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덕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덕룡(1561년 ~ 1598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운보(雲甫), 호는 낙천이며, 온양 방씨 가문 출신이다. 1588년 무과에 급제하여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활약했다. 1592년 정의 현감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발발 후 의병을 모아 원균 휘하에서 싸웠다. 정유재란 때는 낙안군수로 재직하며 명나라 장수와 협력하여 왜군을 격퇴했다. 이순신의 선봉장으로 노량해전에 참전하여 분전하다가 전사했다. 사후 통정대부 형조참의에 추증되었으며, 선무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군수 - 황진 (1550년)
    조선 중기 무장 황진은 황희의 후손으로, 무과 급제 후 선전관으로 시작하여 이탕개의 난에 참전, 조선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뒤 임진왜란 때 권율 휘하에서 웅치 전투와 이치 전투에서 공을 세워 익산군수와 충청도 조방장을 겸임하고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승진, 죽산성 방어전에서 승리했으나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전사, 사후 좌찬성에 추증되고 무민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창열사와 민충사에 제향되었다.
  • 조선의 군수 - 이시방
    이시방은 인조반정 공신으로 연성군에 봉해진 조선 중기 문신으로, 나주목사, 전라도관찰사, 제주목사 등을 역임하며 관료로서 활동했고, 대동법 시행에 힘썼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충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한국의 제독 - 이억기
    이억기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전라우도 수군절도사로서 이순신, 원균과 함께 연합 함대를 구성하여 공을 세웠으나 정유재란 때 칠천량 해전에서 전사하였으며, 사후 선무공신 2등에 책록되고 병조판서에 추증되었고 그의 공을 기려 대한민국 해군의 잠수함 중 한 척이 그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 한국의 제독 - 허적
    조선 중기 문신 허적은 예송논쟁의 남인 주요 논객이자 탁남 영수로,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당쟁과 정치적 음모로 처형 후 복권되었으며, 평안도 관찰사 시절 대동법 확대에 기여했으나 허목과의 갈등과 천막 남용 사건으로 몰락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1561년 출생 - 후지와라 세이카
    후지와라 세이카는 1561년에 태어나 1619년에 사망한 일본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학문을 수용하고 하야시 라잔 등을 제자로 두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유학을 강의하고 『촌철록』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561년 출생 - 후쿠시마 마사노리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일본 아즈치-모모야마,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임진왜란 참전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의 공으로 히로시마 번주에 임명되었으나 금령 위반으로 강등된 인물이다.
방덕룡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방덕룡
현지어 표기方德龍
생애1561년 ~ 1598년 (38세)
별명자(字)는 운보(雲甫)
호(號)는 낙천(樂天)
시대조선 중기(16세기)
출생지조선 충청도 팽성현
(現 대한민국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사망지조선 노량해협 노량해전 전장
본관온양(溫陽)
최종 계급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지휘낙안군수(樂安郡守)
통훈대부(通訓大夫)
행군자감정(行軍資監正)
주군선조
부모아버지 방헌침(方獻忱)
어머니 해주 정씨 부인
배우자진주 강씨 부인
친척친조부 방호의(方好義)
외조부 정언각(鄭彦慤)
외사촌 정문부(鄭文孚)
장인 강응서(姜應瑞)
주요 참전 전투/전쟁임진왜란, 정유재란, 노량해전
기타 이력사후 형조참의에 추증됨.

2. 생애

1561년(명종 16년) 충청도 팽성현에서 태어난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2] 1588년(선조 21년) 무과에 급제하여[6] 군자감정, 정의현감 등을 역임하였다.[7]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참전하였고, 1596년에는 이몽학의 난 토벌에도 참여하였다.[8] 정유재란 때는 낙안군수로서 절이도 해전 등에서 공을 세웠으며,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신임을 받아 선봉장으로 활약하였다.[11] 1598년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에서 이순신, 명나라 장수 등자룡 등과 함께 싸우다 38세의 나이로 전사하였다.[12] 사후 그의 충절을 기려 통정대부 형조참의로 추증되었고, 선무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1][12]

2. 1. 가계와 초기 생애

1561년(명종 16년) 충청도 팽성현 북촌에서 아버지 방헌침(方獻忱)과 어머니 해주 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2] 온양 방씨 22세손이다.
방덕룡 가계

