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비에트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비에트 제국은 비평가들이 제국적 경향을 보였다고 주장하는 소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소련은 문화 제국주의 정책을 통해 지역 문화를 억압하고 소비에트화를 강요했으며, 경제적 이득보다는 정치적, 이념적 이유로 위성국에 막대한 지원을 제공하여 경제적 부담을 겪었다. 소련의 영향권에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 비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가 있었으며, 일부 국가는 반소련적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 폴란드, 체코 공화국 등에서는 탈소련화 정책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정치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 소련의 정치 - 페레스트로이카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추진한 페레스트로이카는 침체된 소련 경제 회복과 사회주의 체제 개혁을 위한 정치, 경제 개혁 정책이었으나, 경제난 심화, 민족 갈등,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여 소련 붕괴의 한 원인이 되었으며, 냉전 종식과 동구권 민주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사회주의 체제 붕괴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제국주의 - 대영 제국
    대영 제국은 1583년부터 1997년까지 존속하며 전 세계에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던 역사상 가장 큰 식민 제국 중 하나였으나, 탈식민화 운동과 강대국들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1997년 홍콩 반환을 기점으로 역사의 막을 내렸다.
  • 제국주의 - 나의 투쟁
    《나의 투쟁》은 아돌프 히틀러가 집필한 자서전이자 나치즘의 핵심 이념을 담은 책으로, 히틀러의 유년 시절, 나치당 창당 과정,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등의 정치적 신념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 제국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제국 - 토번
    토번은 7세기 초에 건국되어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한 티베트의 고대 왕국으로, 당나라와 빈번한 외교 및 전쟁을 벌였으며, 8세기 후반에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종교적 갈등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멸망했다.
소비에트 제국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소련
위치유라시아, 동유럽
존속 기간1922년 12월 30일 ~ 1991년 12월 26일
수도모스크바
공용어러시아어
민족 구성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됨
종교무신론 (국가적 이념)
정치
정치 체제일당제 공산주의 국가
정부 형태연방제, 사회주의 국가, 공화국
지도자블라디미르 레닌 (1922년-1924년)
이오시프 스탈린 (1924년-1953년)
니키타 흐루쇼프 (1953년-1964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64년-1982년)
유리 안드로포프 (1982년-1984년)
콘스탄틴 체르넨코 (1984년-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1985년-1991년)
입법부최고 소비에트
역사
주요 사건러시아 혁명
러시아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
소련 붕괴
건국1922년 12월 30일
해체1991년 12월 26일
면적
총 면적22,402,200 km²
인구
총 인구 (1991년)약 2억 9300만 명
경제
통화소비에트 루블
경제 체제계획 경제
군사
군사력세계 최강 수준의 군사력을 보유
기타
국가 코드SU
시간대다양한 시간대 (UTC+2 ~ UTC+12)
영향권동구권 및 전 세계 공산주의 운동
멸망 원인정치적 불안정, 경제 침체, 민족 갈등
관련 문서바르샤바 조약 기구, 코민테른, 소련 붕괴

2. 특징

비록 소련이 황제에 의해 통치되지 않았고 스스로를 반제국주의인민 민주주의라고 선언했지만 비평가들은[61] 그것이 역사적인 제국 공통된 경향을 보여 주었다고 주장한다. 일부 학자들은 소비에트 연방이 다국적 제국과 국민국가 모두에 공통된 요소를 포함하는 혼성체라고 주장한다. 소련은 다른 제국 세력과 마찬가지로 식민주의를 실천했다는 주장도 있다.[62] 마오주의자들은 소비에트 연방이 "사회주의적 외관을 가진 제국주의 세력 이되었다"고 주장했다.

빨간색은 소련, 연분홍색주은 소련의 위성국이다. 1948년까지 소련의 동맹국이었던 유고 슬라비아는 자주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1960년대 중소 분쟁 이후 소련과의 동맹이 파기된 알바니아는 주황색으로 표시됐다.


