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사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사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31년에 태어나 1604년에 사망했다. 자는 경시, 호는 팔곡이며, 능성 구씨 출신이다. 1558년 승문원 정자로 관직을 시작하여 선조 때 우참찬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중에는 왕자를 호종했다. 그의 막내딸이 정원군과 결혼하여 인조를 낳았으며, 사후 문의 시호를 받고 능안부원군에 봉해졌다. 저서로는 유희춘, 이황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원종 - 인헌왕후
인헌왕후는 조선 추존왕 원종의 비이자 인조의 생모로, 인조반정 이후 왕후로 추존되었으며, 복잡한 왕실 혼맥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가문의 위상을 높였다. - 조선 원종 - 원종 (조선)
선조의 다섯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은 생전 정원군에 봉해졌고, 광해군 때 아들 능창군이 역모로 몰려 죽은 후 홧병으로 사망했으며, 사후 인조 즉위로 왕으로 추존되어 장릉에 안장되었다. - 1531년 출생 - 등자룡
등자룡은 명나라의 무신으로 정유재란 당시 조선에 파병되어 노량 해전에서 전사하였으며, 여러 반란 진압과 따웅우 왕조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이순신과 함께 노량 해전에서 용맹하게 싸우다 전사하여 조선에서도 그의 충성심과 용맹을 기리고 있다. - 1531년 출생 - 아고스티노 라멜리
- 1604년 사망 - 휴정
휴정은 임진왜란 때 승군을 이끌고 활약했으며, 조선 불교 중흥에 기여하고 종교 간 화합을 강조한 승려이다. - 1604년 사망 - 구와야마 가즈하루 (초대)
구와야마 가즈하루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분로쿠·게이초의 역에 참전하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야마토 신조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나 후사 없이 사망했다.
구사맹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구사맹 |
작위 | 능안부원군 |
본관 | 능성 구씨 |
출생 | 1531년 |
사망 | 1626년 (94-95세) |
사망 장소 | 한성 송현리 우사 |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
가계 | |
아버지 | 구순 |
어머니 | 전주 이씨 (의신군의 딸) |
배우자 | 서원부부인 청주 한씨 평산부부인 신지향 |
자녀 | 4남 6녀 (인헌왕후 포함) |
기타 정보 | |
시호 | 문의 (文懿) |
호 | 팔곡 (八谷) |
자 | 경시 (景時) |
2. 생애
구사맹은 1531년(중종 26년)에 태어나 1604년(선조 37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능성, 자는 경시(景時), 호는 팔곡(八谷)이다. 임진왜란 때 의정부 우참찬으로 왕자를 호종하기도 하였다.
선조 대에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1569년(선조 2년)에는 황해도 관찰사로 임명되기도 하였다.
그는 천성이 담백하고 조용하며 검소한 것을 좋아하여 재물에 욕심이 없었고, 오로지 문장을 즐겼다고 전해진다.[12] 그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부인 한씨 및 신씨와 함께 합장되어 있다.[13]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진출
1531년(중종 26년) 능성 구씨로 태어났으며, 자는 경시(景時), 호는 팔곡(八谷)이다. 아버지는 사헌부 감찰을 지낸 구순이며, 어머니는 전주 이씨 의신군 이징원의 딸이다.1549년(명종 4년) 19세에 진사시에 합격하였고,[2] 1558년(명종 13년) 27세에 무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2]
1560년 장군이 되었고, 3년 후 명나라에 사은사(謝恩使)의 서장관으로 갔다.[3] 이후 이조좌랑과 이조정랑을 지냈다.
1567년 명종이 죽은 후 빈전도감제조가 되었다.[4]
2. 2. 선조 대의 활동
1567년 명종이 승하한 후 구사맹은 빈전도감제조가 되었다.[4] 1569년(선조 2년) 황해도 관찰사로 임명되었다.1587년 그의 막내딸 중 한 명이 정원군과 혼인하여 선조의 아들이 되었고, 슬하에 세 아들을 낳았으며, 그 중 한 명이 훗날 왕위에 올랐다.
이후 선조 재위 기간 동안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에서 근무하였다. 임진왜란 중인 1597년(선조 30년)에는 여러 왕자들을 보좌하는 우참찬(2품)을 역임하였다.[5]
2. 3. 사망과 추증
1604년(선조 37년) 음력 4월 1일 판의금부사로 있던 중 지병이 재발하여 향년 74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사후 시호 문의(文懿)가 내려지고, 호성 선무 정난 삼원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능안부원군에 봉해졌다[11]. 그의 졸기에는 "천성이 담백하고 조용하였으며, 검소한 것을 좋아하여 땅이나 집을 장만하지 않고 오로지 문장을 즐겼다."라고 적혀 있다[12].인조가 즉위한 후, 외조부에게 '''능안부원군'''이라는 시호를 내렸다.[6][7]
현재 그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으며, 부부인 한씨 및 부부인 신씨와 함께 합장되어 있다[13].
