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혜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혜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951년 부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풀무원 창업을 거쳐 정치에 입문하여, 14대, 17대, 18대, 19대, 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부천시장을 역임했으며, 민주당 원내대표, 민주통합당 임시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으며,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천시장 - 김진선 (1946년)
    김진선(1946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강원도지사를 역임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기여했으나, 보수적인 정치 성향으로 비판받기도 했으며, 사회단체 활동과 학술 활동을 병행하며 여러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 부천시장 - 장덕천
    장덕천은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변호사 사무실 대표, 부천시장, 고문변호사, 법률구조위원 등을 지냈고, 문재인 후보의 특보를 맡았으며, 새로운미래 비상대책위원장을 역임하고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 한겨레민주당 - 김부겸
    김부겸은 1987년 정치에 입문하여 제16·17·18·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의 행정안전부 장관 및 국무총리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민주화 운동으로 투옥되기도 했으며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대구에서 당선되기도 했으나 2022년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
  • 한겨레민주당 - 유인태
    유인태는 민청학련 사건으로 투옥된 후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국회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부천북초등학교 동문 - 서유정
    서유정은 1996년 드라마 《황금깃털》로 데뷔하여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을 이어온 대한민국의 배우로, MBC 연기대상 신인 여자 배우상을 수상했고 광고 모델 및 《연예특급》 MC로도 활동했으며 2017년 결혼 후 2023년 이혼했다.
  • 부천북초등학교 동문 - 허정협
    허정협은 2015년 넥센 히어로즈에 육성 선수로 입단하여 키움 히어로즈 외야수로 2021년까지 활동하며 통산 타율 0.245, 19홈런, 93타점을 기록했고 린즈성과 닮은 외모로 '대만 용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원혜영
기본 정보
이름원혜영
한자 표기元恵栄
로마자 표기Won Hye-yeong
출생일1951년 9월 27일
출생지경기도 부천군 오정면 도당리
국적대한민국
종교개신교 (예장합동)
배우자안정숙
자녀슬하 2남
웹사이트국회의원 원혜영
학력
출신 학교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학 학사
경력
주요 경력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학생회장
풀무원 대표
한겨레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한겨레민주당 대변인
5선 (제14·17·18·19·20대) 국회의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
민주당 원내총무 권한대행
국민통합추진회의 대변인
제16·17대 경기도 부천시장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조직위원장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회장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
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의장
아시아태평양환경개발의원회의(APPCED) 집행위원장
한국아동인구환경의원연맹(CPE) 회장
열린우리당 사무총장
열린우리당 최고위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한국스페셜올림픽위원회 이사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가톨릭대학교 겸임교수
민주당 원내대표
국회 독도지킴이 공동대표
민주통합당 창당임시공동대표
새정치민주연합 공천혁신추진단장
새정치민주연합 정치혁신실천위원장 겸 비대위원
국회 남북관계 및 교류협력 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공천혁신추진단장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
국회 윤리제도개선소위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장
더불어민주당 공동인재영입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
사단법인 자치분권연구소 이사장
생활정치연구소 이사
혁신과 정의의 나라 포럼 대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
더불어민주당 일반고문
정당
소속 정당한겨레민주당 → 민주당 →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 열린우리당민주당 → 민주통합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의정 활동
지역구부천시 중구 을(14대), 부천시 오정구(17·18·19·20대)
당선 횟수5회
선수5선
의원 대수14·17·18·19·20대
소속 위원회환경노동위원회
국회 내 직책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국회 윤리제도개선소위 위원장, 국회 남북관계 및 교류협력 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
당내 직책민주통합당 공동대표, 더불어민주당 일반고문 및 당무위원
기타 직책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 자치분권연구소 이사장
임기 시작일1992년 5월 30일 (14대), 2004년 5월 30일(17대)
임기 종료일1996년 5월 29일 (14대), 2020년 5월 29일 (20대)
지방 행정
시장 선거구부천시
시장 임기 시작일1998년 7월 1일
시장 임기 종료일2003년 12월 17일
시장 선수2

2. 생애

원혜영은 1951년 경기도 부천군 오정면(현 부천시)에서 태어났으며, 한국 최초로 유기농법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 원경선 풀무원농장 창립자의 아들이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재학 중 박정희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여러 번 제적과 복역을 반복했다.[6]

1981년 풀무원식품을 창업하여 1986년까지 경영하다가, 1987년 초 친구 남승우에게 사업을 넘기고 정치에 입문하였다. 1988년 한겨레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정책위의장 겸 대변인을 지냈으나, 13대 총선에서 낙선하였다. 1992년 14대 총선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95년 김대중이 주도한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에 잔류했다. 15대 총선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노무현, 김원기 등과 국민통합추진회의(통추)를 결성하여 활동하다 1997년 15대 대선을 앞두고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했다.