소비에트 연방 국기


소련의 문화 제국주의 정책은 지역 전통을 파괴하면서 문화와 교육의 소비에트화를 암시했다.[63] 이러한 역사는 러시아 (소련을 이끌었던 국가)와 동유럽 국가간의 관계에서, 동유럽 국가가 소비에트 문화의 잔재를 없애고자 하는 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이된다. 폴란드와 발트국가들은 그들국가의 문화와 정치 시스템을 획일화하려는 소련의 시도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Noren에 따르면 러시아는 적대적인관계인 서유럽 국가들의 잠재적인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과 서유럽 사이에 완충 지대를 구성하고 강화하려고 했다.[80] 소련의 15개 사회주의 공화국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2천 6백만에서 2천 7백만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64]

소비에트의 영향력이 " 사회주의 국가 "에 침투하는 것은 경제적 이득을 위한 것이 었다기 보다는 정치적, 이념적인 이유에서였다. 소비에트 연방은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국제적 지원"을 쏟았다.[65] 결국 그 엄청난 지원은 소련의 경제에 해를 끼쳤다. 소련이 추구하고자했던 정치적 영향력은 서방 국가들의 공격에서 소련 영향력하에 있는 국가들을 집결시키고 나중에 소비에트를 지원하는 것이었다.[66] 소련이 해체 된후 러시아는 자신을 소련의후계자로 선언하고 1,400억 달러의 소련 자산을 해외에서 자신의 것이라 주장하면서 1,300억 달러의 소련 외채를 인정했다.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관료들은 이 경제적 기회와 더불어 그들 국가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주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보았다. 그들은 동유럽 국가에 훌륭한 인재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소련의 관료들은 열심히 일하고 성공하라며 그들을 환영했다. 이러한 정책은 19세기 미국의 능력주의적 외교 정책에서 벤치마킹하였다.[66]

2. 1. 경제적 측면

소련은 위성국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국제적 지원"을 제공했지만, 이는 소련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했다.[26][27] 학자들은 소련을 공식 제국 또는 비공식 제국으로 논의해왔다. 공식적인 해석은 소련이 차르 제국과 유사한 절대주의를 의미하며, 민중의 감옥과 같다는 것이다.[4] 다른 관점에서는 명목상 주권 국가인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에 대한 "비공식 제국"으로 보며, 이는 모스크바의 보조금에 의존했다.[26][27] 비공식 제국에는 소련의 경제적 투자, 군사 점령, 비밀 작전 등이 포함되었다.[28][30][31]

새로운 위성국들은 소련 재정의 증가를 보장했으며, 러시아 SFSR의 관료들은 동유럽 국가의 인재들이 이주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능력주의적 정책을 펼쳤다. 드미트리 트레닌은 1980년까지 소련이 공식 제국과 비공식 제국 모두를 형성했다고 썼다.[29]

2. 2. 문화적 측면

소련은 지역 전통을 파괴하면서 문화와 교육의 소비에트화를 추구하는 문화 제국주의 정책을 펼쳤다.[4] 브레즈네프 시대에는 문화적 러시아화 정책이 강화되었다. 소비에트화는 소련의 영향권 내 모든 국가에서 공통된 삶의 방식을 조성하기 위한 선전을 통해 촉진되었다.

