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실잠자리아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잠자리아목은 잠자리의 한 아목으로, 페름기 후기부터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현재 27개 과로 분류된다. 실잠자리는 잠자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지만, 앉을 때 날개를 접는 특징을 보이며, 전 세계, 특히 물가 주변에 서식한다. 실잠자리는 생태계의 지표 생물로 활용되며, 서식지 파괴, 수질 오염 등의 위협을 받고 있다. 한국에는 4과 37종이 서식하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실잠자리는 낚시 미끼, 장신구, 문학 작품 등 다양한 문화적 소재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잠자리목 - 잠자리아목
    잠자리아목은 실잠자리아목과 잠자리아목으로 나뉘며, 실잠자리아목은 가늘고 긴 몸과 쉴 때 날개를 접는 습성을, 잠자리아목은 크고 튼튼한 몸과 쉴 때 날개를 펴는 습성을 가진다.
  • 잠자리목 - 잠자리하목
    잠자리하목은 뒷날개가 앞날개보다 넓은 특징을 지닌 잠자리목의 곤충 분류군으로, 석탄기 후기 잠자리 조상에서 진화하여 전 세계에 약 3,000종이 분포하며, 뛰어난 비행 능력으로 공중에서 사냥하고 수생 유충 시기를 거치는 생태계 포식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개체 수 감소 추세에 있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실잠자리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수컷 아름다운 물소녀
수컷 아름다운 물소녀 (Calopteryx virgo)
암컷 푸른꼬리 물잠자리
암컷 푸른꼬리 물잠자리 (Ischnura heterosticta)
학명Zygoptera
명명자Selys, 1854년
영어 이름Damselfly
분류
상과칼로프테리고이데아
코엔아그리오노이데아
레스토이데아
플라티스틱토이데아
칼로프테릭스과 – 물소녀
클로로시피다에과 – 보석
딕테리아디다에과 – 맨다리
에우파에이다에과 – 오달리스크
레스토이데아과 - 푸른줄무늬
폴리토리아다에과 – 배너날개
†자칼리트과
코엔아그리온과 – 연못 물잠자리
아이소스틱트과 – 좁은날개
플라티크네미다에과 – 흰다리 물잠자리
슈도스티그마트과 – 숲의 거인
헤미플레비과 – 고대 녹색
레스테스과 – 펼친날개
페릴레스테스과 – 짧은날개
신레스테스과 – 실프
플라티스틱트과 – 그림자 아가씨
생물학적 특징

2. 분류

실잠자리아목의 화석은 페름기 후기 지층부터 관찰되며 최소 2억 5천만년 전에 출현하였다. 남아 있는 화석은 모두 성충으로 현재의 실잠자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수중에서 살던 유충의 화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아 현재의 것과 비교할 수 없고, 알 화석은 중생대 시기의 것이 발견되었다.[65] 실잠자리의 선조인 선균시아목의 화석은 대략 3억년 전의 것이 있다.[66] 발트해 유역에서 발견된 호박 속에 유충과 탈피한 허물이 함께 갖힌 화석이 널리 알려져 있다.[67]

2013년 분자유전학 분석은 실잠자리아목에 속하는 대다수의 가 단일한 공통 조상에서 분기한 단계통군이지만, 암피프테리기아과(Amphipterygidae), 메가포다그리오니아과(Megapodagrionidae), 프로토네우리아과(Protoneuridae)의 세 과는 측계통군으로 밝혀져 보다 확인이 필요하다. 특히 Protoneuridae의 경우 5개 과에서 비롯한 6개의 계통군 분기를 보였다. 이 결과는 현생하는 실잠자리와 화석 모두를 놓고 분류한 전통적인 계통 분류와는 차이가 있다. 실잠자리는 전통적으로 18개 과로 분류되었으나 2013년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그 동안 유사 과로 분류되던 7개 과를 포함하여 27개 과로 새로 정리하였다. 한편 측계통군으로 분류된 3개 과는 분류에서 제외되었다.[68]

