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뱀 (상징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뱀은 다산, 재생, 치유, 위험 등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 존재로, 인류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진화적 기원에서는 뱀이 영장류의 주요 포식자였던 역사로 인해 공포와 죽음의 상징이 되었으며, 탈피하는 모습은 재생과 불멸을 상징한다.

신화와 종교에서 뱀은 수호신, 지하 세계의 존재, 지혜의 상징 등으로 나타나며,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등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뱀은 의학의 상징(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정치적 선전과 문장, 상업적 로고 등 현대 사회에서도 다양한 의미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징주의 - 고답파
    고답파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낭만주의에 반발하여 테오필 고티에의 "예술을 위한 예술"을 기치로 형식미와 객관성을 추구한 문학 운동으로, 쇼펜하우어의 영향을 받아 삶의 허무함을 다루며 여러 국가의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 상징주의 - 팔괘
    팔괘는 음양의 효를 조합한 8가지 괘로, 주역의 기본 단위이며 자연 현상, 가족 관계, 방위, 오행 등 다양한 의미를 상징하고 복희의 선천 팔괘와 문왕의 후천 팔괘로 나뉘며 점, 풍수, 전통 의학, 무술 등 다양한 분야와 한국 문화에 응용되었다.
  • 뱀을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라오콘 군상
    라오콘 군상은 트로이의 목마를 반대하다 바다뱀에게 죽임을 당하는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을 조각한 작품으로, 기원전 160년에서 20년 사이에 제작되어 현재 바티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예술적 표현 방식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뱀을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의술과 치유의 신인 아스클레피오스의 상징으로, 뱀 한 마리가 감겨 있는 형태로 의료 기관 및 단체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카두케우스와 혼동되기도 한다.
  • 비교신화학 - 명계
    명계는 죽은 자들이 가는 세계를 의미하며, 각 문화권은 고유한 방식으로 묘사되는데, 엘리시움, 아스포델 평원, 타르타로스와 같은 다양한 이름과 특징을 가진다.
  • 비교신화학 -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인류학자이자 신화학자로, 《황금 가지》를 통해 마법, 종교, 문화 진화론을 연구했으며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헌 번역 및 주석 작업에도 기여했다.
뱀 (상징주의)
상징
문화적 의미
개요
긍정적인 상징
치유와 재생뱀은 의술의 그리스 신인 아스클레피오스와 관련이 있다.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는 뱀 한 마리가 꼬여 있는 지팡이이며 오늘날에도 의학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뱀은 또한 허물을 벗는 능력 때문에 재생과 부활을 상징한다.
지혜와 지식뱀은 종종 지혜와 지식과 관련이 있다.
창세기에서 뱀은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이브를 유혹하여 선악을 알게 한다.
뱀은 또한 고대 이집트에서 지혜의 여신인 와제트와 관련이 있다.
힘과 권력뱀은 힘과 권력을 상징할 수 있다.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는 종종 권력의 상징으로 이마에 뱀을 착용했다.
뱀은 또한 힌두교에서 힘의 상징인 나가와 관련이 있다.
변형뱀은 변형과 변화를 상징할 수 있다.
뱀은 허물을 벗는 능력 때문에 새로운 시작과 변화의 상징이 될 수 있다.
부정적인 상징
파괴와 위험뱀은 파괴와 위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뱀은 종종 독이 있고 치명적인 생물로 묘사된다.
뱀은 또한 기독교에서 사탄과 관련이 있다.
속임수와 유혹뱀은 속임수와 유혹을 상징할 수 있다.
창세기에서 뱀은 아담과 이브를 속여 금지된 열매를 먹게 한다.
뱀은 또한 그리스 신화에서 사람들을 속이는 데 능숙한 것으로 묘사된 메두사와 관련이 있다.
뱀은 악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뱀은 종종 어둠과 죽음의 힘을 상징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문화별 의미
고대 이집트뱀은 고대 이집트에서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뱀은 보호, 왕권, 그리고 신성을 상징할 수 있었다.
여신 와제트는 뱀의 머리를 가진 여인으로 묘사되었으며, 파라오와 이집트를 보호하는 여신이었다.
뱀은 또한 아포피스와 같이 혼돈과 파괴의 힘을 상징할 수도 있었다.
그리스와 로마뱀은 그리스와 로마 문화에서 치유, 지혜, 그리고 예언과 관련이 있었다.
아스클레피오스는 뱀이 꼬여 있는 지팡이를 들고 다니는 의술의 신이었다.
뱀은 또한 지혜의 여신인 아테나와 관련이 있었다.
로마인들은 뱀을 집의 수호신으로 여겼다.
기독교뱀은 기독교에서 복잡한 상징이다.
창세기에서 뱀은 아담과 이브를 유혹하여 선악과를 먹게 함으로써 죄와 유혹의 상징이 되었다.
그러나 뱀은 또한 치유와 지혜를 상징할 수도 있다.
구약 성경에서 모세는 뱀을 막대기에 매달아 이스라엘 백성을 치료했다.
아시아뱀은 아시아 문화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에서 뱀은 지혜, 행운, 그리고 번영을 상징한다.
인도에서 뱀은 신성한 생물로 여겨지며 쿤달리니 에너지와 관련이 있다.
뱀은 또한 일본에서 물, 번개, 그리고 비와 관련이 있다.
현대적 의미

2. 진화적 기원

인류학자 린 이스벨은 뱀이 죽음의 상징이 된 것은 영장류로서의 진화적 역사 때문에 무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스벨은 수백만 년 동안 뱀이 영장류의 주요 포식자였고, 이것이 뱀에 대한 공포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공포증 중 하나이며 뱀의 상징이 세계 신화에서 매우 널리 퍼져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고 주장한다. 뱀은 위험과 죽음에 대한 본능적인 이미지이다.[7][8]

3. 상징적 의미

뱀은 인류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 존재로 나타난다.

