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UFWC)은 1872년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첫 국제 축구 경기 이후, FIFA가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가상의 세계 챔피언십이다. 1966년 잉글랜드가 월드컵 우승 후 처음 패배한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승리한 팀이 타이틀을 가져가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UFWC는 2002년 규칙이 정립되었으며, FIFA 월드컵, 대륙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경기 결과를 소급 적용하여 챔피언의 계보를 추적한다. 나사시의 바톤, 파운드 포 파운드 월드 챔피언십과 같은 유사한 개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구 랭킹 - FIFA 랭킹
    FIFA 랭킹은 국제 축구 연맹이 도입한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순위 시스템으로, 경기 결과, 중요도, 상대적 강함 등을 반영하여 산정되며, FIFA 월드컵 본선 조 추첨 등에 활용된다.
  • 축구 랭킹 - FIFA 여자 랭킹
    FIFA 여자 랭킹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순위를 나타내는 시스템으로, 엘로 등급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경기 결과, 상대 팀 랭킹, 경기 중요도 등을 고려하여 연 4회 발표된다.
  • 국제 축구 대회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는 1971년부터 1999년까지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이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12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국제 축구 대회 -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
    팬아메리칸 게임 축구는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모두 진행되는 축구 종목으로, 남자부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여자부에서는 브라질이 최다 금메달을 획득했다.
  • 축구 용어 - 승부차기
    승부차기는 축구 경기에서 정규 시간 이후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승리 팀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각 팀이 5명의 키커를 정해 페널티킥을 시도하며, 5번의 시도 내 승부가 나지 않으면 서든데스 방식으로 진행된다.
  • 축구 용어 - 오프사이드
    오프사이드란 축구 경기에서 공격팀 선수가 특정 위치에서 플레이에 적극적으로 관여할 때 선언되는 반칙으로, 상대팀에게 간접 프리킥이 주어지며, 골키퍼 뒤에서 공을 받아 득점하는 것을 제한하여 경기의 균형을 유지하고 전술적인 플레이를 유도하는 규칙이다.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
개요
이름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십
영어 이름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hips, UFWC
진행 방식
방식넉아웃 토너먼트 방식과 유사
설명현 챔피언에게 도전하여 승리하는 팀이 새로운 챔피언이 됨. 만약 챔피언이 무승부를 기록하면 타이틀 유지. 챔피언은 다음 경기에서 타이틀을 방어해야 함.
역사
시작 연도1872년
첫 경기1872년 스코틀랜드잉글랜드 경기
설명공식적인 FIFA 월드컵보다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최초의 국제 축구 경기에서 시작됨.
최근 경기
날짜2024년 11월 17일
상대알제리라이베리아
향후 경기
날짜2025년 3월 17일
상대라이베리아 대 보츠와나

2. 역사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hips, UFWC)의 역사를 추적하는 것은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지만, 정해진 규칙은 마치 최초의 국제 경기 시절부터 분석해 온 것처럼 보이게 한다.

이 아이디어는 1967년 4월 15일, 스코틀랜드 팬들과 일부 언론이 브리티시 홈 챔피언십 경기에서 당시 1966년 FIFA 월드컵 우승팀이었던 잉글랜드를 꺾은 후 농담처럼 시작되었다. 이는 잉글랜드가 월드컵 우승 이후 당한 첫 패배였기에, 스코틀랜드 팬들은 자신들을 "비공식 세계 챔피언"이라고 칭했다.[3][4][5][73]

수십 년 후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2002년 축구 통계학자 제임스 올넛, 폴 크랭쇼, 요스테인 니가드, 로베르토 디 마지오 등이 UFWC의 규칙을 정의하고 1872년 최초의 국제 경기까지 거슬러 올라가 그 계보를 추적하여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웹사이트에 게시했다. 이듬해 프리랜서 저널리스트 폴 브라운은 축구 잡지 ''FourFourTwo''에 UFWC에 관한 기사를 쓰면서 이 개념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60][73] 2011년 브라운은 이 주제에 관한 책을 저술했으며,[61] 챔피언십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는 웹사이트도 만들었다.

UFWC는 FIFA의 승인을 받지 않았으며, 어떠한 공식적인 지원도 받지 않는 비공식 타이틀이다.[6] 타이틀은 FIFA 월드컵이나 각 대륙 선수권 대회와는 별개로, 일반적인 국제 경기 규칙에 따라 타이틀 보유팀을 이긴 팀에게 계속해서 넘어간다. 초기에는 영국 내 국가들 사이에서 주로 오갔으나, 점차 유럽 대륙, 남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전 세계로 퍼져나가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UFWC는 비공식 타이틀이기 때문에 과거 소유국을 평가하는 명확한 기준은 없다. UFWC를 관리하는 웹사이트에서는 타이틀을 건 경기 수와 승리 수(연장전이나 승부차기 승리 포함)를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다.

2024년 11월 18일 기준 랭킹
순위국명타이틀전
경기 수
타이틀전
승리 수
최종 타이틀
보유 연월일
1스코틀랜드149862007년 3월 28일
2잉글랜드146732000년 6월 20일
3아르헨티나116722023년 11월 16일
4네덜란드96582020년 9월 7일
5이탈리아79452021년 10월 6일
6러시아64412000년 2월 23일
7브라질72382015년 6월 17일
8프랑스67332022년 6월 3일
9독일69312019년 9월 6일
10우루과이67282024년 3월 26일
스웨덴462013년 2월 6일
12칠레49212017년 3월 23일
13스페인34182021년 10월 10일
14헝가리47172008년 9월 10일
15체코38152004년 3월 31일
16페루42142018년 6월 16일
17웨일스70121988년 9월 14일
오스트리아381968년 6월 16일
19그리스24112008년 5월 24일
일본242011년 11월 15일
크로아티아222022년 12월 13일
22스위스35101994년 6월 26일
북한162013년 1월 23일
24콜롬비아3292015년 6월 26일
25파라과이3282016년 9월 6일
루마니아252006년 5월 23일
볼리비아202017년 8월 31일
코스타리카132014년 7월 5일
29짐바브웨1172005년 10월 8일
앙골라102005년 3월 27일
31덴마크2562022년 6월 10일
불가리아221985년 9월 4일
33북아일랜드6451933년 10월 14일
벨기에201990년 1월 17일
세르비아181995년 5월 31일
코트디부아르92024년 10월 15일
37폴란드2141989년 5월 7일
나이지리아72005년 11월 16일
39멕시코1832016년 6월 18일
아일랜드92004년 5월 29일
41포르투갈2221992년 6월 4일
에콰도르161965년 8월 22일
미국71992년 6월 14일
조지아42007년 3월 24일
라이베리아42024년 11월 17일
46튀르키예812007년 10월 17일
오스트레일리아71992년 6월 18일
이스라엘72000년 4월 26일
대한민국61995년 2월 4일
베네수엘라62006년 10월 18일
퀴라소41963년 3월 28일
시에라리온42024년 10월 27일
알제리4현 챔피언