2021년 분자 분석 결과 역시 전통적인 대부분의 과가 단계통군임을 확인했지만, 몇몇 과는 측계통군으로 재편성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Protoneuridae는 5개 과에서 6개의 클레이드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결과는 27개의 실잠자리 과이며, 7개가 더 생성될 가능성이 높다. 발견된 클레이드는 날개맥과 같은 살아있는 실잠자리와 화석 실잠자리를 분류하는 데 사용된 전통적인 특징과 잘 일치하지 않아 화석 분류군을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4]

실잠자리아목의 내부 계통은 다음과 같다.

청실잠자리상과Platystictoidea강꼬마잠자리상과실잠자리상과


2. 1. 계통

실잠자리아목의 화석은 페름기 후기 지층부터 관찰되며 최소 2억 5천만년 전에 출현하였다. 남아 있는 화석은 모두 성충으로 현재의 실잠자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수중에서 살던 유충의 화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아 현재의 것과 비교할 수 없고, 알 화석은 중생대 시기의 것이 발견되었다.[65] 실잠자리의 선조인 선균시아목의 화석은 대략 3억년 전의 것이 있다.[66] 발트해 유역에서 발견된 호박 속에 유충과 탈피한 허물이 함께 갖힌 화석이 널리 알려져 있다.[67]

2013년 분자유전학 분석은 실잠자리아목에 속하는 대다수의 가 단일한 공통 조상에서 분기한 단계통군이지만, 암피프테리기아과(Amphipterygidae), 메가포다그리오니아과(Megapodagrionidae), 프로토네우리아과(Protoneuridae)의 세 과는 측계통군으로 밝혀져 보다 확인이 필요하다. 특히 Protoneuridae의 경우 5개 과에서 비롯한 6개의 계통군 분기를 보였다.[68] 이 결과는 현생하는 실잠자리와 화석 모두를 놓고 분류한 전통적인 계통 분류와는 차이가 있다. 실잠자리는 전통적으로 18개 과로 분류되었으나 2013년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그 동안 유사 과로 분류되던 7개 과를 포함하여 27개 과로 새로 정리하였다. 한편 측계통군으로 분류된 3개 과는 분류에서 제외되었다.[68]

2021년 분자 분석 결과 역시 전통적인 대부분의 과가 단계통군임을 확인했지만, 몇몇 과는 측계통군으로 재편성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Protoneuridae는 5개 과에서 6개의 클레이드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결과는 27개의 실잠자리 과이며, 7개가 더 생성될 가능성이 높다. 발견된 클레이드는 날개맥과 같은 살아있는 실잠자리와 화석 실잠자리를 분류하는 데 사용된 전통적인 특징과 잘 일치하지 않아 화석 분류군을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4]

실잠자리아목의 내부 계통은 다음과 같다.[63]

청실잠자리상과Platystictoidea강꼬마잠자리상과실잠자리상과


3. 형태

실잠자리의 생김새는 대체적으로 잠자리와 비슷하지만, 비교적 작고 날렵한 몸통에 넓은 타원형의 겹눈이 튀어나와 있으며, 앉았을 때 날개를 접는다는 점에서 잠자리와 구별된다. 윗턱에 달린 순상부의 모습 역시 잠자리와 다르다. 머리에는 한 쌍의 겹눈 외에도 세 개의 홑눈이 있어 명암을 구분한다. 더듬이는 겹눈 사이에 작게 나와 있어 촉각의 구실은 거의 하지 못하지만 공기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69] 실잠자리 성충은 대개 성적 이형성을 보이는데, 수컷이 더 화려하고 밝은 색을 띈다. 암컷은 위장색을 하고 있어 눈에 덜 띄며, 종을 구분하기 어렵게 만든다. 예를 들어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 퍼져 살고 있는 실잠자리속(''Coenagrion'')에 속하는 종들의 수컷은 특유의 밝은 푸른색 점을 보이지만, 암컷은 초록색 또는 갈색의 단순한 무늬만 있다.[70] 드물게 암컷이 수컷과 같은 모양을 띄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도 배란기가 되면 수컷과 다른 색상을 띈다. 이는 배란기 이전에 수컷의 접근을 피하기 위한 진화의 결과로 추정된다.[70] 반면에 실잠자리속의 몇 종은 수컷들 사이에서도 생김새가 다른 이형성을 보인다.[71]

