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한국 전쟁에서 서울 방어, 안동 전투, 부산 교두보 전투 등에 참여했으며, 베트남 전쟁에는 맹호부대라는 명칭으로 1965년부터 1973년까지 참전했다. 1973년 기계화보병부대로 개편되었으며, K1 전차, K21 보병전투장갑차 등 기계화 장비를 운용한다. 현재는 제1, 16, 26 기계화보병여단, 사단 포병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제9보병사단 (대한민국)
    제9보병사단(백마부대)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12·12 군사반란에 가담한 역사가 있고 현재는 경기도 고양시에 주둔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사단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 -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은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과 사단포병여단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원부대가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으로, 대한민국 국방력의 핵심 전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 - 제11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참전 및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으며,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된 후 현재는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평군 소재의 관공서 - 가평경찰서
    가평경찰서는 1945년 개소하여 현재 경기남부경찰청 산하에서 가평군 일대의 치안을 담당하며 6개의 파출소를 관할하는 가평읍 소재 경찰서이다.
  • 가평군 소재의 관공서 - 가평소방서
    가평소방서는 경기도 가평군을 관할하며 3개의 119안전센터와 2개의 구조대, 그리고 수난구조대를 운영하여 화재, 재난, 사고로부터 가평군민의 안전을 지키는 소방기관이다.
수도기계화보병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휘장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휘장
부대 명칭수도기계화보병사단
한자 표기首都機械化步兵師團
로마자 표기Sudo Gigyehwa Bobyeong Sadan
별칭맹호부대 (猛虎部隊)
영어 명칭Capital Mechanized Infantry Division
창설일1948년 6월 20일
국가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육군
병과기계화보병
역할지역 방위, 전시 진격
규모사단
상위 부대제7기동군단
주둔지경기도 가평군
별명맹호 (猛虎)
표어조국이 부르면 맹호는 간다!
군가수도기계화보병사단가
마스코트호랑이
장비
주요 장비K1A1 전차
K-21 보병전투차
K-9 자주포
지휘관
현재 사단장[[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양태봉
주요 지휘관중장 채명신
참전
주요 전투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이라크 전쟁
한국 전쟁
주요 참전 전투작전명 포풍
안동 전투
부산 방어 전투
포항 전투
경주 전투
낙동강 대공세
유엔군 9월 공세
유엔군 북진
제2차 공세
장진호 전투
유엔군 북한 철수
베트남 전쟁
주요 참전 작전퍼싱 작전
마셔 작전
덕코 전투
테이어 작전
홍길동 작전
안케 패스 전투
이라크 전쟁
참전이라크 전쟁
기타
통칭맹호사단
담당 지역경기도 가평군과 현리

2. 역사

1949년 6월 20일 서울특별시 용산에서 수도경비사령부로 창설된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50년 7월 8일 수도사단으로 개칭되었다. 1961년 6월 1일 수도방위사령부가 재창설되면서 수도 방위 기능은 분리되었다.[15][16][17]

이후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1965년 10월 23일부터 1973년 3월 8일까지 활약하였다.[40] 1973년 3월, M113 장갑차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기계화보병부대로 개편되었으며(제32사단 전력 인수),[40] 1983년에는 제5군단에서 제7기동군단으로 배속이 변경되었다.

1987년 K1 전차가 전군 최초로 배치되었고, 2006년에는 K1A1 전차, 2012년에는 K-21 보병전투장갑차, 2014년에는 K1A2 전차가 전력화되었다.

2. 1. 창설 및 한국 전쟁

1949년 6월 20일, 서울특별시 용산에서 ''''수도경비사령부'''''(사단 규모)로 창설되었다.[1] 창설 당시 육군본부의 직접 지휘를 받았으며, 용산에 사령부를 두고 제2연대, 제17연대, 기갑연대, 포병단, 독립 제1대대, 야전공병대대로 편성되었다.[17]

한국 전쟁 발발 직전, 제17연대, 기갑연대, 포병단, 야전공병대대가 육군본부 직할 부대로 변경되면서, 수도경비사령부는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 제8연대(연대장: 서종철 중령), 제18연대(연대장: 임충식 중령)로 구성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예하 부대는 의정부 방어에 투입되었으나 궤멸되었다. 서울 함락 이후, 시흥지구 전투사령부 예하에서 혼성 수도사단으로 재건되어 영등포 방어를 담당했다.[16] 7월 8일에는 수도사단으로 개칭되었고, 현 수도방위사령부의 기능을 흡수하였다.

한강 방어선 붕괴 후, 수도사단은 7월 6일부터 7월 10일까지 진천에서 인민군 제2사단(최현 소장)을 저지하는 진천 전투를 치렀다.[16] 7월 13일, 청주 남쪽 고지대에서 다시 인민군 제2사단과 교전하였으나, 좌익의 미군 제24사단이 격퇴되어 보은 부근으로 후퇴했다. 7월 17일, 작전명령 제55호에 따라 안동으로 이동했으며, 제2차 재편성 계획에 따라 예하 부대가 제1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 제17연대(연대장: 김희준 중령), 제18연대로 변경되었다.