1998년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에서 부천시장에 당선되었고, 2002년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에서 재선되었다. 2003년 말 열린우리당에 입당하며 부천시장직을 사퇴하고, 2004년 17대 총선에서 부천시 오정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18대, 19대, 20대 총선에서 연이어 당선되며 5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2008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민주당 원내대표를,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민주통합당 임시공동대표를 역임했다. 2020년 21대 총선에는 불출마했다.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원혜영은 1951년 9월 27일 경기도 부천군 오정면(현 부천시)에서 태어났으며,[2] 국내에서 최초로 유기농법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 풀무원농장 창립자 원경선의 아들이다.[6]

1971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에 입학하여 같은 해에 교양과정부 학생회장을 지내기도 했으나, 군사정권을 비판하는 민주화운동에 참여하면서 여러 번 제적당하고 복역했다(1996년 졸업).[6]

2. 2. 풀무원 창업과 경영

원혜영은 1981년 풀무원식품을 창업하여 1986년까지 경영하였고,[6] 1987년 초 친구 남승우에게 사업을 넘기고 정치에 입문하였다.

2. 3. 정치 입문과 초기 정치 활동

원혜영은 1951년 경기도 부천군 오정면(현 부천시)에서 태어났으며, 국내에서 최초로 유기농법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 풀무원농장 창립자 원경선의 아들이다.[2] 1971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에 입학하여 같은 해에 교양과정부 학생회장을 지내기도 했으나, 박정희 군사정권을 비판하는 민주화운동에 참여하면서 여러 번 제적당하고 복역했다(1996년 졸업).[6]

1981년 풀무원식품을 창업하여 1986년까지 경영을 하다가,[2] 1987년 초 친구 남승우에게 사업을 넘기고 정치에 입문하였다. 1988년 한겨레민주당 창당에 참여하면서 정책위의장 겸 대변인을 지냈다.[2] 그러나 13대 총선에서 낙선하였고, 1992년 14대 총선에서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95년에 김대중의 주도로 새정치국민회의가 창당되었으나, 원혜영은 민주당에 잔류했다. 다음 해, 선거구가 부천시 중구 을에서 부천시 오정구로 조정된 15대 총선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새정치국민회의 후보에게 390표차로 패배해 낙선했다. 이후 노무현·김원기 등과 함께 국민통합추진회의(통추)를 결성하여 활동하다가, 1997년 15대 대선을 앞두고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했다.[2]

2. 4. 부천시장 재임

원혜영은 1998년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경기도 부천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2002년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재선되었다.[6] 민선 2기·3기 부천시장을 역임하면서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회장, PIFAN 조직위원장을 지냈다.[1]

임기직책정당
1998년 ~ 2002년부천시장 (민선 2기)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2002년 ~ 2003년부천시장 (민선 3기)새천년민주당 → 열린우리당


2. 5. 국회의원 활동 (17대 ~ 20대)

원혜영은 1998년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에서 경기도 부천시장에 당선되었으며, 2002년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재선되었다.[1]

2003년 말 열린우리당에 입당하고 부천시장직에서 사퇴한 후,[3] 2004년 17대 총선에서 부천시 오정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에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최고위원 등 당 요직을 역임했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도 당선되었으며,[3] 2008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민주당 원내대표를 지냈다.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민주통합당 임시공동대표를 지냈다.[4]

2012년 19대 총선과 2016년 20대 총선에서도 당선되어 5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2020년에 열리는 21대 총선에는 불출마했다.

당적기간비고
민주당1992년 - 1995년
통합민주당1995년 - 1997년
새정치국민회의1997년 - 2000년
새천년민주당2000년 - 2003년
열린우리당2003년 - 2007년
대통합민주신당2007년 - 2008년
통합민주당2008년
민주당2008년 - 2011년
민주통합당2011년 - 2013년
민주당2013년 -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2014년 - 2015년
더불어민주당2015년 - 현재



기간직책정당비고
1992년 - 1996년민주당 → 통합민주당
2004년 - 2008년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 → 통합민주당
2006년
-
2007년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2008년 - 2012년통합민주당 → 민주당 → 민주통합당
2011년민주당
2012년 - 2016년제19대 국회의원민주통합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2016년 - 2020년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2. 6. 21대 총선 불출마

2020년에 열리는 21대 총선에는 불출마하였다.