3. 가계
구사맹은 구수영의 증손으로, 증조모는 영응대군의 장녀 길안현주 이억천이다. 조부는 구희경, 조모는 신승선의 차남 신수겸의 딸인 거창 신씨이다. 아버지는 구순[14]이며, 어머니는 전주 이씨이다. 외조부는 효령대군의 증손자인 의신군 이징원이고, 외조모는 언양 김씨이다.
구사맹은 서원부부인[15] 청주 한씨와 평산부부인 신지향(1538~1622)과 혼인하였다. 평산부부인 신씨와의 사이에서 구성, 구횡, 구굉 등 여러 아들과 인헌왕후를 포함한 딸들을 두었다.
3. 1. 가계 개관
항목 | 내용 |
---|---|
증조부 | 구수영(1456 ~ 1523) |
증조모 | 길안현주 이억천(1457 ~ 1519) - 영응대군의 장녀 |
조부 | 구희경(1488 ~ ?) |
조모 | 거창 신씨 - 신승선의 차남 신수겸의 딸 |
아버지 | 구순(1507 ~ ?)[14] |
외조부 | 의신군 이징원(1492 ~ ?) - 효령대군의 증손자 |
외조모 | 언양 김씨 - 첨사 김영년의 딸 |
어머니 | 전주 이씨(1506 ~ ?) |
형제 | 구사안(1523 ~ 1562) - 중종의 7녀 효순공주의 부마 |
구진옥(1524 ~ ?) | |
구애옥(1527 ~ ?) | |
구사증(1528 ~ ?) | |
구소옥(1530 ~ ?) | |
구계향(1534 ~ ?) | |
구사중(1535 ~ ?) | |
구옥순(1539 ~ ?) | |
구사민(1542 ~ ?) | |
장인 | 한극공 |
정부인 | 서원부부인[15] 청주 한씨 |
장인 | 신화국(1517 ~ 1578) |
장모 | 파평 윤씨 - 윤회정의 딸 |
계부인 | 평산부부인 신지향(1538 ~ 1622) |
3. 2. 상세 가계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증조부 | 구수영 | 1456 ~ 1523 | |
증조모 | 길안현주 이억천 | 1457 ~ 1519 | 영응대군의 장녀 |
조부 | 구희경(具希璟) | 1488 ~ ? | |
조모 | 거창 신씨 | ~ ? | 신승선의 차남 신수겸(愼守謙)의 딸 |
아버지 | 구순(具淳/具諄)[14] | 1507 ~ ? | |
외조부 | 의신군 이징원(義新君 李澄源) | 1492 ~ ? | 효령대군의 증손자 |
외조모 | 언양 김씨 | ~ ? | 첨사(僉使) 김영년(金永年)의 딸 |
어머니 | 전주 이씨 | 1506 ~ ? | |
형 | 능원위(綾原尉) 구사안 | 1523 ~ 1562 | 중종의 7녀 효순공주의 부마 |
누나 | 구진옥(具眞玉) | 1524 ~ ? | |
누나 | 구애옥(具愛玉) | 1527 ~ ? | |
형 | 구사증(具思曾) | 1528 ~ ? | |
누나 | 구소옥(具小玉) | 1530 ~ ? | |
여동생 | 구계향(具桂香) | 1534 ~ ? | |
남동생 | 구사중(具思仲) | 1535 ~ ? | |
여동생 | 구옥순(具玉純) | 1539 ~ ? | |
남동생 | 구사민(具思閔) | 1542 ~ ? | |
장인 | 한극공(韓克恭) | ~ ? | |
정부인 | 서원부부인[15] 청주 한씨 부인 | ~ ? | |
장인 | 신화국(申華國) | 1517 ~ 1578 | |
장모 | 파평 윤씨 | ~ ? | 윤회정(尹懷貞)의 딸 |
계부인 | 평산부부인 신지향 | 1538 ~ 1622 | |
장남 | 구성(具宬) | 1558 ~ 1618 | |
며느리 | 하동 정씨 | ~ ? | 별좌(別坐) 정억령(鄭億齡)의 딸 |
며느리 | 전주 이씨 | ~ ? | 군수(郡守) 증 도승지(贈 都承旨) 이갱(李鏗)의 딸 |
손자 | 구인기(具仁基) | ~ ? | |
손자 | 구인후 | 1578 ~ 1658 | 숙부 구횡(具宖)의 양자로 출계 |
손자 | 구인학(具仁壆) | ~ ? | |
손녀 | ~ ? | ~ ? | 풍해군 이호(豐海君 李浩)의 처 |
손녀 | ~ ? | ~ ? | 유충걸(柳忠傑)의 처 |
손녀 | ~ ? | ~ ? | 박린(朴潾)의 처 |
차남 | 구횡(具宖) | 1562 ~ ? | 백부 구사안의 양자로 출계 |
장녀 | 구경완(具敬婉) | 1563 ~ ? | |
사위 | 심의겸의 아들 심엄(沈㤿) | 1563 ~ 1609 | |
외손자 | 심광세(沈光世) | 1577 ~ 1624 | |
외손자 | 심정세(沈挺世) | 1579 ~ 1613 | |
외손자 | 심명세(沈命世) | 1587 ~ 1632 | |
외손자 | 심장세(沈長世) | 1594 ~ 1660 | |
외손자 | 심안세(沈安世) | 1598 ~ 1616 | |
외손자 | 심필세(沈弼世) | ~ ? | |
