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동역은 1931년 경북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여러 차례 역명 변경과 역사 신축, 시설 변경을 거쳤다. 일제강점기에는 경북안동역으로 시작하여 1949년 안동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현재의 송현동 신 역사로 이전했다. 현재는 KTX-이음,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의 열차가 운행되며, 안동버스터미널과 인접하여 환승이 편리하다. 또한, 1940년에 설치된 안동역 급수탑은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칠곡 왜관성당
독일인 신부 알빈 슈미트가 설계한 칠곡 왜관성당은 당시 주류 양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공간 구성이 특징이며, 설계 도면과 함께 보존되어 건축사적 가치를 지니지만 습기로 인해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 경상북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영천역
영천역은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철도역으로, KTX-이음,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열차가 정차하며 중앙선, 대구선, 동해선이 지난다. - 안동시의 건축물 - 안동교도소
안동교도소는 1922년 대구감옥 안동분감으로 시작하여 안동형무소를 거쳐 1961년 안동교도소로 개칭되었으며, 1985년 현재 위치로 이전한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교정시설이다. - 안동시의 건축물 - 안동버스터미널
안동버스터미널은 경상북도 안동시 송하동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로, 운흥동에서 송현동으로 이전 후 안동역이 터미널 앞으로 이전했으며 현재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운행되고, 터미널 외부에서 안동 시내버스가 기점 또는 종점으로 운행된다. - 안동시의 문화유산 - 안동소주
안동소주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전통 증류주로, 조옥화, 박재서 두 명인의 제조 방식이 있으며, 높은 도수와 깊은 풍미, 숙취가 적은 특징을 가지며, 신라 시대 기원설과 원나라 침입 관련설이 있고, 주세법 개정으로 생산 중단 후 무형문화재 지정으로 재개되었다. - 안동시의 문화유산 - 징비록
징비록은 류성룡이 임진왜란의 전말과 원인, 자신의 과오 등을 기록하여 반성하고 후대에 같은 전란을 경계하고자 한 책으로, 임진왜란 전모를 기록한 귀중한 사료이다.
안동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모국어 표기 | 안동역 |
로마자 표기 | Andong yeok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22-16 (송현동 648) |
노선 | 중앙선 |
역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2면 4선(쌍섬식) |
개업일 | 1931년 10월 16일 |
역 등급 | 2급 |
관리역 | 안동관리역 |
운영 |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KORAIL) |
노선 정보 | |
노선 | 중앙선 |
영업 거리 | 청량리 기점 219.4 km |
이전 역 | 옹천 |
이전 역 거리 | 13.3 km |
다음 역 | 의성 |
다음 역 거리 | 25.1 km |
기타 정보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운행 계통 (KTX-이음) | |
노선 | 중앙선 |
열차 등급 | KTX-이음 |
이전 역 | 영주 |
이전 역 방면 | 청량리 |
이전 역 거리 | 31.1 km |
다음 역 | 의성 |
다음 역 방면 | 부전 |
다음 역 거리 | 26.0 km |
운행 계통 (무궁화호) | |
노선 | 영동선 |
열차 등급 | 무궁화호 |
이전 역 | 영주 |
이전 역 방면 | 동해 |
이전 역 거리 | 31.1 km |
다음 역 | 의성 |
다음 역 방면 | 동대구 · 부전 |
다음 역 거리 | 26.0 km |
2. 역사
- 1931년 10월 15일: 경북선 개통과 함께 '''경북안동역'''(慶北安東驛)으로 영업 개시[4]
- 1948년 9월 14일: 사무관역으로 승격
- 1949년 7월경: '''안동역'''으로 역명 변경[5]
- 1960년 3월 8일: 역사 신축 착공
- 1960년 8월 25일: 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6][7]
- 1984년 12월 31일: 역사 일부 개축
- 1997년 10월 1일: 거점 관리역으로 지정
- 1999년 1월 1일: 영주 지역 관리역으로 통합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 2014년 10월 31일: 안동역 착발 새마을호 운행 종료
- 2015년 5월 29일: 화물 취급 중지[8]
- 2020년 12월 17일: 옹천~무릉 간 운행선 변경에 따라 운흥동 구 역사 폐지[9], 안동버스터미널 바로 앞 송현동 신 역사로 이전 및 누리로 운행 개시
- 2021년 1월 5일: KTX-이음 운행 개시
- 2022년 11월 5일: ITX-새마을 운행 개시, 누리로 운행 종료.