3. 소련의 영향권

소련소볘츠키 소유스/Сове́тский Сою́зru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들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들이었으며, 이들은 코메콘의 회원이자 동구권 또는 소련의 위성국으로 불렸다.[67][68] 이 국가들은 소련군에 의해 점령되었거나 점령된 적이 있으며, 정치, 군사, 외교 및 국내 정책은 소련에 의해 결정되었다.[36][37]

;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



; 기타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 동맹

공산주의 정권이 존재했던 국가(빨강), 소련이 "사회주의의 길을 걷고 있다"고 간주한 국가(주황), 기타 사회주의적인 국가(노랑). 단, 빨간색 국가라도 소련과의 동맹 관계를 도중에 파기한 국가가 있다.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1978-1991), 앙골라 인민공화국 (1975-1991), 베냉 인민공화국 (1975-1990), 중화인민공화국 (1949-1961), 콩고 인민공화국 (1969-1991), 쿠바 (1959-1991), 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 (1974-1991),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1979-1989), 그레나다 인민혁명정부 (1979-198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8-1991), 라오 인민민주공화국 (1975-1991), 몽골 인민공화국 (1924-1991), 모잠비크 인민공화국 (1975-1990), 소말리아 민주공화국 (1969-1977), 투바 인민공화국 (1921-1944),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1945/1976-199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45-1948), 남예멘 (1967-1990)은 소련과 동맹을 맺은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였지만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일부는 아니었다.[56]

제3세계 국가들 중에는 냉전 시기 소련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이 있었다. 소련은 이들 국가를 "사회주의 발전의 길을 걷고 있는 국가들"로 분류하여 동유럽, 베트남, 쿠바와 같은 "사회주의가 발전한 국가들"로 끌어올리려는 노력을 지속했다. 이들 국가는 소련으로부터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받았으며 여러 방면에서 소련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그러나 다양한 이유로 지원이 중단되거나, 우호 정권이 전복 위기에 처하거나, 소련과의 동맹 관계가 상실되는 경우도 빈번했다.[56]

; 소련과 동맹을 맺은 비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

냉전 시기, 제3세계의 일부 국가는 친소련 정부를 두었다. 이 국가들은 소련으로부터 군사적, 경제적 원조를 받았으며, 소련의 영향을 받았다.[41] 소련은 이들을 "사회주의적 발전의 길을 따라가는 국가"라고 칭했다.[69] 그러나 여러 이유로 소련에 대한 지원이 중단되거나, 친소련 정부가 붕괴되거나, 소련과의 동맹이 종료되는 경우가 있었다.[41]

소련과 동맹을 맺은 비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는 다음과 같다:

; 반소련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

일부 공산주의 국가들은 소련의 많은 정책을 비판했다. 관계는 종종 냉각되었으며 때로는 무력 충돌 직전까지 가기도 했다. 알바니아(1955-1991), 캄보디아(1975-1979), 중화인민공화국(1956-1991), 루마니아(1968-1989), 유고슬라비아(1948-1991)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국가들은 국내 문제에 있어 소련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었을지라도, 국제 정치에서는 소련의 동맹국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1980년 공산주의 국가들의 진영: 소련 친화(빨강); 중국 친화(노랑); 그리고 비동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유고슬라비아(검정); 소말리아는 1977년까지 소련 친화였고; 캄보디아(캄푸치아)는 1979년까지 중국 친화였다.

  • 알바니아 (1960–1983) (1955년 소련-알바니아 분열부터 1972년 중알 대립까지)
  • 캄보디아 (1975–1979)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때문)
  • 중화인민공화국 (1961–1983) (중소 분쟁 이후. 1969년 중소 국경 분쟁에서 소련과 군사적 충돌)
  • 루마니아 (1960년대-1983년) (1968년-1989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대한 차우셰스쿠 정권의 협력 거부 때문)
  • 소말리아 (1977–1991) (오가덴 전쟁 때문)
  • 유고슬라비아 (1948–1955) (인포르비로 시대; 1948년–1955년)