1950년 8월, 기계·안강 전투에서 인민군 제12사단을 포위하여 섬멸하는 데 기여했으나, 재편된 인민군 제12사단의 반격으로 기계를 상실했다. 9월 16일에는 부산 주변 동측, 경주 전투에서 인민군 제12사단의 공격을 저지했다.[2] 같은 날, 수도사단 일부 부대는 안강 시가전을 치렀고, 다음 날 2군단 지역에서 서쪽으로 진격하던 7사단 예하 대대와 합류하여 1, 2군단 사이의 간격을 메웠다. 인민군 12사단은 기계 부근에서 격렬한 지연 작전을 펼쳤으나, 결국 산악지대로 후퇴했고, 9월 22일 기계는 한국군의 통제하에 들어왔다.[3]

9월 29일, 주한 미군 고문단 장교가 경비행기에서 투하한 메시지에 따라, 3사단은 38선을 넘어 원산으로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다음 날, 수도사단도 38선을 넘어 동해안을 따라 진격했다. 10월 2일, 양양에 지휘소를 설치한 후, 두 사단은 10월 10일 원산을 점령했다.[3]

10월 17일, 수도사단은 함흥과 흥남을 점령했다.[4] 10월 28일에는 흥남에서 북동쪽으로 약 168.98km 떨어진 송진을 점령했고, 제1연대는 해안과 중국-조선 국경 사이의 중간 지점에 있는 풍산에 접근했다.

1950년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도평리-영양-춘양-영월-평창-속사리 지역을 따라 북진했다. 10월 1일에는 제3사단과 함께 38선을 돌파하여 양양-간성-양구-화천-회양-신고산-안변 지역을 따라 북진했다. 11월 30일에는 청진 북쪽 부령, 부거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중국인민지원군의 공세로 12월 18일 흥남에서 해상으로 철수하여 묵호에 상륙했다.

1951년 5월, 예하 제1연대(연대장: 한신 대령)가 대관령을 확보했다. 6월 3일부터는 향로봉 전투가 전개되었다. 10월에는 월비산(459고지)을 둘러싸고 격전이 벌어졌다.[18] 12월에는 백야전 전투사령부에 편입되어 서남지역의 남부군을 토벌했다.

1952년 3월, 제2군단에 편입되었다. 7월 7일부터 10월 4일까지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가 전개되었다. 10월 25일, 군단 지시에 따라 담당 전선을 제8사단에 인계하고 미국 제8군의 예비 부대가 되었다. 양주로 이동하여 11월 3일부터 부대 정비 및 교육 훈련을 실시했다. 12월 12일, 미국 제9군단에 편입되어 강원도 사창리로 이동하여 최전선에 복귀했다.

1953년 7월 13일, 중국인민지원군의 최종 공세에 밀려 후퇴했지만, 7월 16일부터 반격하여 김성천을 확보했다. (→금성 전투)

2. 2. 베트남 전쟁 참전

1965년 10월 23일부터 1973년 3월 8일까지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40] 맹호부대는 남베트남에 도착하여 퀴논 외곽의 빈딘성에 배치되어, 1번 국도와 19번 국도 등 주요 도로 확보 및 보호 작전을 수행했다.[5] 1965년 10월, 퀴논 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제101공수사단 제1여단으로부터 퀴논 주둔 임무를 인계받았다.[5]

1966년 6월까지 맹호부대는 퀴년 북쪽, 1번 국도 동쪽, 푸캇 산 기슭까지의 지역을 장악했다. 또한 19번 국도 남북으로 안케로 이어지는 고개까지 통제권을 확장했다. 맹호부대는 빈딘성과 푸옌성의 경계까지 남쪽으로 정찰대를 파견하여 소규모 작전을 수행하기도 했다.[5]

1973년 3월 11일, 맹호부대는 한국으로 귀환했다.

주요 작전 및 활동은 다음과 같다.

