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산역은 1965년 12월 7일 판대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13년 11월 20일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중앙선의 철도역이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ITX-새마을과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과거에는 소화물 취급, 신호장으로의 변경, 간이역 운영 등의 변화를 거쳤으며, 인접한 역으로는 양동역과 서원주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평군의 건축물 - 양동역
양동역은 1940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소화물 및 화물 취급을 중단하고 신 역사를 준공했으며,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양평군의 건축물 - 석불역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석불역은 돌부처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중앙선 복선전철 개통 후 여객 취급이 재개되어 ITX-새마을과 누리로 등이 정차하는 2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양평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양평군의 교통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연결하여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에서 양평군 용문역 또는 지평역까지 운행하는 약 120km 길이의 수도권 광역 철도망으로, 급행 및 완행 열차가 운행되며 서울역, 용산역, 왕십리역, 청량리역, 상봉역 등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사곡역
사곡역은 경상북도 구미시 사곡동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립된 간이역에서 시작하여 2024년 대경선 개통과 함께 전철 전용 신역사로 탈바꿈했으며, 현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구미국가산업단지 인근에 자리 잡고 있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니시우메다역
니시우메다역은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의 역으로, 우메다 지역 교통 허브와 연결되어 다수의 철도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섬식 승강장과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주변에 상업시설과 호텔이 밀집해 있고, 장래에는 요쓰바시선 연장 계획에 따라 주소역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삼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삼산역 |
한자 표기 | 三山驛 |
로마자 표기 | Samsannyeok |
주소 |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 산91-1 |
역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2면 4선 (쌍섬식) |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원주관리역 (무배치간이역, 양동역 관리) |
운영 정보 | |
노선 | 중앙선 |
영업 거리 | 청량리 기점 79.2 km |
역 번호 | 250 |
개업일 | 1965년 12월 7일 |
연혁 | |
개업 | 1965년 12월 7일 |
인접한 역 | |
중앙선 | 양동 - 삼산역 - 서원주 |
역간 거리 | 양동 3.9 km - 서원주 7.2 km |
이미지 | |
![]() | |
![]() |
2. 역사
날짜 | 내용 |
---|---|
1965년 12월 7일 |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에서 판대역으로 영업 시작 |
2001년 9월 8일 | 신호장으로 변경 |
2008년 3월 10일 |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변경 |
2011년 12월 21일 | 역 이전 |
2012년 9월 25일 | 중앙선 용문-서원주 간 복선전철 개통 |
2013년 11월 20일 | 삼산역으로 역명 변경[2][3] |
2020년 3월 2일 | 누리로 운행 시작 |
2022년 11월 5일 | ITX-새마을 정차 시작 |
2. 1. 판대역 (1965년 ~ 2013년)
- 1965년 11월 30일 : 역사 신축 준공[2][3]
- 1965년 12월 7일 :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 산86-4(현 삼산역길 193)에서 '''판대역''' 영업 개시(등급:보통역)[2][3]
- 1991년 1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2][3]
- 2001년 9월 8일 : 신호장으로 변경[2][3]
- 2005년 4월 19일 : 간현역 관리역 지정[2][3]
- 2008년 3월 10일 :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변경[2][3]
- 2011년 12월 21일 : 역 이설[2][3]
- 2012년 9월 25일 : 중앙선 용문-서원주 간 복선전철 개통[2][3]
- 2013년 11월 20일 : '''삼산역'''으로 역명 변경[1][2][3]
2. 2. 삼산역 (2013년 ~ 현재)
3. 역 구조
삼산역은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2면 4선의 고가역이다.
3. 1. 승강장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2면 4선의 승강장이다.4. 인접한 역
4. 1. 여객 열차
5. 사진
참조
[1]
뉴스
‘구둔→일신역·판대→삼산역’ 바뀐다
http://m.kgnews.co.k[...]
[2]
뉴스
양평 중앙선 구둔역→일신역, 판대역→삼산역으로 변경
http://www.kgnews.co[...]
경기일보
2013-09-10
[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제2013-567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