; 연속 방어 횟수

2022년 12월 13일 기준으로, 세계 챔피언이 연속으로 방어에 성공한 기록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타이틀을 유지한 네덜란드[88]와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유지한 이탈리아의 21회가 공동 1위이다. 다음으로는 1880년부터 1888년까지 20회 방어한 스코틀랜드가 있으며, 4위는 1996년부터 1998년까지 15회 방어한 독일과, 2010년부터 2011년까지 15회 방어한 일본이 뒤를 잇는다[89]

; 최다 득점과 최대 골득실차

타이틀 매치에서의 최다 득점은, 1899년 2월 18일에 잉글랜드가 13-2로 아일랜드를 꺾은 경기이다. 이 골득실차 11 역시 최대이며, 1901년 2월 23일에 스코틀랜드가 11-0으로 아일랜드를 이긴 경기와 같은 기록이다. 후자의 스코틀랜드의 승리는 상대를 무득점으로 막은 경기에서의 최다 득점이기도 하다[90][91]

2. 1. 초창기 (1872년 ~ 1930년대)



FIFA가 최초로 인정한 국제 경기는 1872년 11월 30일 해밀턴 크레센트에서 열린 잉글랜드스코틀랜드의 경기로, 0-0 무승부로 끝났다.[10][75] 이 결과로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UFWC) 타이틀은 공석인 상태로 시작되었다. 1873년 3월 8일, 두 팀이 케닝턴 오벌에서 다시 맞붙었을 때 잉글랜드가 4-2로 승리하며 최초의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11][73][76]

초창기 국제 축구는 거의 전적으로 브리튼 제도 내에서 이루어졌다. 1876년에는 웨일스가, 1882년에는 아일랜드(벨파스트를 중심으로 한 아일랜드 축구 협회 소속으로, 훗날 북아일랜드가 됨)가 경쟁에 참여했다. 초기에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주로 타이틀을 주고받았으나, 1903년 3월 아일랜드가 스코틀랜드를 2-0으로 꺾고 세 번째 챔피언 국가가 되었다. 웨일스는 1907년 3월 스코틀랜드를 1-0으로 이기면서 처음으로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1909년 말, 잉글랜드는 부다페스트에서 헝가리를 상대로 승리하며 브리튼 제도 밖의 팀과 처음으로 타이틀 방어전을 치렀다.[12] 1927년에는 아일랜드(북아일랜드)가 잉글랜드를 2-0으로 꺾고 통산 세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

홈 네이션스(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팀들은 1930년, 1934년, 1938년 FIFA 월드컵에 모두 불참했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은 축구의 세계화 과정을 더욱 더디게 만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UFWC 타이틀은 1931년 오스트리아가 스코틀랜드를 꺾고 잠시 브리튼 제도 밖으로 나갔던 것을 제외하면, 1930년대 대부분 기간 동안 홈 네이션스 국가들 사이에서만 오갔다. 오스트리아가 타이틀을 차지한 지 몇 달 후 다시 홈 네이션스로 돌아왔고, 1930년대 마지막 몇 개월을 제외하고는 홈 네이션스 내에 머물렀다.

2. 2. 세계화와 2차 세계대전 전후 (1930년대 ~ 1960년대)

1931년 오스트리아스코틀랜드를 5-0으로 꺾으면서,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 타이틀은 처음으로 브리튼 제도 밖으로 나가게 되었다.[13][77] 하지만 1932년 잉글랜드가 오스트리아를 4-3으로 이기면서 타이틀은 다시 홈 네이션스로 돌아왔고,[14] 1930년대의 대부분 기간 동안 홈 네이션스 4개국(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안에서만 머물렀다.

1940년대에 들어서 타이틀은 유럽 대륙 국가들 사이를 오갔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에는 추축국(이탈리아 등)과 중립국 사이에서 타이틀이 이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잉글랜드스웨덴을 꺾으면서 타이틀은 다시 연합국 측으로 넘어왔다.

1950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잉글랜드는 미국에게 0-1로 패배하는 충격적인 결과를 맞이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로 꼽히며, 이 경기로 인해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 타이틀은 처음으로 아메리카 대륙으로 넘어가게 되었다.[15][78] 이후 같은 조의 칠레가 미국을 이기면서 새로운 챔피언이 되었지만, 칠레가 조별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타이틀은 남아메리카에 머물게 되었다.[79] 이로 인해 1950년은 타이틀이 걸려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월드컵 우승팀이 이를 차지하지 못한 첫 대회가 되었다. 이후 16년 동안 단 한 번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타이틀은 계속 아메리카 대륙 국가들이 보유하게 되었다.

FIFA의 지역 구분


이 기간 중 주목할 만한 사건은 1963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짧은 챔피언 등극이다. CONCACAF 선수권(현재의 CONCACAF 골드컵) 경기에서 멕시코를 2-1로 꺾고 타이틀을 차지했으나, 불과 4일 만에 코스타리카에 패배하며 타이틀을 넘겨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에 오른 역대 가장 작은 국가로 기록되었다.[16][80]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 타이틀은 1966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소련이 차지하면서 다시 유럽으로 돌아왔다. 소련은 이 대회 준결승에서 서독에게 패배하며 타이틀을 넘겨주었다.[17]

2. 3. 아시아의 참여와 현재 (1970년대 ~ 현재)

타이틀은 1978년까지 유럽에 머물렀다가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가 우승하며 타이틀을 획득하였다.[18] 타이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페루폴란드에 패배하기까지 남아메리카에 머물렀다.[19] 이후 10년간 타이틀은 아르헨티나가 1년 동안 보유했던 것을 제외하면 다시 유럽에서만 이동하였다.