3. 상세 경력

wikitext

기간내용
1971년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학생회장
1971년 ~ 1974년육군 병장 만기 제대
1981년 ~ 1986년풀무원식품 창업 및 경영
1987년잡지 《역사비평》 발행
1988년한겨레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겸 대변인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제14대 국회의원 (경기도 부천시 중구 을)
1992년 ~ 1994년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
1995년민주당 원내총무 권한대행
1996년 ~ 1997년국민통합추진회의 (통추) 대변인
1998년 ~ 2003년민선 제2·3대 부천시장,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조직위원장,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회장,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제17대 국회의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2004년 10월 ~ 2005년 1월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2005년 1월 ~ 2006년 1월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의장
2006년 4월 ~ 2008년아시아태평양환경개발의원회의(APPCED) 집행위원장, 한국아동인구환경의원연맹(CPE) 회장
2006년 7월 ~ 2007년 2월열린우리당 사무총장
2007년 2월 ~ 2008년열린우리당 최고위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한국스페셜올림픽위원회 이사, 한양대학교·가톨릭대학교 겸임교수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제18대 국회의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2008년 5월 ~ 2009년 5월제1대 민주당 원내대표
2011년민주당 전월세대책위원회·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 위원장, 국회 독도지킴이 공동대표
2011년 12월 ~ 2012년 1월민주통합당 창당임시공동대표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제19대 국회의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2014년새정치민주연합 정치혁신실천위원장 겸 비대위원, 국회 남북관계 및 교류협력 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
2015년새정치민주연합 공천혁신추진단장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제20대 국회의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2016년 5월 ~ 2018년 5월제20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2016년 7월 ~ 2018년 5월국회 윤리제도개선소위 위원장
2016년 12월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장
2017년 2월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공동위원장
2017년 8월 ~ 2017년 12월제 20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2018년 7월 ~제20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2018년 9월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
2018년 10월 ~ 2019년 8월제 20대 국회 후반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2020년 1월더불어민주당 21대 총선 공천관리위원회 위원장
2023년 3월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인천)
2023년 ~더불어민주당 일반고문


3. 1. 주요 경력

기간내용
1971년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학생회장
1971년 ~ 1974년육군 병장 만기 제대
1981년 ~ 1986년풀무원식품 창업 및 경영
1987년잡지 《역사비평》 발행
1988년한겨레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겸 대변인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제14대 국회의원 (경기도 부천시 중구 을)
1992년 ~ 1994년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
1995년민주당 원내총무 권한대행
1996년 ~ 1997년국민통합추진회의 (통추) 대변인
1998년 ~ 2003년민선 제2·3대 부천시장,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조직위원장,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회장,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제17대 국회의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2004년 10월 ~ 2005년 1월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2005년 1월 ~ 2006년 1월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의장
2006년 4월 ~ 2008년아시아태평양환경개발의원회의(APPCED) 집행위원장, 한국아동인구환경의원연맹(CPE) 회장
2006년 7월 ~ 2007년 2월열린우리당 사무총장
2007년 2월 ~ 2008년열린우리당 최고위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한국스페셜올림픽위원회 이사, 한양대학교·가톨릭대학교 겸임교수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제18대 국회의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2008년 5월 ~ 2009년 5월제1대 민주당 원내대표
2011년민주당 전월세대책위원회·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 위원장, 국회 독도지킴이 공동대표
2011년 12월 ~ 2012년 1월민주통합당 창당임시공동대표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제19대 국회의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2014년새정치민주연합 정치혁신실천위원장 겸 비대위원, 국회 남북관계 및 교류협력 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
2015년새정치민주연합 공천혁신추진단장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제20대 국회의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2016년 5월 ~ 2018년 5월제20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2016년 7월 ~ 2018년 5월국회 윤리제도개선소위 위원장
2016년 12월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장
2017년 2월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공동위원장
2017년 8월 ~ 2017년 12월제20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2018년 7월 ~제20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2018년 9월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
2018년 10월 ~ 2019년 8월제20대 국회 후반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2020년 1월더불어민주당 21대 총선 공천관리위원회 위원장
2023년 3월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인천)
2023년 ~더불어민주당 일반고문


