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산역은 대한민국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의 전철역이다. 1951년 12월 30일 초성리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59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2023년 11월 21일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복선 전철이 개통되었다. 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접한 역으로는 전곡역과 소요산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천군의 전철역 - 연천역
연천역은 1912년 개업한 경원선 철도역으로, 2023년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으로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한국전쟁 관련 시설물과 등록문화재 급수탑을 보유하고 있고,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 중이다. - 연천군의 전철역 - 전곡역
전곡역은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경원선 철도역으로, 1912년 영업을 시작하여 남북 분단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 경원선 최남단 역이 되었으며, 2023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되어 복선 전철이 개통되었다. - 연천군의 건축물 - 연천역
연천역은 1912년 개업한 경원선 철도역으로, 2023년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으로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한국전쟁 관련 시설물과 등록문화재 급수탑을 보유하고 있고,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 중이다. - 연천군의 건축물 - 전곡역
전곡역은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경원선 철도역으로, 1912년 영업을 시작하여 남북 분단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 경원선 최남단 역이 되었으며, 2023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되어 복선 전철이 개통되었다. - 1951년 개업한 철도역 - 쇼나이역 (오사카부)
쇼나이역은 오사카부 도요나카시에 있는 한큐 전철 다카라즈카 본선의 역으로, 1951년에 개업하여 2면 4선의 지상역이며, 쇼나이 사건과 지하도 개통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역 번호가 부여되었고, 국도와 대학 등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1951년 개업한 철도역 - 김포역
김포역은 1951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군용 화물을 취급하다가 화물 수요 감소로 1980년에 폐역되었다.
청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청산역 |
한자 표기 | 靑山驛 |
로마자 표기 | Cheongsannyeok |
주소 |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청신로 72 |
개업일 | 1951년 12월 30일 |
역 구조 | 지상역 |
운영 정보 | |
노선 | 경원선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역 번호 | 100-1 |
역 등급 | 3급 |
배치 | 배치간이역 |
승강장 정보 | |
승강장 구조 | 섬식 승강장 (1면 2선) |
노선 정보 | |
영업 거리 | 용산 기점 61.3km |
이전 역 | 전곡 |
다음 역 | 소요산 |
이전 역 거리 | 3.3 km |
다음 역 거리 | 5.8 km |
역사 정보 | |
개업일 (경원선) | 1951년 12월 30일 |
개업일 (1호선) | 2023년 12월 16일 |
시설 정보 | |
![]() | |
승객 정보 | |
2023년 승차 인원 | 139명 |
수도권 전철 1호선 |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이전 역 | 전곡역 |
다음 역 | 소요산역 |
2. 역사
청산역은 한국 전쟁 중인 1950년 10월 5일 유엔군 군수품 보관소로 처음 영업을 시작했으며, 1951년 12월 30일 경기도 포천군 청산면 초성리에서 '''초성리역'''(哨城里驛)이라는 이름으로 정식 개업하였다. 1953년 9월 10일 철도청으로 이관되었고, 1959년 8월 10일에는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2008년 12월 1일부터는 승차권을 열차 안에서 구입하는 차내취급역으로 운영 방식이 변경되었고,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1년 7월 28일에는 집중호우로 인해 선로가 유실되어 잠시 영업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2012년 3월 21일 초성철교가 다시 완공되면서 통근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4년 10월 3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복선 전철 공사가 시작되었고, 2018년 7월 2일부터는 경원선 연천 ~ 백마고지 구간 선로 개량 공사로 인해 통근열차 운행 구간이 연천역까지로 단축되었다. 2019년 4월 1일에는 경원선 동두천 ~ 연천 구간 전철화 공사로 인해 열차 운행이 일시 중단되고 대체 버스가 운행되었다. 공사가 진행 중이던 2023년 11월 21일, 역 이름이 '''초성리역'''에서 '''청산역'''으로 공식 변경되었다.[4][5][2] 마침내 2023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두천 ~ 연천 구간이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의 전철역으로 새롭게 편입되었고, 이에 따라 역사의 위치도 이전되었다. 이로써 오랜 기간 운행되었던 통근열차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1. 통근열차 운행 시기 (1951년 ~ 2023년)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소요산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연천군내 버스와의 환승이 편리해지자, 당시 초성리역의 통근열차 이용객은 크게 줄었다.2011년 7월 28일에는 집중호우로 인해 초성철교가 유실되어 영업이 전면 중단되었고, 관광열차와 화물열차도 이 역까지만 운행하게 되었다. 이후 2012년 3월 21일 초성철교가 다시 완공되면서 경원선 통근열차 운행이 재개되었으나, 하루 운행 횟수는 편도 6회로 줄었다. 같은 해 7월 1일에는 통근열차 운행 횟수가 다시 늘어났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사업이 진행되면서 기존 초성리 역사는 현재 위치(청산면 행정복지센터 앞)에서 북쪽으로 약 1km 떨어진 초성초등학교 근처로 이전되었다. 2023년 12월 16일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두천 ~ 연천 연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통근열차 운행은 종료되고 전철역으로 전환되었다.