  • 맹호 5호 작전 (맹호5호 작전한국어): 1966년 3월 23일부터 27일까지 빈딘성에서 실시된 섬멸 작전. 한국군은 17명의 사상자를 내고 349명의 베트콩(VC) 사살을 주장했다.[7]
  • 수복 작전 (수복 작전한국어): 1966년 3월 26일부터 9월 23일까지 빈딘성에서 실시된 작전. 한국군은 23명의 사상자를 내고 299명의 VC 사살과 88정의 무기 확보를 주장했다.[7]
  • 번개 66-5호 작전 (번개66-5호 작전한국어): 1966년 4월 2일부터 13일까지 빈딘성에서 실시된 작전. 한국군은 23명의 사상자를 내고 292명의 VC 사살을 주장했다.[7]
  • 덕코 전투 (두코 전투한국어): 1966년 8월 9일부터 10일까지
  • 번개 66-7호 작전 (번개66-7호 작전한국어): 1966년 5월 16일부터 6월 5일까지 빈탄과 수이카 계곡에서 미 제1기병사단(크레이지 호스 작전)과 베트남 공화국군(ARVN)과 함께 실시된 작전으로 501명의 VC 사살 결과를 가져왔다.[7]
  • 번개 66-9호 작전 (번개66-9호 작전한국어): 1966년 7월 9일부터 8월 중순까지 플레이쿠성에서 실시된 작전. 한국군은 7명의 사상자를 내고 106명의 VC 사살을 주장했다.[7]
  • 맹호 6호 작전 (맹호6호 작전한국어): 1966년 10월 2일부터 24일까지 빈딘성에서 미 제1기병사단과 ARVN 제22사단과 함께 실시된 섬멸 작전. 한국군은 어빙 작전의 일환으로 240명의 VC 사살을 주장했다.[8]
  • 맹호 7호 작전 (맹호7호 작전한국어): 1967년 1월 3일부터 31일까지 푸옌성 1번 국도를 따라 실시된 수색 정리 작전으로 150명의 VC 사살 결과를 가져왔다.[9]
  • 퍼싱 작전: 1967년 2월 12일부터 1968년 1월 19일까지 빈딘성에서 미 제1기병사단, 미 제25보병사단 제3여단 및 ARVN 제22사단과 함께 실시된 섬멸 작전. 미국은 5,401명의 베트남 인민군(PAVN)/VC 사살을 주장했다.[10]
  • 오작교 작전한국어: 1967년 3월 8일부터 4월 18일까지 푸옌성의 제9보병사단과 부대의 전술 작전 지역을 연결하기 위한 작전. 한국군은 23명의 사상자를 내고 831명의 VC 사살과 659정의 무기 확보를 주장했다.[11]
  • 홍길동 작전 (홍길동 작전한국어): 1967년 7월 9일부터 8월 21일까지 투이호아 근처에서 제9보병사단과 함께 실시된 작전. 한국군은 26명의 사상자를 내고 638명의 PAVN 사살을 주장했으며, 98정의 중화기와 359정의 개인화기가 노획되었다.[12]
  • 푸캇 공군기지 근처 전투: 1월 23일~29일. 한국군은 11명의 사상자를 내고 278명의 PAVN 사살을 주장했다. 또한 145정의 개인화기와 21정의 중화기가 노획되었다.[13]
  • 백마 9호 작전 (백마9호 작전한국어): 1968년 10월 11일부터 11월 4일까지. 한국군은 382명의 PAVN 사살과 PAVN 제18연대 제7대대의 무력화를 주장했다.[5]
  • 안케패스 전투한국어: 1972년 4월 11일부터 4월 26일까지.


베트남 전쟁 당시 맹호부대는 뛰어난 전투 능력을 보여주었다. 맹호부대는 지역을 수색하고 적병과 무기를 회수하는 데 효과를 발휘했다.[6] 작전을 세심하게 계획했고, 때로는 미리 리허설까지 했다. 병사들은 9~10제곱킬로미터를 넘지 않는 비교적 작은 지역을 봉쇄하고, 공중과 지상으로 투입되어 동시에 포위망을 조였다. 모든 사람과 모든 것이 수색되었고, 민간인들은 분리되어 심문을 받았다. 협조하면 보상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 지역이 서로 다른 소대에 의해 3~4번 수색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5]

1966년 6월 24일, 미 제1야전군은 주월 한국군 사령부에 미 제25사단의 폴 리비어 작전영어에 수도기계화보병사단 1개 대대를 파병해 줄 것을 요청했다. 주월 한국군 사령부는 이 요청을 받아들여 2개 포대와 1개 공병소대로 증강된 기갑연대 제3대대를 파병했다. 7월 9일, 파병 부대는 뀌년을 떠나 캄보디아 국경 부근 득코로 이동했다. 제3대대는 1,437회의 수색정찰과 385회의 매복 작전을 실시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8월 10일, 제9중대 기지가 약 700명의 베트남 인민군 부대의 공격을 받았으나, 이를 격퇴했다. 제9중대는 5배에 달하는 베트남군을 격퇴했고, 미 공개 전사는 “한국군은 베트남군 최소 197명을 사살한 반면 7명만을 잃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에 파병된 한국군 병사들에게는 특별 수당이 지급되었다. 그들은 "베트남에서 복무한 1년마다 3년의 군 복무 기간을 인정받았고, 추가적인 금전적 혜택을 받았으며, 전투 임무는 미래의 육군 경력에 도움이 되었다."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베트남전 참전 통계[19][20]
파병1965년 10월 22일
철수1973년 3월 7일
파병 수장교 7,652명, 사병 107,340명, 총 114,992명
전투 횟수대규모 521회, 소규모 174,586회, 총 175,107회
전사장교 186명, 사병 1,925명, 총 2,111명
부상장교 246명, 사병 4,228명, 총 4,474명


2. 3. 베트남 전쟁 이후

1973년 3월, M113 장갑차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기계화보병부대로 개편되었다(제32사단 전력 인수).[40] 1983년에는 제5군단에서 제7기동군단으로 배속이 변경되었다.

1987년에는 K1 전차가 전군 최초로 배치되었고, 2006년에는 K1A1 전차가 전력화되었다. 2012년에는 K-21 보병전투장갑차가 전력화되었으며, 2014년에는 K1A2 전차가 전력화되었다.

1980년대에는 미국 육군의 재편성과 동시에 수도기계화보병사단도 재편성되었다. 기존 조직의 "연대"는 장갑 및 기계화 보병 부대를 포함하는 "여단"으로 대체되었다. 제1기병 연대는 각각 기계화 보병 대대 2개와 장갑 대대 1개를 포함하도록 재편성되었고, 제26연대는 장갑 대대 2개와 기계화 보병 대대 1개를 포함하는 장갑 여단이 되었다. 2018년 11월 30일 제8기계화보병사단과 제26기계화보병사단이 새로운 제8기계화보병사단으로 통합됨에 따라 기병여단은 제8사단으로 재배치되었고, 그 대신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제16여단을 받았다.

