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고무 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존 고무 붐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아마존 지역에서 천연 고무 수요 급증으로 발생한 경제적 호황을 의미한다. 유럽의 산업 혁명으로 고무 수요가 증가하면서 아마존 분지에서 라텍스 추출이 수익성 있는 사업으로 부상했고, 이는 아마존 지역의 도시 발전을 이끌었다. 그러나 고무 붐은 원주민 착취와 학살이라는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으며, 유럽 식민지에서 고무 농장이 개발되면서 쇠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다시 고무 수요가 급증하며 두 번째 붐이 일었지만, 열악한 환경과 가혹한 노동 조건으로 많은 인명 피해를 낳았다. 고무 붐은 아마존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원주민에게는 끔찍한 비극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마존 우림의 역사 - 도로시 스탕
미국 출신 로마 가톨릭 수녀 도로시 스탕은 1966년 브라질로 건너가 아마존 열대우림 보호와 빈민 구제, 농민 인권 보호에 헌신하며 '아마존의 성녀'로 존경받았으나, 불법 벌목에 반대하다 2005년 살해당해 브라질 토지 분쟁 문제를 국제적으로 알렸다. - 아크리주 - 히우브랑쿠
히우브랑쿠는 브라질 아크리 주의 주도로, 아크리 강을 따라 발달했으며 고무 농장 설립으로 시작되어 고무 호황기를 거쳤고, 현재는 유산 및 생태 관광과 지역 양식 산업을 통해 경제 변화를 추구하며, 아마존 열대 우림 보존 지역과 인접한 열대 몬순 기후 지역이다. - 아마조나스주 - 마나우스
마나우스는 아마존강과 네그루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브라질 아마존 주의 도시로, 고무 붐 시대에 번성하여 아마조나스 극장과 같은 건축물을 남겼으나, 자유 무역 지대 설립 후 재성장하며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이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아마존 고무 붐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아마존 고무 붐 |
기간 | 1879년–1912년 |
장소 | 아마존 분지 |
원인 | 고무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 증가 |
배경 | |
주요 도시 | 콜롬비아 아마존, 베네수엘라 아마존, 브라질 북부, 볼리비아 아마존, 페루 아마존의 도시들 |
결과 | |
영향 | 아마존 지역의 경제 및 사회 변화 원주민에 대한 착취 및 학대 마나우스와 벨렝과 같은 도시의 번영 |
주요 참여 국가 | |
국가 | 브라질 페루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
관련 용어 | |
포르투갈어 | Ciclo da Borracha (시클루 다 보하샤) |
스페인어 | Fiebre del Caucho (피에브레 델 카우초) |
2. 역사적 배경
천연 고무는 엘라스토머의 일종으로, 고무나무에서 추출되며 '카우추크'라고도 불린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유럽에 처음 고무를 알렸지만, 1736년 프랑스 천문학자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고무를 사용해 신발과 망토를 방수 처리하는 방법을 기록하고 고무 샘플을 프랑스로 가져갔다. 이후 영국의 과학자 조지프 프리스틀리가 고무를 지우개로 사용하면서 "rubber"라는 단어가 "eraser"를 대체하게 되었다.
1800년대에 들어서야 고무의 실용적인 용도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1803년 프랑스 파리에는 여성용 가터를 만드는 고무 공장이 문을 열었지만,[1] 실온에서 끈적거리고, 고온에서는 더 부드럽고 끈적해지며, 저온에서는 딱딱해지는 등 온도 변화에 따른 문제점이 있었다.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은 1600년경부터 아마존 열대 우림의 고무나무(''Hevea brasiliensis'')에서 고무를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대극과에 속하는 이 나무의 줄기에서 추출되는 흰색 액체인 라텍스는 고무 입자가 수성 혈청에 분산된 형태이다.[2] 라텍스는 pH 7.0~7.2의 중성 물질이지만, 공기에 노출되면 pH가 낮아져 응고되어 고무 덩어리가 된다.
초기 생산된 고무는 공기에 노출되면 부패하거나 온도에 따라 끈적거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산업적 처리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가황 처리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용제 및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했다.