; 중립국

핀란드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모스크바 평화 조약을 체결한 후, 1941년 나치 독일의 동맹국으로 소련을 공격했다.[70] 전쟁 후 핀란드는 영토 대부분과 시장 경제를 유지하고 서구 통화 체제에 합류했다.[70] 그럼에도 불구하고, 핀란드는 중립국으로 간주되었지만, 1948년 핀란드-소련 조약으로 인해 핀란드 외교 정책은 크게 제한되었다.[70] 핀란드는 소련에 대한 공격을 방어해야 했고, 이는 NATO 가입을 막고 소련에 외교 정책 거부권을 부여하는 결과를 낳았다.[70] 파시키비-케노넨 원칙에 따라 핀란드는 소련과 우호 관계를 유지했고, 양자 무역이 발달했다.[70][71] 서방에서는 이를 "핀란드화"라고 부르며, 서방 동맹국들이 미국과 NATO를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71]

3. 1.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

소련소볘츠키 소유스/Сове́тский Сою́зru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들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들이었으며, 이들은 코메콘의 회원이자 동구권 또는 소련의 위성국으로 불렸다.[67][68] 이 국가들은 소련군에 의해 점령되었거나 점령된 적이 있으며, 정치, 군사, 외교 및 국내 정책은 소련에 의해 결정되었다.[36][37]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3. 2. 기타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 동맹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1978-1991), 앙골라 인민공화국 (1975-1991), 베냉 인민공화국 (1975-1990), 중화인민공화국 (1949-1961), 콩고 인민공화국 (1969-1991), 쿠바 (1959-1991), 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 (1974-1991),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1979-1989), 그레나다 인민혁명정부 (1979-198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8-1991), 라오 인민민주공화국 (1975-1991), 몽골 인민공화국 (1924-1991), 모잠비크 인민공화국 (1975-1990), 소말리아 민주공화국 (1969-1977), 투바 인민공화국 (1921-1944),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1945/1976-199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45-1948), 남예멘 (1967-1990)은 소련과 동맹을 맺은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였지만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일부는 아니었다.[56]

제3세계 국가들 중에는 냉전 시기 소련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이 있었다. 소련은 이들 국가를 "사회주의 발전의 길을 걷고 있는 국가들"로 분류하여 동유럽, 베트남, 쿠바와 같은 "사회주의가 발전한 국가들"로 끌어올리려는 노력을 지속했다. 이들 국가는 소련으로부터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받았으며 여러 방면에서 소련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그러나 다양한 이유로 지원이 중단되거나, 우호 정권이 전복 위기에 처하거나, 소련과의 동맹 관계가 상실되는 경우도 빈번했다.[56]

3. 3. 소련과 동맹을 맺은 비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

냉전 시기, 제3세계의 일부 국가는 친소련 정부를 두었다. 이 국가들은 소련으로부터 군사적, 경제적 원조를 받았으며, 소련의 영향을 받았다.[41] 소련은 이들을 "사회주의적 발전의 길을 따라가는 국가"라고 칭했다.[69] 그러나 여러 이유로 소련에 대한 지원이 중단되거나, 친소련 정부가 붕괴되거나, 소련과의 동맹이 종료되는 경우가 있었다.[41]

소련과 동맹을 맺은 비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는 다음과 같다:

3. 4. 반소련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

일부 공산주의 국가들은 소련의 많은 정책을 비판했다. 관계는 종종 냉각되었으며 때로는 무력 충돌 직전까지 가기도 했다. 알바니아(1955-1991), 캄보디아(1975-1979), 중화인민공화국(1956-1991), 루마니아(1968-1989), 유고슬라비아(1948-1991)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국가들은 국내 문제에 있어 소련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었을지라도, 국제 정치에서는 소련의 동맹국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 알바니아 (1960–1983) (1955년 소련-알바니아 분열부터 1972년 중알 대립까지)
  • 캄보디아 (1975–1979)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때문)
  • 중화인민공화국 (1961–1983) (중소 분쟁 이후. 1969년 중소 국경 분쟁에서 소련과 군사적 충돌)
  • 루마니아 (1960년대-1983년) (1968년-1989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대한 차우셰스쿠 정권의 협력 거부 때문)
  • 소말리아 (1977–1991) (오가덴 전쟁 때문)
  • 유고슬라비아 (1948–1955) (인포르비로 시대; 1948년–1955년)