1992년 타이틀은 다시 미국에 넘어갔으며, 이후 오스트레일리아가 한 경기 동안 타이틀을 보유하며 오세아니아 팀 최초로 타이틀을 획득하였다.[20] 이후 여러 남아메리카 국가를 거쳐 1995년 대한민국이 칼스버그 컵 준결승에서 콜롬비아를 이기면서 아시아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챔피언이 되었다.[21][81] 대한민국은 다음 경기에서 유고슬라비아에 패배하며 타이틀을 잃었고,[21][81] 이후 타이틀은 1998년 3월 25일 독일이 친선경기에서 브라질에 패배할 때까지 유럽에 머물렀다. 아르헨티나가 다시 친선경기에서 브라질에 승리하였고 1998년 FIFA 월드컵에 타이틀을 가지고 참가하였다. 프랑스결승전에서 브라질을 3-0으로 꺾으면서 1978년 아르헨티나처럼 홈에서 열린 월드컵 대회 우승을 하였고 타이틀을 획득하였다.[22]

UEFA 유로 2000 개막 시점에서는 독일이 타이틀을 유지했지만, 대회 중에 잉글랜드나 우승국 프랑스의 손에 넘어갔고, 2002년 월드컵 개최 직전에는 네덜란드가 챔피언이 되었다. 하지만 네덜란드는 유럽 예선을 통과하지 못해 본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비공식 챔피언이 공식 챔피언 자리에 도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네덜란드는 2003년 9월 10일까지 타이틀을 보유하다가 체코에 3 대 1로 패배하며 타이틀을 넘겨주었다.

체코는 친선경기에서 아일랜드에 패배하기 전까지 몇 경기만을 방어했다. 아일랜드가 2004년 5월 나이지리아에 패하면서 처음으로 아프리카 국가가 타이틀을 소유하게 되었다.[82] 곧이어 앙골라가 타이틀을 획득하였고 2004년 말부터 2005년 초까지 타이틀을 지켜냈다. 이후 짐바브웨가 타이틀을 획득하여 6개월간 지켜냈고, 2005년 10월 8일 나이지리아가 다시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나이지리아는 루마니아에 패배하였고 6개월 후 타이틀은 우루과이에 넘어가게 되었다.[83] 우루과이는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였고, 이로 인해 2회 연속으로 비공식 챔피언과 공식 챔피언이 통합되는데 실패하였다.

타이틀은 2006년 11월 15일 조지아가 차지하면서 다시 유럽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2007년 3월 24일 조지아는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 역사상 가장 성공한 팀인 스코틀랜드에 패배하였다. 4일 뒤 스코틀랜드는 타이틀을 월드컵 챔피언 이탈리아에게 넘겨주었으며, 타이틀은 헝가리, 튀르키예, 그리스스웨덴을 거쳐 네덜란드로 넘어가게 되었다. 네덜란드는 201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스페인에 패배하기까지 가장 성공적으로 타이틀을 방어해 내었다.

2010년 9월 7일 친선 경기에서 아르헨티나가 스페인에 승리하여 왕좌를 얻었지만, 10월 8일에는 아르헨티나를 1-0으로 꺾은 일본으로 왕좌가 이동했다.[84][92][93] 일본은 타이틀을 방어한 채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 무패로 우승했고, 기린컵 2011에서도 2번의 무승부로 방어했지만, 2011년 11월 15일에 열린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제5전에서 북한에 0-1로 패배하여, 1년 이상 유지해 온 왕좌를 북한 대표팀에 넘겨주게 되었다.

북한 대표팀은 2012년 AFC 챌린지컵에서 전승 우승을 하는 등, 2012년에는 1년간 왕좌를 방어했고, 이듬해 2013년 1월의 동아시안컵 2013 최종 예선에서도 예선 통과는 하지 못했지만 방어를 계속했다. 그러나, 2013년 1월 23일, 태국에서 개최된 킹스컵 첫 경기에서 스웨덴에 승부차기 끝에 패배하여, 약 1년 2개월에 걸쳐 방어한 타이틀을 넘겨주게 되었다. 스웨덴은 킹스컵 결승에서 핀란드를 이겨 한 번 방어했지만, 11일 후인 2월 6일 홈에서 아르헨티나에 2-3으로 패배하여, 아르헨티나가 2010년 일본에 패배하여 타이틀을 잃은 이후 왕좌에 복귀했다.

아르헨티나는 2014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등을 치르는 중에 8번 방어했지만, 2013년 10월 15일, 예선 최종전에서 우루과이에 패배하여 왕좌를 넘겨주었다. 우루과이가 왕좌를 지킨 채 2014년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고, 코스타리카, 네덜란드, 아르헨티나를 거쳐 대회 우승국인 독일이 타이틀을 동시에 획득했다. 획득 후 첫 경기인 9월 3일 친선 경기에서 아르헨티나가 독일을 꺾어 월드컵 결승의 복수를 했다. 그 후, 10월 11일 베이징에서 열린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에서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꺾고 타이틀을 탈취했다. 브라질이 타이틀을 유지한 채 2015년 코파 아메리카가 개최되었고, 콜롬비아, 아르헨티나를 거쳐 칠레로 왕좌가 옮겨졌다. 칠레는 2018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제3절까지 타이틀을 방어했지만, 4절에서 우루과이에 패배하여, 우루과이가 2014년 코스타리카에 패배한 이후 왕좌에 복귀했다. 우루과이가 타이틀을 유지한 채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가 개최되었고, 멕시코를 거쳐 우승한 칠레가 타이틀을 탈취했다. 그 후, 월드컵 남미 예선을 통해 왕좌는 남미 각국을 거쳤고, 예선 종료 시점에는 페루가 타이틀을 확보했다.

2018년 FIFA 월드컵에서 페루는 조별 리그 C조 첫 경기 덴마크전에서 0-1로 패배하여 타이틀은 덴마크가 탈취했다. 덴마크는 호주, 프랑스와 비긴 후 16강전에서 크로아티아와 대결하여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PK: 2-3)로 패배하여 타이틀이 크로아티아로 넘어갔다. 크로아티아는 러시아, 잉글랜드를 꺾었지만, 결승에서 프랑스에 패배했다.

