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항복은 경주 이씨 출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하고 영의정을 지낸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임진왜란 때 호성공신 1등, 선무원종공신 1등, 정운원종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 이덕형과의 우정을 소재로 한 《오성과 한음》 이야기로도 유명하다. 광해군 때 인목대비 폐위에 반대하다가 관직을 삭탈당하고 유배되어 북청에서 사망했다. 저서로는 《백사집》, 《북천일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성공신 - 심충겸
심충겸은 조선 선조 때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하고 동서분당의 발단이 된 인물이며, 임진왜란 당시 광해군의 분조에 참여하여 군량 조달에 공을 세워 호성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위성공신 자격은 인조 반정 이후 삭탈되었다. - 평난공신 - 이산해
이산해는 조선 중기 문신이자 정치가로, 뛰어난 문장과 서화 실력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동인으로 활동, 서인과의 당쟁 속에서 북인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임진왜란 초기 정국 운영에 대한 비판과 함께 사후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이다. - 평난공신 - 한응인
한응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문과에 급제 후 정여립 모반 고변 공로로 평난공신 1등에 책록되었고 임진왜란 때 활약했으나, 광해군 때 삭탈되었다가 인조반정 후 복권되었으며, 사후 안산시에 묘역이 조성되었다. - 호성공신 - 심우승
심우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기대승의 문하에서 수학,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승진을 거듭했으며, 호조참의 재직 중 재정 안정에 기여, 경기감사 재임 시에는 세금과 부역을 균등하게 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고 사후 호성공신 2등에 책록, 청계부원군으로 추봉,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호성공신 - 이원익
이원익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선조, 광해군, 인조 3대에 걸쳐 대사헌, 이조판서, 영의정을 역임하며 활약했고, 대동법을 건의하여 백성을 구휼하였으며, 청렴하고 검소한 생활로 청백리에 녹선된 인물이다.
이항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이항복 |
한자 이름 | 李恒福 |
자 | 자상(子常) |
호 | 백사(白沙) |
출생일 | 1556년 11월 16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618년 7월 4일 |
사망지 | 조선 함경도 북청부(유배지) |
국적 | 조선 |
본관 | 경주 |
거주지 | 조선 한성부 |
관직 정보 | |
직책 | 조선의 승정원 동부승지 겸 당상관 |
임기 | 1590년 2월 1일 ~ 1592년 2월 29일 |
임금 | 조선 선조 이연 |
학력 및 경력 | |
학력 | 1580년 문과 급제 |
분야 | 성리학 |
경력 | 문관, 학자, 정치가, 시인, 작가 |
당파 | 서인 세력 |
가족 정보 | |
배우자 | 안동 권씨 부인 |
자녀 | 장자 이성남(李星男) 차자 이정남(李井男) 삼자 이규남(李奎男) 사자 이기남(李箕男) |
아버지 | 이몽량(李夢亮) |
친인척 | 권율(장인) |
2. 주요 전력
본관은 경주, 자는 자상(子常), 호는 백사(白沙)·필운(弼雲)·청화진인(靑華眞人)·동강(東岡)·소운(素雲),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우참찬(右參贊)을 지낸 이몽량(李夢亮)의 아들이며, 도원수 권율의 사위이다. 경주 이씨(慶州 李氏) 백사공파(百沙公派)의 파조(派祖)이다.[1]
임진왜란 당시 조선 선조를 수행하여 의주까지 몽양을 다녀왔으며, 호성공신 1등으로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에 봉해졌다.[1] 참판,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00년 영의정에 이르렀다.[1] 1604년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一等), 1608년 정운원종공신 1등(定運功臣一等)에 녹훈되었다.[1]
죽마고우 이덕형과의 우정 이야기 《오성과 한음》대감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1]
3. 생애
1556년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형조판서와 우참찬을 지낸 이몽량(李夢亮)의 넷째 아들로, 어릴 적부터 영특하고 해학이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9세 때 아버지를, 16세 때 어머니 전주 최씨를 여의었으나, 어머니의 교훈으로 학업에 정진, 학궁(學宮)에서 수학하였다. 영의정 권철의 권유로 그의 아들 권율의 딸 안동 권씨와 혼인하였다.