- 2023년 12월 29일: KTX-이음 서울역 연장 운행 및 왕복 1회 증편, ITX-마음 운행 개시
- 2024년 12월 20일: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 완공과 동시에 KTX-이음 부전 방향 으로 연장됨
2. 1. 일제강점기
개업 당시에는 경북안동역이라고 불렸다. 당시에는 조선과 중국 동북부를 연결하는 남만주철도 안봉선의 중국 (후에 만주국) 측 국경 근처에 안동역 (현재의 단둥역)이 존재했으며, 모두 일본의 세력권이었기 때문이다.- 1931년 10월 16일: 조선철도 경북선의 예천 - 경북안동 간이 개통, 이로써 경북선이 전 구간 개통.
- 1940년 3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의한 경북선의 매수로 국유화됨. 같은 날, 경경남선 (현재의 중앙선 남부 구간)의 연장 개업으로 경주역 방면과 연결됨.
- 1941년 7월 1일: 경북안동 - 영주 간이 개업. 다음 1942년 4월 1일에는 경경선 전 구간이 개통됨.
- 1944년 9월 30일: 경북선 점촌 - 경북안동 간의 철도 운수 영업을 휴지[1]. 경북선은 1966년에 종점을 안동에서 영주로 변경하여 개업했기 때문에, 본 역에서의 경북선 접속은 소멸했다.
2. 2. 해방 이후
1940년 3월 1일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경북선을 매수하여 국유화하였다. 같은 날, 경경남선(현재의 중앙선 남부 구간)이 연장 개업하면서 경주역 방면과 연결되었다.[1] 1941년 7월 1일에는 경북안동 - 영주 구간이 개업하였고, 1942년 4월 1일 경경선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1944년 9월 30일, 경북선 점촌 - 경북안동 구간의 철도 운수 영업이 중지되었다.[1] 경북선은 1966년에 종점을 안동에서 영주로 변경하여 개업했기 때문에, 안동역에서 경북선 접속은 사라졌다.
1949년 7월경, 역명을 '''안동역'''으로 변경하였다.[2]
2020년 12월 17일, 중앙선 복선 전철화에 따라 역사를 이전하였다.[3]
3. 역 구조
상대식·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고가역이다.
3. 1.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KTX-이음 고상홈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2. 선로 배치
상대식·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고가역이다.
4. 열차 운행
중앙선이 도담 - 영천 구간 복선전철화와 함께 선로가 이설됨에 따라, 2020년 12월 17일에 운흥동에서 송현동 안동버스터미널 앞으로 이전했다. 동시에 가공전차선이 설치되면서 2021년 1월 5일부터 KTX-이음의 운행이 시작되고, 송현동으로 옮기고 전철화된 후에도 한동안 운행하지 않았던 ITX-새마을도 2022년 11월 5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전철화 이후 ITX-새마을 대신 운행했던 누리로 여객열차는 ITX-새마을 운행 재개와 동시에 운행을 종료했다.
야간에는 ITX-새마을과 KTX-이음이 각각 1편성씩 주박한다.
5. 역 주변
6. 문화재
1940년에 지어진 안동역 급수탑은 2003년 1월 28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안동시 운흥동에 있다.
7. 기타
가수 진성의 노래 "안동역에서"는 안동역을 소재로 한 노래이다. 이성진의 "안동 까치밥나무"는 안동역을 배경으로 한 문학 작품이다.
참조
[1]
서적
朝鮮交通史 資料編
1986
[2]
뉴스
駅名二つ改称
http://newslibrary.n[...]
1949-07-02
[3]
웹사이트
안동역 17일부로 이전 운영, 교통 중심지 역할 기대
https://www.youthass[...]
[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31-10-21
[5]
뉴스인용
역명두개개칭 경북안동은안동 삼성은일광으로
http://newslibrary.n[...]
1949-07-02
[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7호
1971-09-09
[7]
간행물
1975년 12월 29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43호에서 무연탄 취급 승계
1975-12-29
[8]
웹사이트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332호
http://gwanbo.mois.g[...]
2015-05-29
[9]
문서
문화플랫폼 모디68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옛 안동역 광장 폭파하겠다"…10대 고교생 서울서 붙잡혀
[속보]‘다큐3일’ 10년 만의 재회 폭발물 협박범, 서울에서 잡혔다
‘다큐 3일’ 안동역 폭발물 협박한 고등학생 서울서 검거
옛 안동역 현장 통제 해제…“폭발물 발견되지 않아”
“낭만 치사량” 10년 만의 안동역 앞 재회…폭발물 신고에 소동
‘다큐 3일 그 후 10년’ 촬영 옛 안동역 광장 폭발물 신고…경찰 수색 중
8월15일 7시48분…“10년 뒤 다시 만나자” 약속 지켜질까
‘안동역 일일역장된’ 최진수 경북농협본부장 “아침밥 먹기” 홍보 캠페인
유승민 대한체육회장, 산불 피해 본 경북에 쌀 1.5t 기부
영남권 산불 확산에 안동~경주역 열차 운행 중지
산불 확산에…경북 의성 인근 열차운행도 일시 정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