1902년경 니콜라스 수아레스의 회사로 인해 볼리비아 원주민들이 광범위하게 박해받았다. 이 지역은 노예 습격으로 노동력을 얻기 위해 수색되었다. 습격으로 인해 집이 파괴되고, 남녀가 납치되었으며, 어린이와 노인이 살해되었다.[15] 영국 장관 세실 고슬링은 수아레스 영지에서 5개월 동안 머물렀으며, 노동 시스템을 "숨김없는 노예 제도"라고 언급했다.[16] 베니 지역의 노예 제도 혐의에 대해, 미국 장관은 그 제도가 가혹하지만, 이 지역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푸투마요보다 덜하다고 말했다.[17] 볼리비아의 많은 원주민들은 노예 상인들을 피하기 위해 토지와 농업을 버리고 정글로 숨어들었다. 베니, 마데이라, 마모레 지역의 많은 원주민들이 고무 수집이나 강을 따라 운송하는 일을 하기 위해 노예가 되었다.[18] 착취당한 집단에는 모호스, 타카나, 아라오나, 하라크무트, 마슈코-피로, 카시나와 등이 있다.
판도는 아마존 초목으로 완전히 덮인 볼리비아의 유일한 주이다.
2. 1. 천연 고무의 발견과 초기 이용
아메리카 토착민은 오래전부터 고무를 발견하여 활용해 왔다. 중남미에 자생하는 여러 고무나무 종의 수액은 중성으로 아이소프렌을 함유하고 있는데, 공기 중에 노출되면 약산성으로 변하면서 고무가 된다.엘라스토머의 일종인 천연 고무는 고무나무에서 추출되며, '카우추크'라고도 불린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유럽에 처음 고무를 알렸지만, 1736년 프랑스 천문학자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고무를 사용해 신발과 망토를 방수 처리하는 방법을 기록하고 고무 샘플을 프랑스로 가져갔다. 이후 영국의 과학자 조지프 프리스틀리가 고무를 지우개로 사용하면서 "rubber"라는 단어가 "eraser"를 대체하게 되었다.[1]
1800년대에 들어서야 고무의 실용적인 용도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1803년 프랑스 파리에는 여성용 가터를 만드는 고무 공장이 문을 열었지만,[1] 실온에서 끈적거리고, 고온에서는 더 부드럽고 끈적해지며, 저온에서는 딱딱해지는 등 온도 변화에 따른 문제점이 있었다.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은 1600년경부터 아마존 열대 우림의 고무나무(''Hevea brasiliensis'')에서 고무를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대극과에 속하는 이 나무의 줄기에서 추출되는 흰색 액체인 라텍스는 고무 입자가 수성 혈청에 분산된 형태이다.[2] 라텍스의 약 35%를 차지하는 고무는 시스-1,4-폴리이소프렌((C5H8)n)이다. 라텍스는 pH 7.0~7.2의 중성 물질이지만, 공기에 노출되면 pH가 낮아져 응고되어 고무 덩어리가 된다.
초기 생산된 고무는 공기에 노출되면 부패하거나 온도에 따라 끈적거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산업적 처리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가황 처리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용제 및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했다.
2. 2. 산업 혁명과 고무 가공 기술의 발전
산업 혁명으로 고무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아마존에서만 채취되던 고무는 높은 가격에 거래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고무는 선구적인 기업가들에게 강력한 매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아마존에서 라텍스 추출 활동은 수익성 있는 가능성을 보였고, 천연 고무는 곧 유럽과 북미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많은 사람들이 고무나무와 라텍스 추출 과정에 대해 배우기 위해 브라질로 여행을 떠나 재산을 모으기를 희망했다.고무 추출, 산업 가공 및 관련 활동의 성장으로 수많은 도시와 마을이 팽창했다. 1855년에는 2,100톤 이상의 고무가 아마존에서 수출되었고, 1879년에는 그 수치가 10,000톤에 달했다.[21] 벨렝과 마나우스는 변모하고 도시화되었다. 마나우스는 브라질에서 도시화된 최초의 도시이자 두 번째로 전기가 공급된 도시였다(첫 번째는 리우데자네이루주의 캄푸스 두스 고이타카제스였다).
3. 첫 번째 고무 붐 (1879–1912)
신대륙 발견 이후 450년 동안 아마존 분지의 원주민들은 사실상 고립된 생활을 했다. 그 지역은 광대하고 접근하기 어려웠으며, 브라질 식민지나 브라질 제국 모두 금이나 귀중한 돌을 발견할 수 없어 개발을 장려하지 않았다. 지역 경제는 다양한 천연 자원 사용에 기반을 두었지만, 개발은 해안 지역에 집중되었다.