인류학자 린 이스벨은 뱀이 죽음의 상징이 된 것은 영장류로서의 진화적 역사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수백만 년 동안 뱀이 영장류의 주요 포식자였기 때문에 뱀에 대한 공포는 전 세계적으로 흔하며, 이는 뱀의 상징이 세계 신화에 널리 퍼져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7][8]

정신분석학자 조셉 루이스 헨더슨과 민족학자 모드 오크스는 뱀이 죽음의 상징이자 동시에 시작과 부활의 상징이라고 주장한다.[9]

프랑스 비교신화학자 줄리앙 드휘는 뱀이 비와 폭풍, 수원과 연결되며, 인간 희생이나 물질적 제물을 대가로 강과 수원들을 막는 존재로 나타난다고 설명한다.[10]

뱀이 꼬리를 입에 물고 고리를 형성하는 우로보로스는 '전체', 존재의 총체, 무한 및 우주의 순환적 본성을 나타내는 상징이다. 이는 은하수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이를 와제트와 하토르와 연관시켰다. 북유럽 신화에서는 요르문간드가 자신의 꼬리를 물면서 세상을 에워쌌다.

비슈누가 아난타-세샤 위에 휴식을 취하고 있으며, 락슈미가 그의 "연꽃 발"을 마사지하고 있음


힌두 신화에서 비슈누는 뱀 세샤 위에 떠 있는 우주 물에서 잠을 잔다고 한다. 푸라나에서 세샤는 우주의 모든 행성을 머리 위에 지니고 있으며, 비슈누의 영광을 끊임없이 노래한다. 사무드라 만탄에서 세샤는 만다라 산을 풀어서 아수라와 데바소마를 만들 때 사용하도록 한다. 젖줄로 사용되는 또 다른 거대한 뱀은 바수키이다.

콜럼버스 이전의 중앙 아메리카에서 케찰코아틀은 때때로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케찰코아틀의 어머니는 코아틀리쿠에("뱀의 치마를 입은 자")였으며, 믹스코아틀("구름 뱀")은 은하수, 별, 하늘과 동일시되었다.

서아프리카 아샨티족의 반신 아이도페도는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뱀이다. 베냉의 다호메이 신화에서 모든 것을 지탱하는 뱀은 단으로 명명되었다. 베냉과 아이티의 부두교에서 아이다-웨도는 다산, 무지개 및 뱀의 영이며, 단의 동반자 또는 아내이다. 노예 무역을 통해 부두교가 아이티로 수출되면서 단은 단발라가 되었다. 뱀과의 연관성 때문에 그는 때때로 뱀을 들고 다녔던 모세나 성 파트리치오와 동일한 존재로 여겨진다.

뱀 히드라는 아폴로에 의해 하늘로 던져진 뱀 또는 헤라클레스가 물리친 레르네아의 히드라를 나타내는 별자리이다. 뱀자리는 뱀 조련사 오피우쿠스에 의해 길들여지는 뱀을 나타낸다. 오피우쿠스는 치유자 아스클레피오스를 나타낸다는 해석이 있다.

3. 1. 다산과 재생

역사적으로 뱀은 다산 또는 창조적인 생명력을 나타낸다. 뱀이 탈피를 통해 허물을 벗는 것은 재생, 변형, 불멸, 치유의 상징이다.[11] 우로보로스영원과 생명의 지속적인 갱신의 상징이다.

힌두교에서 쿤달리니는 똬리를 튼 뱀처럼 잠자는 에너지이다.[14]

3. 2. 수호신

뱀은 사원이나 기타 신성한 장소의 강력한 수호신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연관성은 위협을 받을 때 일부 뱀(방울뱀이나 코브라)이 후퇴하기보다는 위협적인 행동을 먼저 보이고 싸우는 등 자신의 영역을 지키는 것을 관찰한 데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뱀은 쉽게 위험에서 벗어날 수 없는 보물이나 성지를 자연스럽게 지키는 존재이다.

캄보디아의 앙코르에서는 수많은 석조 조각상들이 머리를 덮은 여러 개의 머리를 가진 나가를 사원이나 기타 구역의 수호신으로 표현하고 있다. 대략 12세기부터 앙코르 조각가들이 가장 선호하는 모티프는 명상 자세로 앉아 있는 붓다였으며, 붓다는 여러 개의 머리를 가진 나가의 똬리에 몸을 의지하고 있으며, 뱀은 또한 부풀린 머리를 사용하여 위에서 붓다를 보호한다. 이 모티프는 붓다와 뱀왕 무칼린다의 이야기를 연상시킨다. 붓다가 나무 아래에서 명상에 잠기자 무칼린다는 나무 뿌리에서 나와 막 시작되려는 폭풍으로부터 붓다를 보호했다.

명상하는 붓다를 뱀 무칼린다가 보호하고 있다. 캄보디아, 1150년~1175년


미국 독립 혁명의 개즈던 기는 몸을 똬리를 틀고 공격할 태세를 갖춘 방울뱀을 묘사하고 있다. 뱀 그림 아래에는 "나를 짓밟지 마시오"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뱀은 그들의 권리와 고국을 위해 싸우려는 식민지인들의 위험성을 상징했으며, 아메리카 대륙 특유의 동물로서 유럽으로부터의 분리를 상징하기도 했다. 이 모티프는 미국 해군의 초대 해군 기에도 반복적으로 사용되었다.

3. 3. 독과 의학

뱀은 독과 의학, 약과 관련이 있다. 뱀의 독은 치유력을 가지거나 신성한 취기를 통해 확장된 의식(그리고 심지어 불로불사와 불멸)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16][17] 의학 및 치유의 신인 그리스의 신격화된 의사 아스클레피오스는 뱀 한 마리가 감겨 있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를 들고 다녔는데, 이는 현대 의학의 상징이 되었다. 모세 또한 민수기 21:8에 언급된 느후스탄이라는 뱀의 복제품을 막대기에 가지고 있었다.

생명의 별에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가 묘사되어 있습니다.


