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방위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는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의 방위를 담당하는 부대이다. 1949년 수도경비사령부로 창설되어 한국 전쟁 중 해체되었다가, 1961년 수도방위사령부로 재창설되었다. 이후 수도경비사령부로 명칭이 변경되기도 했으며,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수방사는 서울 지역의 대침투 작전, 경호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예하 부대로 52, 56향토보병사단, 제1방공여단, 군사경찰단, 제1경비단 등을 두고 있다. 과거 12.12 군사 반란에 연루되었으며, 2024년 국회의사당 진입 시도가 있었다는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육군제2작전사령부
육군 제2작전사령부는 1954년 창설된 제2야전군사령부에서 개편되어 전라, 충청, 경상 지역의 후방 작전, 경비, 예비군 훈련, 재해·재난 구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지상작전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로, 과거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통합하여 2019년 1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평시에는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전시에는 한미 연합사령부 예하 지상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서울 관악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관악경찰서
서울관악경찰서는 서울특별시 관악구(조원동 제외)를 관할하며 112종합상황실, 생활안전과, 여성청소년과, 수사과 등 여러 부서와 6개 지구대, 3개 파출소를 운영하며 관악구 지역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는 경찰서이다. - 서울 관악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관악소방서
서울관악소방서는 서울특별시 관악구를 관할하며 화재, 구조, 구급 등 재난 대응과 예방 활동을 수행하고 관악안전테마파크를 운영하는 기관이다. - 1950년 폐지 - 인도 자치령
인도 자치령은 1947년 영국령 인도 분할로 수립되어 자와할랄 네루 총리와 조지 6세 국왕 체제 하에 존속하다 1950년 인도 공화국으로 전환되는 동안 종교 갈등, 난민 문제, 번왕국 통합, 카슈미르 전쟁, 헌법 제정 등 격동적인 시기를 겪었다. - 1950년 폐지 - 영등포동
영등포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영등포본동의 행정동 명칭으로 사용되며,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서울영원초등학교, 영원중학교 등이 위치하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등이 지나간다.
수도방위사령부 | |
---|---|
기본 정보 | |
이름 | 수도방위사령부 |
원어 이름 | 首都防衛司令部 |
활동 기간 | 1949년 6월 20일 ~ 1950년 7월 8일 |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종류 | 사령부 |
역할 | 서울특별시 방어 |
규모 | 군단 |
명령 체계 | 대한민국의 대통령, 대한민국 육군본부 |
본부 | 서울특별시 관악구 |
별명 | 방패부대(防牌部隊) |
표어 | 살아방패 죽어충성 |
색 | 황색, 자색, 흰색 |
군가 | 수도방위사령부가 |
지휘관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Lieutenant General (OF-8).svg|30px]] 중장 김호복 (3사 27기) (직무대리) |
지휘관 명칭 | 사령관 |
주요 지휘관 | 윤필용 소장 장태완 소장 노태우 소장 김태영 소장 |
영어 | |
영어 이름 | Capital Defense Command |
이전 이름 | Capital Garrison Command |
2. 역사
1949년 6월 20일, 서울 방위를 위해 수도경비사령부가 창설되어 제2연대, 제3연대, 제18연대를 거느렸으나, 한국 전쟁 중 수도사단에 편입되면서 해체되었다.[13]
1961년 6월 1일, 국가재건최고회의령 제37호에 따라 서울특별시 용산구에서 사단급 부대인 수도방위사령부로 재창설되었고, 1년 후 서울특별시 중구로 사령부가 이전하였다.[14] 이후 수도경비사령부로 이름을 바꾸었다.[15] 5·16 군사 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국가재건최고회의와 이후 박정희 정부의 친위대적 성격을 가진 부대였으며, 1·21 사태 이후 대침투작전 임무가 추가되었다.
1984년 서울 근교의 다수 훈련단과 동원사단을 배속받고 군단급 부대인 현재의 '''수도방위사령부'''로 개칭하였다.[16] 1990년에 한강 이북에 2개의 예하 동원사단이 창설되었으며, 1991년 3월 1일 다시 서울특별시 중구에서 관악구로 사령부를 이전하였다.
1996년 12월 17일, 예하 부대인 제30, 33경비단이 제1경비단으로 통합되었다.[17]
2008년 11월 24일, 국방부에서 발표한 국방개혁 2020에 따르면, 제7기동군단 외에 1개 기동군단을 추가하고 수도방위사령부를 해체할 예정이었다. 그에 따라 수도 내부 방위를 포함하여 수도 전체를 수도군단에서 맡을 예정이었으나, 계획을 수정하여 수도군단을 해체하고 수도방위사령부를 군단급으로 증편하면서 포병 전력과 기동 전력을 대폭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18][19] 그러나 국방개혁 2020이 폐지되면서 이 계획은 취소되었다.