3. 5. 중립국

핀란드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모스크바 평화 조약을 체결한 후, 1941년 나치 독일의 동맹국으로 소련을 공격했다.[70] 전쟁 후 핀란드는 영토 대부분과 시장 경제를 유지하고 서구 통화 체제에 합류했다.[70] 그럼에도 불구하고, 핀란드는 중립국으로 간주되었지만, 1948년 핀란드-소련 조약으로 인해 핀란드 외교 정책은 크게 제한되었다.[70] 핀란드는 소련에 대한 공격을 방어해야 했고, 이는 NATO 가입을 막고 소련에 외교 정책 거부권을 부여하는 결과를 낳았다.[70] 파시키비-케노넨 원칙에 따라 핀란드는 소련과 우호 관계를 유지했고, 양자 무역이 발달했다.[70][71] 서방에서는 이를 "핀란드화"라고 부르며, 서방 동맹국들이 미국과 NATO를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71]

4. 소련 해체 이후의 탈소련화

4. 1.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에서는 1990년대 초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대통령에 의해 탈공산화 정책이 시작되었으나,[72]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 시기에는 중단되었다. 2015년 4월, 공산주의 상징물 금지법이 통과되면서 탈공산화가 본격화되었다.[73] 같은 해 5월 15일,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은 공산주의 기념물(제2차 세계 대전 기념물 제외)을 제거하고 관련 지명을 변경하는 법률에 서명했다.[74][75] 2016년까지 51,493개의 거리, 987개의 도시와 마을 이름이 변경되었고, 1,320개의 레닌 기념비와 1,069개의 다른 공산주의 인물 기념비가 제거되었다.[76]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2019년 4월 21일에 당선된 이후[77]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며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지역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법안을 승인하여 논란을 일으켰다.[78] 하지만, 민스크 협정에 따라 우크라이나 정부는 2015년까지 이들 지역의 자치적 지위를 헌법에 명시해야 했다.[79]

4. 2. 폴란드

폴란드는 2018년부터 소련 점령자들을 위해 세워진 조각상을 철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80] 이는 위성 국가에서 소비에트 문화 지배에 대한 반작용적 접근으로, 폴란드는 이러한 조치를 통해 러시아 제국주의와의 전쟁에서 비롯된 소련에 대한 상징물을 제거하려 노력하고 있다.[80]

이러한 조각상 철거는 러시아와의 외교적 갈등을 야기했다.[80] 러시아 외무부 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러시아 외무부 대변인 마리아 자카로바는 이러한 행위가 양국 관계를 파괴한다고 비난했다.[80]

4. 3. 체코 공화국

2020년 4월, 프라하에서 소련 원수 이반 스테파노비치 코네프의 동상이 철거되자, 러시아 당국은 이를 모욕으로 간주하고 수사에 착수했다.[81] 프라하의 온드레이 콜라르시장은 Prima 텔레비전에서 러시아 남성이 경찰의 보호를 받을 것이라고 발표했다.[81] 안드레이 바비시 총리는 이를 외국의 간섭으로 비난한 반면, 크렘린 기자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러시아의 개입 혐의를 "가짜뉴스"로 일축했다.[81]