다음은 베트남 전쟁 이후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의 주요 개편 내역이다.

시기내용
1973년 3월M113 장갑차 기반, 대한민국 최초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 (제32사단 전력 인수)[40]
1983년제5군단에서 제7기동군단으로 배속 변경
1987년K1 전차 전군 최초 배치
2006년K1A1 전차 전력화
2012년K-21 보병전투장갑차 전력화
2014년K1A2 전차 전력화
1980년대미 육군 재편성에 따라 여단급으로 재편성 (제1기병 연대, 제26연대)
2018년 11월 30일제8기계화보병사단과 제26기계화보병사단 통합, 기병여단은 제8사단으로, 제16여단은 수도기계화보병사단으로 재배치


3. 주요 작전 및 전투

1967년 베트남에서 작전 중인 대한민국 맹호부대


1968년 8월, 퀴년의 부대 기지캠프인 썬더볼트 캠프


맹호부대는 1965년 9월 22일 남베트남에 도착하여 빈딘성 퀴논 외곽에 배치되어, 1번 국도와 19번 국도 등 주요 도로와 북쪽 및 서쪽의 논밭과 구릉지대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5] 1965년 10월, 맹호부대는 미 제101공수사단 제1여단으로부터 퀴논 지역의 책임을 점차 인수받았다.[5]

1966년 6월까지 맹호부대는 퀴논 북쪽, 1번 국도 동쪽, 푸캇 산 기슭까지의 지역을 장악하고, 안케로 이어지는 19번 국도 남북 고개까지 통제권을 확장했다. 또한 남쪽으로는 투이호아 방향으로, 빈딘성과 푸옌성 경계까지 정찰대를 파견하여 작전을 수행했다.[5]

맹호부대는 영토 수색 및 적군 색출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6] 이들은 작전을 신중하게 계획하고, 때로는 예행연습까지 했다. 9km2~10km2 이내의 작은 지역을 봉쇄하고, 공중과 지상으로 병력을 투입하여 포위망을 좁히는 방식으로 작전을 수행했다. 민간인들은 분리 심문 후 협조하면 보상을 받았고, 한 지역을 여러 번 수색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수 반응 부대를 배치하여 적의 탈출을 막기도 했다.[5]

1973년 3월 11일, 맹호부대는 한국으로 귀환했다. 다음은 맹호부대의 주요 작전 및 전투 목록이다.

작전명기간지역내용결과
맹호 5호 작전1966년 3월 23일 ~ 27일빈딘성섬멸 작전한국군 17명 사상, 베트콩(VC) 349명 사살[7]
수복 작전1966년 3월 26일 ~ 9월 23일빈딘성한국군 23명 사상, VC 299명 사살, 88정 무기 확보[7]
번개 66-5호 작전1966년 4월 2일 ~ 13일빈딘성한국군 23명 사상, VC 292명 사살[7]
두코 전투1966년 8월 9일 ~ 10일
번개 66-7호 작전1966년 5월 16일 ~ 6월 5일빈탄, 수이카 계곡미 제1기병사단(크레이지 호스 작전), 베트남 공화국군(ARVN)과 함께 실시VC 501명 사살[7]
번개 66-9호 작전1966년 7월 9일 ~ 8월 중순플레이쿠성한국군 7명 사상, VC 106명 사살[7]
맹호 6호 작전1966년 10월 2일 ~ 24일빈딘성미 제1기병사단, ARVN 제22사단과 함께 실시한 섬멸 작전 (어빙 작전의 일환)한국군 VC 240명 사살[8]
맹호 7호 작전1967년 1월 3일 ~ 31일푸옌성 1번 국도수색 정리 작전VC 150명 사살[9]
퍼싱 작전1967년 2월 12일 ~ 1968년 1월 19일빈딘성미 제1기병사단, 미 제25보병사단 제3여단, ARVN 제22사단과 함께 실시한 섬멸 작전미국 베트남 인민군(PAVN)/VC 5,401명 사살[10]
오작교 작전1967년 3월 8일 ~ 4월 18일푸옌성제9보병사단과 부대의 전술 작전 지역 연결한국군 23명 사상, VC 831명 사살, 659정 무기 확보[11]
홍길동 작전1967년 7월 9일 ~ 8월 21일투이호아 근처제9보병사단과 함께 실시한국군 26명 사상, PAVN 638명 사살, 중화기 98정 및 개인화기 359정 노획[12]
푸캇 공군기지 근처 전투1968년 1월 23일 ~ 29일한국군 11명 사상, PAVN 278명 사살, 개인화기 145정 및 중화기 21정 노획[13]
백마 9호 작전1968년 10월 11일 ~ 11월 4일PAVN 제18연대 제7대대 무력화한국군 PAVN 382명 사살 (10월 25일, 부대 창설 18주년에 한국군 사상자 없이 PAVN 204명 사살)[5]
안케패스 전투1972년 4월 11일 ~ 4월 26일