2011년 11월 30일, 국방개혁 기본계획에 따라 제57향토보병사단이 제56향토보병사단에 통합되었다.[20] 다음날인 12월 1일, 수도권과 서울로 이원화되어 있던 수도권 방공작전을 단일화하기 위해 제10방공단이 제3야전군의 제1방공여단과 통합되어 수도방위사령부에 예속되었다.[21][22] 같은 날, 사령부의 유일한 기갑부대였던 제19전차대대가 기계화보병부대로 개편된 제8사단 예하 16연대(현재 "제16기계화보병여단")로 전속되었다.
2016년 11월 30일, 제71동원보병사단이 해체되었다. 2018년 4월 6일, 예하에 있던 제60동원보병사단이 동원전력사령부로 이관되었다.
2024년 12월 3일,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특수임무대 체포조가 국회의사당 진입을 시도하였다가 계엄령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되면서 물러났다.[23]
2. 1. 창설
1949년 6월 20일, 서울 방위를 위해 수도경비사령부가 창설되어 제2연대, 제3연대, 제18연대를 거느렸으나, 한국 전쟁 중 수도사단에 편입되면서 해체되었다.[13]1961년 6월 1일, 국가재건최고회의령 제37호에 따라 서울특별시 용산구에서 사단급 부대인 수도방위사령부로 재창설되었고, 1년 후 중구로 사령부가 이전하였다.[14] 이후 수도경비사령부로 이름을 바꾸었다.[15] 5·16 군사 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국가재건최고회의와 이후 박정희 정부의 친위대적 성격을 가진 부대였다. 1·21 사태 이후, 대침투작전 임무가 추가되었다.
2. 2. 확대 개편
1984년에 서울 근교의 다수 훈련단과 동원사단을 배속받고 군단급 부대인 현재의 '''수도방위사령부'''로 개칭하였다.[16] 1990년에 한강 이북에 2개의 예하 동원사단이 창설되었으며, 1991년 3월 1일 다시 서울특별시 중구에서 관악구로 사령부를 이전하였다.2. 3. 최근 변동 사항
1996년 12월 17일, 예하 부대인 제30, 33경비단이 제1경비단으로 통합되었다.[17]2008년 11월 24일, 국방부에서 발표한 국방개혁 2020에 따르면, 제7기동군단 외에 1개 기동군단을 추가하고 수도방위사령부를 해체할 예정이었다. 그에 따라 수도 내부 방위를 포함하여 수도 전체를 수도군단에서 맡을 예정이었으나, 계획을 수정하여 수도군단을 해체하고 수도방위사령부를 군단급으로 증편하면서 포병 전력과 기동 전력을 대폭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18][19] 그러나 국방개혁 2020이 폐지되면서 이 계획은 취소되었다.
2011년 11월 30일, 국방개혁 기본계획에 따라 제57향토보병사단이 제56향토보병사단에 통합되었다.[20] 다음날인 12월 1일, 수도권과 서울로 이원화되어 있던 수도권 방공작전을 단일화하기 위해 제10방공단이 제3야전군의 제1방공여단과 통합되어 수도방위사령부에 예속되었다.[21][22]
2011년 12월 1일, 사령부의 유일한 기갑부대였던 제19전차대대가 기계화보병부대로 개편된 제8사단 예하 16연대(현재 "제16기계화보병여단")로 전속되었다.
2016년 11월 30일, 제71동원보병사단이 해체되었다.
2018년 4월 6일, 예하에 있던 제60동원보병사단이 동원전력사령부로 이관되었다.
2024년 12월 3일,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특수임무대 체포조가 국회의사당 진입을 시도하였다가 계엄령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되면서 물러났다.[23]
3. 편성
- 제52향토보병사단 "화살"
- 제56향토보병사단 "북한산"
- 제1방공여단 - 2011년 12월 1일에 배속되었다.
- 군사경찰단
- 제1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24]
- * 본부중대
- * 장비중대
- * 제151공병대대
- * 제313시추대대
- 방패교육대 - 수방사 예하부대 분대장 교육 및 신병 자대배치 대기소이다.