실잠자리 머리
겹눈, 눈점, 촉각, 곤충의 입 구조를 보여주는 실잠자리 머리
]]

수컷 실잠자리 (''Pseudagrion caffrum'')의 배 마지막 마디의 세부 모습. 마디 8–10(S8, S9, S10), 위쪽 부속지 또는 꼬리털(c) 및 아래쪽 부속지 또는 부항(p)


일반적으로 실잠자리는 잠자리보다 작으며, 아그리오크네마속(''Agriocnemis'')이 가장 작다.[72] 가장 큰 것은 헬리콥터 실잠자리라고도 불리는 카에룰라투스실잠자리(''Megaloprepus caerulatus'')로, 양쪽 날개 사이가 19cm에 달하고[73] 몸 길이도 13cm 정도이다.[74]

여섯 개의 다리가 전흉부에 연결되어 있다. 머리와 가슴을 연결하는 부분은 가늘고 부드러워 실잠자리가 머리를 돌려 사방을 볼 수 있게 한다. 가슴 뒷부분에는 한 쌍의 날개가 달려 있다. 가슴에는 종마다 다른 생김새와 색상을 가진 특유의 줄무늬가 있다.[69]

실잠자리 날개의 그림. 앞날개와 뒷날개는 비슷하다.


날개는 몇 줄기의 검은 혈림프관이 세로로 길게 뻗어 있고, 여러 개의 짧은 혈림프관이 가로로 얽혀 있는 구조이다.[75] 가슴에서 시작된 근육은 날개 중간의 혈림프관이 가까이 모여 지나가는 결절(nodus)까지 이어져 날개를 움직이고, 날개 끝에는 검은 네모 모양의 연문(pterostigma)이 있다.[69] 실잠자리 날개는 투명한 것이 많지만, 색이나 무늬가 있는 날개를 가진 것들도 있다. 암수의 날개 색상이 다른 경우도 있다.[70] 실잠자리는 앉아서 쉴 때 날개를 접는데, 청실잠자리과만은 잠자리처럼 앉을 때에도 날개를 편다.

|thumb|띠무늬 아름다운 실잠자리 수컷(왼쪽)과 암컷, ''Calopteryx splendens'', 다르게 색칠된 날개를 보여줌]]

복부는 길고 열 개의 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짝짓기 철이 되면 수컷의 복부 두 번째 마디와 세 번째 마디 아랫쪽에 눈에 띄는 혼인색이 나타난다. 암컷의 생식기는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 마디 사이에서 열린다. 열 번째 마디 끝에는 암수 모두 꼬리뿔이 있어 짝짓기에 이용된다. 짝짓기를 마치면 암컷은 수풀 위에 알을 낳는다.[69]

4. 생태

실잠자리는 남극을 제외한 세계 전역에 서식하는데[76][15], 연못과 호수 같은 물가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잠자리보다는 서식지가 좁다.[77][78] 잘 보전된 환경에서만 사는 편이어서 개체수 역시 잠자리보다 적다. 실잠자리의 서식지는 먹을 것이 풍부하고 알을 낳기 적당한 깨끗한 물이 흐르는 습지의 작은 구역에 집중되어 있다.[79][81] 대부분의 실잠자리목은 담수에서 번식하지만, 일부 실잠자리과(Caenagrionidae) 실잠자리는 기수에서 번식한다.[16][17]