3. 1.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수도사단 예하 부대는 의정부 방면에 투입되었으나 궤멸되었다. 서울 함락 이후, 혼성 수도사단으로 재건되어 영등포 방어를 담당했다. 한강 방어선 붕괴 후, 수도사단으로 재편성되어 진천에서 인민군 제2사단(최현 소장)을 저지했다(진천 전투).[16] 청주 남쪽 고지대에서 다시 인민군 제2사단과 교전하였으나, 좌익의 제24사단이 격퇴되었기 때문에 보은 부근으로 후퇴했다. 이후 안동으로 이동하여 안동 전투에 참전했다. 이때 제1연대만 참전하였다.[2]

1950년 8월, 기계·안강 전투에서 인민군 제12사단을 남북에서 포위하여 섬멸했으나, 재편된 인민군 제12사단의 반격을 받고 기계를 상실했다. 1950년 9월 16일, 경주 전투에서 인민군 제12사단의 공격을 저지했다. 같은 날, 수도사단 일부 부대는 안강 시가전을 치렀다. 다음 날, 2군단 지역에서 서쪽에서 진격하던 7사단 예하 대대가 이 사단과 합류하여 한국군 1군단과 2군단 사이의 2주간 지속된 격차를 메웠다. 북한군 12사단은 기계 부근에서 이 사단을 상대로 격렬한 지연 작전을 펼쳤고, 북한군은 산악지대로 후퇴했다. 기계는 1950년 9월 22일 한국군의 통제하에 돌아왔다.[3]

9월 29일, 주한 미군 고문단 소속 장교가 경비행기에서 투하한 메시지가 대한민국 3사단의 고문인 롤린스 S. 에머리히 중령에게 전달되었다. 이 메시지에 따르면, 대한민국 3사단은 가능한 한 빨리 38선을 넘어 원산으로 진격해야 했다. 다음 날, 이 사단은 38선을 넘어 동해안을 따라 진격했다. 이 사단도 뒤따랐다. 10월 2일, 38선 북쪽 약 12.87km에 있는 양양에 지휘소를 설치한 후, 두 사단 모두 원산으로 진격하여 10일 원산을 점령했는데, 이는 X 군단 상륙보다 훨씬 앞선 것이었다.

1950년 10월 17일, 이 사단은 함흥과 그 항구인 흥남을 점령했다.[4] 1950년 10월 28일, 극동북부 한국에서 이 사단의 기동부대가 흥남에서 북동쪽으로 약 168.98km 떨어진 송진을 점령했다. 한편, 이 사단 제1연대는 해안과 중국-조선 국경 사이의 중간 지점에 있는 내륙 도시 풍산(이원-진청리-혜산진 도로 상)에 접근했다. 11월 30일, 청진 북쪽 부령, 부거까지 진출했다. 중국인민지원군의 공세에 따라 1950년 12월 18일 흥남에서 해상으로 철수한 후, 묵호에 상륙했다.

1951년 5월, 예하 제1연대(연대장: 한신 대령)가 대관령을 확보했다. 1951년 6월 3일부터 향로봉 전투가 전개되었다. 1951년 10월, 월비산(459고지)을 둘러싸고 격전이 전개되었다.[18]

1952년 3월, 제2군단에 편입되었다. 같은 해 7월 7일부터 10월 4일까지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가 전개되었다. 1952년 10월 25일, 군단 지시(제42호)에 따라 담당 전선을 제8사단에 인계하고, 제8군의 예비가 되었다. 양주로 이동하여 11월 3일자로 부대 정비와 교육훈련을 실시했다. 1952년 12월 12일, 미국군 제9군단에 편입되어, 강원도 사창리로 이동하여 제1선에 복귀했다.

1953년 7월 13일, 중국군의 최종 공세에 의해 후퇴했지만, 16일부터 반격으로 전환하여 김성천을 확보했다. (금성 전투)

3. 2. 베트남 전쟁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즉 맹호부대는 1965년 9월 22일 남베트남에 도착하여 빈딘성 퀴논 외곽의 퀴년에 배치되었다. 이들은 1번 국도와 19번 국도 등 주요 도로와 북쪽 및 서쪽의 논밭과 구릉지대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5] 1965년 10월, 맹호부대는 미 제101공수사단 제1여단으로부터 퀴논 지역의 책임을 점차 인수받았다.[5]

1966년 6월까지 맹호부대는 퀴논 북쪽, 1번 국도 동쪽, 푸캇 산 기슭까지의 지역을 장악하고, 안케로 이어지는 19번 국도 남북 고개까지 통제권을 확장했다. 또한 남쪽으로는 투이호아 방향으로, 빈딘성과 푸옌성 경계까지 정찰대를 파견하여 작전을 수행했다.[5]

남베트남에 복무할 자원병들은 보너스를 받았고, 1년 복무 시 3년의 군 복무 기간을 인정받는 등의 혜택을 받았다.