구분이름주요 경력 및 관계
할아버지방호의(方好義)돈녕부사, 충청도수군절도사
할머니전주 이씨세종의 넷째 아들 임영대군의 고손녀
외조부정언각(鄭彦慤)부제학, 경기도관찰사 (해주 정씨 8세손)
외조모고령 신씨이조판서 신공제(申公濟)의 셋째 딸
아버지방헌침(方獻忱)여절교위(勵節校尉)
어머니해주 정씨정언각의 셋째 딸[2]
고모온양 방씨세조의 셋째 아들 덕원군(德源君)의 손자 연창군(延昌君)의 부인[3][4]
증조부방윤(方輪)동북면 병마절도사
부인진주 강씨강응서(姜應瑞)의 딸
장인강응서(姜應瑞)생원, 과의교위 역임, 증(贈) 승정원 좌승지[5]



방덕룡은 진주 강씨 박사공파 12세손 강응서(姜應瑞)의 딸과 혼인하였다. 장인 강응서는 생원(生員), 과의교위(果毅校尉)를 지냈으며, 사후에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관 참찬관(通政大夫 承政院 左承旨兼 經筵官 叅贊官)으로 증직되었다.[5]

1588년(선조 21년), 28세의 나이로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급제하였다.[6] 그가 무관이 되고자 한 것은 증조부인 방윤(方輪)의 영향이 컸다. 동북면 병마절도사로 재직 중 순직한 방윤은 아들에게 창(槍)을 물려주며 훗날 국난이 닥쳤을 때 나라를 지키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1592년 3월부터 1595년 10월까지 정의(旌義) 현감을 지냈다.[7]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100여 명의 의병을 모아 원균(元均)의 휘하에 들어가 활약하였다.

2. 2. 무과 급제와 관직 생활

1588년(선조 21년) 28세의 나이로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급제하였다.[6] 그가 무관의 길을 선택한 데는 동북면 병마절도사를 지낸 증조부 방윤(方輪)이 순직할 때 남긴 유언의 영향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방윤은 국난 시 나라를 지키라는 유언과 함께 창(槍)을 남겼다고 한다.

무과 급제 후 군자감정(軍資監正) 등을 지냈으며, 1592년 3월부터 1595년 10월까지는 제주도 정의현감을 역임하였다.[7]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100여 명의 의병을 모아 원균(元均)의 휘하에 들어가 활동하였다. 1596년에는 이몽학의 난 토벌에도 참여하였다.[8]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부사(府使) 이영남(李英男), 만호(萬戶) 안여종(安汝棕)과 함께 절이도(折爾島)에 복병(伏兵)을 배치하였다가 왜군을 협공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해 6월 28일부터 7월 6일까지 잠시 문천군수를 지낸 뒤,[9][10] 낙안군수(樂安郡守)로 부임하였다.

1598년(선조 31년) 5월과 6월, 왜군이 흥양(興陽) 지역에 침입하여 노략질을 하자, 낙안군수 방덕룡은 명나라 장수 이천총(李千總)과 합세하여 적을 토벌하고 공을 세웠다.[11]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은 방덕룡의 용맹과 지략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선봉장으로 삼았다. 1598년 11월 18일, 노량해전이 발발하자 방덕룡은 통제사 이순신, 명나라 장수 등자룡(鄧子龍), 가리포 첨사(加里浦僉使) 이영남(李英男), 흥양 현감(興陽縣監) 고득장(高得蔣) 등과 함께 적진에 돌격하여 치열하게 싸웠으나, 왜군의 총탄에 맞아 38세의 나이로 전사하였다.[12] 노량해전의 승리는 7년간 이어진 조선과 일본의 전쟁을 종결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선조는 그의 충절을 기려 통정대부(通政大夫) 형조참의(刑曹參議)의 벼슬을 추증하고, 그의 자손들에게 대대로 벼슬을 내리도록 하였다. 또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1] 그의 아들 방전(方倎)은 1616년(광해군 8년) 증광(增廣) 생원시와 진사시 양시에 합격하여[13] 강릉 참봉(參奉)을 지냈다.

2. 3.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참전

1588년(선조 21년) 28세의 나이로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급제하였다.[6] 그가 무장이 되고자 한 것은 증조부인 방윤(方輪)이 동북면 병마절도사로 복무 중 순직할 때, 앞으로 국난이 닥치면 나라를 지키라는 유언과 함께 창(槍)을 물려받았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당시 정의(旌義) 현감(1592년 3월 ~ 1595년 10월 재임[7])이었던 그는 100여 명의 의병을 모아 원균(元均)의 휘하에 들어가 활약하였다.

1596년에는 이몽학의 난을 토벌하는 데 참여하였다.[8]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부사(府使) 이영남(李英男), 만호(萬戶) 안여종(安汝棕)과 함께 절이도(折爾島)에 복병(伏兵)을 배치하였다가 왜군을 협공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해 6월 28일부터 7월 6일까지 짧은 기간 문천(文川) 군수를 지낸 후,[9][10] 낙안군수(樂安郡守)로 부임하였다.

