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파 (음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파는 과라니어에서 유래된 다양한 빵이나 케이크를 일컫는 말로, 녹말가루로 만든 치즈빵을 의미하기도 한다.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 다양한 언어로 불리며,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널리 즐겨 먹는 음식이다. 치파는 작게 만들어 길거리에서 판매되기도 하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주요 재료는 카사바 녹말이며, 파라과이 치즈, 달걀, 버터 등을 함께 사용해 반죽하여 굽는 방식으로 만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라과이 요리 - 엠파나다
엠파나다는 "빵을 입히다"라는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구운 또는 튀긴 패스트리로,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와 맛으로 발전하여 지역 고유의 재료와 조리법을 반영하고 있다. - 파라과이 요리 - 아사도
아사도는 남아메리카에서 유래한 바비큐 요리로, 파리야라는 그릴에 다양한 종류의 고기를 구워 빵, 샐러드, 치미추리 소스 등과 함께 먹으며 각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 카사바 요리 - 타피오카 펄
타피오카 펄은 녹말을 사용해 만든 쫄깃한 펄로, 후식이나 음료에 사용되며, 버블티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고, 다양한 크기와 색깔로 생산되지만, 제조 과정에서 첨가물 사용 및 환경 문제, 건강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 카사바 요리 - 아말라
아말라는 요루바족의 음식으로, 뿌리작물 가루를 끓는 물에 반죽하여 만들며, 주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고 다양한 수프와 함께 먹는다. - 아르헨티나 요리 - 폴렌타
폴렌타는 옥수수 가루를 끓여 만든 이탈리아 요리로, 고대 로마 시대 곡물 죽에서 유래하여 옥수수가 주재료가 되었으며, 이탈리아 북부에서 주식으로 여겨지다 이탈리아 전역과 브라질로 퍼져 다양한 조리법으로 사랑받고 있다. - 아르헨티나 요리 - 땅콩 수프
땅콩 수프는 땅콩을 주재료로 하여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조리되며, "은카텐콴"이라고 불리는 아칸식 수프를 포함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변형으로 즐겨 먹는 음식이다.
시파 (음식)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파라과이 |
종류 | 빵 |
코스 | 아침 식사 또는 간식 |
주요 재료 | 카사바 녹말, 옥수수 녹말, 지방, 우유, 달걀, 파라과이 치즈 |
비슷한 음식 | 팡 데 케ijo (브라질) |
스페인어 | Chipa (치파, IPA: ˈtʃipa) |
과라니어 | Chipa (시파, IPA: ʃiˈpa) |
2. 명칭
시파는 종종 더 작은 도넛이나 빵으로 구워지며, 이를 ''치피타''(chipitaes) 또는 ''치파시토스''(chipacitoses)라고 부른다. 이것들은 대도시와 소도시의 길거리 판매상들이 작은 봉지에 담아 판매한다.[1] 시파는 효모를 사용하지 않아 이 지역의 높은 온도에도 며칠 동안 보관할 수 있으며, 축제 음식으로 모든 대중적인 종교 행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1]
파라과이에는 치파 카부레, 치파 음보카(막대 주변에 구워져 스펀지 같은 내부 중심부가 없음), 치파 소'오(다진 고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치파 만두비(옥수수 가루와 땅콩을 섞어 만듦), 치파 아바티, 치파 로라(통밀빵처럼 여과된 후 옥수수 씨앗의 껍질로 만듦) 등 다른 재료를 사용한 치파도 있다.[2]
2. 1. 어원
과라니어 "시파(chipagn)"는 여러 가지 빵이나 케이크를 일컫는 말이며, 녹말가루로 만든 치즈빵은 "녹말 시파"라는 뜻의 '''시파 아라미롱'''(chipa aramirõgn)으로도 불린다.스페인어 발음은 "치파"이며, 과라니어와 스페인어가 함께 쓰이는 파라과이에서는 스페인어 발화에서도 과라니어 발음인 "시파"가 유지되기도 한다. 파라과이 스페인어에서 "치파"는 강세가 첫 음절인 "치(chies)"에 있는 여성 명사이다. 지소형 또한 여성형 지소사 "-이타(-itaes)"가 붙은 "치피타(chipitaes)"이다. 아르헨티나 스페인어에서는 억음 부호가 붙은 "chipáes"로 적으며, 강세가 둘째 음절인 "파(páes)"에 있는 남성 명사이다. 지소형 또한 남성형 지소사 "-이토(-itoes)"가 붙은 "치파시토(chipacitoes)"이다.