실잠자리는 한 지역에서만 머무르며 이동을 하지 않는 편이지만, 브리티시 컬럼비아에 서식하는 보리얼 블루잇과 같은 대형 종은 멀리까지 서식지를 옮기기도 한다.[80] 실꼬리실잠자리는 실잠자리과에서 특히 이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이며,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큰 수컷 북방부전꼬리실잠자리(''Enallagma boreale'')는 종종 이동하는 반면 더 작은 수컷은 그렇지 않다.[29] 람부르실꼬리실잠자리(''Ischnura ramburii'')는 유정탑에서 멀리 떨어진 멕시코 만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5]

실잠자리는 생물 지표 목적으로 생태계의 질과 관련하여 사용되어 왔다. 종에 따라 유충의 수심, 물의 흐름, pH에 대한 요구 사항이 다르다.[24] 예를 들어, 유럽 common blue damselfly (''Enallagma cyathigerum'')는 물고기가 없는 산성 물에서 높은 밀도로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scarce blue-tailed damselfly (''Ischnura pumilio'')는 알칼리성 서식지와 느린 유속의 물을 필요로 한다.[24] 실잠자리는 담수 서식지에 의존하기 때문에 농업 또는 도시 성장을 위한 배수로 습지가 손상되면 매우 취약하다.[25]

열대 지역에서는 헬리콥터 실잠자리 ''Mecistogaster modesta'' (Pseudostigmatidae)가 착생 식물에 갇힌 작은 물 웅덩이에서 번식하며,[26] 또 다른 열대 종인 cascade damselfly ''Thaumatoneura inopinata'' (Megapodagrionidae)는 코스타리카와 파나마의 폭포에 서식한다.[27][28]

실잠자리는 약충과 성충 모두 다양한 포식자에게 잡아 먹힌다.[29] 또한, 다양한 내외부 기생충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창자에서 발견되는 그레가린 원생동물이 흔하다.[29] Hydracarina 물진드기는 약충과 성충 외부에 자주 보인다.[29]

실잠자리 서식지: Thursley Common의 산성 습지 늪


진드기가 기생하는 ''Pseudagrion decorum''


실잠자리 몸단장


현존하는 실잠자리아목은 모두 합쳐 309 속의 2,942 종으로 알려져 있다.[81][19] 한국에는 4과의 37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2] 최근의 지구 온난화로 냉대성인 북방아시아실잠자리는 한반도에서 자취를 감출 가능성이 큰 종으로 보고되었으며,[83] 연분홍실잠자리 역시 한국의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지정되었다.[84]

4. 1. 서식지

실잠자리는 남극을 제외한 세계 전역에 서식하는데[76][15], 연못과 호수 같은 물가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잠자리보다는 서식지가 좁다.[77][78] 잘 보전된 환경에서만 사는 편이어서 개체수 역시 잠자리보다 적다. 실잠자리의 서식지는 먹을 것이 풍부하고 알을 낳기 적당한 깨끗한 물이 흐르는 습지의 작은 구역에 집중되어 있다.[79][81] 대부분의 실잠자리목은 담수에서 번식하지만, 일부 실잠자리과(Caenagrionidae) 실잠자리는 기수에서 번식한다.[16][17]

실잠자리는 한 지역에서만 머무르며 이동을 하지 않는 편이지만, 브리티시 컬럼비아에 서식하는 보리얼 블루잇과 같은 대형 종은 멀리까지 서식지를 옮기기도 한다.[80] 실꼬리실잠자리는 실잠자리과에서 특히 이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이며,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큰 수컷 북방부전꼬리실잠자리(''Enallagma boreale'')는 종종 이동하는 반면 더 작은 수컷은 그렇지 않다.[29] 람부르실꼬리실잠자리(''Ischnura ramburii'')는 유정탑에서 멀리 떨어진 멕시코 만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5]

