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호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호작전은 1945년 2월, 일본 해군이 남중국해에서 싱가포르를 출발하여 일본 본토로 향하는 자원 수송 작전이다. 연합군의 통상 파괴 작전으로 일본의 자원 수송이 어려워지자, 일본 해군은 전함 등을 동원하여 휘발유, 고무, 주석 등 중요 물자를 수송하려 했다. 작전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지만, 수송량은 중형 화물선 1척 분에 불과했다. 이 작전은 일본의 패망을 앞당기는 데 기여했으며, 일제의 자원 수탈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아시아 - 아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아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은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이루어졌으며, 미국은 원자폭탄 투하, 소련은 만주 침공, 한반도는 분단되었고, 일본은 연합군 점령, 비무장화, 민주화, 전범 재판을 겪은 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독립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베저위붕 작전
1940년 4월 9일 나치 독일이 철광석 수송로 확보와 영국 해군 기지 건설 저지를 목표로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침공한 베저위붕 작전은, 주요 도시 기습 점령, 해상 및 육상 전투, 노르웨이 왕실 망명, 연합군 개입을 야기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전개에 영향을 미쳤고 뉘른베르크 재판의 쟁점이 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인도양 공습
인도양 공습은 1942년 4월 일본 해군이 실론과 인근 해역을 공격한 해상 및 항공 작전으로, 일본군은 콜롬보와 트린코말리를 공습하고 영국 함선들을 격침시켰으며, 영국은 이에 대응하여 동양 함대를 재편성했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 오키나와 전투
오키나와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미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오키나와에서 벌인 격전으로, 일본군의 치열한 저항과 가미카제 공격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았으며, 미군 승리로 끝났지만 현재까지 오키나와 미군 기지 존속의 원인이 되었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 일본 본토 공습
일본 본토 공습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이 일본의 항복을 유도하기 위해 감행한 일련의 공중 공격으로, 도시, 군사 시설, 산업 시설을 공격하여 전쟁 수행 능력을 약화시켰으며, 수십만 명의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도시 파괴를 야기했다.
북호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전명 | 기타 작전 (北号作戦, Hoku-gō sakusen, "North") |
시기 | 1945년 2월 10일 ~ 1945년 2월 20일 |
장소 | 싱가포르와 일본 사이의 해역 |
결과 | 일본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미국 (1912년)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
교전국 2 | 일본 제국 |
지휘관 | |
일본 | 마쓰다 치아키 소장 |
미국 | 제임스 파이프 주니어 찰스 A. 록우드 |
병력 규모 | |
일본 | 구축함 3척 항공모함 전함 2척 경순양함 1척 항공기 52대 |
연합군 | 항공기 88대 이상 잠수함 26척 구축함 2척 |
피해 규모 | |
일본 | 항공기 일부 손실 |
연합군 | 없음 |
관련 전투 | |
전역 | 필리핀 (1944-1945) |
2. 배경
남중국해에서 연합군의 통상 파괴 작전이 본격화되면서 일본의 군수 및 민수 수송선의 피해가 증가하고, 남쪽에서의 자원 수송이 매우 어려워졌다. 또한 싱가포르에 정박해 있던 수상 전력이 일본 본토와 격리되어 본토 방위에 참여하지 못하고 유휴화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통상의 수송선이나 유조선뿐만 아니라 고속, 중무장의 전투함정을 사용하여 자원 수송 및 선단 호위를 실시하고, 내지로 철수시킬 필요성에 직면했다.
이 시기 일본군의 제공권과 제해권은 상실되었고, 연합군의 잠수함과 항공기는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 전투함정이라고 해도 안전한 항해는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1944년 11월 21일에는 전함 곤고가 일본 본토로 귀환하던 중 미 잠수함에 격침되었고, 같은 해 12월 13일에는 중순양함 묘코가 미 잠수함의 뇌격으로 대파되어 귀국을 포기했다.