그 후의 타이틀은, 주로 UEFA 유로 2020 예선, UEFA 네이션스리그,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을 무대로 유럽 국가들을 오갔다. UEFA 유로 2020에서는 이탈리아가 타이틀을 가져왔고, 그대로 무패로 우승했다. UEFA 네이션스리그 2022-23 리그전에서 왕좌를 차지한 크로아티아는 2022년 FIFA 월드컵에 타이틀을 가지고 들어갔지만, 준결승에서 아르헨티나에 패배했고, 우승을 차지한 아르헨티나는 결승전도 승리하여 우승과 함께 타이틀을 보유하게 되었다.

=== 일본의 타이틀 매치 ===

일본은 2010년 10월 8일, 알베르토 자케로니 감독이 이끄는 일본이 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리오넬 메시를 앞세운 아르헨티나를 맞아 오카자키 신지의 득점으로 1-0으로 승리[84]하여 6번째 타이틀 도전에서 처음으로 UFWC 챔피언이 되었다.[92][93] 일본은 첫 우승 이후 15경기(10승 5무, 승부차기 승리는 UFWC 규정에 따라 승리로 간주) 동안 왕좌를 지켰지만, 2011년 11월 15일 북한에 패하여 왕좌를 넘겨주었다.

일본의 타이틀 매치 전적은 다음과 같다.

날짜타이틀 보유국경기 결과도전국대회 및 경기장
1998년6월 14일아르헨티나 (방어)1 - 0일본1998년 FIFA 월드컵
스타드 툴루즈 (툴루즈)
2001년3월 24일프랑스 (방어)5 - 0일본친선 경기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2001년4월 25일스페인 (방어)1 - 0일본친선 경기
에스타디오 누에보 아르캉헬 (코르도바)
2009년9월 5일네덜란드 (방어)3 - 0일본친선 경기
더 흐롤스 페스터 (엔스헤데)
2010년6월 19일네덜란드 (방어)1 - 0일본2010년 FIFA 월드컵
모세스 마비다 스타디움 (더반)
2010년10월 8일아르헨티나0 - 1일본 (획득)기린 챌린지 컵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2010년10월 12일일본 (방어)0 - 0대한민국친선 경기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2011년1월 9일일본 (방어)1 - 1요르단2011년 AFC 아시안컵
카타르 SC 스타디움 (도하)
2011년1월 13일일본 (방어)2 - 1시리아2011년 AFC 아시안컵
카타르 SC 스타디움 (도하)
2011년1월 17일일본 (방어)5 - 0사우디아라비아2011년 AFC 아시안컵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2011년1월 21일일본 (방어)3 - 2카타르2011년 AFC 아시안컵
알가라파 스타디움 (도하)
2011년1월 25일일본 (방어)2 - 2 aet
(PK 3 - 0)
대한민국2011년 AFC 아시안컵
알가라파 스타디움 (도하)
2011년1월 29일일본 (방어)1 - 0 aet오스트레일리아2011년 AFC 아시안컵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2011년6월 1일일본 (방어)0 - 0페루기린 컵 2011
니가타 스타디움 (니가타)
2011년6월 7일일본 (방어)0 - 0체코기린 컵 2011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 (요코하마)
2011년8월 10일일본 (방어)3 - 0대한민국기린 챌린지 컵
삿포로 돔 (삿포로)
2011년9월 2일일본 (방어)1 - 0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014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2011년9월 6일일본 (방어)1 - 1우즈베키스탄2014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타슈켄트)
2011년10월 7일일본 (방어)1 - 0베트남기린 챌린지 컵
홈즈 스타디움 고베 (고베)
2011년10월 11일일본 (방어)8 - 0타지키스탄2014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나가이 육상 경기장 (오사카)
2011년11월 11일일본 (방어)4 - 0타지키스탄2014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2011년11월 15일일본0 -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획득)2014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김일성경기장 (평양)
2014년10월 14일브라질 (방어)4 - 0일본친선 경기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싱가포르)
2022년12월 5일크로아티아 (방어)1 - 1 aet
(PK 3 - 1)
일본2022년 FIFA 월드컵 토너먼트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3. 규칙


  • 최초의 국제 축구 경기에서 승리한 팀이 초대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이 된다. 1872년 첫 국제 경기는 0-0 무승부였으므로, 1873년 두 번째 경기에서 스코틀랜드를 4-2로 꺾은 잉글랜드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7]
  • 이후 챔피언 국가가 치르는 모든 FIFA 공인 A매치는 타이틀 매치가 되며, 승리한 팀이 새로운 챔피언 자격을 얻는다.
  • 만약 타이틀 매치가 무승부로 끝나면, 현재 챔피언이 타이틀을 그대로 유지한다.
  • 승패는 연장전승부차기를 포함한 최종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8]
  • 타이틀 매치는 해당 경기를 주관하거나 승인하는 기구의 규칙을 따른다.

4. 역대 챔피언 목록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의 역대 챔피언 목록은 내용이 방대하여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 역대 챔피언 목록 문서에서 별도로 다룬다.

5. 주요 국제 대회

각 대륙별 대회는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UFWC) 타이틀 보유국이 참가했던 대회와 경기만을 기록한다.

5. 1. FIFA 월드컵

반입되었는지개막 시
타이틀 보유국폐막 시
타이틀 보유국불참한
타이틀 보유국대회 우승국1930년No--잉글랜드우루과이1934년No--잉글랜드이탈리아1938년No--스코틀랜드이탈리아1950년Yes잉글랜드칠레-우루과이1954년No--파라과이서독1958년Yes아르헨티나브라질-브라질1962년Yes스페인멕시코-브라질1966년Yes소련잉글랜드-잉글랜드1970년No--스위스브라질1974년Yes네덜란드서독-서독1978년Yes프랑스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1982년Yes페루이탈리아-이탈리아1986년Yes서독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1990년No--그리스서독1994년Yes루마니아콜롬비아-브라질1998년Yes아르헨티나프랑스-프랑스2002년No--네덜란드브라질2006년No--우루과이이탈리아2010년Yes네덜란드스페인-스페인2014년Yes우루과이독일-독일2018년Yes페루프랑스-프랑스2022년Yes크로아티아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어떤 월드컵 대회에서도, 대회 개막 시점의 UFWC 보유국이 결승전을 제압하여 타이틀을 방어한 예는 없다. 1974년2010년에는 UFWC 챔피언이었던 네덜란드가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각각 서독과 스페인에 패배하여 월드컵 우승을 놓치면서 UFWC 타이틀도 잃었다. 1986년 서독 역시 결승전까지 진출했으나, 이미 조별 리그에서 덴마크에 패배하면서 UFWC 타이틀을 잃은 상태였다. 이 타이틀은 여러 팀을 거쳐 결국 해당 대회 우승국인 아르헨티나에게 넘어갔다.