1580년(선조 13년) 문과에 급제하고 이듬해 한림학사가 되었다.[2] 1583년에는 율곡 이이의 추천으로 친구인 이덕형과 함께 호당에 들어가 사가독서를 했다.[2] 또 홍문관인 옥당의 벼슬아치로 천거받았다.[2] 호조참의가 되어 전곡(錢穀)의 출납에 밝았으므로 판서 윤두수에게 칭찬을 받았다. 1589년 예조정랑으로서 정여립의 모반 사건을 처리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 3등이 되고 오성군(鰲城君)에 봉해졌다. 어지러운 붕당 정치에 깊이 개입하지 않으려고 슬기와 인내로써 항상 조심하였으며, 본디 재치와 익살이 뛰어난 인물이었다. 그러나 당시 건저 사건이 일어나 정철이 수괴(首魁)로 몰리게 되었는데 친구들이 찾아가는 자가 없었으나 이항복이 꺼림 없이 방문했으며, 승지(承旨) 때 정철의 죄안을 처리하는 데 태만하였다고 탄핵을 받아 파면되었다.
1590년 35세에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동부승지에 올랐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도승지로서 선조를 모시고 개성으로 피난을 갔고, 의주로 피난가는 도중에 이조참판에 올랐다.[2] 다시 두 왕자들을 모시고 먼저 평양으로 가서 형조판서에 특진하고 병조판서로 옮겨 왜군 격퇴의 지휘권을 얻게 되었다.[2]
이때 조선 정부에서는 선조를 함흥으로 모시려고 했으나, 명나라와 연락을 취하기 위해서는 영변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하여, 영변과 정주를 거쳐 의주에 이르렀다.[2] 의주에서 명나라에서 들어온 황응양(黃應暘)에게 조선과 일본이 협력하여 중국을 치려 한다는 유언에 대한 의심을 풀게 하고 구원의 대병이 이르게 하였다.[2] 그동안 형조판서를 거쳐 전란 중, 이덕형과 교대로 병조판서를 맡으며 명나라에게 원군을 요청하는 동시에 왕실 근위대 정비에 전력을 다하고 올바른 정치로 선조를 보필하였다.[2] 그리고 이조판서, 우참찬 등도 했다.[2]
임진왜란 중에는 명나라 사신 정응태(丁應泰)의 무고 사건으로 위기에 빠지기도 하였다.[3][4] 정응태는 명나라 구원병 책임자로 조선에 와 있던 양호(楊鎬) 장군과 갈등하던 중 “조선이 일본과 짜고 명나라를 침공할 것이다.”라고 명나라 조정에 허위로 보고를 했다.[3][4] 만약 명나라가 지원군을 회군한다면 전력에 손실이 나타나 절체절명의 순간이었으나 이항복은 당시 공조참판인 월사 이정구를 부사로, 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을 서장관으로 대동하고 명나라 연경으로 건너가 명나라로 하여금 정응태를 파면케 하여 사건을 무마하였다.[3][4]
1604년(선조 34) 임진왜란 관련 신하들을 포상할 때 그는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一等)에 녹훈되었다.[2] 1605년 청난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608년(광해군 즉위) 유영경의 옥사 직후 영중추부사로 재직 중 정운원종공신 1등(定運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3] 이후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며 물러났다가 다시 우의정을 거쳐서 좌의정이 되었다.