작전명은 같은 시기에 일반 수송선에 의해 수행된 자원 강행 수송 ‘남호작전’에 대응하여 명명된 것이다. 1944년 동안, 연합군 잠수함 공격은 동남아시아에서 일본으로의 석유 공급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일본의 석유 수입을 크게 감소시켰다. 이 단계에서 일본의 석유 비축량은 대부분 고갈되었다. 미 해군 잠수함은 1944년 한 해 동안에만 전함 곤고, 7척의 항공모함, 2척의 중순양함, 7척의 경순양함을 격침시켰다.[1]
1945년 초, 일본 정부는 남쪽에서 오는 모든 호송선 경로가 차단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유조선으로 들여오는 석유 공급을 화물선에 석유 드럼을 싣는 방식으로 보충하려 했다. 몇 척의 일본 해군 항공모함도 싱가포르에서 일본으로 석유 드럼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2]
1944년 11월 11일, 제4 항공전대 소속 ''이세''급 전함-항공모함 2척(이세와 휴가)은 일본 본토에서 출발하여 남서 태평양의 일본 해군 주력 부대에 합류했다.[3][4] 이 배치는 해당 지역의 일본 해군 잔여 전력을 강화하고 연료 공급원 근처에 함선을 배치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마닐라에 대한 연합군의 격렬한 공습으로 인해, 두 군함은 11월 14일부터 스프래틀리 군도에서 보급품을 하역하고, 20일 싱가포르 근처의 링가 로드로 항해하여 이틀 후에 도착했다. 연합군은 일본 무선 신호를 암호 해독하여 전함-항공모함이 항해했다는 정보를 얻었지만, 싱가포르로 향하는 동안 ''이세'' 또는 ''휴가''를 요격하지 못했다.[7]
2. 1. 전황 악화
1944년 말부터 연합군의 잠수함 공격과 기동부대 작전으로 인해 일본의 해상 수송로는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특히 남방으로부터의 자원 수송이 어려워져 일본 경제는 붕괴 직전에 놓였다.[1] 싱가포르에 주둔하던 일본 해군 함정들은 일본 본토와 분리되어, 본토 방위에 기여하지 못하고 고립될 위기에 처했다.[2]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은 고속 중무장 전투 함정을 이용하여 자원 수송을 실시하기로 결정했지만, 잠수함이나 항공기의 지원 없이는 안전한 항해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1944년 11월 21일, 전함 곤고가 미 잠수함에 격침되었고,[40] 12월 13일에는 중순양함 묘코가 대파되는 등, 일본 해군은 함정 손실도 컸다.
1945년 초, 일본 정부는 남쪽에서 오는 모든 호송선 경로가 차단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유조선으로 들여오는 석유 공급을 화물선에 석유 드럼을 싣는 방식으로 보충하려 했다. 몇 척의 일본 해군 항공모함도 싱가포르에서 일본으로 석유 드럼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2]
동시에 일본 해군은 남서 방면에 남은 함정, 부대의 재편성을 실시했다. 1945년 2월 5일 부로 제5함대 및 제2유격부대는 해산되었다. 잔존 부대를 중심으로 제10방면함대를 신편했다.
2. 2. 북호작전 이전의 상황
1944년, 연합군의 잠수함 공격으로 일본은 동남아시아로부터의 석유 공급에 큰 차질을 빚었다. 일본의 석유 비축량은 거의 고갈된 상태였다.[1] 1945년 초, 일본 정부는 남방 항로가 완전히 차단될 것을 우려하여 유조선 대신 화물선에 석유 드럼통을 싣는 방식으로 수송을 시도했다. 몇몇 일본 해군 항공모함도 싱가포르에서 일본으로 석유 드럼통을 운반하는 데 투입되었다.[2]1944년 11월 11일, 마쓰다 치아키 소장이 지휘하는 제4 항공전대 소속의 두 척의 ''이세''급 전함-항공모함(이세)은 남서태평양의 일본 해군 주력 부대에 합류하기 위해 일본 본토를 출발했다.[3][4] 이 배들은 필리핀 마닐라 방어 부대를 위한 약 약 907185.00kg의 탄약을 싣고 있었다.