'''주요 연혁'''
- 1950년 10월 5일: 유엔군 군수품 보관소로 영업 개시.
- 1951년 12월 30일: 경기도 포천군 청산면 초성리에서 '''초성리역'''(哨城里驛)으로 정식 개업.
- 1953년 9월 10일: 철도청으로 이관.
- 1959년 8월 10일: 보통역으로 승격.
- 2008년 12월 1일: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지정 및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11년 7월 28일: 집중호우로 선로 유실되어 영업 일시 중단, 관광/화물열차는 이 역까지만 운행.
- 2012년 3월 21일: 초성철교 완공으로 통근열차 운행 재개. 동시에 편도 기준 1일 6회로 감편.
- 2012년 7월 1일: 통근열차 운행 횟수 증편(하루 17회 정차).
- 2014년 10월 3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복선 전철 착공.
- 2018년 7월 2일: 경원선 연천 ~ 백마고지 구간 선로 개량 공사로 인해 통근열차 운행 구간이 연천역까지로 단축.
- 2019년 4월 1일: 경원선 동두천 ~ 연천 전철화 공사로 인해 통근열차 운행 일시 중단. 대체 버스가 일 32회 운행.
- 2023년 11월 21일: 역명을 '''초성리역'''에서 '''청산역'''으로 변경.[4][5][2]
- 2023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전철역이 됨. 이로써 통근열차 운행 시대가 종료됨.
2. 2.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2023년 ~ 현재)
2014년 10월 3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복선 전철 공사가 시작되었다.2023년 11월 21일에는 기존 '''초성리역'''에서 '''청산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4][5]
2023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두천 ~ 연천 구간 복선 전철이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의 전철역으로 편입되었고, 이에 따라 역사가 이전되었다.
3. 역 구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
3. 1. 승강장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역 주변
- 청산면 행정복지센터
- 초성리 약수터
- 녹산면사무소
- 복지회관
5. 이용객 변동
2023년 자료는 개통일인 2023년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22년 | 2023년 | |||
경원선 | 승차 | 미개통 | 139 | [6] |
하차 | 130 |
노선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2031년 | 2032년 | 출처 | |
---|---|---|---|---|---|---|---|---|---|---|---|---|
-- 경원선 | 승차 인원 | 139 | [3] | |||||||||
하차 인원 | 130 |
6. 인접한 역
- - 경원선
:: 완행
:: 전곡역 (100-2) - '''청산역 (100-1)''' - 소요산역 (100)
참조
[1]
뉴스
ko:"전철 1호선의 진격...경원선 동두천-연천까지 달린다"
https://www.redaily.[...]
2023-12-20
[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3-623호
https://gwanbo.go.kr[...]
[3]
웹사이트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3-623호
https://gwanbo.go.kr[...]
2023-11-21
[5]
서적
수도권 전철 1호선
2023-12-17
[6]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