- 제1문서고관리대
- 제35육로이동관리대
- 제22화생방대대
- 제35특공대대 "독거미" - 1991년 3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여군특임중대를 보유하고 있다.[25]
- 군수지원대대
- 본부근무대


3. 1. 대통령경호처 파견대
대통령경호처 파견부대는 수도방위사령부 예하의 군사경찰 및 경비, 지원 부대로, 대한민국 대통령 경호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제33군사경찰경호대 (편제상 군사경찰단 예속)
- 제55경비단
- 제88경호지원대 (편제상 군수지원대대 예속, 일부 대대는 1113 공병단 배속)
3. 2. 지원부대
- 수도군수지원단 (제1군수지원사령부)
- 12항공단 (항공작전사령부)
4. 역대 사령관
대 | 성명(한자) | 출신 | 취임일 | 퇴임일 | 전직 | 후직 | 비고 |
---|---|---|---|---|---|---|---|
1 | 김진위 (金振暐) | 육군사관학교 3기[5] | 1961년 | 1965년 | 제37사단장 | 제2훈련소장 | |
2 | 최우근 (崔宇根) | 육군사관학교 3기 | 1965년 | 1970년 | 제11사단장 | 제1군단장 | |
3 | 윤필용 (尹必鏞) | 육군사관학교 8기 | 1970년 | 1973년 3월 | 수도보병사단장 | 없음 | 부정으로 제대 |
4 | 진종채 (陳鍾埰) | 육군사관학교 8기 | 1973년 3월 | 1975년 2월 28일 | 국군정보사령관 | 국군보안사령관 | |
5 | 차규헌 (車圭憲) | 육군사관학교 8기 | 1975년 | 1978년 | 작전참모부 차장 | 수도군단장 | 하나회 후원자 |
6 | 전성각 (全成珏)[6] | 육군사관학교 8기 | 1978년 | 1979년 11월 16일 | 대통령경호실 차장 | 제3군단장 | |
7 | 장태완 (張泰玩) | 육군종합학교 11기 | 1979년 11월 16일 | 1979년 12월 12일 | 교육참모부 차장 | 예비역 | 12·12 군사반란으로 해임 |
8 | 노태우 (盧泰愚) | 육군사관학교 11기 | 1979년 12월 | 1980년 8월 23일 | 제9사단장 | 국군보안사령관 | 하나회 |
9 | 박세직 (朴世直) | 육군사관학교 12기 | 1980년 8월 23일 | 1981년 | 제3사단장 | 예비역 | 하나회, 부정 의혹으로 해임 |
10 | 최세창 (崔世昌) | 육군사관학교 13기 | 1981년 | 1982년 11월 | 제20사단장 | 제1군단장 | 하나회 |
11 | 이종구 (李鐘九) | 육군사관학교 14기 | 1983년 5월 | 1985년 5월 | 제20사단장 | 국군보안사령관 | 하나회 |
12 | 고명승 (高明昇) | 육군사관학교 15기 | 1985년 5월 | 1986년 7월 4일 | 인사참모부장 | 국군보안사령관 | 하나회 |
13 | 권병식[7] (權丙植) | 육군사관학교 15기 | 1986년 7월 4일 | 1987년 | ? | 육군참모차장 | |
14 | 김진영 (金振永) | 육군사관학교 17기 | 1987년 | 1989년 | 육군3사관학교장 | 교육사령관 | 하나회 |
15 | 구창회 (具昌會) | 육군사관학교 18기 | 1989년 | 1990년 10월 10일 | ? | 국군기무사령관 | |
16 | 김진선 (金鎮渲) | 육군사관학교 19기 | 1990년 10월 10일 | ? | 인사참모부장 | 육군참모차장 | |
17 | 안병호 (安秉浩) | 육군사관학교 20기 | 보안사령관 비서실장 | 제2군부사령관 | |||
18 | 도일규 (都日圭) | 육군사관학교 20기 | 1993년 | 1994년 12월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 | 제3군사령관[8] | |
19 | 한승의 (韓勝義) | 육군사관학교 22기 | 1994년 12월 | 1996년 10월 | 국방부 정책기획관 | 합참본부 인사군수부장 | |
20 | 김인종 (金仁鍾) | 육군사관학교 24기 | 1996년 10월 | 1998년 | 국방부 정책기획관 | 국방부 정보본부 보좌관 | |
21 | 남재준 (南在俊) | 육군사관학교 25기 | 1998년 | 2000년 4월 | 인사참모부 부장 | 합동참모작전본부장 | |
22 | 김창호 (金昌鎬) | 육군사관학교 26기 | 2000년 4월 | ? | 2군 참모장[9] | 합동참모작전본부장 | |
23 | 이상태[10] (李商泰) | 육군사관학교 27기 | 2004년 3월 | 국방부 국제협력관 | 국방대학교 총장 | ||
24 | 김태영 (金泰榮) | 육군사관학교 29기 | 2004년 | 2005년 | 정책기획국장 | 합동참모작전본부장 | |
25 | 이영계 (李永桂) | 육군사관학교 30기 | 2005년 | 2006년 | 정보작전참모부장 | 교육사령관 | |
26 | 한민구 (韓民求) | 육군사관학교 31기 | 2006년 | 2008년 | 국방부 정책기획관 | 육군참모총장 | |
27 | 박정이 (朴正二) | 육군사관학교 32기 | 2008년 | 합참작전부장 | 합참발전본부장 | ||