실잠자리는 생물 지표 목적으로 생태계의 질과 관련하여 사용되어 왔다. 종에 따라 유충의 수심, 물의 흐름, pH에 대한 요구 사항이 다르다.[24] 예를 들어, 유럽 common blue damselfly (''Enallagma cyathigerum'')는 물고기가 없는 산성 물에서 높은 밀도로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scarce blue-tailed damselfly (''Ischnura pumilio'')는 알칼리성 서식지와 느린 유속의 물을 필요로 한다.[24] 실잠자리는 담수 서식지에 의존하기 때문에 농업 또는 도시 성장을 위한 배수로 습지가 손상되면 매우 취약하다.[25]

열대 지역에서는 헬리콥터 실잠자리 ''Mecistogaster modesta'' (Pseudostigmatidae)가 착생 식물에 갇힌 작은 물 웅덩이에서 번식하며,[26] 또 다른 열대 종인 cascade damselfly ''Thaumatoneura inopinata'' (Megapodagrionidae)는 코스타리카와 파나마의 폭포에 서식한다.[27][28]

실잠자리는 약충과 성충 모두 다양한 포식자에게 잡아 먹힌다.[29] 또한, 다양한 내외부 기생충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창자에서 발견되는 그레가린 원생동물이 흔하다.[29] Hydracarina 물진드기는 약충과 성충 외부에 자주 보인다.[29]

현존하는 실잠자리아목은 모두 합쳐 309 속의 2,942 종으로 알려져 있다.[81][19] 한국에는 4과의 37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2] 최근의 지구 온난화로 냉대성인 북방아시아실잠자리는 한반도에서 자취를 감출 가능성이 큰 종으로 보고되었으며,[83] 연분홍실잠자리 역시 한국의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지정되었다.[84]

4. 2. 보전

잠자리와 실잠자리는 숲이나 습지의 환경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 생물이다.[95] 실잠자리의 개체수는 안정적이지만, 최근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다. 실잠자리아목 보존은 잠자리에 집중되어 왔지만, 두 아목은 대체로 같은 서식 환경을 필요로 한다.[53] 실잠자리아목이 겪는 주요 위협은 숲 개간, 수로 오염, 지하수위 저하, 수력 발전을 위한 댐 건설, 습지 및 늪지 황폐화 등이다.[53] 열대 우림 개간은 침식률 증가, 개울과 웅덩이 고갈, 수로의 토사 막힘을 유발한다. 외래종 유입도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53] 하와이에서는 모기 물고기(''Gambusia affinis'') 도입이 모기 방제에는 효과적이었지만, 섬 고유의 실잠자리를 거의 멸종시켰다.[54] 호주에서는 고대 푸른색 실잠자리(''Hemiphlebia mirabilis'')가 서식지 보존 활동의 중요한 기함종이었다.[55]

5. 한국의 실잠자리

한국에는 4개 과의 37종의 실잠자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2]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해 냉대성인 북방아시아실잠자리는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며,[83] 연분홍실잠자리는 한국의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지정되었다.[84]

실잠자리는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에 서식하며, 주로 연못과 호수 같은 물가에 서식한다.[76][77][78] 잘 보전된 환경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에 개체수는 잠자리보다 적은 편이다.[79][81] 실잠자리의 서식지는 먹이가 풍부하고 알을 낳기 적당한 깨끗한 물이 흐르는 습지에 집중되어 있다.[79][81]

실잠자리는 한 지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지만, 브리티시 콜럼비아에 서식하는 보리얼 블루잇과 같은 대형 종은 서식지를 멀리 옮기기도 한다.[80] 현존하는 실잠자리아목은 309개 속의 2,942개 종으로 알려져 있다.[81]

6. 문화

플라이 낚시에서 실잠자리 유충을 흉내낸 미끼는 물 속에 넣어 낚시를 하는 데 사용된다.[96][56] 실잠자리를 모사한 브로치 같은 주얼리는 최소 1880년대부터 제작되었다.[97][57]