뱀은 헤르메스의 지팡이(카두세우스)와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에 얽혀 있는데,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에는 뱀 한 마리가 얽혀 있었다. 고대 말기에 연금술의 비전적 연구가 발전하면서, 화학과 의학은 헤르메스의 지팡이를 뱀이 감겨 있는 치유자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와 연결시켰는데, 이는 메르쿠리우스의 지팡이와 혼합되었고, 현대 의학의 상징(단순히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여야 함)은 종종 메르쿠리우스의 상업 지팡이가 되었다. 미술사학자 월터 J. 프리들랜더는 《의학의 황금 지팡이: 의학에서 카두세우스 상징의 역사》(1992)에서 수백 개의 카두세우스와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 사례를 수집했으며, 전문 협회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를 사용할 가능성이 약간 더 높았고, 의료 분야의 상업 단체는 카두세우스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3. 4. 지하 세계와 신성한 나무

많은 신화에서 뱀은 지하 세계와 연결되며, 생명 나무 안이나 그 주변에 똬리를 틀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토라와 성경 구약의 창세기 이야기에서 선악과에덴 동산에 생명 나무 및 뱀과 함께 위치해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라돈은 헤스페리데스의 정원에 있는 나무 주위를 똬리를 틀어 황금 사과를 지켰다.[18]

니드호그가 17세기 아이슬란드 필사본 삽화에서 이그드라실의 뿌리를 갉아먹고 있다.


노르드 신화의 용 니드호그는 세계수 이그드라실의 뿌리를 갉아먹는다.[18]

수메르 신화의 닝기지다는 두 마리의 뱀이 똬리를 튼 막대 주위에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서사시에 따르면 생명의 풀을 얻기 위해 물 속으로 뛰어든 길가메시의 조상이다. 닝기지다는 치유와 마법의 신으로 여겨졌다.[18]

수메르의 신 닝기지다는 두 마리의 그리핀 무슈슈와 함께 등장하며, 기원전 2000년 이전에 거슬러 올라가는 축 막대 주위에 두 마리의 뱀이 똬리를 튼 가장 오래된 알려진 이미지이다.

4. 신화와 종교 속 뱀

신화종교에서 뱀은 다양한 상징으로 나타난다.

아프리카에서는 다호미 지역을 중심으로 뱀 숭배가 성행했다. 위다 왕국에서는 ''danh-gbi''라는 비단뱀을 신성시하여 실수로 죽여도 사형에 처할 정도였다.[19][20] 아샨티족은 무지개 신이 뱀의 형태를 가진다고 믿었고, 줄루족마다가스카르의 베칠레오족 등은 특정 뱀을 죽은 친척이나 특정 계급의 화신으로 여겼다.

맘 와타, 아프리카 문화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종교에서 중요함


고대 근동 지역에서 뱀은 메소포타미아 신화 속 니라와 같이 신의 사자로 묘사되거나, 무슈후슈처럼 신의 상징 또는 보호 문장으로 사용되었다.[21] 청동기 시대 가나안 종교에서도 뱀 숭배가 널리 퍼져 있었다.[22][23][24][25]

고대 이란에서는 뱀이 다산, 물, 부의 후원자로 여겨졌으나,[35] 아브라함 계통 종교의 영향으로 악마적인 존재로 인식되기도 했다.[35]

기원전 2700년 이란 샤다드의 장신구 상자에 있는 뱀


그리스 신화에서는 오피온, 티폰, 파이톤 등 다양한 뱀 또는 용과 관련된 이야기가 등장한다. 미노아 문명의 뱀 여신은 뱀을 지혜의 상징으로 묘사하고 있으며[36], 고르곤 자매는 뱀 머리카락을 가진 괴물로 나타난다. 아스클레피오스는 뱀을 통해 죽음을 막는 비법을 배웠고, 그의 상징은 뱀이 감긴 지팡이이다.

아스클레피오스의 조각상


힌두교불교에서 ''나가''는 뱀의 형태를 한 존재로, 환생, 죽음, 자유 등을 상징한다.[40] 힌두 신화에서 비슈누는 뱀 세샤 위에 누워 우주를 지탱하고, 시바는 뱀 바수키를 목에 감고 있다. 불교에서는 뱀 무찰린다가 붓다를 보호한다.

호이살라 조각품, 나가 부부, 할레비두


아메리카 원주민 신화에서 뱀은 종종 바람이나 폭풍을 일으키는 강력한 존재로 숭배되었다.[43] 아즈텍 신 케찰코아틀은 깃털 달린 뱀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많은 메소아메리카 문화에서 뱀은 두 세계를 잇는 존재로 여겨졌다.

고대 북미 뱀 이미지는 종종 방울뱀을 특징으로 했다.


북유럽 신화에서 요르문간드미드가르드를 둘러싸고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거대한 바다뱀으로, 토르와 대립한다.

4. 1. 아프리카 신화

[19][20]]]

아프리카에서 뱀 숭배의 주요 중심지는 다호미였지만, 비단뱀 숭배는 이국적인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17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 위다 왕국을 정복하면서 다호미족은 뱀 숭배자들과 접촉하게 되었고, 처음에는 경멸했던 그들의 믿음을 결국 받아들이게 되었다. 위다는 주요 중심지이며, 약 50마리의 뱀이 거주하는 뱀 사원이 있다. ''danh-gbi'' 종류의 모든 비단뱀은 존중받아야 하며, 실수로 죽여도 사형에 처해진다. ''Danh-gbi''는 많은 아내를 두고 있었고, 1857년까지 세속적인 군중이 배제된 공개 행렬에 참여했다. 비단뱀은 아마도 악을 몰아내는 의식으로 해먹에 실려 마을을 돌아다녔다.

아샨티족의 무지개 신도 뱀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졌다. 그의 메신저는 작은 종류의 보아뱀이라고 전해졌지만, 종 전체가 아닌 특정 개체만 신성시되었다.

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뱀은 죽은 친척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줄루족마다가스카르의 베칠레오족과 마찬가지로, 특정 종은 특정 계급의 거처로 지정된다. 반면에 마사이족은 각 종을 부족의 특정 가족의 서식지로 간주한다.

