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대문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4호선이 지나간다. 1호선은 1974년 8월 15일에, 4호선은 1985년 10월 18일에 개통하여 환승역이 되었다. 1호선과 4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1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4호선은 섬식 승강장 형태이다. 흥인지문,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종합시장 등 다양한 시설이 역 주변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혜화역
혜화역은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며 대학로, 서울대학교병원, 성균관대학교 인근에 있어 유동 인구가 많고, 2018년 불법촬영 규탄 시위, 2023년 엘리베이터 훼손 논란이 있었다.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종각역
종각역은 서울 종로2가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74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주변에 보신각, 영풍문고 등 주요 시설과 역사적 장소가 있고, SC제일은행이 부역명으로 병기되어 있으며, 제야의 종 행사 때는 무정차 통과한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종각역
종각역은 서울 종로2가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74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주변에 보신각, 영풍문고 등 주요 시설과 역사적 장소가 있고, SC제일은행이 부역명으로 병기되어 있으며, 제야의 종 행사 때는 무정차 통과한다.
동대문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동대문역 |
한자 표기 | 東大門驛 |
로마자 표기 | Dongdaemun-yeok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1동 552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 302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
승강장 | 3 |
선로 | 4 |
구조 | 지하역 |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1호선) |
개업일 (4호선) | 1985년 10월 18일 |
1호선 정보 | |
역 번호 | 128 |
이전 역 | 동묘앞 |
다음 역 | 종로5가 |
노선 정보 | 연천역 방면 인천 방면 신창 또는 서동탄 방면 의정부 또는 광운대 방면 광역 일반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 34,446명 |
4호선 정보 | |
역 번호 | 421 |
이전 역 | 혜화 |
다음 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 55,294명 |
역 주변 정보 | |
주요 시설 | 동대문시장 |
링크 | 동대문 시장 서울 지하철 2호선, 주요 와이파이 핫스팟 |
2. 역사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동대문역의 영업이 시작되었다.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역명이 '''동대문역'''으로 결정되었고,[9] 1985년 10월 18일 4호선 한성대~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10]
2005년 12월 20일 입·출고 열차가 동묘앞역으로 이관되었고,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역사 개·보수 및 4호선 스크린도어 설치가 이루어졌다. 2008년에는 1호선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통합으로 서울교통공사 소속 역이 되었다.
2. 1. 1호선
-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으로 영업 개시 (출구 8개)[9]
- 2005년 12월 20일: 입·출고하는 열차가 동묘앞역으로 이관
- 2008년: 1호선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
- -- 1호선 - 역 번호는 '''128'''
2. 2. 4호선
-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명을 '''동대문역'''으로 결정[9]
-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출구 2개 추가, 출구 10개로 확장)[10]
- 2005년~2006년: 역사 개·보수, 4호선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
- -- 4호선 - 역 번호는 '''421'''
2. 3. 공통
-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으로 영업 개시 (출구 8개)
-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명을 '''동대문역'''으로 결정[9]
-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출구 2개 추가, 출구 10개로 확장)[10]
- 2005년 12월 20일: 입·출고하는 열차가 동묘앞역으로 이관
- 2005년 ~ 2006년: 역사 개·보수, 4호선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
- 2008년: 1호선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
- - 1호선 - 역 번호는 '''128'''
- - 4호선 - 역 번호는 '''421'''
3. 역 구조
1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고 4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출구는 10개가 있다.
G | 지상 | 출구 |
---|---|---|
L1 대합실 | 로비 |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개찰구는 총 5곳이 있다.
- 변경 사항
1. 테이블 형식을 `wikitable` 클래스를 사용하도록 변경했습니다.
2. 불필요한 테이블(1호선, 4호선 승강장 구조)을 제거했습니다. 이 정보는 하위 섹션("승강장")에 이미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삭제했습니다.
3. `` 와 같은 불필요한 템플릿을 제거했습니다.
4. `` 템플릿을 제거하고, 4호선 내부 링크로 수정했습니다.
5. rowspan=10 등 불필요한 속성을 제거했습니다.
6. 표현을 간결하게 다듬었습니다.
3. 1. 승강장
1호선은 종로 바로 아래를 동서로, 4호선은 율곡로 바로 아래를 남북으로 지나는 지하역이다. 두 노선 모두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4호선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다. 4호선의 경우, 곡선 승강장이기 때문에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새가 넓으므로, 승·하차시 주의하여야 한다.[1] 승강장 번호는 각 노선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노선 | 방향 | 목적지 |
---|---|---|
-- 1호선 | 상행 | 청량리, 광운대, 의정부, 동두천, 소요산 방면 |
-- 1호선 | 하행 | 병점, 서동탄, 천안, 신창, 부천, 부평, 인천 방면 |
-- 4호선 | 상행 | 수유, 창동, 노원, 당고개 방면 |
-- 4호선 | 하행 | 서울, 사당, 금정, 오이도 방면 |
3. 1. 1. 1호선
1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위치한다.[1] 4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승강장 서쪽에 있는 계단을 통해 환승 통로를 이용해야 한다.[1]
3. 1. 2. 4호선
4호선 동대문역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곡선 승강장이기 때문에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새가 넓으므로, 승·하차시 틈새에 소지품이나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호선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으며, 계단은 4곳이 있지만 어느 계단을 이용해도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4. 역 주변
동대문역 주변은 흥인지문,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두산타워(DOOTA), 현대시티아울렛, 동대문종합시장, 청계천 오간수교 등 다양한 상업 및 문화 시설이 밀집해 있다. 이 외에도 평화시장, 신평화의류상가, 창신2동행정복지센터, 동문시장, 흥인시장, 창신골목시장, 창신동 완구 도매시장(1975년부터 한국 최대의 완구 및 문구 시장)[5][6], 서울 성곽 박물관, 동대문 쇼핑타운, 동대문종합상가, 동대문 풍물시장 (구 동대문운동장 축구장), 오간수교, 종로구민회관, 종로구시설관리공단, 중앙시장, 청계천, 동대문시장, 동대문호텔 (구 베스트웨스턴동대문호텔, 7번 출구 앞), 이스트게이트타워호텔, JW메리어트동대문스퀘어 서울, 동대문성곽공원 등이 있다.