그러나 연합군은 일본군의 무선 신호를 암호 해독하여 이들 전함-항공모함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있었다. 연합군 잠수함 부대는 이들 함선을 감시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싱가포르로 향하는 동안 ''이세''나 ''휴가''를 요격하지는 못했다.[7]
3. 완 부대
1945년 2월 10일 제10방면 함대 사령관 후쿠도메 시게루 중장은 '완 부대' 출격을 명령했다. '완 부대'는 '임무를 완수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주력이 된 제4항공전대의 휴가에서 이 전대 사령관 마쓰다 치아키 소장이 지휘했다.[88]
부대는 싱가포르에서 항공 연료용 휘발유, 생고무, 주석 등 당시 희귀한 물품을 많이 실었다. 이세와 휴가는 갑판까지 가연성이 높은 가솔린을 채운 드럼통을 다수 탑재하여, 가벼운 공격에도 매우 위험한 상태였다.[89]
3. 1. 편성
1945년 2월 4일, 일본 해군부는 싱가포르 방면의 대형 군함에 대한 향후 행동 방침을 제시했다.[88] 2월 10일, 제4항공전대와 제2수뢰전대에 공식적으로 내지 귀환과 수송 작전 실시가 하달되었다.[88] 작전명은 '북호작전'으로 명명되었고, 지휘관 마쓰다 치아키 소장은 '임무 완수'를 의미하는 '완 부대'로 명명했다.완 부대는 제4항공전대(휴가, 이세, 오요도)와 제2수뢰전대(카스미, 아사시모, 하츠시모)로 구성되었다.[51][52]
함선명 | 함종 | 주요 탑재 물자 | 비고 |
---|---|---|---|
휴가 | 전함 | 항공 휘발유 드럼통 4,994개, 항공기 휘발유 탱크 100ton, 보통 휘발유 드럼통 326개, 고무 1750ton, 주석 820ton, 텅스텐 144ton, 수은 24ton, 유전 개발 기술자 등 440명 | 완 부대 기함 |
이세 | 전함 | 항공 휘발유 드럼통 5,200개, 항공기 휘발유 탱크 100ton, 고무 1750ton, 주석 1750ton, 텅스텐 144ton, 수은 24ton, 유전 개발 기술자 등 551명 | |
오요도 | 경순양함 | 수송 인원 159명, 고무 약 45359.25kg, 주석 약 108862.20kg, 아연 약 36287.40kg, 텅스텐 약 63502.95kg, 수은 약 18143.70kg, 항공 휘발유 드럼통 86개, 항공기 휘발유 탱크 70ton | |
카스미 | 구축함 | 고무 및 주석 합계 약 127005.90kg | 제2수뢰전대 기함 |
아사시모 | 구축함 | 고무 및 주석 합계 약 127005.90kg | |
하츠시모 | 구축함 | 고무 및 주석 합계 약 127005.90kg |
3. 2. 탑재 물자
완 부대는 싱가포르에서 최대한 많은 희귀 물자를 적재했다.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었지만 탑재기가 없었던 이세와 휴가는 비행갑판과 격납고를 물자 적재 공간으로 활용했다.[89] 군령부는 함선 절반이라도 일본 본토로 귀환하면 성공이라고 예측했지만, '이세, 휴가, 오요도는 운이 좋으니 어떤 작전도 성공한다'는 의견도 있었다.[89]탑재 물자는 다음과 같다.[58]
함선 | 품목 | 수량 |
---|---|---|
휴가 | 항공 휘발유 드럼통 | 4,994개 |
항공기 휘발유 탱크 | 100톤 | |
보통 휘발유 드럼통 | 326개 | |
생고무 | 1,750톤 | |
주석 | 820톤 | |
텅스텐 | 144톤 | |
수은 | 24톤 | |
이세 | 항공 휘발유 드럼통 | 5,200개 |
항공기 휘발유 탱크 | 100톤 | |
보통 휘발유 드럼통 | - | |
생고무 | 1,750톤 | |
주석 | 1,750톤 | |
텅스텐 | 144톤 | |
수은 | 24톤 | |
오요도 | 수송 인원 | 159명 |
생고무 | 50톤 | |
주석 | 120톤 | |