맹호부대는 영토 수색 및 적군 색출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6] 이들은 작전을 신중하게 계획하고, 때로는 예행연습까지 했다. 9~10제곱킬로미터 이내의 작은 지역을 봉쇄하고, 공중과 지상으로 병력을 투입하여 포위망을 좁히는 방식으로 작전을 수행했다. 민간인들은 분리 심문 후 협조하면 보상을 받았고, 한 지역을 여러 번 수색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수 반응 부대를 배치하여 적의 탈출을 막기도 했다.[5]

1973년 3월 11일, 맹호부대는 한국으로 귀환했다.

주요 작전 및 활동은 다음과 같다.

작전명기간지역내용결과
비호 6호 작전
두코 전투1966년 8월 9일 ~ 10일
맹호 5호 작전1966년 3월 23일 ~ 27일빈딘성섬멸 작전한국군 17명 사상, 베트콩(VC) 349명 사살[7]
수복 작전1966년 3월 26일 ~ 9월 23일빈딘성한국군 23명 사상, VC 299명 사살, 88정 무기 확보[7]
번개 66-5호 작전1966년 4월 2일 ~ 13일빈딘성한국군 23명 사상, VC 292명 사살[7]
번개 66-7호 작전1966년 5월 16일 ~ 6월 5일빈탄, 수이카 계곡미 제1기병사단(크레이지 호스 작전), 베트남 공화국군(ARVN)과 함께 실시VC 501명 사살[7]
번개 66-9호 작전1966년 7월 9일 ~ 8월 중순플레이쿠성한국군 7명 사상, VC 106명 사살[7]
맹호 6호 작전1966년 10월 2일 ~ 24일빈딘성미 제1기병사단, ARVN 제22사단과 함께 실시한 섬멸 작전 (어빙 작전의 일환)한국군 VC 240명 사살[8]
맹호 7호 작전1967년 1월 3일 ~ 31일푸옌성 1번 국도수색 정리 작전VC 150명 사살[9]
퍼싱 작전1967년 2월 12일 ~ 1968년 1월 19일빈딘성미 제1기병사단, 미 제25보병사단 제3여단, ARVN 제22사단과 함께 실시한 섬멸 작전미국 베트남 인민군(PAVN)/VC 5,401명 사살[10]
오작교 작전1967년 3월 8일 ~ 4월 18일푸옌성제9보병사단과 부대의 전술 작전 지역 연결한국군 23명 사상, VC 831명 사살, 659정 무기 확보[11]
홍길동 작전1967년 7월 9일 ~ 8월 21일투이호아 근처제9보병사단과 함께 실시한국군 26명 사상, PAVN 638명 사살, 중화기 98정 및 개인화기 359정 노획[12]
푸캇 공군기지 근처 전투1968년 1월 23일 ~ 29일한국군 11명 사상, PAVN 278명 사살, 개인화기 145정 및 중화기 21정 노획[13]
백마 9호 작전1968년 10월 11일 ~ 11월 4일PAVN 제18연대 제7대대 무력화한국군 PAVN 382명 사살 (10월 25일, 부대 창설 18주년에 한국군 사상자 없이 PAVN 204명 사살)[5]
안케패스 전투1972년 4월 11일 ~ 4월 26일
혜산진 10호 작전
번개 23호 작전
비호 26호 작전
혜산진 11호 작전
혜산진 12호 작전
호랑이 작전
돌풍 작전
독수리 71-1호 작전
맹호 16호 작전
맹호 17호 작전



4. 편제

2021년 사단 전투서열 구조도

  • 사단사령부중대
  • 기병연대 (3개 대대)
  • 제1보병연대 (3개 대대)
  • 제26보병연대 (3개 대대)
  • 사단포병
  • * 사령부중대
  • * 제10야전포병대대 (105mm 곡사포)
  • * 제60야전포병대대 (105mm 곡사포)
  • * 제61야전포병대대 (105mm 곡사포)
  • * 제628야전포병대대 (155mm 곡사포)
  • 공병대대
  • 전차중대
  • 정찰중대
  • 통신중대
  • 헌병중대
  • 의료중대
  • 무기중대
  • 병참중대
  • 보충중대
  • 비행대


하위 섹션인 '현재'와 '베트남 전쟁 당시'에 상세한 부대 편제가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주요 부대만 나열하였다.

4. 1. 현재

부대예하 부대
제1기계화보병여단 (비호, 호(虎)연대)[41]
제16기계화보병여단 "번개"
제26기계화보병여단 "혜산진"[42]
사단 포병여단 "상승"
직할대


4. 2. 베트남 전쟁 당시

수도사단(맹호부대)은 1965년 9월 22일 남베트남에 도착하여 빈딘성 퀴년 외곽의 캠프 썬더볼트에 배치되었다. 이들은 1번 국도와 19번 국도 등 주요 도로와 북쪽 및 서쪽의 논밭과 구릉지대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5] 1965년 10월, 퀴년 지역에 주둔하던 미 제101공수사단 제1여단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책임을 넘겨받았다.[5]

1966년 6월까지 맹호부대는 퀴년 북쪽, 1번 국도 동쪽, 푸깟산 기슭까지 장악했다. 또한 19번 국도 남북으로 안케로 이어지는 고개까지 통제권을 확장했다. 1번 국도를 따라 남쪽으로 투이호아 방향, 그리고 빈딘성 내에서 정찰대를 파견하여 빈딘성과 푸옌성의 경계까지 남쪽으로 작은 작전을 수행했다.[5]

남베트남에서 복무한 한국군 병사들은 보너스를 받았고, 베트남 복무 1년마다 3년의 군 복무 기간을 인정받는 등의 혜택을 받았다.