''실잠자리''는 벤 오코너가 감독한 2005년 단편 영화의 제목이다.[58] 또한 S. L. Naeole의 ''Faeble'' 시리즈의 2012년 소설[59]과 찬드라 프라사드의 2018년 소설의 제목이기도 하다.[60]

실잠자리를 소재로 한 현대 시에는 어거스트 클라인자일러의 1994년 시가 있는데, "그리고 저기 저 파란색, 코발트 / 잠깐, 그러다 무지갯빛이 돌고, / 숙근나팔꽃 위를 맴도는 / 숙녀의 핀처럼 연약한가?"라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61] 시인 존 엥겔스는 1983년 시집 ''Weather-Fear: New and Selected Poems''에 “실잠자리, 송어, 왜가리”를 발표했다.[62]

참조

[1] 서적 Monographie des caloptérygines https://www.biodiver[...] C. Muquardt
[2] 논문 New fossil Odonata from the Upper Jurassic of Bavaria with a new fossil calibration point for Zygoptera
[3] 논문 Damselfly and dragonfly nymphs in Eocene Baltic amber (Insecta: Odonata), with aspects of their palaeobiology http://www.palaeodiv[...] 2015-03-16
[4]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Odonata using targeted genomics Elsevier BV
[5] 서적 Dragonflies and Damselflies of the Eas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논문 A dynamical model of sexual harassment in damselflies and its implications for female-limited polymorphism
[7] 서적 Dragonflies and Damselflies. Model organisms for ecological and evolutionary research Oxford University Press
[8] 논문 Africa's smallest damselfly – a new ''Agriocnemis'' from Namibia 2012
[9] 논문 Convergent Evolution of Gigantism in Damselflies of Africa and South America? Evidence from Nuclear and Mitochondrial Sequence Data
[10] 논문 A key to the adult Costa Rican "helicopter" damselflies (Odonata: Pseudostigmatidae) with notes on their phenology and life zone preferences http://www.scielo.sa[...]
[11] 서적 Dragonfli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12] 웹사이트 Dragonflies and Damselflies of Texas and the South-Central United States: Texas, Louisiana, Arkansas, Oklahoma, and New Mexico - Princeton University http://assets.press.[...]
[13] 웹사이트 Physiology of Insects https://books.google[...]
[14] 서적 Study of Insects Saunders College Publishing
[15] 서적 Aquatic insects of North Europe: A taxonomic handbook https://books.google[...] Apollo Books
[16] 논문 Observations and Experiments on Dragon-Flies in Brackish Water https://zenodo.org/r[...]
[17] 논문 Adaptations of Nymphs of a Marine Dragonfly, Erythrodiplax berenice, to Wide Variations in Salinity
[1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Odonata http://www.ucmp.berk[...] UCMP Berkeley 2015-03-13
[19] 서적 Ecology and general biology. Thorp and Covich's Freshwater Invertebrates Academic Press
[20] 웹사이트 Dragonflies and Damselflies of Georgia and the Southeast https://books.google[...]
[21] 논문 First evidence of the use of olfaction in Odonata behaviour
[22] 논문 Life on the fly: phylogenetics and evolution of the helicopter damselflies (Odonata, Pseudostigmatidae)
[23] 학회자료 Use of Forest and Tree Species, and Dispersal by Giant Damselflies (Pseudostigmatidae): Their Prospects in Fragmented Forests http://faculty-staff[...] Pensoft Publishers
[24] 서적 The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reatened damselflies The Environment Agency
[25] 논문 Biology of Odonata 1980
[26] 논문 Landscape variation in the larval density of a bromeliad-dwelling zygopteran, Mecistogaster modesta (Odonata: Pseudostigmatidae) 2005
[27] 논문 Studies on Costa Rican Odonata. V. The waterfall-dwellers: Thaumatoneura imagos and possible male dimorphism https://archive.org/[...]
[28] 간행물 ''Thaumatoneura inopinata'' 2021-11-13
[29] 서적 Damselflies of Alberta: Flying Neon Toothpicks in the Gras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Alberta