아연 | 40톤 | |
텅스텐 | 20톤 | |
수은 | 20톤 | |
항공 휘발유 | 드럼통 86개, 탱크 70톤 | |
카스미, 아사시모, 하츠시모 | 생고무, 주석 | 합계 140톤 |
휴가에는 유전 개발 기술자 등 440명(이세에는 551명)이 탑승했다.[90]
4. 작전 행동
북호작전은 1945년 2월 10일부터 2월 20일까지 실시된 일본군의 철수 및 수송 작전이다. 당시 일본군은 제해권과 제공권을 모두 상실하여 싱가포르 주변에 고립된 함정들이 많았다. 이 중 제4항공전대(히유가, 이세, 오요도)와 제2수뢰전대 소속 구축함 3척(카스미, 아사시모, 하츠시모)을 일본 본토로 귀환시키면서 중요 물자도 함께 수송하는 것이 목표였다. 이 작전은 마츠다 치아키 제4항공전대 사령관에 의해 "임무 완수"를 의미하는 '''완부대'''로 명명되었다.
당시 남중국해에서는 연합군의 통상 파괴 작전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일본의 수송선 피해가 극심했다. 또한 싱가포르에 정박해 있던 일본 해군 함정들은 본토 방위에 참여하지 못하고 고립될 위험에 처해 있었다. 이에 일본군은 고속, 중무장 전투함들을 활용하여 자원 수송과 함정 철수를 동시에 진행해야 했다.
하지만 일본군은 제공권과 제해권을 모두 잃은 상태였고, 연합군의 잠수함과 항공기는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 1944년 11월에는 전함 금강과 구축함 우라카제가 미 잠수함에 의해 격침되었고, 12월에는 중순양함 묘코가 대파되는 등 전투함도 안전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미국 해군과 영국 해군 기동부대도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작전을 개시했다. 1945년 1월에는 히86선단과 히87선단이 제38기동부대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다. 미 제3함대를 이끄는 윌리엄 할시 주니어 제독은 레이테 만 해전에서 놓친 일본 전함 2척(이세, 휴가)을 격침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영국군 기동부대는 1945년 1월 24일과 29일에 수마트라 섬팔렘방의 석유 정제 시설을 폭격하여 일본군의 연료 생산 능력을 크게 저하시켰다. 2월 1일에는 B-29 폭격기가 싱가포르를 폭격하여 일본군 시설에 피해를 입혔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 해군은 남서 방면에 남은 함정과 부대를 재편성했다. 1945년 2월 5일, 제5함대와 제2유격부대가 해산되고, 잔존 부대를 중심으로 제10방면함대가 새롭게 편성되었다.
완 부대는 2월 10일 싱가포르를 출항하여 항해 중 여러 차례 연합군의 공격을 받았으나 모두 회피하고, 2월 20일 구레 해군기지에 무사히 도착하여 수송 작전을 완벽하게 성공했다.[88]
4. 1. 출항 및 항해
마츠다 치아키일본어에 따르면 연료를 조금이라도 절약하기 위해 함대 속력을 16노트로 제한했다.[92] 완 부대는 1945년 2월 10일 싱가포르를 출항했으며, 호위 전투기와 초계기 등의 지원은 기대할 수 없었다. 완 부대는 필리핀 마닐라 방면으로 가는 것처럼 위장한 후 북상해 일본 본토로 향했다.[92] 미군은 작전을 암호 해독으로 감지하고 근처의 아군에게 요격 명령을 내렸다.[93]도중에 몇 번이나 미국 육군 항공대 비행기에 의한 공습과 미국 해군 잠수함(SS-320 버골, SS-325 블로워, SS-249 플래셔, SS-241 바쇼 등)의 공격을 받았으나, 모두 회피하거나 사전 격퇴에 성공했다.[94] 두 차례에 걸친 미군 항공기에 의한 공격은 모두 인근에 발생했던 스콜에 숨어 회피했다. 마츠다 치아키 소장이 이끄는 각 함의 즉흥적인 대응이 주효했다.