5.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How Western scholars overlooked Russian imperialism https://www.aljazeer[...] 2023-01-24
[2] 웹사이트 Remembering Soviet imperialism https://www.taipeiti[...] 2022-09-17
[3] 논문 Soviet Empire as "Family Resemblance" 2006
[4] 서적 Struggle Over Identity: The Official and the Alternative "Belarusiannes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0-01-01
[5] 논문 Soviet Colonialism in Central Asia
[6] 서적 Soviet Postcolonial Studies: A View from the Western Borderlands Routledge 2019
[7] 웹사이트 The Cotton Republic: Colonial Practices in Soviet Uzbekistan? https://thecessblog.[...] Central Eurasian Studies Society 2019-03-23
[8] 서적 20th Century Baltic Drama: Postcolonial Narratives, Decolonial Options Aisthesis Verlag 2016
[9] 논문 "Colonizers with Party Cards" Soviet Internal Colonialism in Central Asia, 1917–39 https://muse.jhu.edu[...] Slavica Publishers
[10] 논문 It is Colonialism After All: Some Epistemological Remarks. https://rcin.org.pl/[...] Institute of Literary Research of the Polish Academy of Sciences
[11] 논문 Soviet Colonialism in the Baltic States: A Note on the Nature of Modern Colonialism https://www.lituanus[...] 1964-06-01
[12] 논문 Soviet Social Imperialism, Myth or Reality: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Chinese Thesis https://www.jstor.or[...] 1977
[13] 웹사이트 The Soviet Union: Is it the Nazi Germany of Today? https://www.marxists[...] 1977
[14] 논문 The Tito–Stalin split: a reassessment in light of new evidence https://www.zora.uzh[...] MIT Press 2007
[15] 서적 The New Class: An Analysis of the Communist System https://ia800200.us.[...] Thames & Hudson 1957
[16] 서적 Failure of American and Soviet Cultural Imperialism in German Universities, 1945–1990 Brill 2013
[17] PhD dissertation The Anti-Imperialist Empire: Soviet Nationality Policies under Brezhnev https://researchrepo[...] West Virginia University 2015
[18] 서적 Demography and National Security Berghahn Books
[19] 서적 Slavery in the Modern World: A History of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Oppress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20] 서적 From Conquest to Deportation: The North Caucasus under Russian Ru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6-01
[21] 논문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considerations in a political transformation of the Soviet bloc https://scholarwork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2] 논문 Soviet deaths in the great patriotic war: A note 1994-01-01
[23] 서적 Brezhnev and Developed Socialism: The Ideology of Zastoi?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UK 2002
[24] 서적 Post-Imperium: A Eurasian Story http://carnegieendow[...]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1
[25] 웹사이트 https://m.polit.ru/a[...] Politic
[26] 서적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Eurasia: v. 9: The End of Empire? Comparative Perspectives on the Soviet Collaps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16
[27] 서적 Empire and International Or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5-06
[28] 논문 Hierarchy under anarchy: informal empire and the East German state https://www.cambridg[...] 1995
[29] 웹사이트 Russia's Post-Imperial Condition https://carnegiemosc[...]
[30] 논문 The Spatial Legacy of Informal Empire: Oil, the Soviet Union, and the Contours of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s Far West https://doi.org/10.1[...] 2015-10-01
[31] 서적 Industrial Raw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of Informal Empire https://chicago.univ[...]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8
[32] 서적 Diplomacy and Deception: The Secret History of Sino-Soviet Diplomatic Relations, 1917–1927 https://books.google[...] M.E. Sharpe 1997
[33] 논문 The Soviet Union's Secret Diplomacy Concerning the Chinese Eastern Railway, 1924–1925 https://www.jstor.or[...] 1994
[34]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the End of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5
[35] 논문 Understanding Change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Soviet Empire's Demise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https://www.jstor.or[...] 1994
[36] 서적 History of the Literary Cultures of East-Central Europe: Junctures and disjuncture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https://archive.org/[...] John Benjamins