결선 토너먼트(녹아웃 스테이지)에 UFWC 타이틀이 넘어간 경우, 최종적으로 대회 우승자가 타이틀을 차지하게 된다. 하지만 1950년칠레, 1962년멕시코, 1994년콜롬비아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음에도 UFWC 타이틀을 유지한 특별한 사례이다. 이는 각 팀이 조별 리그 경기 중 UFWC 타이틀 보유팀을 꺾은 팀을 다시 이겨 타이틀을 획득했지만, 다음 라운드 진출에는 실패했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이 세 팀 모두 대회 시작 시점의 UFWC 챔피언이었던 팀에게는 패배했다.

5. 2. 대륙별 선수권 대회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UFWC) 타이틀은 각 대륙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 다음은 UFWC 타이틀 보유국이 참가했던 주요 대륙별 선수권 대회에서의 타이틀 이동 결과이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유로)'''

연도개막 시 타이틀 보유국폐막 시 타이틀 보유국대회 우승국
1976년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
1984년유고슬라비아프랑스프랑스
1996년러시아독일독일
2000년독일프랑스프랑스
2020년이탈리아이탈리아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는 UFWC 타이틀을 보유한 채 대회에 참가하여 우승까지 차지하며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코파 아메리카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연도개막 시 타이틀 보유국폐막 시 타이틀 보유국대회 우승국
1953년브라질우루과이파라과이
1955년파라과이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1956년*아르헨티나브라질우루과이
1957년아르헨티나페루아르헨티나
1959년 (아르헨티나)브라질브라질아르헨티나
1959년 (에콰도르)*아르헨티나페루우루과이
1979년파라과이칠레파라과이
1993년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2015년브라질칠레칠레
2016년우루과이칠레칠레



1959년 아르헨티나 대회에서 브라질은 타이틀 방어에는 성공했지만, 리그 방식 대회에서 아르헨티나에 승점이 밀려 우승에는 실패했다. 반면, 1993년의 아르헨티나는 결승전을 포함한 토너먼트 3경기 중 2경기를 승부차기로 이기면서 타이틀 방어와 대회 우승을 동시에 달성했다. 칠레는 2015년과 2016년 대회에서 연속으로 UFWC 타이틀을 차지하며 우승했다.

'''CONCACAF 골드컵 (북중미카리브 선수권 대회)'''

연도개막 시 타이틀 보유국폐막 시 타이틀 보유국대회 우승국
1963년멕시코코스타리카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는 이 대회에서 UFWC 타이틀을 획득하고 대회 우승까지 차지했다.

'''AFC 아시안컵'''

연도개막 시 타이틀 보유국폐막 시 타이틀 보유국대회 우승국
2011년일본일본일본



일본2011년 대회에서 UFWC 타이틀을 보유한 채 참가하여 우승하며 타이틀을 지켜냈다. 이는 아시안컵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킹 파흐드컵)'''

연도대회 전 챔피언대회 후 챔피언
1992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1992년 대회에서 타이틀을 보유한 채 참가하여 우승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OFC 네이션스컵에서는 아직 UFWC 타이틀 보유국이 참가한 적이 없다.

6. 유사 개념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UFWC) 외에도 비슷한 개념들이 존재하며, 각각 다른 규칙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

UFWC가 1873년 잉글랜드의 승리를 기점으로 승자의 계보를 잇는 방식이라면, 반대로 패자의 계보를 추적하는 개념도 UFWC 포럼에서 제안되었다. 이는 UFWC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계 최약체'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무 숟가락'(Wooden Spoon영어, 최하위 팀에게 주어지는 상징적 의미)[94]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95] 초기에는 UFWC처럼 영국홈 네이션스 팀들, 특히 웨일스와 아일랜드 사이에서 주로 오갔다. 1926년 벨기에가 잉글랜드에 패하면서 유럽 대륙으로 넘어갔고, 1940년까지는 주로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사이에서 이동했다. 1940년 라트비아가 소련에 병합되어 대표팀이 사라지면서 계보가 잠시 끊겼으나, 핀란드가 패배하며 다시 이어받았다. 이후 핀란드는 9년간 승리하지 못하다가 덴마크를 꺾고 불명예를 넘겼고, 이후 노르웨이,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국가들 사이에서 '나무 숟가락'이 오갔다.[95] 1953년 프랑스가 잠시 보유했다가 아일랜드를 거쳐 룩셈부르크가 7년간 보유했고, 1962 FIFA 월드컵 예선에서 포르투갈에게 넘겼다. 포르투갈은 불가리아를 이겨 벗어났다가 다시 패해 돌려받았다. 흥미롭게도 1963년, '최약체' 포르투갈이 1962 FIFA 월드컵 우승팀 브라질을 1-0으로 꺾으면서 브라질이 이 불명예를 안게 되었으나, 브라질은 3일 만에 벨기에에 승리하며 벗어났다. 이후 프랑스, 불가리아, 그리스를 거쳐 핀란드가 오래 보유하다가 1972년 이후 알바니아, 노르웨이, 북아일랜드 등을 거쳐 1975년 스웨덴이 다시 받게 되었다.[95] 1975년 스웨덴이 알제리에 승리하며 아프리카로 넘어갔고, 1976년 알제리가 사우디아라비아를 꺾으면서 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나무 숟가락'이 돌기 시작했다.[95] 1970년대에는 중동 국가들(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오만), 1980년대에는 동남아시아 국가들(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을 거쳤다. 1988년부터 1993년까지 오만이 보유하다가 말레이시아에게 넘겼고, 이후 마카오, 필리핀, 괌, 몽골 순으로 이어졌다.[95] 2011년 마카오가 캄보디아에 승리하며[96] 캄보디아가 '나무 숟가락'을 받았고[97], 2014년 캄보디아가 중화 타이베이를 이기면서 넘겨주었다. 이후 브루나이, 동티모르, 필리핀을 거쳐 2018년 필리핀이 피지에 승리하며 오세아니아로 넘어갔고, 뉴칼레도니아를 거쳐 2019년 7월에는 통산 4승에 불과한 아메리칸사모아가 보유하게 되었다.

