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대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대윤은 조선 후기의 학자로, 심수현의 후손이다. 그의 가문은 증조부 심악이 나주괘서사건에 연루되어 몰락했으나, 그는 학문에 몰두하여 110책이 넘는 저서를 남겼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복리전서》, 《중용훈의》 등이 있으며, 경학 연구에 몰두하여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했다. 그는 실리를 중시하는 학문관을 통해 당시 주자학적 학문 풍토와 차별성을 보였고, 정인보는 그를 "삼한 경학의 밝은 빛"이라고 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양명학자 - 심육
조선 후기 소론 산림 학자이자 문신인 심육은 정제두의 문인으로 강화학파의 중심 인물이며, 세자시강원 찬선, 성균관 좨주, 형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 조선의 양명학자 - 정제두
정제두는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양명학자로, 주자학 중심 사회에서 양명학을 독자적으로 연구하고 발전시켜 조선 양명학의 사상적 체계를 확립했으며, 소론 계열 실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그의 학문은 이건창과 정인보에게 계승되었다. - 조선의 역사가 - 박은식
박은식은 언론인, 역사학자, 정치인으로서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주필을 지내며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국외 망명 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여 국무총리와 제2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등을 저술하여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와 정당성을 알린 독립운동가이다. - 조선의 역사가 - 신채호
신채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전개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역사가, 문필가로, 민족주의적 역사관과 독립운동에 대한 열정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의 번역가 - 김홍집
김홍집은 조선 말기 온건 개화파 정치가로서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후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주도했으나, 친일 정책과 단발령으로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때 살해당하며 조선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일본 간섭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조선의 번역가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심대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심대윤 |
한자 표기 | 沈大允 |
출생일 | 1806년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872년 7월 25일 |
사망지 | 조선 경기도 안성군 가곡(佳谷) (현재의 평택시 진위면 가곡리) |
사망 원인 | 병사 (노환) |
거주지 | 조선 |
국적 | 조선 |
본관 | 청송(靑松) |
별명 | 자 : 진경(晉卿) 호 : 백운(白雲) ‧ 석교(石橋) |
직업 | 실학자, 양명학자, 철학자 |
종교 | 유교(양명학) |
소속 | 소론 강화학파 |
배우자 | 경주 이씨 |
자녀 | 심명택(양자) 심인택(친자) |
부모 | 심완륜(부) 의령 남씨(모) |
형제 | 심대제(동생) 심의래(동생) 심대시(동생) 심의돈(동생) 심의규(동생) |
친척 | 심수현(고조부) 심육(종증조부) 심악(증조부) 심발(종증조부, 양증조부) 심신지(조부) 심무지(양조부) 남시묵(외조부) 이후영(장인) 조연필(사돈) 심응륜(숙부) 심명택(조카, 양자) 심도택(조카) 심준택(조카) |
2. 가계
- 고조부 : 심수현(沈壽賢) - 준소(峻少)의 영수, 영의정
- * 종증조부 : 심육(沈錥) - 소론 산림(少論 山林), 세자시강원 찬선, 성균관 좨주, 형조참판, 대사헌
- * 종증조부 : 심발(沈鈸) - 내시교관
- * 증조부 : 심악(沈䥃) - 준소(峻少), 이조참판, 나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으로 참형당함
- ** 조부 : 심신지(沈新之)
