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창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창군은 조선 선조의 서9남으로, 정빈 홍씨의 소생이다. 1596년에 태어나 1644년에 사망했으며, 광해군, 인조 시대를 거치며 정치적 희생 없이 천수를 누렸다. 8세에 경창군에 봉해졌으며, 인조반정 이후 소현세자의 관례에 참여하고 정운 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632년 아들 양녕군이 역모에 연루되기도 했으며, 초피 매점매석으로 탄핵을 받기도 했다. 1871년 고종으로부터 효헌의 시호를 받았으며, 창녕 조씨와 결혼하여 4남 3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선조의 자녀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 1596년 출생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해석기하학 창시 등 수학과 과학에도 기여했고, 방법적 회의와 이원론 철학으로 서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96년 출생 - 고미즈노오 천황
고미즈노오 천황은 1596년에 태어나 1611년 즉위하여 1629년 양위한 일본의 108대 천황으로, 막부의 통제 속에서 권위 실추를 겪었으며 도후쿠몬인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낳고 저서를 남겼다. - 1644년 사망 - 숭정제
숭정제는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로, 내우외환 속에서 명나라 멸망의 책임을 지고 자결했으며, 그의 죽음은 명나라 멸망을 상징하고 청나라의 중국 지배의 계기가 되었다. - 1644년 사망 - 도이 도시카쓰
도이 도시카쓰는 에도 막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 쇼군을 섬기며 막부의 정치, 행정, 재정 등 여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막번 체제 확립과 외교, 통화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나, 후반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인물이다.
경창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조선 선조의 왕자 |
시호 | 효헌 (孝獻) |
배우자 | 군부인 창녕 조씨 |
자녀 | 6남 5녀 |
휘 | 이주 (李珘) |
아버지 | 선조 |
어머니 | 정빈 홍씨 |
출생일 | 1596년 9월 23일 (음력) |
출생지 | 조선 평안도 평양 전중 행궁 |
사망지 | 조선 경기도 남양 사저 |
사망일 | 1644년 1월 16일 (음력) |
2. 생애
경창군은 조선 제14대 왕 선조의 아홉째 서자로, 어머니는 후궁 정빈 홍씨이다. 임진왜란 중이던 1596년(선조 29년) 음력 9월 23일에 태어났다.[1] 이름은 주(珘)이며, 본관은 전주이다. 정정옹주와 친남매간이며, 광해군, 임해군, 정원군의 이복 동생이자 영창대군의 이복 형이다.
1603년(선조 36년) 8세에 '''경창군'''(慶昌君)에 봉해졌고,[5] 1608년(광해군 즉위년) 유영경의 옥사 직후 정운원종공신 1등(定運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1610년(광해군 2년) 15세에 정원군(훗날의 원종) 주관으로 혼례를 올렸으며,[6] 1617년(광해군 9년) 음력 11월 인목왕후 폐비론이 일자 폐비에 찬성하였다.[7]
인조 즉위 후 1625년(인조 3년) 음력 1월 21일 소현세자의 관례에 주인(主人) 자격으로 참여하여 안구마[9] 1필을 하사받았다.[8][10] 1628년(인조 6년) 인성군의 역모 혐의에 대한 처벌을 요청했으나,[11] 1631년(인조 9년) 이귀와 김자점 등에게서 폐단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탄핵 대상이 되었다.[12]
1632년(인조 10년) 음력 10월 16일 아들 양녕군이 회은군의 상소로 역모에 휘말렸다. 양녕군은 임해군(광해군의 친형)의 양자로 입적된 상태였는데, 경창군이 양녕군을 위해 역모를 꾸민다는 내용이었다. 국청이 열렸으나 거짓으로 판명되어 무사하였다.[13] 1636년(인조 14년) 사헌부로부터 초피[14] 매점매석 혐의로 탄핵받았으나, 인조가 처벌하지 않았다.[15]
1644년(인조 22년) 음력 1월 16일 49세로 사망하였다.[16] 경창군의 묘지명에는 1월 17일 사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광해군과 인조 대에 걸쳐 친척들이 많이 희생되었지만, 경창군은 정치적 희생 없이 천수를 누렸다.
