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원부는 고려 말의 문신으로, 전리판서를 역임하고 이제현의 문인으로 활동했다. 고려 멸망 후 절의를 지켜 두문동에 들어갔으며, 조선 건국 후 벼슬을 거절하고 자손들에게도 벼슬에 나가지 말 것을 당부했다. 그는 고려오은 중 한 명으로 불리며, 《청기세고》에 시문집이 실려 있다. 개성 두문동 서원과 장성 경현사에 배향되었다.
고려 말 전리판서를 역임하였으며, 익재 이제현의 문인이다. 고려가 멸망하자 절의를 지켜 두문동에 들어갔다. 「부조현언지록」에 "두 임금을 섬기지 않겠다는 왕촉(王蠋)의 말에 경복한다"라는 말을 남겼다. 조선 건국 후 나라에서 여러 차례 벼슬을 주고 불렀으나 나가지 않았고, 자손들에게도 벼슬에 나가지 말 것을 경계하였다.
《청기세고》에 심원부의 시문집 《악은선생일고(岳隱先生逸稿)》가 실려있다.
심원보는 개성특별시 개풍군 광덕면에 있던 두문동 서원과 전남 장성군 남면 삼태리에 있는 경현사에 배향되었다.
2. 생애
3. 가계
관계 이름 비고 조부 심연(沈淵) 고려조 합문지후 부친 심룡(沈龍) 고려조 전리정랑, 증 문하시중, 청화부원군(靑華府院君) 모친 김씨(金氏) 형 심덕부(沈德符) 고려조 청성군충의백(靑城郡忠義伯) 문하시중 · 조선조 청성백(靑城伯) 영삼사사 문하부 좌정승 조카 심인봉(沈仁鳳) 의흥삼군부 도총제 조카 심의귀(沈義龜) 조카 심도생(沈道生) 본명 심계년(沈繼年), 고려조 성주지사(成州知事) 조카 심징(沈澄) 인수부윤, 경창부윤 조카 심온(沈溫) 조선 제4대 세종의 국구(장인),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영의정 조카 심종(沈淙) 조선 태조 이성계의 부마(사위), 청원군(靑原君), 경상도 절도사 조카 심정(沈泟) 의흥삼군부 동지총제 본인 심원부(沈元符) 고려조 전리판서, 악은(岳隱), 고려오은(高麗五隱), 두문동칠십이현 장남 심천윤(沈天潤) 고려조 영동정(令同正), 소류 심성지(小流 沈誠之, 1896년 을미의병 청송의병대장)의 14대조, 송소 심호택(松韶 沈琥澤, 송소고택 제1대 장주 · 대한제국 내부주사)의 17대조 차남 심천주(沈天柱) 고려조 현령(縣令), 임진왜란 의병장 심기일 (沈紀一, 증 병조참판), 심대승 (沈大承, 훈련원 판관 · 군자감정 · 임진왜란 의병장 · 증 좌승지)의 7대조, 심명보(沈明輔, 국회의원 · 민주정의당 대변인 · 총재(대통령) 비서실장 · 사무총장)의 21대조, 심우영(沈宇永, 경상북도지사 · 청와대 행정수석 · 총무처 장관)의 23대조 삼남 심천식(沈天湜)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의 문인
4. 평가
5. 문집
6. 서원과 사당 배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