3. 2. 정당 활동

1988년 한겨레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겸 대변인을 맡았다.[1] 1995년 민주당 원내총무 권한대행을 역임했다.[1] 1996년부터 1997년까지 국민통합추진회의(통추) 대변인으로 활동했다.[1]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을 지냈고, 2005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 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1] 2006년 7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열린우리당 사무총장을 맡았으며, 2007년 2월부터 열린우리당 최고위원을 지냈다.[1]

2008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제1대 민주당 원내대표를 역임했다.[1] 2011년에는 민주당 전월세대책위원회·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 위원장과 국회 독도지킴이 공동대표를 맡았다.[1]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민주통합당 창당임시공동대표를 지냈다.[1]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정치혁신실천위원장 겸 비대위원을 역임했고,[1] 2015년에는 새정치민주연합 공천혁신추진단장을 맡았다.[1]

2016년 12월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장을 맡았고,[1] 2017년 2월부터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공동위원장을 역임했다.[1] 2018년 9월부터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을 맡고 있다.[1] 2020년 1월에는 더불어민주당 21대 총선 공천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1] 2023년부터 더불어민주당 일반고문을 맡고있다.[1]

3. 3. 국회 활동

원혜영은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경기 부천시 중구 을)으로 당선되어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1] 1992년부터 1994년까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를 맡았고,[1] 1995년에는 민주당 원내총무 권한대행을 역임했다.[1] 1996년부터 1997년까지는 국민통합추진회의(통추) 대변인으로 활동했다.[1]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경기 부천시 오정구)으로 당선된 후,[1] 열린우리당에서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2004년 10월~2005년 1월),[1] 정책위원회 의장(2005년 1월~2006년 1월),[1] 사무총장(2006년 7월~2007년 2월),[1] 최고위원(2007년 2월~2008년) 등 주요 당직을 역임했다.[1] 2006년 4월부터 2008년까지는 아시아태평양환경개발의원회의(APPCED) 집행위원장과 한국아동인구환경의원연맹(CPE) 회장을 맡았다.[1] 2007년에는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1]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경기 부천시 오정구)에 당선된 후,[1] 2008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민주당 원내대표를 역임했다.[1] 2011년에는 민주당 전월세대책위원회·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 위원장, 국회 독도지킴이 공동대표를 맡았고,[1]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민주통합당 창당임시공동대표를 역임했다.[1]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경기 부천시 오정구),[1]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경기 부천시 오정구)으로 당선되었다.[1] 2014년에는 새정치민주연합 정치혁신실천위원장 겸 비대위원, 국회 남북관계 및 교류협력 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1] 2015년에는 새정치민주연합 공천혁신추진단장을 역임했다.[1]

2016년 5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제20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고,[1] 2016년 7월부터 2018년 5월까지 국회 윤리제도개선소위 위원장을 맡았다.[1] 2016년 12월에는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장을 맡았고,[1] 2017년 2월부터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았다.[1] 2017년 8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제20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1] 2018년 7월부터 제20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1] 2018년 9월부터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을 맡고 있다.[1] 2018년 10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제20대 국회 후반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1] 2020년 1월 더불어민주당 21대 총선 공천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1]

3. 4. 기타 경력

기간내용
1971년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학생회장
1971년 ~ 1974년육군 병장 만기제대
1981년 ~ 1986년풀무원식품 창업 및 경영
1987년잡지 《역사비평》 발행
1988년한겨레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겸 대변인
1995년민주당 원내총무 권한대행
1996년 ~ 1997년국민통합추진회의 (통추) 대변인
1998년 ~ 2003년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조직위원장,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회장,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
2006년 4월 ~ 2008년아시아태평양환경개발의원회의(APPCED) 집행위원장, 한국아동인구환경의원연맹(CPE) 회장
2007년한국스페셜올림픽위원회 이사, 한양대학교·가톨릭대학교 겸임교수
2011년민주당 전월세대책위원회·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 위원장, 국회 독도지킴이 공동대표
2014년새정치민주연합 정치혁신실천위원장 겸 비대위원
2015년새정치민주연합 공천혁신추진단장
2016년 12월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장
2017년 2월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공동위원장
2018년 9월 ~더불어민주당 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
2020년 1월더불어민주당 21대 총선 공천관리위원회 위원장
2023년 3월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인천)
2023년 ~더불어민주당 일반고문
사단법인 자치분권연구소 이사장
생활정치연구소 이사·혁신과 정의의 나라 포럼 대표
국회 퓨처라이프 포럼 공동대표
국회 기부문화 선진화 포럼 공동대표
국회 고도제한완화연구회 공동대표
만화를 사랑하는 국회의원 모임 공동대표
대한민국 특허 허브국가 추진위원회 공동대표
웰다잉 문화 조성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공동대표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고문


4. 학력

5. 전과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대통령긴급조치 9호 위반: 징역 1년, 자격정지 1년 - 1976년 9월 2일 선고[7]

6. 저서

원혜영은 단독 저서 5권과 공저 3권을 출간했다.