숙부 : 심응륜(沈應倫)
* 심응륜의 양자 : 심대재(沈大載)
** 심대재의 양자 : 심도택(沈道澤) - 심의돈(沈宜敦)의 아들
아버지 : 심완륜(沈完倫) - 심무지(沈戊之)에 양자로 입적
어머니 : 의령 남씨 - 남시묵(南恃默)의 딸
* 본인 : 심대윤(沈大允)
* 부인 : 경주 이씨 - 이후영(李厚榮)의 딸
** 양자 : 심명택(沈命澤) - 심의돈(沈宜敦)의 아들
** 며느리 : 풍양 조씨 - 조연필(趙然弼)의 딸
** 친자 : 심인택(沈寅澤)
* 동생 : 심대재(沈大載) - 심응륜(沈應倫)에 양자로 입적
* 동생 : 심의래(沈宜來)
* 동생 : 심대시(沈大時)
* 동생 : 심의돈(沈宜敦)
** 조카 : 심명택(沈命澤) - 심대윤(沈大允)에 양자로 입적
** 조카 : 심도택(沈道澤) - 심대재(沈大載)에 양자로 입적
** 조카 : 심준택(沈駿澤)
* 동생 : 심의규(沈宜逵)
- 고조부 : 심수현(沈壽賢) - 준소(峻少)의 영수, 영의정
- * 증조부 : 심발(沈鈸) - 내시교관
- ** 조부 : 심무지(沈戊之)
아버지 : 심완륜(沈完倫) - 심신지(沈新之)의 아들
어머니 : 의령 남씨 - 남시묵(南恃默)의 딸
* 본인 : 심대윤(沈大允)
* 부인 : 경주 이씨 - 이후영(李厚榮)의 딸
** 양자 : 심명택(沈命澤) - 심의돈(沈宜敦)의 아들
** 며느리 : 풍양 조씨 - 조연필(趙然弼)의 딸
** 친자 : 심인택(沈寅澤)
* 동생 : 심대재(沈大載) - 심응륜(沈應倫)에 양자로 입적
* 동생 : 심의래(沈宜來)
* 동생 : 심대시(沈大時)
* 동생 : 심의돈(沈宜敦)
** 조카 : 심명택(沈命澤) - 심대윤(沈大允)에 양자로 입적
** 조카 : 심도택(沈道澤) - 심대재(沈大載)에 양자로 입적
** 조카 : 심준택(沈駿澤)
* 동생 : 심의규(沈宜逵)
2. 1. 친계
- 고조부 : 심수현(沈壽賢) - 준소(峻少)의 영수, 영의정
- * 종증조부 : 심육(沈錥) - 소론 산림(少論 山林), 세자시강원 찬선, 성균관 좨주, 형조참판, 대사헌
- * 종증조부 : 심발(沈鈸) - 내시교관
- * 증조부 : 심악(沈䥃) - 준소(峻少), 이조참판, 나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으로 참형당함
- ** 조부 : 심신지(沈新之)
숙부 : 심응륜(沈應倫)
* 심응륜의 양자 : 심대재(沈大載)
** 심대재의 양자 : 심도택(沈道澤) - 심의돈(沈宜敦)의 아들
아버지 : 심완륜(沈完倫) - 심무지(沈戊之)에 양자로 입적
어머니 : 의령 남씨 - 남시묵(南恃默)의 딸
* 본인 : 심대윤(沈大允)
* 부인 : 경주 이씨 - 이후영(李厚榮)의 딸
** 양자 : 심명택(沈命澤) - 심의돈(沈宜敦)의 아들
** 며느리 : 풍양 조씨 - 조연필(趙然弼)의 딸
** 친자 : 심인택(沈寅澤)
* 동생 : 심대재(沈大載) - 심응륜(沈應倫)에 양자로 입적
* 동생 : 심의래(沈宜來)
* 동생 : 심대시(沈大時)
* 동생 : 심의돈(沈宜敦)
** 조카 : 심명택(沈命澤) - 심대윤(沈大允)에 양자로 입적
** 조카 : 심도택(沈道澤) - 심대재(沈大載)에 양자로 입적
** 조카 : 심준택(沈駿澤)
* 동생 : 심의규(沈宜逵)
{양계}
- 고조부 : 심수현(沈壽賢) - 준소(峻少)의 영수, 영의정
- * 증조부 : 심발(沈鈸) - 내시교관
- ** 조부 : 심무지(沈戊之)
아버지 : 심완륜(沈完倫) - 심신지(沈新之)의 아들
어머니 : 의령 남씨 - 남시묵(南恃默)의 딸
* 본인 : 심대윤(沈大允)
* 부인 : 경주 이씨 - 이후영(李厚榮)의 딸
** 양자 : 심명택(沈命澤) - 심의돈(沈宜敦)의 아들
** 며느리 : 풍양 조씨 - 조연필(趙然弼)의 딸
** 친자 : 심인택(沈寅澤)
* 동생 : 심대재(沈大載) - 심응륜(沈應倫)에 양자로 입적
* 동생 : 심의래(沈宜來)
* 동생 : 심대시(沈大時)
* 동생 : 심의돈(沈宜敦)
** 조카 : 심명택(沈命澤) - 심대윤(沈大允)에 양자로 입적
** 조카 : 심도택(沈道澤) - 심대재(沈大載)에 양자로 입적
** 조카 : 심준택(沈駿澤)
* 동생 : 심의규(沈宜逵)
2. 2. 양계
- 고조부 : 심수현 - 준소(峻少)의 영수, 영의정
- * 증조부 : 심발(沈鈸) - 내시교관
- ** 조부 : 심무지(沈戊之)
아버지 : 심완륜(沈完倫) - 심신지(沈新之)의 아들
어머니 : 의령 남씨 - 남시묵(南恃默)의 딸
* 본인 : 심대윤
* 부인 : 경주 이씨 - 이후영(李厚榮)의 딸
** 양자 : 심명택(沈命澤) - 심의돈(沈宜敦)의 아들
** 며느리 : 풍양 조씨 - 조연필(趙然弼)의 딸
** 친자 : 심인택(沈寅澤)
* 동생 : 심대재(沈大載) - 심응륜(沈應倫)에 양자로 입적
* 동생 : 심의래(沈宜來)
* 동생 : 심대시(沈大時)
* 동생 : 심의돈(沈宜敦)
** 조카 : 심명택(沈命澤) - 심대윤에 양자로 입적
** 조카 : 심도택(沈道澤) - 심대재(沈大載)에 양자로 입적
** 조카 : 심준택(沈駿澤)
* 동생 : 심의규(沈宜逵)
3. 생애
심대윤의 집안은 증조부 심악(沈䥃)이 나주괘서사건과 1755년(영조 31)의 을해옥사에 연루되면서 몰락하였다. 이 사건으로 벼슬길이 막히고 양반의 명맥만 유지하게 되자, 그는 학문 연구에 몰두하게 되었다.