계축옥사 당시 좌의정을 겸하면서 훈련도감 도제조와 체찰사로 근무하고 있었다. 이항복은 임해군의 사사 때 정인홍 등의 탄핵을 받았고, 영창대군의 사사와 인목대비 폐서인 사건이 논의될 때 이들에게 온갖 정성과 지혜를 경주했으며 목숨까지 바쳐가며 적극적으로 구제하고자 하였다. 국모를 폐위하는 논의가 결정되어 인목대비가 폐모되어 서궁에 갇히는 반인륜적인 사건이 발발하자 이항복은 비로소 글을 올려 극력 부당함을 간하였다.[3]
평생토록 당쟁에 가담하지 않았으나, 대북파에 의해서 폐모론이 거론되자 이에 반대하며 서인(西人)에 가담하였다. 1617년 인목대비의 폐위에 적극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하다가 1617년 12월 21일(음력 11월 24일) 관직을 삭탈당하고 북청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3] 그러나 이때 중풍이 재발하여 반신불수의 몸이 되고, 조정은 이항복의 신병 처리에 당황해했다. 1617년 음력 12월 16일(양력 1618년 1월 12일) 이항복의 유배지를 다른 곳으로 옮기라는 위리 안치의 명이 떨어진 이후 계속 유배지를 옮겨다니며 17일 용강, 18일, 흥해, 21일 창성, 24일 경원, 28일 삼수로 다니다가 1618년 1월 31일(음력 1월 6일) 북청으로 유배되어 그 곳에서 죽었다.[3]
광해군은 7월 9일(음력 5월 18일) 이덕형 사후의 예에 따라 이항복의 관작을 회복시키고 예장을 명했으며, 경유지마다 관에서 운구에 협조할 것을 명했다.[2] 정충신이 이항복의 시신을 수행하여 선산이 있는 경기도 포천으로 8월 7일(음력 6월 17일) 출발하여 8월 31일(음력 7월 12일) 도착했다.[2] 묘는 경기도 기념물 제24호로,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산4번지에 위치해 있다.
《상신록》(相臣錄)에 실렸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2] 북청과 포천의 선비들이 각각 사당을 세워 모셨으며, 효종 때부터 화산서원과 노덕서원 등지에 제향되었다.[3] 한음 이덕형 가문과의 우의는 지금도 이어지며 정인보 가계와도 친분이 있다고 한다.[3] 후손에 이광좌(李光佐), 이태좌(李台佐), 이종성(李宗城), 이경일(李敬一), 이유원(李裕元)은 정승에 올랐으며 소론의 명문가로서 독립운동가인 이회영, 이시영 형제도 이항복의 후손이다.
생애는 연보 및 계곡 장유가 쓴 행장과 상촌 신흠이 쓴 신도비명에 남겨졌다.[3]
3. 1. 초기 생애
1556년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형조판서와 우참찬을 지낸 이몽량(李夢亮)의 넷째 아들로, 어릴 적부터 영특하고 해학이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9세 때 아버지를, 16세 때 어머니 전주 최씨를 여의었으나, 어머니의 교훈으로 학업에 정진, 학궁(學宮)에서 수학하였다. 영의정 권철의 권유로 그의 아들 권율의 딸 안동 권씨와 혼인하였다.
3. 2. 관직 생활
1580년(선조 13년) 문과에 급제하고 이듬해 한림학사가 되었다.[2] 1583년에는 율곡 이이의 추천으로 친구인 이덕형과 함께 호당에 들어가 사가독서를 했다.[2] 또 홍문관인 옥당의 벼슬아치로 천거받았다.[2] 호조참의가 되어 전곡(錢穀)의 출납에 밝았으므로 판서 윤두수에게 칭찬을 받았다. 1589년 예조정랑으로서 정여립의 모반 사건을 처리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 3등이 되고 오성군(鰲城君)에 봉해졌다. 어지러운 붕당 정치에 깊이 개입하지 않으려고 슬기와 인내로써 항상 조심하였으며, 본디 재치와 익살이 뛰어난 인물이었다. 그러나 당시 건저 사건이 일어나 정철이 수괴(首魁)로 몰리게 되었는데 친구들이 찾아가는 자가 없었으나 이항복이 꺼림 없이 방문했으며, 승지(承旨) 때 정철의 죄안을 처리하는 데 태만하였다고 탄핵을 받아 파면되었다.
1590년 35세에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동부승지에 올랐다.