[30] 서적 Aquatic Mites from Genes to Communities: From Genes to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1] 논문 Extreme adaptations for probable visual courtship behaviour in a Cretaceous dancing damselfly 2017
[32] 논문 Territorial and courtship displays in Bornean Chlorocyphidae (Zygoptera) https://natuurtijdsc[...] 1996
[33] 논문 Courtship displays and mating behaviour of three species of Chlorocyphida (Zygoptera) https://natuurtijdsc[...] 1982
[34] 서적 Dragonfli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35] 논문 Demography and Behavior of the Damselfly, ''Argia Apicalis'' (Say), (Odonata: Coenagriidae)
[36] 논문 Damselfly females prefer hot males: higher courtship success in males in sunspots https://doi.org/10.1[...] 2010
[37] 논문 Characteristics and Possible Functions of Traditional Night Roosting Aggregations in Rubyspot Damselflies https://www.eeb.ucla[...] 2000
[38] 논문 The odonate mating system, communication, and sexual selection: A review 1993
[39] 서적 The Evolution of Primary Sexual Characters in Animal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3-16
[40] 논문 Sperm Transfer in Damselflies (Odonata: Zygoptera)
[41] 서적 The evolution of primary characters in animals Oxford University Press
[42] 논문 Sexual Cannibalism in the Damselfly Species Ischnura graellsii (Odonata: Coenagrionidae) http://ecoevo.uvigo.[...] 2017-04-28
[43] 논문 Thelytokous parthenogenesis in the damselfly ''Ischnura hastata'' (Odonata, Coenagrionidae): genetic mechanisms and lack of bacterial infection
[44] 서적 A World of Insects: The Harvard University Press Reade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Academic Press
[46] 서적 Discover Nature in Water & Wetlands: Things to Know and Things to Do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47] 서적 Britain's Dragonflies: A Field Guide to the Damselflies and Dragonflies of Britain and Ireland: A Field Guide to the Damselflies and Dragonflies of Britain and Irelan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8] 논문 Ovo-viviparity in the Odonata? The case of Heliocypha perforata (Zygoptera: Chlorocyphidae)
[49] 논문 Voltinism of Odonata: a review https://www.research[...] 2006
[50] 서적 A Dictionary of Entomology https://books.google[...] CABI
[51] 논문 A terrestrial damselfly nymph (Medapodarionidae) from New Caledonia http://downloads.hin[...]
[52] 서적 Encyclopedia of South American Aquatic Insects: Odonata - Zygoptera: Illustrated Keys to Known Families, Genera, and Species in South America https://books.google[...] Springer
[53] 웹사이트 Dragonflie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s://testportals.[...]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15-03-17
[54] 논문 Status of Hawaii endangered species: insects and land snails
[55] 논문 The Hemiphlebia damselfly Hemiphlebia mirabilis Selys (Odonata, Zygoptera) as a flagship species for aquatic insect conservation in south-eastern Australia http://arrow.latrobe[...]
[56] 웹사이트 Fishing Tips for the Juicebug Damsel Nymph http://flyfoundry.co[...] Fly foundry 2015-03-13
[57] 웹사이트 Antique "Damselfly" Brooch in Silver-topped Gold with Ruby Eyes http://www.mackloweg[...] Macklowe Gallery 2015-03-13
[58] 웹사이트 Ben O'Connor http://film.britishc[...] British Council 2015-03-13
[59] 서적 Damselfly Crystal Quill 2012
[60] 웹사이트 Damselfly https://rusoffagency[...] 2020-12-21
[61] 웹사이트 The Damselfly http://www.poetryfou[...] Poetry Magazine 2015-03-13
[62] 서적 Damselfly, Trout, Heron http://www.poetryfou[...]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15-03-13