심대윤은 한양(漢陽)에서 경주 이씨(慶州李氏)와 혼인하였으나, 처가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오랫동안 자식이 없자 넷째 동생 심의돈(沈宜敦)의 아들 심명택(沈命澤)을 양자로 들였다. 39세 때 경제적 어려움으로 한양을 떠나 노모, 두 동생과 함께 안성(安城)의 가곡(佳谷)으로 이주하였다. 그곳에서 목반(木槃)을 만드는 일에 종사하면서도 학문 연구를 계속하였다.
심대윤은 저술에 몰두하다 1872년(고종 9) 7월 25일 생을 마감하였다.
4. 교우 관계
심대윤은 정치·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교우 관계의 폭이 좁았다. 이희영(李曦榮), 강혜백(姜惠伯), 유영건(柳榮健), 정치형(鄭稚亨) 등과 교류하였다.
5. 저서
그의 저술은 경학과 역사 방면의 저술을 위시하여 모두 110책이 넘는다.
- 《복리전서》 - 유교의 덕목을 재구성하여 편찬한 복리서로 기독교에 대한 비판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1862년작, 소장 : 서울대학교 규장각,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 《한중수필》
- 《중용훈의》 (소장 : 서울대학교 규장각, 연세대학교 도서관)
- 《동사》
- 《전사》
- 《춘추사전속전》
- 《예기정해》
- 《시경집전변정》
- 《정법 수록》 (1854년작)
- 《대순 신서》 (1854년작)
- 《흠서 박론》
5. 1. 주요 저서 목록
그의 저술은 경학과 역사 방면의 저술을 위시하여 모두 110책이 넘는다.6. 평가
심대윤은 경전을 통하여 학문에 입문하고, 이를 체득한 다음 제자백가(諸子百家)나 음양(陰陽), 술수(術數) 같은 것을 공부하였다. 그는 독학으로 학문에 나아갔으며, 10대 중반에 사서삼경(四書三經)에 매진하였다. 그러나 학문적인 성취가 없자 20년 동안 경전 공부를 작파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그의 학문적 논지를 세련되게 하지 못한 단점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자신의 사유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계기를 만든 이점도 있었다.
그는 『춘추(春秋)』를 현실 토대 위에서 독법하는 방법을 체득한 다음 제자서(諸子書)와 기타 서적들을 섭렵하고, 그러한 토대 위에서 경전을 이해하는 과정을 밟고 있다. 즉 학문의 과정과 방법은 자신의 현실 처지와 관련이 깊다. 자신의 역사적 안목과 삶의 체험을 경학 저술에 접목시키는 방법이 바로 그것이다. 그가 『동사(東史)』와 『전사(全史)』를 집필한 것이라든가, 당대 현실에 바탕한 경학 해석 등도 모두 이러한 학문관의 소산이다.
그는 30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경전 공부에 몰입하였고, 그 뒤 거의 수십 년간이나 경전의 주석 작업에 매달렸다. 그의 학문적 좌표는 곧 경전의 올바른 이해였음을 이러한 작업에서 알 수 있다. 그의 다양한 독서 경험과 역사서에 대한 깊은 이해라든가 독법(讀法)도 따지고 보면 자신이 목표로 하였던 올바른 경전의 해석을 위한 수단이었다.