3. 3. 임진왜란과 활약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도승지로서 선조를 모시고 개성으로 피난을 갔고, 의주로 피난가는 도중에 이조참판에 올랐다.[2] 다시 두 왕자들을 모시고 먼저 평양으로 가서 형조판서에 특진하고 병조판서로 옮겨 왜군 격퇴의 지휘권을 얻게 되었다.[2]
이때 조선 정부에서는 선조를 함흥으로 모시려고 했으나, 명나라와 연락을 취하기 위해서는 영변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하여, 영변과 정주를 거쳐 의주에 이르렀다.[2] 의주에서 명나라에서 들어온 황응양(黃應暘)에게 조선과 일본이 협력하여 중국을 치려 한다는 유언에 대한 의심을 풀게 하고 구원의 대병이 이르게 하였다.[2] 그동안 형조판서를 거쳐 전란 중, 이덕형과 교대로 병조판서를 맡으며 명나라에게 원군을 요청하는 동시에 왕실 근위대 정비에 전력을 다하고 올바른 정치로 선조를 보필하였다.[2] 그리고 이조판서, 우참찬 등도 했다.[2]
임진왜란 중에는 명나라 사신 정응태(丁應泰)의 무고 사건으로 위기에 빠지기도 하였다.[3][4] 정응태는 명나라 구원병 책임자로 조선에 와 있던 양호(楊鎬) 장군과 갈등하던 중 “조선이 일본과 짜고 명나라를 침공할 것이다.”라고 명나라 조정에 허위로 보고를 했다.[3][4] 만약 명나라가 지원군을 회군한다면 전력에 손실이 나타나 절체절명의 순간이었으나 이항복은 당시 공조참판인 월사 이정구를 부사로, 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을 서장관으로 대동하고 명나라 연경으로 건너가 명나라로 하여금 정응태를 파면케 하여 사건을 무마하였다.[3][4]
1604년(선조 34) 임진왜란 관련 신하들을 포상할 때 그는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一等)에 녹훈되었다.[2] 1605년 청난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3. 4. 광해군 시대와 유배
1608년(광해군 즉위) 유영경의 옥사 직후 영중추부사로 재직 중 정운원종공신 1등(定運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3] 이후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며 물러났다가 다시 우의정을 거쳐서 좌의정이 되었다.
계축옥사 당시 좌의정을 겸하면서 훈련도감 도제조와 체찰사로 근무하고 있었다. 이항복은 임해군의 사사 때 정인홍 등의 탄핵을 받았고, 영창대군의 사사와 인목대비 폐서인 사건이 논의될 때 이들에게 온갖 정성과 지혜를 경주했으며 목숨까지 바쳐가며 적극적으로 구제하고자 하였다. 국모를 폐위하는 논의가 결정되어 인목대비가 폐모되어 서궁에 갇히는 반인륜적인 사건이 발발하자 이항복은 비로소 글을 올려 극력 부당함을 간하였다.[3]
평생토록 당쟁에 가담하지 않았으나, 대북파에 의해서 폐모론이 거론되자 이에 반대하며 서인(西人)에 가담하였다. 1617년 인목대비의 폐위에 적극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하다가 1617년 12월 21일(음력 11월 24일) 관직을 삭탈당하고 북청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3] 그러나 이때 중풍이 재발하여 반신불수의 몸이 되고, 조정은 이항복의 신병 처리에 당황해했다. 1617년 음력 12월 16일(양력 1618년 1월 12일) 이항복의 유배지를 다른 곳으로 옮기라는 위리 안치의 명이 떨어진 이후 계속 유배지를 옮겨다니며 17일 용강, 18일, 흥해, 21일 창성, 24일 경원, 28일 삼수로 다니다가 1618년 1월 31일(음력 1월 6일) 북청으로 유배되어 그 곳에서 죽었다.[3]
3. 5. 사후
광해군은 7월 9일(음력 5월 18일) 이덕형 사후의 예에 따라 이항복의 관작을 회복시키고 예장을 명했으며, 경유지마다 관에서 운구에 협조할 것을 명했다.[2] 정충신이 이항복의 시신을 수행하여 선산이 있는 경기도 포천으로 8월 7일(음력 6월 17일) 출발하여 8월 31일(음력 7월 12일) 도착했다.[2] 묘는 경기도 기념물 제24호로,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산4번지에 위치해 있다.