포르투갈어 발음은 과라니어와 같은 "시파"이다. 여성 명사이며, 지소형 또한 여성형 지소사 "-이냐(-inhapt)"가 붙은 "시피냐(chipinhapt)"이다.
2. 2. 지역별 명칭 및 특징
chipagn는 여러 가지 빵이나 케이크를 일컫는 말이며, 녹말가루로 만든 치즈빵은 "녹말 시파"라는 뜻의 chipa aramirõgn로도 불린다.스페인어 발음은 "치파"이며, 과라니어와 스페인어가 함께 쓰이는 파라과이에서는 스페인어 발화에서도 과라니어 발음인 "시파"가 유지되기도 한다. 파라과이 스페인어에서 "치파"는 강세가 첫 음절인 "치(chies)"에 있는 여성 명사이다. 지소형 또한 여성형 지소사 "-이타(-itaes)"가 붙은 "치피타(chipitaes)"이다. 아르헨티나 스페인어에서는 억음 부호가 붙은 "chipáes"로 적으며, 강세가 둘째 음절인 "파(páes)"에 있는 남성 명사이다. 지소형 또한 남성형 지소사 "-이토(-itoes)"가 붙은 "치파시토(chipacitoes)"이다.
포르투갈어 발음은 과라니어와 같은 "시파"이다. 여성 명사이며, 지소형 또한 여성형 지소사 "-이냐(-inhapt)"가 붙은 "시피냐(chipinhapt)"이다.
''치파''는 종종 더 작은 도넛이나 빵으로 구워지며, 이를 ''치피타'' 또는 ''치파시토스''라고 부를 수 있다. 이것들은 대도시와 소도시의 길거리 판매상들이 작은 봉지에 담아 판매한다.[1]
파라과이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치파가 있다.[10][11]
시파는 스페인 요리와 카리오-과라니 요리의 융합으로 탄생했으며, 아순시온과 그 주변 지역에서 프란치스코회 사제, 스페인 정복자, 그리고 메스티소 아순세노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토바티, 아티라, 알토스, 아레과, 이파네, 과라바레, 이타, 야과론 등은 예수회의 상업적 영향에서 벗어나 발전한 파라과이 문화의 예시이다. 1767년 예수회가 추방되면서 원주민들은 대서양 정글로 돌아갔고, 아순시온과 영향권을 방문하여 교육하거나 가르치지 않았다. 이는 예수회 도자기의 멸종과 이타, 아레과, 토바티에서 여전히 살아있는 프란치스코회 도자기의 존재로 증명된다.[5][6]
3. 역사
카리오-과라니의 뿌리 요리는 사냥, 어업, 곡물 재배, 요리 기술과 방법, 그리고 그들이 만든 도구로 구성되었다. 스페인과 카리오-과라니족의 최초의 공존은 아순시온과 그 주변 지역 건설 당시에 일어났으며, 이후 알토스, 아티라, 과라바레, 이타 등 프란치스코회 공동체가 설립되었다. 파라과이 총독령에는 "파라과리아 지방"이라는 가톨릭 관할 구역이 있었는데, 이 지방은 페루 부왕령에 속했으며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그리고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일부 지역을 포함했다(1604년에서 1617년 사이). 1617년부터 파라과리아 지방은 라 플라타 강 총독령과 파라과이 총독령으로 분할되었고, 이후 파라과이 총독령의 관할 하에 남게 되었다.[7] 그 후 이 지역은 라 플라타 부왕령 (1776-1810)의 일부가 되었다. 대파라과이에서 발전한 문화는 과라니족이 정복자와 선교사들에 의해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문명과의 중재자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매우 강력했다. 이러한 이유로 아순시온을 특징짓는 파라과이 문화는 이 지역에서 강력하게 유지되었으며, 1588년 코리엔테스가 건립되면서 가축이 도입된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코리엔테스는 아르헨티나 북동부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이다.