4. 2. 연합군의 공격과 회피
마츠다 치아키에 따르면 연료를 절약하기 위해 함대 속력을 16노트로 제한했다.[92] 완 부대는 1945년 2월 10일 싱가포르를 출항했으며, 이미 호위 전투기와 초계기 등의 지원은 기대할 수 없었다.[92] 미군은 작전을 암호 해독으로 감지하고 근처의 아군에게 요격 명령을 내렸다.[93]도중에 완 부대는 미국 육군 항공대 비행기에 의한 공습과 미국 해군 잠수함(SS-320 버골, SS-325 블로워, SS-249 플래셔, SS-241 바쇼 등)에 의한 공격을 여러 차례 받았다.[94] 그러나 이 모든 공격을 회피하거나 사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94]
두 차례에 걸친 미군 항공기에 의한 공격은 모두 인근에 발생했던 스콜을 이용하여 회피했다. 마츠다 소장이 이끄는 각 함의 즉흥적인 대응이 주효하여, 다른 연합군의 공격도 모두 피할 수 있었다.[88]
4. 3. 기항 및 보급
완 부대는 1945년 2월 10일 저녁 싱가포르를 출항했다.[60][61] 연료 절약을 위해 함대 속력은 16노트로 제한되었다.[92] 함대는 필리핀 마닐라 방면으로 가는 척하다가 북상하여 일본 본토로 향했다.[92]항해 도중, 완 부대는 2월 15일 저녁 마주 도에 5시간 동안 정박하여 연료 보급을 실시했다. 이후 2월 16일 밤부터 17일 아침까지 저우산도 정박지에 가박했고,[79] 2월 18일 저녁부터 19일 아침까지는 한반도 남해안에 가박했다.[81] 그날 밤 시모노세키를 거쳐 무쓰레 정박지에 가박했다.[82]
완 부대는 2월 20일 오전 10시에 최종 목적지인 구레에 도착했고, 이로써 수송 작전은 완벽하게 성공했다.[83][84]
5. 결과
북호 작전은 1945년 2월 10일부터 2월 20일까지 실시된 일본군의 철수 및 수송 작전으로, 일본 해군 역사상 사실상 마지막으로 성공한 작전이다. 작전명은 동시기 일반 수송선으로 수행되던 자원 강행 수송 작전인 '남호 작전'에 대응하여 연합함대가 명명한 것이다. 지휘관 마츠다 치아키 제4항공전대 사령관은 「임무 완수」를 의미하는 '''완부대'''로 명명했다.[72]
북호 작전 실시 반 달 전, 남중국해에서 이와 유사한 항로를 택한 히86 선단이 미국 해군 기동 부대에 포착되어 궤멸적인 손해를 입었다. 매우 위험한 작전이었기에 부대 전멸까지 각오했으나, 피해 없이 성공하여 키스카 섬 철수 작전과 더불어 「기적의 작전」으로 평가받는다.[77]
5. 1. 작전 성공
마츠다 치아키는 연료 절약을 위해 함대 속력을 16노트로 제한했다.[92] 완 부대는 1945년 2월 10일 싱가포르를 출발하여, 2월 20일 히로시마의 구레시 구레 해군기지에 도착하여 수송 작전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88]일본 연합함대 사령부 등 해군 상층부는 '절반만 돌아와도 성공'이라고 예측했지만, 부대는 피해 없이 모든 함선이 무사히 귀환하여 크게 기뻐했다. 마츠다 소장도 군 사령부의 토미오카 사다토시 소장으로부터 감사를 받았다고 회상했다.[95]
연합군도 이 작전의 성공을 인정했다. 전후 마츠다 소장이 미 해군 제7함대 참모에게 이 작전에 대해 묻자 "아니, 저건 완전히 당했다"라는 대답을 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6척의 군함으로 수송했음에도 물자의 양은 중형 화물선 1척 분에 불과했다. 전용 수송선이 아니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지만, 이 정도 양의 물자 수송에 성공한 것에 기뻐했다는 것 자체가 당시 일본의 어려운 처지를 보여주었다. 이것이 전쟁 중 외부로부터 일본 본토에 들어온 마지막 연료였다고 한다.