4. 2. 고대 근동

메소포타미아에서 이쉬타란의 메신저 신인 니라는 ''쿠두루'' 또는 경계석에 뱀으로 묘사되었다.[21] 두 마리의 얽힌 뱀의 묘사는 수메르 미술과 신수메르 미술에서 흔히 나타나며[21] 기원전 13세기까지 원통형 인장과 부적에 드문드문 나타난다.[21] 뿔이 달린 살무사 (''케라스테스 케라스테스'')는 카시트신아시리아 제국의 쿠두루에 나타나며[21] 아시리아 문헌에서 마법적 보호 존재로 소환된다.[21] 뿔이 달리고, 몸과 목은 뱀이며, 앞다리는 사자, 뒷다리는 새의 모습을 한 용과 같은 생물은 아카드 제국 시대부터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323년–기원전 31년)까지 메소포타미아 미술에 나타난다.[21] 이 생물은 아카드어로 "사나운 뱀"을 의미하는 ''무슈후슈''로 알려졌으며, 특정 신들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일반적인 보호 문장으로도 사용되었다.[21] 원래는 지하 세계의 신 니나주의 시종이었던 것으로 보이지만,[21] 나중에는 후르족 종교의 폭풍신 티쉬파크와 니나주의 아들 닌기쉬지다, 바빌론 국가 신 마르두크, 서기관 신 나부, 아시리아의 국가 신 아슈르의 시종이 되었다.[21]

뱀 숭배는 청동기 시대가나안 종교에서 잘 확립되었는데, 고고학자들은 가나안의 여러 이스라엘 이전 도시에서 청동기 시대의 뱀 숭배 대상을 발견했다. 텔 메기드도에서 2개,[22] 게제르에서 1개,[23] 텔 하소르의 지역 H 사원의 ''지성소''에서 1개,[24] 세겜에서 2개가 발견되었다.[25]

4. 3. 고대 이란

고대 이란에서 뱀은 선사 시대부터 신성하고 강력한 존재로 여겨졌다. 뱀은 유물에서 다산, 물, 부의 후원자로 묘사되었으며, 기원전 4천 년부터 1천 년까지 다산 여신과 함께 숭배된 것으로 보인다.[35] 탈리 바쿤, 초가 미쉬, 테페 시알크, 지로프트 문화, 샤르-에 수흐테, 샤다드, 엘람 예술, 루리스탄 청동 예술 등에서 뱀은 생명과 불멸의 강력한 후원자이자 근원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뱀의 상징적 개념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구, 특히 아브라함 계통 종교의 영향으로 이란 고원 문화에서 변질되었다.[35]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 뱀은 에덴 동산에서 금지된 지식을 약속하며 이브를 유혹한 존재로, 성적 욕망을 나타낸다. 이러한 영향으로 아리아 종교는 뱀을 악마로 여기게 되었다. 아베스타의 아지 다하케는 무서운 뱀이고, ''샤나메''의 자하크는 어깨에 두 마리의 뱀이 있는 지옥의 존재이다. 이러한 변화는 이란 주민과 아브라함 계통 종교 신자들 사이의 소통, 그리고 이란 고원 문화의 사회 구조가 모계 사회에서 부계 사회로 전환되면서 발생했을 수 있다.[35]

4. 4. 중국 신화

중국 창조 신화에서 여와는 흙으로 인간을 창조한 여신으로, 뱀의 형상을 한 존재로 묘사된다.[1]

4. 5. 그리스 신화

미노아의 뱀 여신은 각 손에 뱀을 쥐고 있는데, 이는 동물의 여주인(''포트니아 테론'')으로서의 역할보다는 지혜의 근원으로서의 역할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36] 각 팔 아래에는 표범이 있다.

뱀은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오피온("뱀", 일명 오피오네우스)은 크로노스레아에 의해 쫓겨나기 전 에우로노메와 함께 세상을 다스렸다.

티폰올림포스 신의 적이며, 백 개의 머리와 백 개의 뱀이 허벅지에서 뻗어 나오는 거대한 끔찍한 괴물로 묘사된다. 그는 제우스에게 정복당해 타르타로스에 던져지거나, 화산 지역 아래에 갇혀 분출의 원인이 된다. 티폰의 자녀들 중에는 뱀 요소가 등장하는데, 에키드나와의 자녀 중에는 꼬리가 뱀이고 뱀의 갈기를 가진 괴물 세 머리 개 케르베로스, 뱀 꼬리를 가진 키마이라, 뱀과 같은 지하수 괴물 레르나이아 히드라, 백 개의 머리를 가진 뱀 용 라돈이 있다. 레르나이아 히드라와 라돈은 모두 헤라클레스에게 살해되었다.

파이톤은 델포이의 땅-용이었다. 그녀는 항상 꽃병 그림과 조각가에 의해 뱀으로 표현되었다. 파이톤은 아폴론의 지하적 적이었고, 아폴론은 그녀를 죽이고 그녀의 이전 고향을 자신의 신탁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고전 그리스에서 가장 유명했다.

고르곤 (스테노, 에우리알레, 메두사)은 날카로운 송곳니와 살아있는 독사 뱀을 머리카락으로 가진 세 명의 괴물 자매였으며, 그 기원은 그리스의 기록된 신화보다 앞섰고 가장 오래된 의식의 비밀을 보호했다. 고르곤은 카두세우스와 동일한 구성으로 두 개의 얽힌 뱀으로 된 허리띠를 착용했다. 고르곤은 코르푸의 아르테미스 신전의 페디먼트 중 하나에서 중앙, 가장 높은 지점에 배치되었다.[36]

아폴론과 코로니스의 아들인 아스클레피오스는 뱀이 다른 뱀(아스클레피오스 자신이 치명상을 입힌)을 치유 허브로 다시 살리는 것을 관찰한 후 죽음을 막는 비법을 배웠다. 아스클레피오스의 보살핌 아래 모든 인류가 불멸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우스는 그를 번개로 죽였다. 아스클레피오스를 기리기 위해 뱀은 종종 치유 의식에 사용되었다. 독이 없는 뱀은 병든 부상자가 잠을 자는 기숙사의 바닥에 기어 다니도록 놓아 두었다. ''비블리오테카''는 아테나가 아스클레피오스에게 고르곤의 피가 담긴 작은 병을 주었다고 주장했다. 고르곤의 피는 마법의 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고르곤의 왼쪽에서 가져온 경우 치명적인 독이었고, 오른쪽에서 가져온 경우 죽은 사람을 다시 살릴 수 있었다. 그러나 에우리피데스는 자신의 비극 ''이온''에서 아테네 여왕 크레우사가 조상 에리크토니오스로부터 이 작은 병을 물려받았다고 썼는데, 그는 뱀이었고 아테나로부터 이 작은 병을 받았다. 이 버전에서 메두사의 피는 치유력을 가지고 있었고 치명적인 독은 메두사의 뱀에서 유래했다.