3. 1. 과라니족의 전통 음식
일부 역사가들은 식민 시대에 독일인 여행가 울리히 슈미들이 카리오-과라니족(아순시온에 살았던 원주민 부족)이 만든 일종의 전분 빵 레시피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지적한다. 슈미들은 후일 후안 데 아욜라스가 이끄는 탐험대가 탑승한 스페인 선박의 항해 일지에 이 내용을 기록했으며, 이로써 스페인과 카리오-과라니족 간의 첫 만남이 이루어졌다.[3]
카리오-과라니 원주민들은 치파로 알려지기 전, 정복 초기부터 다양한 종류의 빵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과라니어로 "빵"을 의미하는 "mbujape"였다. mbujapé는 옥수수 가루 또는 카사바 전분을 동물성 지방과 섞어 바나나 잎으로 싸서 tanimbú에 넣어 조리했다.[3]
울리히 슈미들과 같은 여행가들의 항해 일지와 식민 시대의 역사 기록에는, 아순시온 지역에 거주했던 카리오-과라니족이 동물성 지방과 섞인 카사바, 옥수수, 단옥수수를 기반으로 한 케이크와 빵을 준비했으며, 이것을 "mbujapé"라고 불렀다는 내용이 여러 단락에 걸쳐 나타난다.[8] 카리오-과라니족의 식단은 1556년 아순시온에 가축이 도입되면서[9] 스페인 사람들이 구대륙에서 가져온 유럽 음식(소, 우유, 달걀, 치즈 등)으로 보충되었다. 이런 식으로 카리오-과라니 음식 기반(옥수수, 카사바, 호박, 고구마 등)에서 파생된 식사는 스페인 사람들이 가져온 재료와 혼합되었고, 이는 식민 시대부터 현재까지 소비되어 온 음식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3. 2. 식민지 시대의 변화
일부 역사가들은 식민 시대에 독일인 여행가 울리히 슈미들이 이미 카리오-과라니족(아순시온에 살았던 원주민 부족)이 만든 일종의 전분 빵 레시피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지적한다. 슈미들은 후일 아순시온에 도착하게 될 후안 데 아욜라스가 이끄는 탐험대가 탑승한 스페인 선박의 항해 일지에 이 내용을 기록했으며, 이로써 스페인과 카리오-과라니족 간의 첫 만남이 이루어졌다. 치파로 알려지기 전, 카리오-과라니 원주민들이 정복 초기부터 가지고 있던 다양한 빵 종류에 포함된 메뉴가 있었다. 당시 치파 이전의 음식은 과라니어mbujapegn로 "빵"을 의미했다. mbujapé를 요리하기 위해 옥수수 가루 또는 카사바 전분을 동물성 지방과 섞어 바나나 잎으로 싸서 tanimbú에 넣어 조리했다.[3]
울리히 슈미들과 같은 여행가들의 항해 일지와 식민 시대의 역사 기록에는, 아순시온 지역에 거주했던 부족인 카리오-과라니족이 동물성 지방과 섞인 카사바, 옥수수, 단옥수수를 기반으로 한 케이크와 빵을 준비했으며, 이것을 과라니어mbujapegn로 불렀다는 내용이 여러 단락에 걸쳐 나타난다.[8] 카리오-과라니족의 식단은 1556년 아순시온에 가축이 도입되면서[9] 스페인 사람들이 구대륙에서 가져온 유럽 음식(소, 우유, 달걀, 치즈 등)으로 보충되었다. 이런 식으로 카리오-과라니 음식 기반(옥수수, 카사바, 호박, 고구마 등)에서 파생된 식사는 스페인 사람들이 가져온 재료와 혼합되어 식민 시대부터 현재까지 소비되는 음식이 탄생했다. 카사바, 옥수수, 단옥수수, 파라과이 치즈, 우유, 그리고 쇠고기를 기본 재료로 하는 전형적인 파라과이 요리의 레시피는 이러한 맥락에서 탄생하게 되었다.
4. 종류
치파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파라과이에서는 약 70가지 종류가 등록되어 있다.[10][11] 지역, 재료, 조리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치파가 만들어진다.