28 | 권혁순 (權赫舜) | 육군사관학교 34기 | 합참본부 군사지원본부장 | 합참본부 작전본부 작전부장 | |||
29 | 박남수 (朴男秀) | 육군사관학교 35기 | 2011년 4월 | 2012년 11월 | 합참본부 작전기획부장 | 육사교장 | |
30 | 신원식 (申元植) | 육군사관학교 37기 | 2012년 11월 | 2013년 | 국방부 국방정책실 정책기획관 | 합참본부 작전본부장 | |
31 | 김용현[11] (金龍顯) | 육군사관학교 38기 | 2013년 10월 | 2015년 10월 | 합참본부 작전부장 | ||
32 | 구홍모 (具洪謀) | 육군사관학교 40기 | 2015년 10월 | 2017년 9월 | 합참본부 작전본부장 | 참모차장 | |
33 | 김정수 (金政秀) | 육군사관학교 42기 | 2017년 9월 | 2019년 5월 | 제27사단장 |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
34 | 김선호 (金善鎬) | 육군사관학교 43기 | 2019년 5월 | 2020년 5월 | 합참본부 전력기획부장 | 육군인사사령부 정책연구관 |
5. 정치/사회적 논란
12.12 군사반란 당시 수도방위사령부의 일부 병력이 반란에 가담하였다.[1] 과거 수방사에는 '유신복'이라 불리는 전용 군복(迷彩服)이 지급되었다.[12]
5. 1. 12.12 군사반란 가담
1979년 12.12 군사반란 당시 수도방위사령부 제30경비단장 장세동과 제33경비단장 김진영 등 다수의 인원이 하나회 쿠데타에 참여하였다.[1] 이들 경비단은 특수전사령부 휘하 3개 공수특전여단, 제9보병사단과 함께 반란군의 주력 부대가 되었다. 당시 사령관 장태완 소장은 쿠데타에 반대하며 강경 진압을 주장했으나, 결국 구속되었다.5. 2. 기타
과거 수방사에는 "유신복"이라고 불리는 전용 군복(迷彩服)이 지급되었다.[12]참조
[1]
뉴스
12.12모의 정치군인 産室 경복궁 30경비단 마감
http://pdf.joins.com[...]
1996-12-26
[2]
뉴스
육군 군단 1개 증편...수방사 해체
http://www.ytn.co.kr[...]
2008-11-24
[3]
뉴스
수방사 군단급으로 부대 개편
http://www.seoul.co.[...]
2008-11-25
[4]
뉴스
5·16군사혁명과 오늘의 한국 31 제1251호
http://www.jangro.kr[...]
2010-11-13
[5]
뉴스
김진위 초대 수방사령관 별세
http://economy.hanko[...]
2003-12-21
[6]
웹사이트
장군들의 밤 10시간 30분(1)
https://www.chogabje[...]
조갑제닷컴
2003-07-15
[7]
웹사이트
권병식
http://www.shinjongw[...]
[8]
뉴스
신임 3군사령관 都日圭대장 임명-수방사는 韓勝義중장
http://gangnam.joins[...]
1994-12-24
[9]
뉴스
육해공군 장성인사 단행-수방사령관에 김창호중장
http://www.domin.co.[...]
2010-04-24
[10]
뉴스
합참의장 이상희, 육군총장 김장수 장군 유력한 듯
http://bemil.chosun.[...]
2005-03-11
[11]
웹사이트
'13년 후반의 閣僚將校人事斷行
https://webcache.goo[...]
[12]
이미지
http://imgur.com/gal[...]
[13]
웹페이지
[14]
웹페이지
[15]
법률
수도경비사령부설치령
1963-12-17
[16]
웹페이지
[17]
뉴스
12.12 모의 정치군인 産室 경복궁 30경비단 마감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1996-12-16
[18]
뉴스
육군 군단 1개 증편...수방사 해체
http://www.ytn.co.kr[...]
YTN
2008-11-24
[19]
뉴스
수방사 군단급으로 부대 개편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8-11-25
[20]
뉴스
서울 북부 최정예 부대 `우뚝'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1-12-01
[21]
뉴스
수도방위사령부, 제1방공여단 창설식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1-12-01
[22]
웹인용
부대열전<70>육군수도방위사령부 1방공여단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2-05-31
[23]
웹사이트
"국회 투입 계엄군은 특전사·수방사 소속 최정예부대"
https://imnews.imbc.[...]
2024-12-04
[24]
웹페이지
[25]
웹페이지
[26]
간행물
19년 전반기 장성급 장교 인사 단행
http://www.korea.kr/[...]
정부24
2019-05-07
[27]
웹페이지
[28]
웹페이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