올림피아스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어머니이자 에피루스의 원시 땅의 공주였으며, 뱀을 다루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고, 뱀의 모습으로 제우스가 그녀에게 알렉산드로스를 낳았다고 한다.[37] 콜키스의 왕이자 마법사 메데이아의 아버지인 아이에테스는 황금 양털을 소유했다. 그는 잠들지 않는 거대한 뱀으로 그것을 지켰다. 아르고호의 이아손과 사랑에 빠진 메데이아는 이아손이 양털을 잡을 수 있도록 잠들게 하는 마법을 걸었다.

말이 몰지 않을 때는 그리스 태양신의 전차는 불타는 용의 존재가 끌고 가는 것으로 묘사된다.[38]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예는 메데이아가 할아버지의 전차를 받았을 때 묘사된 에피소드인데, 이 전차는 뱀이 하늘을 가로질러 끌고 다닌다.

예술 작품에서 뱀은 때때로 헤카테, 마법의 여신과 관련이 있다.[39]

4. 6. 힌두교와 불교



''나가''(산스크리트어: नाग)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에서 매우 큰 뱀의 형태를 가진 존재, 혹은 그러한 존재의 부류를 가리키는 산스크리트어/팔리어 단어이다. ''나가''는 주로 뱀이 허물을 벗는 특성 때문에 환생, 죽음, 그리고 죽음을 상징한다.[40]

힌두교에서 ''나가''는 시바비슈누 신과 관련된다. 셰샤는 비슈누가 눕는 탈것 중 하나이고, 바수키는 시바의 목에 감긴 뱀이다. 뱀은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힌두 신화에서 자유를 상징한다. 불교에서 뱀 무찰린다는 붓다의 보호자이다. 자이나교에서 뱀은 23번째 티르탄카라 파르슈바나타와 관련된다.

힌두 신화에서 비슈누는 뱀 세샤 위에 떠 있는 우주 물에서 잠을 잔다고 한다. 푸라나에서 세샤는 머리 위에 우주의 모든 행성을 지니고 있으며, 모든 입으로 비슈누의 영광을 끊임없이 노래한다. 세샤는 "아난타-세샤"(끝없는 세샤)라고도 불린다. 사무드라 만탄 푸라나에서 세샤는 만다라 산을 풀어 아수라와 데바가 하늘의 우유 바다를 저어 불멸의 묘약 소마(암리타)를 만드는 데 사용하도록 한다. 젖줄로 사용된 또 다른 거대한 뱀은 바수키이다.

4. 7. 아메리카 원주민 신화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은 방울뱀을 공정하고 강한 바람을 불어넣거나 폭풍을 일으킬 수 있는 뱀의 왕이자 할아버지로 숭배한다. 애리조나의 호피족 사이에서 뱀은 춤 중 하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방울뱀은 나체즈족의 태양 사원에서 숭배되었고,[43] 아즈텍 신 케찰코아틀은 깃털 달린 뱀 신이었다. 많은 메소아메리카 문화에서 뱀은 두 세계 사이의 문으로 여겨졌다. 페루 부족들은 잉카 이전 시대에 거대한 뱀을 숭배했다고 하며, 칠레의 마푸체는 홍수 신념에서 뱀 형상을 만들었다.

뿔 달린 뱀은 북미 원주민 신화에서 인기 있는 이미지이다.

어느 북미 원주민 이야기에서는 사악한 뱀이 신들의 사촌 중 한 명을 죽이자, 신은 복수로 뱀을 죽이지만, 죽어가는 뱀은 거대한 홍수를 일으킨다. 사람들은 먼저 산으로 도망가고, 산이 물에 잠기자 뗏목을 타고 홍수가 잦아들 때까지 떠다닌다. 뱀 신이 지배하던 악령들은 두려움에 숨어든다.[43] 고분 건축가들은 서펀트 마운드가 보여주는 것처럼 뱀에게 큰 신비적 가치를 부여했지만, 우리는 특정한 연관성을 풀 수 없다.

4. 8. 북유럽 신화

요르문간드미드가르드 뱀 또는 세계의 뱀이라고도 불리며, 노르드 신화에 나오는 바다뱀이다. 로키거인 앙르보다 사이에서 태어난 세 자녀 중 둘째이다. 산문 에다에 따르면, 오딘은 로키의 세 자녀, 펜리르, 헬, 요르문간드를 데려갔다. 그는 요르문간드를 미드가르드를 둘러싼 거대한 바다에 던져 넣었다. 뱀은 너무 커져서 세상을 둘러싸고 자신의 꼬리를 물 수 있었고, 그 결과 미드가르드 뱀 또는 세계의 뱀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요르문간드의 주된 적은 신 토르이다.

5. 민속과 전설 속 뱀

전 세계의 민속 및 동화 전통에서 뱀은 여러 동화 속 등장인물로 나타나며, 동물 우화와 마법 이야기(''동화'')의 주요 등장인물이거나, 주인공에게 특별한 능력을 부여하거나 그에게 어떤 비밀 지식을 전달하는 기증자로 등장한다.