외손자 | 심희세(沈凞世) | 1601 ~ 1645 | |
외손녀 | ~ ? | ~ ? | 유준의 처 |
외손녀 | ~ ? | ~ ? | 성여용의 처 |
외손녀 | 청송 심씨 | 1585 ~ 1658 | 이식의 처 |
외손녀 | ~ ? | ~ ? | 이승형의 처 |
차녀 | 구효완(具孝婉) | 1567 ~ ? | |
사위 | 남양 홍씨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홍희(洪憙) | ~ ? | |
3녀 | 구정완(具靜婉) | 1568 ~ ? | |
사위 | 안동 권씨 권유남(權裕男) | ~ ? | |
차남 | 구홍(具宖) | 1569 ~ 1601 | |
며느리 | 신혜정 | 1561 ~ ? | 주부(主簿) 증 승지(贈 承旨) 신사정(申士楨)[16]의 딸 |
3남 | 구용(具容) | 1569 ~ 1601 | |
며느리 | 죽산 안씨 | ~ ? | 찰방(察訪) 안경사(安景泗)의 딸 |
손자 | 구인중(具仁重) | ~ ? | |
손녀 | ~ ? | ~ ? | 김신(金愼)의 처 |
4녀 | 구장완(具莊婉) | 1571 ~ ? | |
사위 | 광산 김씨 김덕망(金德望) | ~ ? | |
4남 | 구굉 | 1577 ~ 1642 | |
며느리 | 순창 조씨 | ~ ? | 사의(司議) 조정(趙玎)의 딸 |
손자 | 구인기(具仁墍) | 1597 ~ 1676 | |
손녀 | ~ ? | ~ ? | 이입신(李立身)의 처 |
손녀 | ~ ? | ~ ? | 유구(柳䪷)의 처 |
5녀 | 인헌왕후 | 1578 ~ 1626 | |
사위 | 정원군 | ~ ? | |
외손자 | 능양군 이종 | 1595 ~ 1649 | |
외손자 | 능원군 이보 | 1598 ~ 1656 | |
외손자 | 능창군 이전(綾昌君 李佺) | 1599 ~ 1615 | |
6녀 | 구신완(具愼婉) | 1582 ~ ? | |
사위 | 고성 이씨 이박(李璞) | ~ ? | 증 승지(贈 承旨) |
4. 저서
참조
[1]
웹사이트
인조 대왕 행장(行狀)
http://sillok.histor[...]
2021-09-10
[2]
웹사이트
비변사 당상을 인견하고 군량 수송, 명군의 진격, 호남의 방어 등을 논의하다
http://sillok.histor[...]
2021-09-10
[3]
웹사이트
왜적을 잡을 때 중국인을 죽인 것을 살피게 하고 천거의 무방함을 말하다
http://sillok.histor[...]
2021-09-10
[4]
서적
국역택당집, Vol. 7
https://books.google[...]
National Culture Promotion Association
1996
[5]
서적
리조 실록: 선조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Publishing House
1975
[6]
웹사이트
새 능의 터 내에 있는 종친과 신하들의 무덤은 예우하여 옮겨가게 하다
http://sillok.histor[...]
2021-09-10
[7]
웹사이트
구사맹(具思孟)
https://m.blog.naver[...]
2021-09-10
[8]
웹사이트
따뜻한 성품에 비단옷 걸치지 않은 왕의 어머니
https://mnews.sarang[...]
2017-12-01
[9]
웹사이트
장릉章陵(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https://royaltombs.c[...]
2021-09-10
[10]
서적
왕비로 산다는 것
https://books.google[...]
Maekyung Publishing
2020
[11]
웹사이트
《국역 국조인물고》〈구사맹〉항목
https://terms.naver.[...]
[12]
웹사이트
선조수정실록 38권, 선조 37년 4월 1일 신사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3]
웹사이트
《두산백과》〈구사맹묘와 신도비〉항목
https://terms.naver.[...]
[14]
웹사이트
인조실록 12권, 인조 4년 3월 21일 갑자 7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5]
웹사이트
인조실록 27권, 인조 10년 12월 8일 신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6]
문서
경현공주 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