4. 1. 주요 시설
- 흥인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두산타워(DOOTA)
- 현대시티아울렛
- 동대문종합시장
- 청계천 오간수교
- 평화시장
- 신평화의류상가
- 창신2동행정복지센터
- 동문시장
- 흥인시장
- 창신골목시장
- 창신동 완구 도매시장 - 1975년부터 한국 최대의 완구 및 문구 시장[5][6]
- 서울 성곽 박물관
- 동대문 쇼핑타운
- 동대문종합상가
- 동대문 풍물시장 (구 동대문운동장 축구장)
- JW메리어트동대문스퀘어 서울
- 동대문성곽공원
- 동대문시장
- 동대문호텔 (구 베스트웨스턴동대문호텔, 7번 출구 앞)
- 이스트게이트타워호텔
4. 2. 기타 시설
- 흥인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두산타워(DOOTA)
- 현대시티아울렛
- 동대문종합시장
- 청계천 오간수교
- 평화시장
- 신평화의류상가
- 창신2동행정복지센터
- 동문시장
- 흥인시장
- 창신골목시장
- 창신동 완구 도매시장 - 1975년부터 한국 최대의 완구 및 문구 시장[5][6]
- 서울 성곽 박물관
- 동대문 쇼핑타운
- 동대문종합상가
- 동대문 풍물시장 (구 동대문운동장 축구장)
- 오간수교
- 종로구민회관
- 종로구시설관리공단
- 중앙시장
- 청계천
- 동대문시장
- 동대문호텔 (구 베스트웨스턴동대문호텔, 7번 출구 앞)
- 이스트게이트타워호텔
- JW메리어트동대문스퀘어 서울
5. 이용객 변동
1호선과 4호선 모두 이용객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11]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25,465 | 22,271 | 21,279 | 20,312 | 20,802 | 20,777 | 17,707 | 17,827 | 16,806 | 16,413 | [11] |
하차 | 30,065 | 26,399 | 24,957 | 23,831 | 24,441 | 24,488 | 21,159 | 20,576 | 19,471 | 18,585 | ||
승하차 | 55,530 | 48,670 | 46,236 | 44,144 | 45,243 | 45,265 | 38,866 | 38,403 | 36,277 | 34,998 | ||
4호선 | 승차 | 28,490 | 27,599 | 26,428 | 25,455 | 27,583 | 28,984 | 28,836 | 26,421 | 26,045 | 25,595 | |
하차 | 26,282 | 26,242 | 25,597 | 25,178 | 26,837 | 27,493 | 27,306 | 25,732 | 25,078 | 25,073 | ||
승하차 | 54,772 | 53,841 | 52,025 | 50,633 | 54,420 | 56,478 | 56,141 | 52,153 | 51,122 | 50,668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1호선 | 승차 | 16,853 | 17,124 | 15,964 | 16,199 | 16,450 | 16,218 | 15,928 | 15,660 | 15,161 | ||
하차 | 19,384 | 19,819 | 18,698 | 18,566 | 19,058 | 18,498 | 18,510 | 17,850 | 16,812 | |||
승하차 | 36,237 | 36,943 | 34,662 | 34,765 | 35,509 | 35,166 | 34,438 | 33,510 | 31,973 | |||
4호선 | 승차 | 26,314 | 27,259 | 27,817 | 27,447 | 27,241 | 25,217 | 26,297 | 25,363 | 24,882 | ||
하차 | 25,966 | 26,988 | 27,627 | 27,984 | 27,566 | 25,742 | 26,751 | 25,501 | 24,962 | |||
승하차 | 52,280 | 54,247 | 55,444 | 55,431 | 54,807 | 50,960 | 53,048 | 50,864 | 49,844 |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2]
웹사이트
동대문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09-25
[3]
웹사이트
Dongdaemun Market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5-09-25
[4]
뉴스
Seoul Subway Line No. 2 Becomes Major WiFi Hotspot
http://english.chosu[...]
2010-12-24
[5]
뉴스
At Changsin-dong, Toys 'R' Them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01-11-18
[6]
웹사이트
Changsin-dong Toy Wholesale Market
http://www.visitseou[...]
Seoul City Tourism
2013-04-24
[7]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www.seoulmetr[...]
[8]
웹사이트
구서울메트로
[9]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http://event.seoul.g[...]
1983-09-13
[10]
뉴스
지하철(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18
[11]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