사물의 실리를 통하여 실득(實得)을 탐구하는 그의 학문 자세가 곧 그가 평생 지향했던 학문 방법이었다. 이러한 학문 자세는 장구(章句)에 얽매어 해석하는 정주(程朱)의 학문과 이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당시 학자들의 학문 풍토와 그 방향을 달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취한 경학 세계 또한 당시 학자들의 경전 해석과 그 궤를 달리한다. 그가 실을 바탕에 깔고 경학으로 현실에 대응하려고 한 자체가 이미 주자의 사유와는 그 담론을 전혀 달리한다. 그는 현실 토대에서 벗어나 관념적으로 이해한 정‧주적 학문 태도를 부정하고 실리와 실득에 바탕한 학문 방식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특징은 가학적인 학통과는 약간의 관련성이 있는데, 그의 증조부 심악의 형이었던 심육이 조선 양명학의 개조라고 불리는 정제두의 수제자였기 때문이다.
그가 생을 걸었던 경학 저술은 양적인 면에서는 물론이며, 질적인 면에서도 19세기 경학사의 한 획을 긋는 업적이다. 정인보는 심대윤에 대하여 “근세의 학자로서 이익과 안정복은 역사학으로 빼어났고, 정약용은 정치학으로 뛰어났다. 그러나 심대윤은 적막한 가운데 외롭게 지켜, 명성이 파묻히게 되었다. ...그러나 공정하게 논평하건대 정밀한 뜻과 빼어난 해석이 여러 학설 가운데에서 빼어났으니 삼한(三韓‧조선) 경학의 밝은 빛이라 하겠다.”라고 평하였다.
6. 1. 학문적 특징
심대윤은 경전을 통하여 학문에 입문하고, 이를 체득한 다음 제자백가(諸子百家)나 음양(陰陽), 술수(術數) 같은 것을 공부하였다. 그는 독학으로 학문에 나아갔으며, 10대 중반에 사서삼경(四書三經)에 매진하였다. 그러나 학문적인 성취가 없자 20년 동안 경전 공부를 작파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그의 학문적 논지를 세련되게 하지 못한 단점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자신의 사유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계기를 만든 이점도 있었다.그는 『춘추(春秋)』를 현실 토대 위에서 독법하는 방법을 체득한 다음 제자서(諸子書)와 기타 서적들을 섭렵하고, 그러한 토대 위에서 경전을 이해하는 과정을 밟고 있다. 즉 학문의 과정과 방법은 자신의 현실 처지와 관련이 깊다. 자신의 역사적 안목과 삶의 체험을 경학 저술에 접목시키는 방법이 바로 그것이다. 그가 『동사(東史)』와 『전사(全史)』를 집필한 것이라든가, 당대 현실에 바탕한 경학 해석 등도 모두 이러한 학문관의 소산이다.
그는 30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경전 공부에 몰입하였고, 그 뒤 거의 수십 년간이나 경전의 주석 작업에 매달렸다. 그의 학문적 좌표는 곧 경전의 올바른 이해였음을 이러한 작업에서 알 수 있다. 그의 다양한 독서 경험과 역사서에 대한 깊은 이해라든가 독법(讀法)도 따지고 보면 자신이 목표로 하였던 올바른 경전의 해석을 위한 수단이었다.
사물의 실리를 통하여 실득(實得)을 탐구하는 그의 학문 자세가 곧 그가 평생 지향했던 학문 방법이었다. 이러한 학문 자세는 장구(章句)에 얽매어 해석하는 정주(程朱)의 학문과 이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당시 학자들의 학문 풍토와 그 방향을 달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취한 경학 세계 또한 당시 학자들의 경전 해석과 그 궤를 달리한다. 그가 실을 바탕에 깔고 경학으로 현실에 대응하려고 한 자체가 이미 주자의 사유와는 그 담론을 전혀 달리한다. 그는 현실 토대에서 벗어나 관념적으로 이해한 정‧주적 학문 태도를 부정하고 실리와 실득에 바탕한 학문 방식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특징은 가학적인 학통과는 약간의 관련성이 있는데, 그의 증조부 심악의 형이었던 심육이 조선 양명학의 개조라고 불리는 정제두의 수제자였기 때문이다.
그가 생을 걸었던 경학 저술은 양적인 면에서는 물론이며, 질적인 면에서도 19세기 경학사의 한 획을 긋는 업적이다. 정인보는 심대윤에 대하여 “근세의 학자로서 이익과 안정복은 역사학으로 빼어났고, 정약용은 정치학으로 뛰어났다. 그러나 심대윤은 적막한 가운데 외롭게 지켜, 명성이 파묻히게 되었다. ...그러나 공정하게 논평하건대 정밀한 뜻과 빼어난 해석이 여러 학설 가운데에서 빼어났으니 삼한(三韓‧조선) 경학의 밝은 빛이라 하겠다.”라고 평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