아르네-톰슨-우터 지수에 따르면, 뱀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 유형에서 이와 같은 역할로 나타날 수 있다.[44]

아르네-톰슨-우터 지수이야기 유형설명예시
ATU 155은혜를 모르는 동물(뱀)이 갇히다농부가 덫(구덩이)에 갇힌 뱀을 구출하지만, 뱀은 은인을 잡아먹으려 한다. 트릭스터 동물(여우 또는 자칼)의 도움으로 농부는 뱀을 다시 가둔다.인도 우화, 호랑이, 브라만, 자칼
ATU 411왕과 라미아 ( 아내)남자가 신비한 여자와 결혼하지만, 성직자가 그녀의 정체가 뱀임을 밝혀낸다.백사전(중국 전설),[48] 프랑스 중세 전설 멜뤼진[49]
ATU 425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처녀가 동물 신랑(뱀, 드래곤)과 약혼하고, 금기를 깨뜨려 남편을 잃어버린 후 그를 찾아 나선다.프랑스 문학 동화, 녹색 뱀, 인도 동화, 뱀 왕자, 이탈리아 문학 동화, 마법에 걸린 뱀, 헝가리 민담, 뱀 왕자
ATU 425M신랑으로서의 뱀소녀가 목욕 후 뱀(줄무늬 뱀)에게 옷을 빼앗기고, 결혼을 약속한 후 뱀의 수중 (또는 지하) 궁전으로 간다.리투아니아 동화, 뱀 여왕 에글레[53]
ATU 433B왕 린드웜아이가 없는 여왕이 뱀 아들을 낳고, 뱀 왕자는 결혼 첫날밤 신부를 잡아먹거나, 뱀의 모습을 받아들일 만큼 용감한 여자를 찾는다.덴마크 동화, 왕 린드웜, 터키 동화, 드래곤 왕자와 계모
ATU 485보르마 자리쉬카 또는 바빌론 시차르가 보낸 기사가 뱀으로 둘러싸인 바빌론 시에서 왕권의 상징을 가져온다.
ATU 560마법의 반지가난한 남자가 구출한 뱀이 뱀 왕의 아들이었고, 소년에게 소원 성취 물건을 보상한다.프랑스 동화, 마법에 걸린 시계
ATU 612세 개의 뱀 잎남자가 죽은 뱀을 마법의 잎으로 부활시키고, 이를 통해 죽은 아내를 살릴 방법을 찾는다.
ATU 672뱀의 왕관뱀의 왕관을 훔친 인간은 특별한 능력(동물 언어 이해)을 얻는다.
ATU 673하얀 뱀의 살주인공은 하얀 뱀의 살을 먹고 동물의 언어를 배운다.그림 형제의 독일 동화, 하얀 뱀[59]


6. 상징과 문장

멕시코 국기에는 테노치티틀란의 아즈텍 상징을 기반으로, 선인장에 앉아 뱀을 삼키는 독수리가 묘사되어 있다.[60][61]

멕시코 국기


밀라노 공국을 통치했던 비스콘티 가문의 문장에는 뱀이 사람을 삼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

1754년과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벤자민 프랭클린은 식민지 연합을 전파하기 위해 ''Join, or Die'' 만화를 ''펜실베이니아 가제트''에 게재했다. 이 만화는 뱀을 8조각으로 나누어 각 조각이 13개 식민지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이는 뱀이 조각나고 해가 지기 전에 조각들을 다시 합치면 뱀이 살아난다는 미신에 기초했다. --

"Join, or Die"가 출판된 후, 방울뱀은 13개 식민지를 상징하는 상징이 되었다. 프랭클린과 다른 식민지인들은 방울뱀이 독립과 경계를 나타낸다고 생각했다. 미국 독립 전쟁의 여러 깃발에 방울뱀이 묘사되어 있는데, 방울뱀 이미지가 있는 가장 주목할 만한 깃발 두 개는 개즈던 기와 미국 해군 기이다. -- -- 미국 육군부 휘장은 "this we'll defend"라는 모토와 함께 방울뱀을 포함한다. --

7. 현대적 상징

뱀은 헤르메스의 지팡이(카두세우스)와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에 얽혀 있다.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에는 뱀 한 마리가 얽혀 있으며, 헤르메스의 카두세우스에서 뱀은 대칭을 위해 복제된 것이 아니라 쌍을 이룬 반대였다. 고대 말기에 연금술의 비전적 연구가 발전하면서 헤르메스는 그러한 예술과 비전적 또는 숨겨진 "헤르메스적" 정보의 보호자로 이해되었다. 화학과 의학은 헤르메스의 지팡이를 뱀이 감겨 있는 치유자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와 연결시켰는데, 이는 헤르메스의 지팡이와 혼합되었고, 현대 의학의 상징은 종종 헤르메스의 상업 지팡이가 되었다. 미술사학자 월터 J. 프리들랜더는 《의학의 황금 지팡이: 의학에서 카두세우스 상징의 역사》(1992)에서 수백 개의 카두세우스와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 사례를 수집했으며, 전문 협회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를 사용할 가능성이 약간 더 높았고, 의료 분야의 상업 단체는 카두세우스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1754년과 미국 독립 전쟁 동안 식민지 연합을 전파하기 위해 ''Join, or Die'' 만화를 ''펜실베이니아 가제트''에 게재했다. 이 만화는 뱀을 8조각으로 나누어 각 조각이 13개 식민지 중 하나 이상을 나타냈다.[60][61] "Join, or Die"가 출판된 후, 방울뱀은 13개 식민지를 상징하는 상징이 되었다. 프랭클린과 다른 식민지인들은 방울뱀이 독립과 경계를 나타낸다고 생각했다. 개즈던 기와 미국 해군 기 등 미국 독립 전쟁의 여러 깃발에 방울뱀이 묘사되어 있다. 미국 전쟁성, 그리고 그 후속 조직인 전쟁부와 육군부는 휘장에 방울뱀을 포함하고 있다.

악의 상징으로서 기독교적 맥락을 따른 뱀은 때때로 정치적 선전에 등장한다. 뱀은 반유대주의 선전에서 유대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영화 《마약》(Narcotic)[62]과 《마약: 절망의 구덩이》(Narcotics: Pit of Despair)[63]와 같은 영화에서 마약의 악한 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 당시의 개즈던 깃발은 현대 정치 선전에서 자유주의와 반정부 감정을 나타내는 데 계속 사용되고 있다.