맹호부대는 영토 수색 및 적군, 무기 색출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6] 이들은 작전을 세심하게 계획하고, 병사들은 9~10제곱킬로미터를 넘지 않는 작은 지역을 봉쇄하여 포위망을 좁히는 방식으로 수색했다. 민간인들은 분리되어 심문을 받았고, 협조하면 보상을 받았다. 한국군은 특수 반응 부대를 배치하여 포위망의 구멍을 메웠다.[5]

부대는 1973년 3월 11일 귀국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의 주요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사단 본부
기갑연대
제1연대
제26연대
포병연대 (제10, 60, 61, 628포병대대)


5. 장비

6. 주요 인물

성명재임 기간출신교・기수전직후직비고
1권준1949.7.1 - 1950.6.10황푸군관학교 4기국군 제106여단장
2이종찬1950.6.10 - 1950.7.5일본육군사관학교 49기국방부 정훈국장중앙훈련소 본부장
3이준식1950.7.5 - 1950.7.7운남육군강무당육군사관학교장제3사단장
4김석원1950.7.7 - 1950.8.7일본육군사관학교 27기예비역전시특명검열부장
5백인엽1950.8.7 - 1950.9.1군사영어학교제17연대장제17연대장
6송요찬1950.9.1 - 1952.7군사영어학교대구방위사령관남부지역경비사령관
7이용문1952.7.9 - 1952.10.10일본육군사관학교 50기제9사단 부사단장남부지역경비사령관
8송요찬1952.10.10 - 1953.4.25남부지역경비사령관미국 체류 대기
9최창언1953.4.25[24][25] - 1955동덕대 1기
일본육군사관학교 56기
미국 체류제2관구사령관
한신1956.7 - 1957경찰 2기수송감감찰감
채명신1965.9.25 - 1966.8.23경찰 5기제3관구사령관파월 한국군 사령관파월 한국군 사령관 겸임
유병람1966.8.23 - 1967.9.20육사 7기
정순민1967.9.20 - 1968.10.23육사 4기
윤필용1968.10.23 - 1969.11.25육사 8기
김학원1969.11.25 - 1968.10.23육사 5기제2사단장
이희성1970.11.27 - 1971.11.27육사 8기
정득만1971.11.27 - 1973.3.21육사 8기
한태일1975 - 1976육사 9기제1군단 부군단장[26]
이필조1976 - 1978?종합 12기울산 특정지역 경비사령관[27]제2훈련소장
손길남- 1979?종합 29기예비역 편입
30이상규1981 - 1982.6육사 12기제2기갑여단장정보사령관[28]
31육완식1982.6 - 1984.7육사 13기제1공수여단장[29]특전사령관
32김진영1984.7 - 1986.7육사 17기경호실 차장보3사관학교장
33조남풍1986.7 - 1988.6육사 18기제1공수여단장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34이현부1988.6 - 1990육사 20기육군본부 인사운영감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30]
정정택- 1993[31]육사 23기
김희상1993.10[32] -육사 24기
김희원2001.11[33] -육사 27기합참의장
44이윤배2007.10 - 2009.11.10육사 35기정보작전참모부장
45엄기학2009.11.10 - 2011.11.17육사 37기제3군 작전처장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46권오한2011.11.17 - 2013.11.4육사 39기제2군 작전처장[34]합동참모작전부장
47이석구[35]2013.11.4 - 2015.11.4육사 41기육본정작부 작전처장[36]육군본부 작전부장[37]
48김선호2015.11.4[38] -육사 43기기획관리2차장



사단장 외 주요 인물로는 강재구 대위, 노태우, 김찬복 준장, 김관진 대장, 권혁동 소장, 이승오 소장, 염순덕 상사 등이 있다.

6. 1. 장교


  • 강재구 대위: 제1연대 제3대대 제10중대장(1여단 133대대 2중대)으로 파월 훈련 중 부하의 실수로 순직하여 사후 소령으로 추서되었다.[5]
  • 채명신 중장: 사단장 및 초대 주월한국군 총사령관을 역임했다.
  • 조남풍 대장: 1986년부터 1988년까지 사단장으로 재임하며 K1전차(88전차) 최초 도입을 이끌었다. 제1야전군사령관(1992~93년), 국군보안사령관, 육군교육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월남전에 파병(1967년~68년)되기도 했다. 대한민국재향군인중앙회 회장(2015~2016년)과 동국대학교 겸임교수(정치학 박사)를 지냈다.
  • 이현부 중장: 사단장과 제7기동군단장을 역임했다.
  • 노태우: 제1연대 3대대장으로 파월(재구대대)되었으며, 이후 제9보병사단장, 국회의원, 대통령을 역임했다.
  • 김찬복 준장: 주월한국군 맹호부대 포병사령관, 방공포여단장, 보병학교장, 제36보병사단장, 국군연구발전사령부에서 복무했다.
  • 김관진 대장: 제203차량화보병대대 제3중대장, 제26기계화보병여단장, 제3야전군사령관, 국방부장관을 역임했다.
  • 엄기학 대장: 사단장, 제1군단장, 제3군사령관을 역임했다.
  • 이석구 중장: 사단장, 기무사령관, UAE대사를 역임했다.
  • 김선호 중장: 사단장, 수방사령관, 국방부 차관을 역임했다.
  • 권혁동 소장: 포병여단 제61대대장, 제11기동사단장을 역임했다.
  • 이승오 소장: 제1기계화보병여단 제133기계화보병대대장, 제22보병사단장,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 작전부장(2022.12.~현재)을 역임하고 있다.