[37] 서적 Planning in Eastern Europe Routledge
[38] 서적 북한 사회주의헌법의 기본원리: 주체사상 법학연구
[39] 서적 Ethnic Nationalism in Korea: Genealogy, Politics, and Leg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The Fifty Years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World Politics Routledge
[41] 서적 Shadow Cold War: The Sino-Soviet Competition for the Third World
[42] 웹사이트 Soviet Intelligence in Latin America During the Cold War http://www.cepchile.[...] Centro de Estudios Publicos (Chile) 1999-09-22
[43] 저널 The Forgotten Friendship: Israel and the Soviet Bloc 1947–1953 1977-09
[44] 서적 The Winter War: Finland Against Russia, 1939–1940, Volume 312 Stan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A Frozen Hell: The Russo-Finnish Winter War of 1939–1940 Algonquin Books
[46] 웹사이트 The Empire Strikes Out: Imperial Russia, "National" Identity, and Theories of Empire http://www.dartmouth[...]
[47] 뉴스 Finns Worried About Russian Border https://www.nytimes.[...]
[48] 서적 Struggle Over Identity: The Official and the Alternative "Belarusianness" https://books.google[...]
[49] 서적 Soviet Empire as 'Family Resemblance'
[50] 저널 Soviet Colonialism in Central Asia
[51] 서적 Failure of American and Soviet Cultural Imperialism in German Universities, 1945-1990 Brill
[52] 서적 Post-Imperium: A Eurasian Story http://carnegieendow[...]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53] 서적 History of the Literary Cultures of East-Central Europe: Junctures and disjuncture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John Benjamins
[54] 서적 Planning in Eastern Europe Routledge
[55] 서적 Ethnic nationalism in Korea: genealogy, politics, and leg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Shadow Cold War: The Sino-Soviet Competition for the Third World
[57] 서적 The Fifty Years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World Politics Routledge
[58] 웹사이트 The Empire Strikes Out: Imperial Russia, "National" Identity, and Theories of Empire http://www.dartmouth[...]
[59] 뉴스 Finns Worried About Russian Border https://www.nytimes.[...]
[60] 서적 Struggle Over Identity: The Official and the Alternative "Belarusianness" https://books.google[...]
[61] 저널 Soviet Empire as 'Family Resemblance'
[62] 저널 Soviet Colonialism in Central Asia https://archive.org/[...]
[63] 서적 Failure of American and Soviet Cultural Imperialism in German Universities, 1945-1990 Brill
[64] 저널 Soviet deaths in the great patriotic war: A note 1994-01-01
[65] 서적 Post-Imperium: A Eurasian Story http://carnegieendow[...]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66] 웹사이트 Виталий Лейбин: Экономическая экспансия России и имперский госзаказ - ПОЛИТ.РУ https://m.polit.ru/a[...] Polit 2019-04-20
[67] 서적 History of the Literary Cultures of East-Central Europe: Junctures and disjuncture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https://archive.org/[...] John Benjamins
[68] 서적 Planning in Eastern Europe Routledge
[69] 서적 Shadow Cold War: The Sino-Soviet Competition for the Third World
[70] 웹사이트 The Empire Strikes Out: Imperial Russia, "National" Identity, and Theories of Empire http://www.dartmouth[...]
[71] 뉴스 Finns Worried About Russian Border https://www.nytimes.[...]
[72] 뉴스 Ukraine tears down controversial statu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1-26
[73] 웹인용 Decommunizing Ukraine https://www.foreigna[...] 2015-05-19
[74] 웹사이트 Poroshenko signed the laws about decomunization http://www.pravda.co[...] Ukrayinska Pravda 2015-05-15
[75] 뉴스인용 Goodbye, Lenin: Ukraine moves to ban communist symbols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5-17
[76] 웹사이트 Decommunization reform: 25 districts and 987 populated areas in Ukraine renamed in 2016 https://www.ukrinfor[...] Ukrinform 2016-12-27
[77] 뉴스인용 Comedian Volodymyr Zelensky unseats incumbent in Ukraine's presidential election, exit poll show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9-04-22
[78] 뉴스 Thousands protest Ukraine leader's peace plan https://www.france24[...]
[79]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s://peacemaker.u[...]
[80] 서적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 considerations in a political transformation of the Soviet bloc https://scholarwork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81] 웹인용 Prague district mayor says he is under police protection against Russian threat https://uk.reuters.c[...] 2021-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