작은 도넛이나 빵 형태로 구워지는 치파는 '치피타' 또는 '치파시토스'라고 불리며,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다.[1] 효모를 사용하지 않아 며칠 동안 보관할 수 있어 축제 음식으로 인기가 많다.[1] 이 외에도 다진 고기로 속을 채운 치파, 옥수수 가루와 땅콩을 섞어 만든 치파, 치파 아바티, 치파 로라 등 다른 재료를 사용한 치파도 있다.[2]
4. 1. 주요 종류
5. 만들기
카사바 녹말가루를 주 재료로 하며, 옥수수가루를 섞기도 한다. 달걀, 버터, 우유, 아니스를 넣고 반죽한 녹말가루 반죽에 파라과이 치즈를 섞고, 간 치즈를 추가하기도 한다.[18] 반죽을 손으로 길쭉하게 민 다음, 고리 모양으로 만들어 굽는다. 전통적으로는 흙으로 만든 커다란 불가마인 "타타쿠아(tatakuaes)"에서 구워 내며,[18] 현대에는 오븐에 굽기도 한다.
5. 1. 기본 재료
카사바 녹말가루를 주 재료로 하며, 옥수수가루를 섞기도 한다. 달걀, 버터, 우유, 아니스를 넣고 반죽한 녹말가루 반죽에 파라과이 치즈를 섞고, 간 치즈를 추가하기도 한다.[18]5. 2. 만드는 방법
주 재료는 카사바 녹말가루이며, 옥수수가루를 섞기도 한다. 달걀과 버터, 우유, 아니스를 넣고 반죽한 녹말가루 반죽에 파라과이 치즈를 섞는다. 그 외에 간 치즈를 추가하기도 한다. 반죽을 손으로 길쭉하게 민 다음, 고리 모양으로 만들어 굽는다. 전통적으로는 흙으로 만든 커다란 불가마인 "타타쿠아(tatakuaes)"에서 구워 내며,[18] 현대에는 오븐에 굽기도 한다.참조
[1]
서적
Chipa: Pan Sagrado and 70 Recipes to prepare it
[2]
서적
La comida criolla: Memoria y recetas
Popular Culture Library, Editions of EL SOL
2003
[3]
웹사이트
The chipa: Favorite food in force for more than 400 years
https://web.archive.[...]
2022-05-25
[4]
웹사이트
Argentine disregard for Paraguayan cuisine
https://elomnivoro.c[...]
2022-05-25
[5]
웹사이트
LN Destination: Areguá, a city where clay becomes art
https://www.lanacion[...]
2022-05-25
[6]
웹사이트
Audiovisuals rescue the work of potters from Itá, Tobatí and Areguá
https://www.ultimaho[...]
2022-05-25
[7]
웹사이트
History and interesting facts about yerba mate
http://locosxelmate.[...]
2022-05-25
[8]
웹사이트
Native and mestizo cuisine
https://www.abc.com.[...]
2022-05-25
[9]
웹사이트
History of cattle and refrigerators in Argentina
https://www.historia[...]
2022-05-25
[10]
웹사이트
Chipa, el pan sagrado de Paraguay
http://revistatourin[...]
2022-05-31
[11]
웹사이트
Chipa, pan de la religiosidad paraguaya y patrimonio compartido del Mercosur
https://www.ultimaho[...]
2022-05-31
[12]
웹사이트
Las chipas más ricas
https://www.abc.com.[...]
2022-05-31
[13]
웹사이트
Chipa kavure, una alternativa en invierno
https://www.abc.com.[...]
2022-05-31
[14]
웹사이트
¿Probaste el caburé? Uno de los clásicos misioneros
https://descubrirtur[...]
2022-05-31
[15]
웹사이트
Chipa de 4 quesos para los que quieren sorprender en esta Semana Santa
https://www.hoy.com.[...]
2022-05-31
[16]
웹사이트
Desde chipa de maní y hasta con gallina preparan en Punta Karapã
https://www.ultimaho[...]
2022-05-31
[17]
웹사이트
簡単チパの作り方【パラグアイの国民食】(パラグアイ移住マニュアル)
https://pukupukuch.h[...]
[18]
뉴스
"[조금 특별한 여행기] 건강 음료 마떼와 할아버지 이야기"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11-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