5. 2. 의의와 한계
북호작전은 일본 해군이 제해권과 제공권을 상실한 상황에서 거둔 거의 유일한 성공 사례로 평가받는다.[95] 연합군도 이 작전에 허를 찔렸으며, 전후 미 해군 제7함대 참모는 "완전히 당했다"라고 회상했다. 토미오카 사다토시 소장은 マツダ ちあき|마쓰다 지아키일본어 소장에게 감사를 표했다.[95]그러나 6척의 군함으로 수송한 물자의 양은 중형 화물선 1척 분에 불과했다.[95] 이는 전용 수송선이 아니었기 때문이지만, 이 정도 양의 물자 수송에 성공한 것에 기뻐했다는 것 자체가 당시 일본의 처지를 보여준다. 이 수송된 연료는 일본 본토에 들어온 마지막 연료였다고 한다.
이후 이세, 휴가 두 전함은 항구에 정박해 포대로만 활용되었고, 남은 연료는 전함 야마토로 옮겨져 키쿠스이 작전과 텐고 작전에 사용되었다.[95]
6. 전후
일본 연합함대 사령부를 비롯한 일본 해군 상층부는 북호작전에서 '절반만 돌아와도 성공'이라고 예상했지만, 모든 함선이 피해 없이 무사히 귀환하자 크게 기뻐했다. 마츠다 소장은 군 사령부의 토미오카 사다토시 소장으로부터 감사를 받았다고 회상했다.[95] 전후 마츠다 소장이 미 해군 제7함대 참모에게 이 작전에 대해 묻자 "아니, 저건 완전히 당했다"라는 대답을 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6척의 군함으로 수송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송한 물자의 양은 중형 화물선 1척 분에 불과했다. 이는 전용 수송선이 아니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었지만, 이 정도 양의 물자 수송에 성공한 것에 기뻐했다는 사실 자체가 당시 일본의 어려운 처지를 보여주었다. 이 수송은 전쟁 중 외부로부터 일본 본토에 들어온 마지막 연료였다고 한다.
이후 이세와 휴가는 항구에 정박하여 포대로만 활용되었고, 다시는 출격하지 못했다. 두 함선에는 상당한 연료가 남아 있었지만, 이 연료들은 전함 야마토로 옮겨져 텐고 작전 등에 사용되었다.[95]
연합군 해군 지휘관들은 완 부대를 공격하도록 지시받은 26척의 잠수함이 함선에 아무런 피해도 입히지 못한 것에 대해 실망했다.[26] 파이프는 이 실패의 원인이 완 부대의 빠른 속도, 작전 당시의 악천후, 그리고 일본 함선에 잠수함의 레이더 신호를 탐지할 수 있는 장비가 장착되어 있었기 때문이라고 결론 내렸다. 록우드는 잘못된 정보에 따라 잠수함을 너무 서쪽으로 배치한 것을 탓하며, "우리의 정보가 마지막 순간에 틀어졌다. 아마 내가 그것에 너무 의존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26]
북호작전을 통해 일본은 석유 수입을 늘리는 데 성공했고, 1945년 1분기 동안 일본에 도달한 전체 석유의 양은 1944년 말에 달성된 양보다 많았다.[2] 그러나 연합군 잠수함은 2월에 동남아시아에서 일본으로 항해하려던 대부분의 상선 유조선을 격침시켰고, 3월에는 일본이 이 경로를 통한 석유 수입 시도를 중단했다.