AC 코브라, 포드 머스탱 셸비, 자루크 모터스, 닷지 바이퍼, 알파 로메오는 모두 로고에 뱀을 사용한다.[1]

7. 1. 의학



뱀은 헤르메스의 지팡이(카두세우스)와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에 얽혀 있는데,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에는 뱀 한 마리가 얽혀 있었다. 헤르메스의 카두세우스에서 뱀은 단지 대칭을 위해 복제된 것이 아니라, 쌍을 이룬 반대였다. 지팡이 머리의 날개는 지팡이가 날개 달린 전령 헤르메스(로마의 메르쿠리우스)의 것임을 나타냈는데, 그는 마법, 외교, 수사학의 신이자 발명과 발견의 신이었으며, 상인과 신화학자들의 관점에서, 그 동맹 직업인 도둑의 수호신이었다. 그러나 헤르메스가 막 죽은 영혼을 사후 세계로 안내하는 심령 인도자의 역할은 카두세우스에 뱀이 등장하는 기원을 설명하며, 이는 수메르의 얽힌 뱀 신 닌기지다의 역할이기도 한데, 헤르메스는 때때로 닌기지다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고대 말기에 연금술의 비전적 연구가 발전하면서 메르쿠리우스는 또한 그러한 예술과 비전적 또는 숨겨진 "헤르메스적" 정보의 보호자로 이해되었다. 화학과 의학은 헤르메스의 지팡이를 뱀이 감겨 있는 치유자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와 연결시켰는데, 이는 메르쿠리우스의 지팡이와 혼합되었고, 현대 의학의 상징(단순히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여야 함)은 종종 메르쿠리우스의 상업 지팡이가 되었다. 또 다른 버전은 연금술에서 사용되는데, 뱀이 십자가에 못 박힌 모습으로, 니콜라스 플라멜의 카두세우스로 알려져 있다. 미술사학자 월터 J. 프리들랜더는 《의학의 황금 지팡이: 의학에서 카두세우스 상징의 역사》(1992)에서 수백 개의 카두세우스와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 사례를 수집했으며, 전문 협회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를 사용할 가능성이 약간 더 높았고, 의료 분야의 상업 단체는 카두세우스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7. 2. 정치

벤자민 프랭클린은 1754년과 미국 독립 전쟁 동안 식민지 연합을 전파하기 위해 ''Join, or Die'' 만화를 ''펜실베이니아 가제트''에 게재했다. 이 만화는 뱀을 8조각으로 나누어 각 조각이 13개 식민지 중 하나 이상을 나타냈다.[60][61] 뱀이 조각나고 해가 지기 전에 조각들을 다시 합치면 뱀이 살아난다는 미신에 기초한 것이다.

"Join, or Die"가 출판된 후, 방울뱀은 13개 식민지를 상징하는 상징이 되었다. 프랭클린과 다른 식민지인들은 방울뱀이 독립과 경계를 나타낸다고 생각했다. 개즈던 기와 미국 해군 기 등 미국 독립 전쟁의 여러 깃발에 방울뱀이 묘사되어 있다. 미국 전쟁성, 그리고 그 후속 조직인 전쟁부와 육군부는 휘장에 방울뱀을 포함하고 있다.

악의 상징으로서 기독교적 맥락을 따른 뱀은 때때로 정치적 선전에 등장한다. 뱀은 반유대주의 선전에서 유대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영화 《마약》(Narcotic)[62]과 《마약: 절망의 구덩이》(Narcotics: Pit of Despair)[63]와 같은 영화에서 마약의 악한 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 당시의 개즈던 깃발은 현대 정치 선전에서 자유주의와 반정부 감정을 나타내는 데 계속 사용되고 있다.