여자 축구에도 비공식 세계 챔피언(Women's 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hips|WUFWC영어) 개념이 존재한다.[98] 역사는 남자보다 약 100년 늦은 1971년, 프랑스네덜란드를 4-0으로 꺾은 경기에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스위스, 네덜란드, 잉글랜드를 거쳐 1975년부터 1984년까지는 스칸디나비아 3국(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이 주로 타이틀을 보유했다.[99] 1984년 제1회 UEFA 여자 유로 결승에서 스웨덴이 잉글랜드에 승부차기로 우승했지만, 2차전 원정 경기에서는 패배했기 때문에 WUFWC 타이틀은 잉글랜드로 넘어가는 독특한 상황이 발생했다. 이후 서독, 벨기에, 이탈리아 등을 거쳐 유럽 내에서 순환하다가, 1987년 미국이 노르웨이를 꺾으면서 세계적인 타이틀로 확장되었다.[99] 초기에는 미국과 유럽 국가들이 경쟁했으나, 1994년 중국이 아시아 최초로 타이틀을 획득했고(5일 만에 잃음), 1997년에는 브라질이 남미 최초로 획득했다. 이후 캐나다(2000년), 북한(2001년) 등도 타이틀을 차지했다. FIFA 여자 월드컵에는 대부분 WUFWC 타이틀이 걸렸지만, 2007년에는 당시 챔피언이었던 스코틀랜드우크라이나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지 못해 타이틀이 대회에 적용되지 않았다.[99] 2011 FIFA 여자 월드컵 개막 직전에는 잉글랜드가 오스트레일리아에 패해 타이틀을 넘겨주었다. 월드컵 본선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브라질이, 다시 브라질로부터 미국이 타이틀을 빼앗았고[100], 최종적으로 결승전에서 승리한 일본이 WUFWC 타이틀을 획득했다.[101] 이로써 일본은 남녀 대표팀이 동시에 UFWC/WUFWC 챔피언 자리에 오른 8번째 국가가 되었다.[99] 이후 타이틀은 알가르브컵 등을 무대로 독일, 미국, 스웨덴, 일본, 프랑스 사이를 오갔다. 2015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미국이 우승하며 타이틀을 지켰고,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는 우승팀 독일이 차지했다. 2019년 미국이 다시 타이틀을 탈환하여 2019 FIFA 여자 월드컵 전승 우승을 포함,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스웨덴에게 패하기 전까지 43연속 방어 기록을 세웠다. 스웨덴은 올림픽 결승에서 캐나다에 패해 타이틀을 넘겼고, 이후 멕시코, 자메이카, 미국, 잉글랜드를 거쳐 2023 FIFA 여자 월드컵 개막 시점에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보유했다. 그러나 조별 리그에서 나이지리아가 오스트레일리아를 꺾으며 아프리카 국가 최초로 WUFWC 챔피언이 되었다.

또 다른 유사 개념으로 Virtual World Championship|가상 월드 챔피언십영어이 있다. 이는 UFWC와 비슷하게 타이틀 매치 형식을 따르지만, FIFA 주관 대회 및 그 예선 경기로만 대상을 한정한다. 친선 경기를 포함할 경우 강팀이 아닌 팀에게 타이틀이 넘어가 추적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UFWC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타이틀 역사는 1908년 런던 올림픽 축구 결승전부터 시작하며, 90분 경기 결과만을 기준으로 한다. 단,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축구 이후의 올림픽 축구 경기는 참가 팀이 완전한 성인 대표팀이 아니라는 이유로 제외된다.[104] 현재(2024년 11월 14일 기준) 타이틀 보유팀은 2026 FIFA 월드컵 남미 예선에서 아르헨티나를 꺾은 파라과이이다.

이 외에도 대륙별 비공식 챔피언[100]이나 다른 스포츠 분야에서의 유사한 타이틀 개념도 논의되고 있다.[102] 나사시의 바톤이나 파운드 포 파운드 월드 챔피언십과 같이 세부 규칙이 다른 가상의 타이틀들도 존재한다.

6. 1. 나사시의 바톤 (Nasazzi's Baton)

비슷한 개념으로 Nasazzi's Baton|나사시의 바톤영어이 있다. 이는 첫 FIFA 월드컵 우승국인 우루과이로부터 시작되며, 당시 우루과이 대표팀의 주장이었던 호세 나사시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가상의 타이틀이다.[66][103]

나사시의 바톤은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UFWC)과 기본적인 규칙은 같지만, 중요한 차이점은 오직 90분 정규 시간의 경기 결과만을 기준으로 승패를 가린다는 점이다.[66][103] 이 규칙 때문에 UFWC와 나사시의 바톤 보유팀이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201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네덜란드스페인과 정규 시간 90분 동안 0-0으로 비겼으나 연장전에서 패배했다. 이로 인해 UFWC 타이틀은 스페인으로 넘어갔지만, 나사시의 바톤은 90분 결과(무승부)를 기준으로 하므로 네덜란드가 계속 보유하게 되어 두 타이틀의 보유팀이 달라졌다.

또한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는 나사시의 바톤을 보유하고 있던 아르헨티나가 결승에 올랐으나, 독일에게 정규 시간 무승부 후 연장전에서 패배하면서 UFWC와 나사시의 바톤을 한 나라가 동시에 보유할 기회를 놓치게 되었다.

최근의 대표적인 차이 발생 사례는 2015년 코파 아메리카 8강전 콜롬비아아르헨티나 경기이다. 이 경기는 90분 정규 시간 동안 0-0 무승부로 끝났기 때문에, 나사시의 바톤은 콜롬비아에 그대로 남았다. 반면 UFWC는 연장전 결과(실제로는 승부차기)에 따라 아르헨티나로 넘어갔다.

현재(2024년 11월 17일 기준) 나사시의 바톤 보유팀은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라이베리아를 이긴 알제리이다.