《상신록》(相臣錄)에 실렸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2] 북청과 포천의 선비들이 각각 사당을 세워 모셨으며, 효종 때부터 화산서원과 노덕서원 등지에 제향되었다.[3] 한음 이덕형 가문과의 우의는 지금도 이어지며 정인보 가계와도 친분이 있다고 한다.[3] 후손에 이광좌(李光佐), 이태좌(李台佐), 이종성(李宗城), 이경일(李敬一), 이유원(李裕元)은 정승에 올랐으며 소론의 명문가로서 독립운동가인 이회영, 이시영 형제도 이항복의 후손이다.
생애는 연보 및 계곡 장유가 쓴 행장과 상촌 신흠이 쓴 신도비명에 남겨졌다.[3]
4. 평가 및 가족
4. 1. 평가
항복은 호걸스럽고 시원한 성품에 넓은 아량과 풍도(風度)가 있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젊어서는 이덕형과 함께 이름을 날렸으며, 정철은 상서로운 기린과 봉과 같은 사람이라고 칭했다.[1] 천성이 효우돈목(孝友敦睦)하며, 40년 간 조정에 있으면서 붕당 정치에 초연하려고 노력하였다.[1] 권율과는 장인과 사위 관계를 초월하여 매우 친하게 지냈으며, 둘 다 개구쟁이라서 관련 일화가 많다.4. 2. 가족 관계
할아버지는 이예신(李禮臣)이고, 아버지는 의정부 우참찬 이몽량(李夢亮)이다. 어머니는 전주 최씨이다.부인은 안동 권씨로 권율(권철의 아들)의 딸이다. 장남은 부사 이성남(李星男)이고, 며느리는 권씨와 김씨이다. 권씨와의 사이에서 손자 이시현(李時顯)과 손녀 1명을 두었는데, 손녀는 최욱에게 출가하였다. 차남은 예빈시정 이정남(李井男)이고 며느리는 윤씨이며, 이조참판 이시술(李時術)을 낳았다. 장녀는 윤인옥에게 출가하였다.
측실은 금성 오씨이다. 금성 오씨에게서 삼남 이규남(李奎男)과 사남 지중추부사 이기남(李箕男)을 두었다. 이규남의 며느리는 권씨이고, 손자는 이시행(李時行)이다. 이기남의 며느리는 박씨이다. 차녀는 경주 이씨로 안동인 군수 권칙의 처가 되었다.
5. 관련 작품 및 문화재
이항복을 소재로 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임진왜란 (MBC, 1985년~1986년, 배우: 김용건)
- 서궁 (KBS 2TV, 1995년~1995년, 배우: 박영목)
- 천둥소리 (KBS 2TV, 2000년~2001년, 배우: 백준기)
- 왕의 여자 (SBS, 2003년~2004년, 배우: 한인수)
- 불멸의 이순신 (KBS 1TV, 2004년~2005년, 배우: 박병선)
- 징비록 (KBS 1TV, 2015년, 배우: 최철호)
- 화정 (MBC, 2015년, 배우: 김승욱)
이항복 관련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 백사 이항복 집터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9호
- 이항복선생묘 - 경기도 기념물 제24호
6. 주요 저서
이항복의 저술은 사후 1629년 강릉에서 문하생들의 주도로 간행되었고, 1635년 진주에서 정충신의 주도로 재간행되었으며, 1726년에는 5대손 이종성의 주도로 각각 간행되었다. 현재 문집 15책이 남아 있다.[3] 주요 저서로는 《백사집》(白沙集), 《북천일록》(北遷日錄), 《사례훈몽》(四禮訓蒙)이 있다.
참조
[1]
뉴스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10) 오성대감 이항복의 유적지를 찾아서(下)"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7-05-18
[2]
뉴스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9) 오성대감 이항복의 유적지를 찾아서(上)"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7-05-11
[3]
뉴스
"[종가기행 29] 慶州 李氏 鰲城府院君 李恒福 사재털어 문중전시관 공사 한음家와 우의 지금도 이어져"
http://weekly.hankoo[...]
주간한국
2006-12-19
[4]
간행물
양반관료의 재분열
글로벌세계대백과
[5]
문서
권근(權近)의 7대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