2. 1. 가계 및 출생
조선 제14대 왕 선조의 서9남으로, 어머니는 후궁 정빈 홍씨이다. 임진왜란이 한창이던 1596년(선조 29년) 음력 9월 23일[1]에 태어났다. 성은 이, 이름은 주(珘)이다. 정정옹주의 친동생이며, 광해군, 임해군, 정원군의 이복 동생이자 영창대군의 이복 형이다. 본관은 전주이다.생모 정빈 홍씨는 남양 홍씨 홍여겸의 딸로[2], 1580년(선조 13년) 종2품 숙의에 책봉되어 입궁하였다[3]. 이후 정1품 빈에 올랐으며, 인조 연간에 사망하였다[4].
2. 2. 왕자 시절
1603년(선조 36년) 8살 때 '''경창군'''(慶昌君)에 봉해졌다.[5] 1608년(광해군 즉위) 유영경의 옥사 직후 정운원종공신 1등(定運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1610년(광해군 2년) 15살 때 정원군(훗날의 원종)의 주관으로 혼례를 올렸다.[6] 1617년(광해군 9년) 음력 11월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에 대한 폐비론이 불거졌을 때는 폐비에 찬성하는 의견을 냈다.[7]인조 즉위 후 1625년(인조 3년) 음력 1월 21일에 있었던 소현세자의 관례에 주인(主人)의 자격으로 참여하였으며,[8] 그 공으로 안구마[9] 1필을 하사받았다.[10] 1628년(인조 6년)에는 역모 혐의를 뒤집어 쓴 인성군에 대한 처벌을 요청하였으나,[11] 1631년(인조 9년)에는 이귀와 김자점 등으로부터 폐단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경창군 자신이 탄핵의 대상이 되었다.[12]
1632년(인조 10년) 음력 10월 16일에는 아들 양녕군이 회은군의 상소로 인해 역모에 휘말렸다. 당시 양녕군은 경창군의 이복 형 임해군(광해군의 친형)의 양자로 들어가 있었는데, 경창군이 이러한 양녕군을 위해 남몰래 역모를 꾸민다는 이야기였다. 당시 국청까지 열렸으나 역모 고변이 거짓으로 판명나면서 경창군은 무사하였다.[13] 1636년(인조 14년)에는 초피[14]를 헐값에 사들여 매점매석을 하는 바람에 사헌부로부터 또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인조는 이에 대해 별다른 처벌을 하지 않고 지나갔다.[15]
2. 3. 사망과 후손
1644년(인조 22년) 음력 1월 16일 향년 4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6] 경창군의 묘지명에는 1월 17일 사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광해군, 인조 때 많이 희생된 그의 친척들과 달리 그는 정치적으로 희생되지 않고 천수를 누렸다. 1871년(고종 8년) 음력 3월 16일 고종으로부터 효헌(孝獻)의 시호를 받았다.경창군은 창녕 조씨 조명욱의 딸과 혼인하여 4남 3녀를 두고, 측실에게서 2남 2녀를 두었다. 창녕 조씨는 예의가 있었으나 경창군보다 5년 먼저인 1639년(인조 17년)에 사망하였다.[1] 조씨 소생의 장남 창원군과 차남 양녕군은 각각 임해군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나 모두 요절하였고, 3남 평운군은 신성군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며 1659년(현종 즉위년)에 수릉관에 임명되었다.[17] 4남은 창성군이다. 장녀는 이후걸에게, 차녀는 류연에게, 3녀는 심약하에게 시집갔다. 한편 측실 소생의 두 아들은 창임군과 창흥군이다.[2]
1864년(고종 1년)에는 그의 후손들이 각각 흥완군과 영평군의 양자로 선발되어 그 후사를 이었다.[18][19]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선조 | 조선 제14대 왕 |
생모 | 정빈 홍씨 | |
누나 | 정정옹주 | [20] |
장인 | 조명욱 | 부사, 증 좌의정 |
부인 | 창녕 조씨 | 군부인[21] |
장녀 | 이혜숙(李惠淑) | 용인 이씨 이후걸(李後傑)에게 출가[22] |
장남 | 창원군 이준(李儁) | 임해군의 양자로 출계[21][23] |
며느리 | 청주 한씨 | 현감 한사덕(韓師德)의 딸 |
차남 | 양녕군 이경(李儆) | 임해군의 양자로 출계 |
차녀 | 이옥란(李玉蘭) | 진주 류씨 류연(柳㝚)에게 출가[24] |
3녀 | 이말란(李唜蘭) | 청송 심씨 심약하(沈若河)에게 출가[25][26] |
3남 | 평운군 이구(李俅) | 신성군의 양자로 출계 |
4남 | 창성군 이필(昌城君 佖) | 영창대군의 양자로 출계[21][27] |
측실 | 일은(日隱) | 양민 출신 |
서장남 | 창림군(昌臨君) 이일(李佾) | 의창군의 양자로 출계[21] |
측실 | 득환(得環) | 속 양민 |
서장녀 | 이백덕(李百德) | 구취형(丘就衡)에게 출가[28] |
측실 | 덕지(德只) | 속 양민 |
서차남 | 창흥군(昌興君) 이수(李脩) | [29] |
며느리 | 고령 박씨 | 박세유(朴世裕)의 딸 |
측실 | 애운(愛雲) | 속 양민 |
서차녀 | 이천금(李千今) | 순흥 안씨 안집(安㙫)에게 출가[30] |
4.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출력을 반환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국조인물고 〈이주〉
https://terms.naver.[...]