6. 1. 단독 저서

제목출판사출판일ISBN
발상을 바꾸면 시민이 즐겁다새로운사람들2000년
아름다운 도시를 만드는 55가지 지혜새로운사람들2002년
아버지, 참 좋았다비타베아타2010년
원혜영의 진격하라녹색시민2013년
원혜영의 혁신하라녹색시민2014년


6. 2. 공저


  • 김원웅한국어, 원혜영 외 공저, 《의원님들 요즘 장사 잘돼요?》, 정음문화사, 1997년(ISBN 978-8971580233)
  • 생활정치연구소 공저, 《민주정부 3.0 (2013 국정개혁전략)》, 선인, 2012년(ISBN 978-8959335763)
  • 민주당 경제민주화 모임 20인 의원 공저, 《을을 위한 행진곡 1》, 비타베아타, 2013년(ISBN 978-8994612683)

7. 수상

원혜영 의원은 환경운동연합 녹색정치인상, 국회 백봉신사상, 대한민국 반부패 청렴 대상 등 개인적인 수상 경력과 부천시장 재임 시절 국토공원화사업, 여성정책종합평가 등에서 대통령 및 국무총리 기관 표창을 받은 경력이 있다.

7. 1. 개인

연도내용
1995년환경운동연합 녹색정치인상 수상
1999년21세기 여성포럼 선정 '여성운동과 함께하는 만나고 싶은 남자 99인'
2008년제10회 국회 백봉신사상 수상
2011년《민주신문》 창립 17주년 기념 한국을 빛낸 21세기 한국인상 시상식 대한민국을 빛낸 정치인상 수상
2011년한국반부패정책학회 대한민국 반부패 청렴 대상 수상
2012년한국정부회계학회 감사장 (복식부기회계제도 도입으로 정부재정 선진화 기여)
2013년 2월제14회 국회 백봉신사상 수상
2013년 12월제15회 국회 백봉신사상 수상
2014년범시민사회단체연합 선정 '좋은 국회의원'
2014년국정감사 NGO모니터단 국정감사 우수의원
2015년대한변리사회 주관 제5회 지식재산대상 개인 부문 수상
2016년제12회 대한민국 의정대상 수상


7. 2. 부천시장 재임 시

연도수상 내역
1999년대통령 기관 표창 국토공원화사업 전국 최우수시
1999년국무총리 기관 표창 여성정책종합평가 우수시
2002년국무총리 기관 표창 자활사업추진 우수시


8.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88년총선한겨레민주당6,839표 (5.54%)6위낙선
1992년총선민주당36,608표 (52.48%)1위당선초선
1996년총선새정치국민회의20,502표 (30.11%)2위낙선
1998년지방 선거새정치국민회의123,448표 (54.31%)1위당선초선, 민선 2기
2002년지방 선거새천년민주당117,502표 (55.01%)1위당선재선, 민선 3기
2004년총선열린우리당43,284표 (60.06%)1위당선재선
2008년총선통합민주당32,861표 (56.01%)1위당선3선
2012년총선민주통합당38,350표 (53.45%)1위당선4선
2016년총선더불어민주당35,559표 (44.79%)1위당선5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2
[2] 웹사이트 白壽 맞은 한국 유기농의 아버지, 元敬善 풀무원 원장 http://monthly.chosu[...] 2012-06-22
[3] 뉴스 統合民主党、新院内代表に元恵栄議員を選出 http://app.yonhapnew[...] 2011-12-26
[4] 뉴스 野党が統合 「民主統合党」が発足 http://rki.kbs.co.kr[...] 2011-12-16
[5] 뉴스 경기도지사 선거 후보는 모두 기독교인 http://www.newsnjoy.[...] 뉴스앤조이
[6] 웹인용 (서경이 만난 사람) 원혜영 민주당 원내대표 http://economy.hanko[...] 2008-09-07
[7] 보고서 4·13 총선국회의원 당선자 전과현황 http://www.cubs.or.k[...] 바른사회시민회의 201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