일본에 도착한 후, ''이세''와 ''휴가''는 구레 시와 해군 기지의 대공 방어를 강화하도록 배정되었다. 연료와 항공기 부족으로 인해 이 함선들은 다시 항해하지 못했고, 1945년 7월 구레 공습 기간에 모두 격침되었다.[3] ''오요도''는 구레 훈련 부대의 일부가 되었고, 7월 28일에 격침될 때까지 항구에 머물렀다.[27] 북호작전에 참가했던 3척의 구축함(아사시모, 카스미, 하츠시모)도 모두 전쟁에서 살아남지 못했다. ''아사시모''와 ''카스미''는 텐고 작전 중 야마토를 호위하다가 미 해군 항공기에 의해 격침되었고, ''하츠시모''는 7월 30일 마이즈루 근처에서 기뢰에 부딪혀 침몰했다.[29][30][31]
7. 한국의 관점
일본은 남중국해에서 연합군의 통상 파괴 작전으로 인해 자원 수송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일본은 싱가포르에 정박해 있던 함선을 이용하여 자원을 수송하고 일본 본토로 이동시키려 했으나, 이미 제공권과 제해권을 상실한 상태였다.[41] 연합군의 잠수함과 항공기는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으며, 1945년 1월 히86선단과 히87선단이 제38기동부대에 의해 큰 피해를 입는 등(그라티튜드 작전) 일본은 자원 수송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7. 1. 일제의 자원 수탈
남중국해에서 연합군의 통상 파괴 작전이 본격화되면서 일본의 군수 및 민수 수송선 피해가 커지고, 남쪽으로부터 자원 수송이 매우 어려워졌다.[40] 이 때문에 일본은 싱가포르에 정박해 있던 함선들을 활용하여 자원 수송 및 선단 호위를 실시하고, 이들을 일본 본토로 이동시켜야 했다.하지만 일본군의 제공권과 제해권은 이미 상실된 상태였고, 연합군의 잠수함과 항공기는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41] 전투함조차 안전한 항해를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42] 1944년 11월 21일, 전함 금강과 구축함 우라카제가 미 잠수함 시라이온 II에 의해 격침되었다.[43] 12월 3일에는 전함 하루나와 항공모함 준요 등이 미 잠수함의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 12월 13일에는 중순양함 묘코가 미 잠수함 바고의 공격으로 대파되어 귀국을 포기했다. 12월 19일에는 항공모함 운류가 미 잠수함 레드피시에 의해 격침되었다.[44]
미국 해군과 영국 해군 기동부대도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작전을 시작했다. 1945년 1월, 히86선단과 히87선단이 제38기동부대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다. (\그라티튜드 작전) 미 제3함대를 이끄는 윌리엄 할시 주니어 제독은 레이테 만 해전에서 놓친 일본 제3함대의 전함 2척(이세, 휴가)을 격침하려 했다.
1945년 1월 24일, 영국군 기동부대는 수마트라 섬팔렘방의 석유 정제 시설을 폭격했다. 1월 29일에도 팔렘방 공습이 있었고, 제유소의 능력은 크게 저하되었다. 2월 1일, B-29 폭격기가 싱가포르를 폭격하여 일본 측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 해군은 남은 함정과 부대를 재편성했다. 1945년 2월 5일, 제5함대 및 제2유격부대가 해산되고, 잔존 부대를 중심으로 제10방면함대가 새롭게 편성되었다.[45]
참조
[1]
서적
Blair (2001), pp. 816–817
[2]
서적
Prados (1995), p. 703
[3]
서적
Whitley (1998), p. 199
[4]
서적
Hackett et al. (2011)
[5]
서적
Worth (2001), p. 179
[6]
서적
Willmott (2002), p. 200
[7]
서적
Prados (1995), p. 701
[8]
서적
Lacroix and Wells (1997), p. 650
[9]
서적
Lacroix and Wells (1997), pp. 650–651
[10]
서적
Lacroix and Wells (1997), p. 651
[11]
서적
Blair (2001), p. 846
[12]
서적
Holmes (1979), p. 201
[13]
서적
Blair (2001), pp. 846–847
[14]
서적
Craven and Cate (1953), p. 492
[15]
서적
Morison (1959), pp. 176–178
[16]
서적
Morison (1959), pp. 178, 303–304
[17]
서적
Craven and Cate (1953), pp. 470, 491–492
[18]
서적
Blair (2001), pp. 826, 848
[19]
서적
Blair (2001), p. 847
[20]
서적
Morison (1959), p. 178
[21]
웹사이트
https://www.history.[...]
