 영화와 연극, 그리고 그의 일기를 비롯한 다양한 서적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고)

5. 1. 영화

5. 2. 연극

5. 3. 서적

니진스키의 ''일기''는 그가 취리히정신병원에 입원하기 전 스위스에서 보낸 1919년 6주 동안 쓰여졌다.[61] 일기는 그의 가정이 혼란에 빠지는 것을 반영했으며, 자신의 글에서 감정과 행동을 고양시켰다. 이는 자서전적 요소와 불우한 사람들에 대한 연민을 호소하는 내용을 결합했다.

수년 후, 일기 세 권과 다양한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가 담긴 또 다른 노트를 발견한 그의 아내 로몰라 니진스키는 1936년에 일기의 검열된 버전을 출판했으며, 제니퍼 매팅리가 영어로 번역했다.[1] 로몰라는 일기의 약 40%를 삭제했는데, 특히 신체 기능, 성, 동성애에 대한 언급이었으며, 니진스키를 "본의 아닌 동성애자"로 묘사했다. 그녀는 또한 그와 그들의 가정과 가까운 다른 사람들에 대한 그의 불쾌한 언급 중 일부를 제거했다. 그녀는 섹션을 옮겨 원래 버전에서 명확했던 "사건의 행진"을 흐리게 만들고, 그가 하나님으로 썼던 부분과 자신으로 썼던 부분을 구분하려는 시도를 포함하여 좀 더 기이한 부분들을 완화했다. (원문에서는 이 모든 부분이 동일하게 쓰여졌다.)[1]

1995년에는 ''뉴요커''의 무용 평론가 조앤 아코셀라가 편집하고 키릴 피츠리온이 번역한 ''바슬라프 니진스키의 일기''의 첫 번째 완전판이 출판되었다.[61] 아코셀라는 일기가 조현병의 세 가지 요소, 즉 "망상, 무질서한 언어, 무질서한 행동"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1] 그것은 또한 니진스키의 사고가 "선택적 주의력의 붕괴"를 보여주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그의 연상은 점점 더 넓어지는 고리 안에서 연결될 것이었다.[1] 뉴욕 타임스의 한 리뷰는 "그의 광기의 실제 추악함을 지우면서 옛 버전은 니진스키의 진정한 목소리뿐만 아니라 그 목소리가 나온 훌륭한 재능의 육체도 침묵시켰다는 것이 얼마나 아이러니한가. 그리고 우리는 그 둘 모두를 되찾게 되어 얼마나 다행인가."라고 평가했다.[61]

니진스키는 여러 시인들의 작품에서도 언급되었다.

참조

[1] 학술지 Secrets of Nijinsky https://www.nybooks.[...] 1999-01-14
[2] 학술지 El cuerpo danzante en la invención del lazo social: el caso Nijinsky 2019-12
[3] 웹사이트 Vaslav Nijinsky https://michelinewal[...]
[4] 백과사전 Vaslav Nijinsky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5] 인용
[6] 서적 The Diary of Vaslav Nijinsk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7] 뉴스 Popołudnie fauna https://www.polityka[...] 2000-05-06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서적 Diaghilev
[16] 인용
[17] 인용
[18] 인용
[19] 웹사이트 Groningermuseum.nl http://www.groninger[...] Groningermuseum.nl 2013-07-11
[20] 웹사이트 Edinburgh Forum http://forum.llc.ed.[...]
[21] 웹사이트 glbtq Project http://www.glbtqarch[...] glbtq Project 2021-10-31
[22] 인용
[23] 인용
[24] 인용
[25] 웹사이트 Вацлав Нижинский и "золотой век" русского балета https://diletant.med[...] Diletant Media 2018-01-10
[26] 웹사이트 Cached archive http://74.54.115.114[...]
[27] 인용
[28] 서적 Conversations with Igor Stravinsky Faber
[29] 문서 Nijinsky
[30] 인용
[31] 문서 Nijinsky
[32] 인용
[33] 문서 Nijinsky
[34] 인용
[35] 문서 Nijinsky
[36] 인용
[37] 인용
[38] 문서 Nijinsky
[39] 문서
[40] 인용
[41] 인용
[42] 인용
[43] 문서
[44] 인용
[45] 인용
[46] 문서 Early Memoirs Holt Rinehart and Winston
[47] 인용
[48] 문서 Bookseller at the Ballet, Memoirs 1891–1929
[49] 문서 Nijinsky
[50] 문서
[51] 서적 Nijinsky, A Biography https://archive.org/[...]
[52] 문서 Nijinsky
[53] 인용
[54] 인용
[55] 논문 One hundred years ago: Nijinsky and the origins of schizophrenia
[56] 인용
[57] 간행물 Nijinsky in Vienna 1945-09-10
[58] 간행물 Secrets of Nijinsky https://www.nybooks.[...] 1999-01-14
[59] 뉴스 From the archives: An obituary of Vaslav Nijinsky 1950-04-10
[60] 웹사이트 Cimetière de Montmartre: an abandoned quarry transformed into a stunning necropolis https://flickeringla[...] 2016-03-26
[61] 뉴스 Dancing With Madness: Review of 'The Diary of Vaslav Nijinsky' https://www.nytimes.[...] 1999-02-28
[62] 인용
[63] 웹사이트 performances http://encore.opera.[...] Database Finnish National Opera
[64] 문서 Terence Rattigan
[65] 웹사이트 Terence Rattigan site http://www.terencera[...]
[66] 웹사이트 Romola & Nijinsky (Deux Mariages) http://www.curtainup[...]
[67] 논문 Нижинский: человек и легенда https://www.kommersa[...] Kommersant 2016-08-17
[68] 서적 The Long-Distance Runner: An Autobiography https://archive.org/[...] William Morrow and Company
[69] 웹사이트 Nijinsky and Neumeier http://annettevonwan[...]
[70] 웹사이트 Arbeiderspers.nl http://www.arbeiders[...] Arbeiderspers.nl 2013-07-11
[71] 웹사이트 Eva Stachniak | writer http://www.evastachn[...]
[72] 웹사이트 Plushenko Nijinsky Best Performance Eleven 6.0s!! https://web.archive.[...] YouTube 2009-04-27
[73] 문서 Nizhinsky と表記することもある。
[74] 문서 この当時のエピソードが[[河合隼雄]]の『未来への記憶』『深層意識への道』に紹介されている。河合はスイス留学時代、[[宝塚歌劇団|宝塚]][[俳優|女優]]の[[明石照子]]に熱を上げたロモラの日本語教師を[[アルバイト]]として引き受けていた。
[75] 문서 その際情報が錯綜しニジンスキーがナチスに殺害されたという誤報が世界に流れたが、機転を効かせた看護人によって匿われ、命を救われる。
[76] 문서 動画は最晩年のプライベート映像が残されるのみ。近年YouTube等に掲載された舞踊「動画」は、写真を多数使用し、まるで動いているように見せたもの。
[77] 문서 Albright, 2004
[78] 문서 헝가리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성이 이름 앞에 먼저 배열된다. 헝가리식으로 풀츠키 로몰라로 표기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