1598년(선조 31년) 5월 25일, 왜선이 흥양(興陽) 지방에 침입하여 노략질을 하고 6월 6일에는 내륙 깊숙이 들어오자, 낙안군수 방덕룡은 명나라 장수 이천총(李千總)과 합세하여 적을 토벌하고 공을 세웠다.[11]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이순신은 방덕룡의 용맹함과 지략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선봉장으로 삼았다. 1598년 11월 18일 노량해전(露梁海戰)이 발발하자, 방덕룡은 통제사 이순신, 명나라 장수 등자룡(鄧子龍), 가리포 첨사(加里浦僉使) 이영남(李英男), 흥양 현감(興陽縣監) 고득장(高得蔣) 등과 함께 결사적으로 적진에 돌격하여 왜군을 무찔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왜군의 총탄에 맞아 38세의 나이로 전사하였다.[12] 노량해전의 승리는 7년간 이어진 조선일본 간의 전쟁을 종결시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2. 4. 노량해전 전사와 사후 추증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은 낙안군수 방덕룡이 용감하고 지략이 있다고 평가하여 선봉장으로 삼았다.[11] 1598년 11월 18일,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이 발발하자 방덕룡은 통제사 이순신, 명나라 장수 등자룡, 가리포 첨사(加里浦僉使) 이영남, 흥양 현감(興陽縣監) 고득장과 함께 결사적으로 적진에 돌격하여 왜군을 격파했다.[12] 그러나 이 치열한 전투 과정에서 왜군의 총탄에 맞아 38세의 나이로 전사하였다.[12] 노량해전의 승리는 7년간 이어진 조선일본 사이의 전쟁을 종결시키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선조는 방덕룡의 충절을 기려 통정대부(通政大夫) 형조참의(刑曹參議)의 벼슬을 추증하고, 그의 자손들에게 대대로 관직을 제수하도록 명하였다.[12] 또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으로 책록되었다.[1] 방덕룡의 아들인 방전(方倎, 1583년 ~ ?)은 1616년(광해군 8년)에 시행된 증광(增廣) 생원시와 진사시 양과에 모두 합격하여 강릉 참봉(參奉) 벼슬을 지냈다.[13]

3. 가족 관계

'''방덕룡의 가계'''
구분이름비고
조부방호의(方好義)돈녕부
조모전주 이씨봉산군(鳳山君) 이돈(李敦)의 서녀[14]
방헌침(方獻忱)1537년 ~ ?
외조부정언각(鄭彦慤)직제학, 경기도관찰사 (1498년 ~ 1556년)
외조모고령 신씨(高靈申氏)이조판서 신공제(申公濟)의 셋째 딸
해주 정씨(海州鄭氏)정언각(鄭彦慤)의 3녀
장인강응서(姜應瑞)증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겸 경연관 참찬관 (? ~ 1617년)
부인진주 강씨(晉州姜氏)강응서(姜應瑞)의 딸
아들방검(方儉)
아들방전(方倎)1583년 ~ ?
손자방일찬(方日贊)방전(方倎)의 아들


참조

[1] 서적 선조실록(宣祖實錄)
[2] 웹인용 해주정씨 종친회 > 8세 정언각 고죽재공 http://www.hjjeong.o[...] 2015-05-08
[3] 간행물 전주 이씨(全州李氏) 덕원군(德源君)파보 및 덕원군 묘갈(墓碣)
[4] 웹인용 방덕룡 정사기록 http://www.onyangban[...] 2015-05-08
[5] 웹사이트 진주 강씨 인터넷 전자 족보 http://kangssi.kr/ch[...]
[6] 서적 만력무자문무방목(萬曆戊子文武榜目)
[7] 간행물 濟州大靜旌義邑誌 旌義縣 先生案
[8] 서적 硏經齋全集 卷之17 방낙안전(方樂安傳)
[9] 서적 죽계일기(竹溪日記) 卷之四
[10] 서적 선조실록 90권, 30년(1597 정유 / 명 만력(萬曆) 25년) 7월 6일(을미) 1번째 기사
[11] 서적 선조실록 102권, 31년(1598 무술 / 명 만력(萬曆) 26년) 7월 6일(기축) 1번째 기사
[12] 서적 선조실록 106권, 31년(1598 무술 / 명 만력(萬曆) 26년) 11월 27일(무신) 5번째 기사
[13] 서적 만력44년병진3월증광사마방목(萬曆四十四年丙辰三月增廣司馬榜目)
[14] 간행물 임영대군의 증손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