비슷한 가상의 타이틀로는 네토의 지휘봉이 있다. 이는 첫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팀인 소련을 시작으로 하며, UEFA 회원국 대표팀 간의 경기에만 적용된다는 차이가 있다.[67]

6. 2. 파운드 포 파운드 월드 챔피언십 (Pound for Pound World Championship)

Pound for Pound World Championship|파운드 포 파운드 월드 챔피언십eng (PPWC)은 비공식 축구 세계 챔피언(UFWC)과 유사한 개념으로, 스코틀랜드의 축구 잡지인 '[http://theawayend.net 디 어웨이 엔드]'가 만들었다.[112][70][71][105]

PPWC는 UFWC와 비슷한 규칙을 따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가장 큰 차이는 인정하는 경기의 범위인데, PPWC는 오직 대회에 포함된 경기만을 대상으로 한다. 다만, FIFA가 친선 경기로 간주하는 비공식 토너먼트도 포함된다.[112][70][71][105] UFWC와 마찬가지로 연장전이나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가 결정된 경우에도 그 결과를 그대로 인정하여 타이틀 이동을 결정한다.[112][70][71][106]

타이틀의 역사는 첫 FIFA 월드컵 대회인 1930년 FIFA 월드컵부터 계산하기 시작한다.[112][70][71][106] PPWC의 가장 독특한 규칙은 FIFA 월드컵과의 연동 방식이다. 어느 팀이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든 상관없이, 매 FIFA 월드컵 결승전이 시작될 때 당시 챔피언은 타이틀을 자동적으로 반납해야 한다.[112][70][71][106] 그리고 월드컵 토너먼트가 끝나면 해당 대회 우승국이 새로운 파운드 포 파운드 월드 챔피언으로 등극한다.[112][70][71][106] 이 규칙 때문에 PPWC 타이틀은 매 4년마다 월드컵 우승국을 기준으로 초기화(리셋)된다.[112][70][71][106]