[2]
웹인용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경창군 약사
http://www.rfo.co.kr[...]
2012-07-18
[3]
문헌
《조선왕조실록》선조 14권, 13년(1580 경진 / 명 만력 8년) 5월 26일(갑오) 1번째기사
[4]
문헌
《조선왕조실록》인조 37권, 16년(1638 무인 / 명 숭정 11년) 11월 18일(병자) 2번째기사
[5]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경창군〉
http://people.aks.ac[...]
2012-07-18
[6]
문헌
《조선왕조실록》광해 31권, 2년(1610 경술 / 명 만력 38년) 7월 1일(갑진) 2번째기사
[7]
문헌
《조선왕조실록》광해 121권, 9년(1617 정사 / 명 만력 45년) 11월 25일(병술) 10번째기사
[8]
문헌
《조선왕조실록》인조 8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1월 21일(경오) 1번째기사
[9]
문서
안장을 지운 말
[10]
문헌
《조선왕조실록》인조 8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2월 6일(을유) 3번째기사
[11]
문헌
《조선왕조실록》인조 18권, 6년(1628 무진 / 명 천계(天啓) 8년) 1월 20일(임오) 2번째기사
[12]
문헌
《조선왕조실록》인조 25권, 9년(1631 신미 / 명 숭정 4년) 10월 11일(신해) 2번째기사
[13]
문헌
《조선왕조실록》인조 27권, 10년(1632 임신 / 명 숭정 5년) 10월 16일(경진) 2번째기사
[14]
문서
방한용 모피
[15]
문헌
《조선왕조실록》인조 32권, 14년(1636 병자 / 명 숭정 9년) 1월 19일(을축) 2번째기사
[16]
문헌
《조선왕조실록》인조 45권, 22년(1644 갑신 / 명 숭정 17년) 1월 16일(을사) 2번째기사
[17]
문헌
《조선왕조실록》현종 1권, 즉위년(1659 기해 / 청 순치 16년) 5월 4일(갑자) 3번째기사
[18]
문헌
《조선왕조실록》고종 1권, 1년(1864 갑자 / 청 동치 3년) 8월 13일(신사) 2번째기사
[19]
문헌
《조선왕조실록》고종 1권, 1년(1864 갑자 / 청 동치 3년) 9월 21일(기미) 3번째기사
[20]
웹사이트
디지털안산문화대전 〈정정옹주 묘〉
http://ansan.grandcu[...]
[21]
웹사이트
선조자손록 권3
http://visualjoseon.[...]
[22]
웹사이트
http://royal.aks.ac.[...]
[23]
문서
《[[선원록]]》이나 《[[선원계보기략]]》에는 양자로 들어간 부분이 나타나지 않는다.
[24]
웹사이트
http://royal.aks.ac.[...]
[25]
웹사이트
http://royal.aks.ac.[...]
[26]
문서
광주부윤 심총의 아들 · 응교 심광세의 손자 · 증 영의정 심엄의 증손자 · 병조판서 [[심의겸]]의 고손자
[27]
문서
선원보략수정의궤(璿源譜略修正儀軌) 1874년 판에 기록되어 있음
[28]
웹사이트
http://royal.aks.ac.[...]
[29]
문서
일제강점기 시기의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소응 (1852년)|이소응]]의 7대조
[30]
웹사이트
http://royal.aks.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