United States Navy Naval History & Heritage Command
2011-07-16
[22]
서적
Craven and Cate (1953), pp. 492–494
[23]
서적
Gill (1968), p. 599
[24]
서적
Blair (2001), pp. 847–849
[25]
서적
Craven and Cate (1953), p. 494
[26]
서적
Blair (2001), p. 849
[27]
서적
Lacroix and Wells (1997), p. 652
[28]
서적
Blair (2001), pp. 852–855
[29]
간행물
IJN Asashimo: Tabular Record of Movement
Nevitt (1998)
[30]
간행물
IJN Hatsushimo: Tabular Record of Movement
Nevitt (1998)
[31]
간행물
IJN Kasumi: Tabular Record of Movement
Nevitt (1998)
[32]
서적
戦史叢書102巻、405-406頁「北号作戦」
[33]
서적
戦史叢書93巻、206-210頁「軍令部総長の指示」
[34]
서적
戦史叢書102巻、283頁「昭和20年2月10日」
[35]
기타
S20.04二水戦詳報(1) p.5〔 (二)南號作戰ハ戦局ノ急迫ニ伴ヒ愈ヽ強化セラレタルガ之ト並行シ十日北號作戰部隊編成セラレ第四航空戰隊(大淀ヲ含ム)第二水雷戰隊ヲ以テ重要物資ノ急速還送並ニ同部隊所属艦艇ノ内地歸投ヲ企圖セラレ二十日之ガ成功ヲ見タリ 〕
[36]
書적
戦史叢書93巻
[37]
書적
戦史叢書93巻
[38]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39]
書적
戦史叢書93巻
[40]
書적
戦史叢書93巻
[41]
書적
戦史叢書102巻
1944-12-19
[42]
書적
戦史叢書93巻
[43]
書적
戦史叢書93巻
[44]
문서
S20春南西方面一般情勢
[45]
문서
栄光の追憶
1945-02-05
[46]
書적
戦史叢書93巻
[47]
아시아역사자료센터
C13072103400
[48]
書적
戦史叢書102巻
1945-02-05
[49]
문서
S20.04二水戦詳報(1)
[50]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51]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52]
문서
S20.04二水戦詳報(1)
[53]
문서
S1911五艦隊(4)
[54]
문서
S20.04二水戦詳報(1)
[55]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56]
문서
栄光の追憶
[57]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58]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59]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60]
문서
栄光の追憶
[61]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62]
문서
S20.04二水戦詳報(1)
[63]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64]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65]
문서
栄光の追憶
1945-02-13
[66]
문서
S20.04二水戦詳報(1)
[67]
문서
S20.04二水戦詳報(1)
[68]
문서
栄光の追憶
[69]
문서
栄光の追憶
[70]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71]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72]
문서
栄光の追憶
[73]
문서
S20.04二水戦詳報(1)
[74]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75]
문서
栄光の追憶
[76]
문서
S20.04二水戦詳報(1)
[77]
간행물
昭和20年2月21日(秘)海軍公報 第4938号
C1207050400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8]
문서
栄光の追憶
[79]
문서
S20.04二水戦詳報(1)
[80]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81]
문서
S20.04二水戦詳報(1)
[82]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83]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84]
문서
[85]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86]
문서
S20大淀戦闘詳報
[87]
서적
歴史群像
2004-10
[88]
문서
戦史叢書海軍戦備(2)
[89]
문서
大淀生涯
[90]
문서
戦史叢書海軍戦備(2)
[91]
서적
2001
[92]
문서
海軍反省会2
[93]
뉴스
硫黄島の戦い
丸
[94]
뉴스
丸
[95]
문서
海軍反省会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