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천시 오정구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천시 오정구는 1993년 부천시 중구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며,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2016년 부천시 일반구 폐지 결정에 따라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천시 정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최선영, 원혜영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진보 정당 소속이었다. 특히 원혜영은 4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지역구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천시 원미구 갑
    부천시 원미구 갑은 1996년 신설되어 2016년까지 총 6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선거구로, 안동선, 김기석, 임해규, 김경협 등이 역대 당선자이다.
  • 2020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는 1993년 신설되어 1996년부터 2016년까지 운영되었으며 김문수, 차명진, 김상희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 보수와 진보정당 간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였으나 2016년 구 폐지로 부천시 병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 부천시의 정치 - 부천시 원미구 갑
    부천시 원미구 갑은 1996년 신설되어 2016년까지 총 6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선거구로, 안동선, 김기석, 임해규, 김경협 등이 역대 당선자이다.
  • 부천시의 정치 -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는 1993년 신설되어 1996년부터 2016년까지 운영되었으며 김문수, 차명진, 김상희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 보수와 진보정당 간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였으나 2016년 구 폐지로 부천시 병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부천시 오정구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부천시 오정구
의회국회
큰 지도경기도
연도1996년
폐지2020년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부천시 중구 을
이후 선거구부천시 정
의원수1인

2. 역사

1993년 2월 1일 부천시 중구에서 오정구가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천시 오정구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2016년 7월 4일 부천시가 일반구인 원미구, 소사구, 오정구를 폐지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천시 정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역대 국회의원들은 모두 진보 정당 소속이었다. 새정치국민회의와 새천년민주당 소속 최선영 의원은 재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열린우리당, 통합민주당, 민주통합당, 더불어민주당 소속 원혜영 의원은 오정구에서 4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지역구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했다.


3. 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최선영 후보가 30.6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합민주당 원혜영 후보는 30.11%, 신한국당 오성계 후보는 28.40%, 자유민주연합 김정웅 후보는 10.77%를 득표했다.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결과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최선영새정치국민회의20,89230.69%
원혜영통합민주당20,50230.11%
오성계신한국당19,33828.40%
김정웅자유민주연합7,33710.77%
합계68,069100%


3.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최선영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최선영새천년민주당27,67646.21%
박종운한나라당19,65232.81%
이재옥자유민주연합10,00116.70%
안기희민주국민당20002,5514.26%
합계59,880100%


3. 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원혜영열린우리당43,28460.05%
박종운한나라당20,21628.05%
김옥현새천년민주당6,7409.35%
하태호무소속1,8292.53%
합계72,069100%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원혜영 후보가 60.0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박종운 후보는 28.05%, 새천년민주당 김옥현 후보는 9.35%, 무소속 하태호 후보는 2.53%를 득표했다.

3. 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원혜영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통합민주당원혜영32,86156.00%
한나라당박종운24,83142.32%
평화통일가정당권혁기9821.67%
총 득표수58,674


3. 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2012년 치러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원혜영 후보가 3선에 성공했다. 새누리당 안병도 후보, 무소속 서영석, 홍건표 후보, 국민행복당 나삼운 후보 등이 출마했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민주통합당원혜영38,35053.44%
새누리당안병도23,32832.51%
무소속서영석5,6747.90%
무소속홍건표3,8325.34%
국민행복당나삼운5690.79%
합계71,753


3. 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원혜영더불어민주당35,55944.78%
안병도새누리당24,71031.12%
서영석국민의당17,31021.80%
구자호정의당1,8182.28%
합계79,397표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원혜영 후보가 44.7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안병도 후보는 31.12%, 국민의당 서영석 후보는 21.80%, 정의당 구자호 후보는 2.28%를 득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