[63] 논문 Redefining the damselfly families: a comprehensive molecular phylogeny of Zygoptera (Odonata) http://www.repositor[...]
[64] 문서 日本のトンボ (2012)、16-17頁
[65] 서적 Evolution of the Insec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저널 The earliest damselfly like insect and the origin of modern dragonflies (Insecta: Odonatoptera: Protozygoptera) http://www.sciencedi[...]
[67] 저널 Damselfly and dragonfly nymphs in Eocene Baltic amber (Insecta: Odonata), with aspects of their palaeobiology http://www.palaeodiv[...] 2008-12-30
[68] 저널 Redefining the damselfly families: a comprehensive molecular phylogeny of Zygoptera (Odonata)
[69] 서적 Dragonflies and Damselflies of the Eas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0] 저널 A dynamical model of sexual harassment in damselflies and its implications for female-limited polymorphism
[71] 서적 Dragonflies and Damselflies. Model organisms for ecological and evolutionary research Oxford University Press
[72] 저널 Africa's smallest damselfly – a new ''Agriocnemis'' from Namibia 2012
[73] 저널 Convergent Evolution of Gigantism in Damselflies of Africa and South America? Evidence from Nuclear and Mitochondrial Sequence Data http://linkinghub.el[...]
[74] 저널 A key to the adult Costa Rican "helicopter" damselflies (Odonata: Pseudostigmatidae) with notes on their phenology and life zone preferences http://www.scielo.sa[...]
[75] 서적 Dragonfli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76] 서적 Aquatic insects of North Europe: A taxonomic handbook https://books.google[...] Apollo Books
[77] 저널 Observations and Experiments on Dragon-Flies in Brackish Water
[78] 저널 Adaptations of Nymphs of a Marine Dragonfly, Erythrodiplax berenice, to Wide Variations in Salinity
[79] 웹인용 Introduction to the Odonata http://www.ucmp.berk[...] UCMP Berkeley 2015-03-13
[80] 서적 Damselflies of Alberta: Flying Neon Toothpicks in the Gras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berta
[81] 서적 Ecology and general biology. Thorp and Covich's Freshwater Invertebrates Academic Press
[82] 문서 ODONATA LIST OF KOREA http://www.jasa.pe.k[...] 한국의 잠자리
[83] 문서 기후 변화에 민감한 생물 100종 https://species.nibr[...] 국립생물자원관
[84] 문서 기후변화 지표 생물 - 잠자리류 http://www.jasa.pe.k[...] 한국의 잠자리
[85] 저널 First evidence of the use of olfaction in Odonata behaviour
[86] 서적 Encyclopedia of South American Aquatic Insects: Odonata - Zygoptera: Illustrated Keys to Known Families, Genera, and Species in South America https://books.google[...] Springer
[87] 저널 Life on the fly: phylogenetics and evolution of the helicopter damselflies (Odonata, Pseudostigmatidae)
[88] 서적 EBS 다큐프라임 짝짓기 생명진화의 은밀한 기원 https://books.google[...] EBS MEDIA
[89] 간행물 곤충의 사회적 행동 1995-05
[90] 서적 생태학 - 인간과 자연 아카데미서적
[91] 서적 생명이 모이는 생명이 자라는 즐거운 논학교 열음사
[92] 콘퍼런스 Use of Forest and Tree Species, and Dispersal by Giant Damselflies (Pseudostigmatidae): Their Prospects in Fragmented Forests http://faculty-staff[...] Pensoft Publishers
[93] 문서 잠자리의 부화와 전유충 http://www.jasa.pe.k[...] 한국의 잠자리
[94] 문서 잠자리목(Odonata) http://insects.or.kr[...] 한국의 곤충
[95] 웹인용 Dragonflie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https://testportals.[...]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15-03-17
[96] 웹인용 Fishing Tips for the Juicebug Damsel Nymph http://flyfoundry.co[...] Fly foundry 2012-00-00
[97] 웹인용 Antique "Damselfly" Brooch in Silver-topped Gold with Ruby Eyes http://www.mackloweg[...] Macklowe Gallery 2015-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