6. 2. 부사관

염순덕 상사는 행정보급관으로, 의문사한 것으로 알려졌다.[1]

참조

[1] 웹아카이브 North Korea Invades http://www.rt66.com/[...] 2006-12-29
[2] 웹사이트 The Korean War: The Outbreak http://www.army.mil/[...]
[3] 웹사이트 The Korean War: The UN Offensive http://www.army.mil/[...]
[4] 웹아카이브 ADVANCE INTO NORTH KOREA October 1 to November 22, 1950 http://www.korean-wa[...] 2007-01-14
[5] 서적 Allied Participation in Vietnam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the Army
[6] 서적 Breaking Out: One Soldier's Story AuthorHouse 2011-02-01
[7] 웹사이트 dcbsoftware.com http://www.dcbsoftwa[...] 2010-04-12
[8] 웹사이트 operations http://www.vietnam.t[...]
[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vietnam.t[...] 2010-04-13
[10] 웹사이트 flyarmy.org http://www.flyarmy.o[...]
[1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calldp.leaven[...] 2010-07-31
[1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vietnam.t[...] 2010-04-12
[13] 웹사이트 Headquarters MACV Monthly Summary January 1968 https://www.vietnam.[...] Headquarters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Command, Vietnam 1968-04-05
[14] 웹사이트 South Korean troops form combined division with U.S. Army http://www.armytimes[...] Armytimes.com 2015-01-15
[15] 웹사이트 North Korea Invades http://www.rt66.com/[...]
[16] 웹사이트 The Korean War: The Outbreak http://www.army.mil/[...]
[17]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18] 서적 若き将軍の朝鮮戦争 草思社
[19] 서적 Allied Participation in Vietnam Department of the Army
[20] 서적 Larsen
[21] 서적 國防史年表(1945~1990) https://www.imhc.mil[...] 国防軍史研究所
[22] 뉴스 在求部隊서 또 큰戰果 京郷新聞 1966-02-28
[23] 일반
[24] 뉴스 (393)-피 어린 산과 언덕(17)|적근산 전투 http://news.joins.co[...] 1982-11-29
[25] 웹사이트 韓國戰爭史第9巻 對陣末期(1953.1.1~1953.7.27) http://www.imhc.mil.[...] 韓国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6] 웹사이트 陸軍准将ハン・テイル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7] 웹사이트 陸軍少将 李弼朝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8] 웹사이트 李相珪 http://solvit.com/wi[...] 韓国人物情報・ビジョンコリア
[29] 웹사이트 陸完植 http://www.visionkor[...] 韓国人物情報・ビジョンコリア
[30] 뉴스 陸士20期ずっと先頭走者/ヘリ事故殉職した李賢夫中将(''육사 20기 줄곧 선두주자/헬기사고 순직한 이현부중장'') http://news.joins.co[...] 1992-02-15
[31] 뉴스 将官級ハナフェ会員に対する新政府の人事措置の内容(''장성급 하나회원에 대한 새정부의 인사조처 내용'') http://www.sisapress[...] 1993-08-05
[32] 뉴스 仕上げ入った「軍の脱政治化」/ 3群中・少将人事背景 (''마무리 접어든 「군의 탈정치화」/3군 중·소장인사 배경'') http://news.joins.co[...] 1993-10-19
[33] 뉴스 道出身6人の将軍昇進 (''도출신 6명 장군 승진'') http://m.kado.net/ne[...] 2001-11-10
[34] 뉴스 海軍教育司令官に横城出身鄭鎬涉中将 (''해군 교육사령관에 횡성 출신 정호섭 중장'') http://m.kwnews.co.k[...] 2011-11-11
[35] 웹사이트 人物検索 이석구(李錫九) https://cdb.chosun.c[...] 朝鮮日報
[36] 뉴스 陸軍首都機械化歩兵師団長就任 (육군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취임) http://www.shinailbo[...] 2013-11-04
[37] 뉴스 機務司令官に李錫九少将任命... 企画・作戦の専門家 (기무사령관에 이석구 소장 임명…기획ㆍ작전 전문가) http://news.chosun.c[...] 2017-08-25
[38] 뉴스 第47・48代の陸軍首都機械化歩兵師団長離・就任式 (제 47·48대 육군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이·취임식) http://www.seoulilbo[...] 2015-11-04
[39] 뉴스 포항 출신 최장식 준장·김구회 대령, 각각 소장·준장으로 진급 영예 https://n.news.naver[...] 2021-12-14
[40] 웹인용 <기사> 이름만 바꿔 재배치한 美 제1기병사단과 韓 수도사단 http://economychosun[...] 2020-12-14
[41] 일반
[42] 일반
[43] 일반
[44] 일반
[45]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