7. 3. 자동차

AC 코브라, 포드 머스탱 셸비, 자루크 모터스, 닷지 바이퍼, 알파 로메오는 모두 로고에 뱀을 사용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Apollon, Python http://www.apollon.u[...] Apollon.uio.no 2012-12-07
[2] 간행물 World's Oldest Ritual Site? The 'Python Cave' at Tsodilo Hills World Heritage Site, Botswana 2007-06
[3] 서적 The Spiritual Technology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Bear 2007-10-03
[4] 웹사이트 Savior, Satan, and Serpent: The Duality of a Symbol in the Scriptures http://mimobile.byu.[...] Mimobile.byu.edu 2012-12-07
[5] 서적 Festivals of the Hopi, and dancing and expression in all their national ceremonies http://www.adwr.stat[...]
[6] 서적 Myths and Symbols in Pagan Europe: Early Scandinavian and Celtic Religions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7] 문서 Isbell, The Fruit, the Tree, and the Serpent
[8] 문서 Haycock, Being and Perceiving
[9] 문서 Henderson, The Wisdom of the Serpent
[10] 간행물 Première reconstruction statistique d'un rituel paléolithique: autour du motif du dragon http://nouvellemytho[...]
[11] 웹사이트 Myths Encyclopedia: Serpents and Snakes http://www.mythencyc[...] Mythencyclopedia.com 2012-12-07
[12] 서적 The American Journal of Urology and Sexology https://books.google[...] 1984-01-01
[13] 문서 Midrash Rabba to Genesis
[14] 서적 Meta Modern Era Vishwa Nirmala Dharma
[15] 서적 Aeneid
[16] 서적 Nicander Alexipharmaca 521
[17] 서적 Pliny Natural History 9.5
[18] 문서 Schele and Friedel
[19] 문서 Jell-Bahlsen
[20] 문서 Chesi
[21] 서적 Gods, Demons and Symbols of Ancient Mesopotamia: An Illustrated Dictionary University of Texas Press
[22] 문서 Megiddo II: Plates 1968-09
[23] 문서 Gezer II
[24] 문서 Hazor III-IV: Plates
[25] 문서 Callaway and Toombs to Joiner
[26] 문서 Hittite Art 2300 - 750 B.C. Alec Tiranti Ltd.
[27] 문서 A History of Babylon
[28] 문서 ANET
[29] 문서 Excavations at Tepe Gawra: I. Levels I-VIII
[30] 뉴스 Brushing off sands of time at the archaeological site of Saruq al-Hadid https://www.thenatio[...] 2016-07-31
[31] 웹사이트 The World of the Jinn - Notes from Muhammad Tim's Lectures https://notes.muhamm[...] 2023-12-02
[32] 학술지 Ayya in Islamic Thought http://dx.doi.org/10[...] 1980-10
[33] 웹사이트 Two Tales from Rumi: The Snake-Catcher and the Serpent and The Elephant and the Travellers https://simerg.com/p[...] 2011-03-03
[34] 웹사이트 Discover the Mystical World of Falak Mythology at Mythlok https://mythlok.com/[...] 2022-03-28
[35] 웹사이트 Inversion of a Symbol's concept https://jfava.ut.ac.[...] Tehran: Honarhay-e Ziba Journal, Vol. 20, No. 3. 2015
[36] 서적 Aglaia: The Poetry of Alcman, Sappho, Pindar, Bacchylides, and Corin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37] 웹사이트 Lucian of Samosata: Alexander the False Prophet http://www.tertullia[...] Tertullian.org 2012-12-07
[38] 웹사이트 HELIUS (Helios) - Greek Titan God of the Sun (Roman Sol) http://www.theoi.com[...] 2018-03-15
[39] 서적 A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Mythology, Religion, Literature and Art https://archive.org/[...] William Swan Sonnenschein 2022-01-02
[40] 서적 A History of Cambodia
[41]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Research Publications and Translations Program of the Institute of Advanced Projects, East-West Center, University of Hawaii
[42] 서적 Tossa, Wajuppa and Phra 'Ariyānuwat Bucknell University Press London
[43] 웹사이트 Great Serpent and the Great Flood http://www.indians.o[...] Indians.org 2012-12-12
[44] 간행물 "VII. Friedmar Geißler (f), Erzählmotive in der Geschichte von den zwei Schlangen" De Gruyter 2022 [1985]
[45] 간행물 Verzeichnis der Märchentypen https://de.wikisourc[...] Suomalaisen Tiedeakatemian Toimituksia 1910
[46] 서적 "The White Snake, Apollonius of Tyana and John Keats's ''Lamia''"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47] 논문 "[https://www.academia.edu/37739804/%D0%91%D0%B5%D1%80_%D0%93%D0%BB%D0%B8%D0%BD%D0%BA%D0%B0_%D0%90_%D0%98_%D0%A1%D1%8E%D0%B6%D0%B5%D1%82%D0%BD%D1%8B%D0%B9_%D1%82%D0%B8%D0%BF_%D0%90%D0%A2U411_%D0%B2_%D1%81%D0%BA%D0%B0%D0%B7%D0%BE%D1%87%D0%BD%D0%BE%D0%B9_%D1%82%D1%80%D0%B0%D0%B4%D0%B8%D1%86%D0%B8%D0%B8_%D0%95%D0%B2%D1%80%D0%B0%D0%B7%D0%B8%D0%B8_%D0%BD%D0%B5%D0%BA%D0%BE%D1%82%D0%BE%D1%80%D1%8B%D0%B5_%D0%B7%D0%B0%D0%BC%D0%B5%D1%87%D0%B0%D0%BD%D0%B8%D1%8F_%D0%BA_%D0%A2%D0%B8%D0%BF%D0%BE%D0%BB%D0%BE%D0%B3%D0%B8%D1%87%D0%B5%D1%81%D0%BA%D0%BE%D0%BC%D1%83_%D1%83%D0%BA%D0%B0%D0%B7%D0%B0%D1%82%D0%B5%D0%BB%D1%8E_%D0%93_%D0%99_%D0%A3%D1%82%D0%B5%D1%80%D0%B0_%D0%AD%D0%9E_4_2018_ Folk-Tale Type ATU411 in Eurasian Folk Tradition: Some Remarks to the “Typological Index of Folk-Tale Types” of H.-J. Uther]" 2018
[48] 논문 "The Holy Man and the Snake-Woman. A Study of a Lamia Story in Asian and European Literature" 1966
[49] 논문 Mélusine maternelle et défricheuse 1971
[50] 서적 'Handbuch zu den "Kinder- und Hausmärchen" der Brüder Grimm: Entstehung - Wirkung - Interpretation' Walter de Gruyter 2008
[51] 논문 "Apuleius' Cupid Considered as a Lamia (Metamorphoses 5.17-18)." 2013
[52] 서적 The types of the folktale: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61
[53] 간행물 Ji pagrįstai gali būti laikoma baltų – lietuvių ir latvių – pasaka, nes daugiausia jos variantų užrašyta Lietuvoje ir Latvijoje. https://www.lituanis[...] 2008
[54] 간행물 Verzeichnis der Märchentypen https://de.wikisourc[...] Suomalaisen Tiedeakatemian Toimituksia 1910
[55] 논문 “An International Tale-Type: ‘The City of Babylon’” 2010
[56] 서적 The Folkta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57] 간행물 Verzeichnis der Märchentypen https://de.wikisourc[...] Suomalaisen Tiedeakatemian Toimituksia 1910
[58] 서적 The types of the folktale: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1961
[59] 간행물 "The Language of Animals" D. Nutt 1888-05
[60] 뉴스 Join, or Die https://www.newspape[...] Pennsylvania Gazette 2014-01-19
[61] 논문 Rebellion, Reform, and Revolution: American Graphic Design for Social Change 1988
[62] 웹사이트 Narcotic https://www.imdb.com[...] 2018-03-15
[63] 웹사이트 Narcotics: Pit of Despair (Part I) : Marshall (Mel) : Free Download & Streaming :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2012-12-07
[64] 웹인용 Apollon, Python https://web.archive.[...] Apollon.uio.no 2012-12-07
[65] 서적 The Spiritual Technology of Ancient Egypt p223 http://books.google.[...] Books.google.com 2012-12-07
[66] 웹인용 Savior, Satan, and Serpent: The Duality of a Symbol in the Scriptures https://web.archive.[...] Mimobile.byu.edu 2012-12-07
[67] 웹인용 Themis: A Study of the Social Origins of Greek Religion, Page 424 https://web.archive.[...] Lib.uchicago.edu 2012-12-07
[68] 웹인용 EOS https://web.archive.[...] Lib.uchicago.edu 2012-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