참조

[1] 뉴스 Why Scotland are the most successful Unofficial World Champions http://sport.stv.tv/[...] 2014-06-02
[2] 웹사이트 Unofficial World Championship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23-08-17
[3] 웹사이트 Scotland: (unofficially) the greatest international side in history http://sport.stv.tv/[...] STV 2013-11-21
[4] 웹사이트 Five classic clashes http://www1.skysport[...] Sky Sports 2013-11-21
[5] 웹사이트 Arsenal 'world champions', Wolves rule the world and more spurious 'world titles' http://talksport.com[...] TalkSport 2013-11-21
[6] 웹사이트 Trophy http://www.ufwc.co.u[...] UFWC 2013-10-16
[7] 웹사이트 Undisputed champions of the world http://espnfc.com/co[...] ESPN 2013-11-21
[8] 웹사이트 Uruguay defeat Argentina to become UFWC champions http://www.ufwc.co.u[...] UFWC 2013-10-16
[9] 웹사이트 Results - UFWC https://www.ufwc.co.[...] 2024-11-29
[10] 웹사이트 Scotland vs England 1872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11] 웹사이트 England vs Scotland 1873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12] 웹사이트 Hungary vs England 1909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13] 웹사이트 Austria vs Scotland 1931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14] 웹사이트 England vs Austria 1932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15] 웹사이트 England vs USA 1950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16] 웹사이트 Netherlands Antilles, we hardly knew ye http://inbedwithmara[...] In Bed With Maradona 2013-11-21
[17] 웹사이트 England vs West Germany 1966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18] 웹사이트 England vs Scotland 1967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19] 웹사이트 1982 FIFA World Cup Spain – Poland 5:1 Peru https://www.fifa.com[...] FIFA Official Website 2014-06-21
[20] 웹사이트 USA vs Australia 1992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21] 웹사이트 Carlsberg Cup 1995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4-06-20
[22] 웹사이트 Brazil vs France 1998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23] 웹사이트 England vs Germany 2000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24] 웹사이트 UEFA Euro 2004 – History – Czech Republic-Netherlands http://www.uefa.com/[...] UEFA Official Website 2014-06-20
[25] 웹사이트 Republic of Ireland 2–1 Czech Republic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26] 웹사이트 Czech record scratched by Keane https://www.theguard[...] 2014-06-20
[27] 웹사이트 Nigeria turn on style to leave Ireland red-faced https://www.theguard[...] 2014-06-20
[28] 웹사이트 Zimbabwe 2–0 Angola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29] 웹사이트 Romania vs Nigeria 2005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30] 뉴스 Uruguay Defeats Romania 2–0 https://www.washingt[...] 2014-06-20
[31] 웹사이트 The Unofficial World Champions Reprise https://www.theguard[...] 2013-11-21
[32] 웹사이트 Georgia 2–0 Uruguay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33] 웹사이트 Scotland end 40-year UFWC title drought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34] 웹사이트 Italy 2–0 Scotland http://news.bbc.co.u[...] BBC 2014-06-20
[35] 웹사이트 Italy 2 – 0 Scotland https://www.theguard[...] 2014-06-20
[36] 웹사이트 Netherlands 3–1 Sweden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37] 웹사이트 The real world champions https://www.theguard[...] 2013-11-21
[38] 웹사이트 Netherlands 0–1 Spain (AET)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39] 웹사이트 England aren't the 'Unofficial World Champions', Japan are – and North Korea could be next http://blogs.indepen[...] 2013-11-21
[40] 웹사이트 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 http://espnfc.com/fe[...] ESPN 2013-11-21
[41] 웹사이트 Irish ball bag blag, Korea conquer world http://espnfc.com/co[...] ESPN 2013-11-21
[42] 웹사이트 North Korea claim Unofficial World Champions title http://blogs.indepen[...] 2013-11-21
[43] 웹사이트 North Korea 2–0 Philippines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44] 웹사이트 Tajikistan 0–2 North Korea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45] 웹사이트 North Korea 4–0 India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46] 웹사이트 North Korea 2–0 Palestine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47] 웹사이트 Turkmenistan vs North Korea: AFC Challenge Cup Final http://www.ufwc.co.u[...] UFWC 2014-06-15
[48] 웹사이트 World Football – North Korea win AFC Challenge Cup http://eurosport.yah[...] Yahoo Sports 2014-06-15
[49] 웹사이트 North Korea 1–1 Kuwait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50] 웹사이트 Indonesia 0–2 North Korea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51] 웹사이트 Chinese Taipei 1–6 North Korea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52] 웹사이트 North Korea 5–0 Guam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53] 웹사이트 Hong Kong 0–4 North Korea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54] 웹사이트 North Korea 1–1 Sweden (1–4 on penalties)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55] 웹사이트 Sweden 2–3 Argentina http://www.ufwc.co.u[...] UFWC 2014-06-20
[56] 웹사이트 The 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hip is also heading for Brazil. And England could win it! https://www.mirror.c[...] 2014-06-10
[56] 웹사이트 England's silver lining: Team could become Unofficial World Champions http://sport.stv.tv/[...] Scottish Television 2014-06-24
[56] 웹사이트 England One Match Away From Title http://www.pastemaga[...] Paste 2014-06-24
[56] 웹사이트 England have a chance to win the Unofficial World Cup against champions Costa Rica https://www.independ[...] 2014-06-24
[56] 웹사이트 England can become 'world champions' with win against Costa Rica https://uk.eurosport[...] Yahoo Sports 2014-06-24
[57] 웹사이트 UFWC on Twitter https://twitter.com/[...] 2021-09-09
[58] 웹사이트 Rankings http://www.ufwc.co.u[...] UFWC 2021-07-12
[59] 문서 UFWC FAQ http://www.ufwc.co.u[...] UFWC.co.uk
[60] 웹사이트 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hips – FAQ #4 http://www.ufwc.co.u[...] 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hips 2012-12-04
[61] 웹사이트 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hips: Book http://www.ufwc.co.u[...] UFWC 2012-12-04
[62] 웹사이트 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 http://www.superelas[...] Superelastic 2013-11-21
[63] 웹사이트 New UFWC book updated for 2018 https://www.ufwc.co.[...] 2018-03-08
[64] 웹사이트 UFWC spin-offs update 2013 http://www.ufwc.co.u[...] UFWC 2013-01-14
[65] 웹사이트 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hips – Forum – WOMENS UFWC http://ufwc.proboard[...] 2014-06-15
[66] 웹사이트 Nasazzi.com http://www.nasazzi.c[...]
[67] 웹사이트 Le bâton de Netto https://batonnetto.w[...]
[68] 웹사이트 Virtual World Championship https://www.rsssf.or[...] 2022-04-27
[69] 웹사이트 Virtual World Championship https://twitter.com/[...]
[70] 웹사이트 Pound for Pound World Championships http://www.theawayen[...] 2012-02-21
[71] 웹사이트 Pound For Pound World Championship https://www.rsssf.or[...] RSSSF 2022-04-27
[72] 뉴스 “世界王者”のまま決勝へ進め!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73] 웹사이트 About https://www.ufwc.co.[...] UFWC 2011-07-18
[74] 서적 The Official History Of The Football Association
[75] 웹사이트 Scotland vs England 1872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76] 웹사이트 England vs Scotland 1873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77] 웹사이트 Austria 5-0 Scotland 1931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78] 웹사이트 England vs USA 1950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79] 웹사이트 Results1872-1966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80] 웹사이트 Mexico vs Dutch Antilles 1963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81] 웹사이트 Results1967-1999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82] 웹사이트 Results2000-2008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83] 웹사이트 Romania vs Nigeria 2005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84] 웹사이트 Report Japan 1-0 Argentina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85] 웹사이트 Rules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86] 웹사이트 Trophy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87] 웹사이트 Mascot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88] 웹사이트 Uruguay 2-3 Netherlands http://www.ufwc.co.u[...] UFWC 2011-10-24
[89] 웹사이트 Unofficial football champions Japan eye record-breaking run http://www.ufwc.co.u[...] UFWC 2011-10-24
[90] 웹사이트 The biggest ever UFWC title match wins http://www.ufwc.co.u[...] UFWC 2011-10-24
[91] 웹사이트 UFWC Title Match Results 1872-1966 http://www.ufwc.co.u[...] UFWC 2011-10-24
[92] 웹사이트 Japan try again for UFWC glory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93] 웹사이트 「現世界王者は日本代表」 英サイト認定 https://web.archive.[...] 夕刊フジ 2011-07-18
[94] 웹사이트 Wooden Spoon http://ejje.weblio.j[...] Weblio英和辞典 2011-07-18
[95] 웹사이트 UFWC Wooden Spoon Revealing The Worst Team In The World https://www.ufwc.co.[...] UFWC 2024-12-21
[96] 웹사이트 Macau3-2Cambodia http://www.the-afc.c[...] AFC 2011-07-18
[97] 웹사이트 UFWC spin-offs update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98] 문서 UFWCフォーラムには 非公式女子サッカー王者のリスト があるが、この内容とUFWC NEWSの記事内容には異なる部分がある。本項ではUFWC NEWSの記述を元とする。
[99] 웹사이트 WUFWC: Womens Unofficial Football World Championships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100] 웹사이트 UFWC spin-offs update: part 2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101] 웹사이트 Japan take women’s UFWC title in World Cup win http://www.ufwc.co.u[...] UFWC 2011-07-18
[102] 웹사이트 UFWC Forum http://ufwc.proboard[...] UFWC 2011-07-18
[103] RSSSF RSSSF - Nasazzi's Baton http://www.rsssf.com[...]
[104] RSSSF RSSSF - Virtual World Championship http://www.rsssf.com[...]
[105] The Away End The Away End http://theawayend.ne[...]
[106] 웹사이트 The Away End - Pound for Pound World Championship http://www.theawayen[...]
[107] 뉴스 Tartan Army still celebrating 12:01AM GMT 25 Mar 2007 http://www.telegraph[...] The Telegraph 2007-03-25
[108] 블로그 Another World Championship June 25, 2006, 10:43 pm http://worldcup.blog[...] New York Times 2006-06-25
[109] 뉴스 Πρωταθλήτρια κόσμου η Ελλάδα! http://www.politis-s[...] politis-sports.com
[110] 뉴스 “世界王者”のまま決勝へ進め!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時事通信社配信)
[111] 웹사이트 UFWC Result http://www.ufwc.co.u[...]
[112] 웹인용 Pound for Pound World Championships https://web.archive.[...] 2012-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