인류학자 클라우스 룸멘회러는 1902년경 니콜라스 수아레스의 회사로 인해 볼리비아 원주민들이 광범위하게 박해받았다고 묘사했다. 이 지역은 노동력 확보를 위한 노예 습격으로 수색되었으며, 이로 인해 집이 파괴되고 남녀가 납치되었으며 어린이와 노인이 살해되었다.[15] 영국 장관 세실 고슬링은 수아레스 영지에서 5개월 동안 머물렀으며, 노동 시스템을 "숨김없는 노예 제도"라고 언급했다.[16] 미국 장관은 베니 지역의 노예 제도 혐의에 대해, 제도는 가혹하지만 이 지역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푸투마요보다는 덜하다고 말했다.[17] 많은 볼리비아 원주민들은 노예 상인들을 피해 토지와 농업을 버리고 정글로 숨어들었다. 베니, 마데이라, 마모레 지역의 많은 원주민들이 고무 수집이나 강을 따라 운송하는 일을 하기 위해 노예가 되었다.[18] 착취당한 집단에는 모호스, 타카나, 아라오나, 하라크무트, 마슈코-피로, 카시나와 등이 있다.
3. 1. 고무 수요 급증과 아마존 개발
유럽의 산업 혁명으로 고무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당시 고무는 아마존에서만 채취되었기 때문에 높은 가격에 거래되었다. 고무 추출 산업이 성장하면서 많은 이주자들이 아마존으로 들어와 마을과 도시를 건설하였다. 마나우스는 브라질에서 리우데자네이루주의 Campos dos Goytacazes에 이어 두 번째로 전기가 보급된 도시였다.[21]19세기 후반부터 고무는 기업가들에게 매력적인 사업 대상이었다. 아마존에서 라텍스 추출 활동은 수익성이 높았다. 천연 고무는 유럽과 북미 산업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되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무나무와 라텍스 추출에 대해 배우기 위해 브라질로 이주하여 재산을 모으고자 했다.
고무 추출, 산업 가공 및 관련 활동의 성장으로 수많은 도시와 마을이 팽창했다. 1855년에는 2,100톤 이상의 고무가 아마존에서 수출되었고, 1879년에는 10,000톤에 달했다.[21] 벨렝과 마나우스는 도시화되었다. 마나우스는 브라질에서 최초로 도시화된 도시이자 두 번째로 전기가 공급된 도시였다.
파라 주의 주도인 벨렝과 아마조나스 주의 주도인 마나우스는 고무 붐 시대에 브라질에서 가장 발전하고 번영한 도시였다. 이들은 전략적인 위치에 있었고, 고무 산업의 주요 인물들은 각 도시에 부유한 저택을 지었다. 시민들은 두 도시에 전기, 상수도, 하수도를 설치하도록 요구했다.
이들의 전성기는 1890년부터 1920년 사이였다. 이 시기에 전차, 대로가 건설되었고, 아마조나스 극장, 정부 궁전, 시립 시장, 세관(마나우스), 생선 시장, 철 시장, 테아트로 다 파스, 망고 나무 복도, 다양한 주거 궁전(벨렝) 등 인상적인 건물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기술과 건설은 당시 브라질 남부와 동남부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럽의 영향은 건축과 문화에서 마나우스와 벨렝에 두드러졌으며, 두 도시는 19세기에 가장 큰 경제와 영향력을 누렸다. 아마존 분지는 당시 브라질 전체 수출의 거의 40%를 차지했다. 마나우스의 새로운 부는 이 도시를 다이아몬드 판매의 세계적인 수도로 만들었다. 고무 덕분에 마나우스의 1인당 소득은 커피 생산 지역(상파울루, 히우데자네이루, 에스피리투산투)의 두 배였다.
고무 수출 대금으로 노동자들은 파운드 스털링(£)으로 지급받았으며, 이 통화는 마나우스와 벨렝에서 통용되었다.


3. 2. 마데이라-마모레 철도 건설
볼리비아 정부는 아마존강을 통해 유럽이나 미국과 교역하기 위한 교통로를 찾고 있었고, 1846년에 마모레강과 마데이라강을 잇는 철도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1]강은 아마존 유역을 항해하고 여행하기 위한 중요한 교통로였다. 처음에 볼리비아 정부는 마모레에서 마데이라강까지 항해로를 뚫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그 구간에는 20여 개의 폭포가 있어서 산업적인 규모의 수상 수송을 할 수 없었다. 철도를 건설해 그 구간을 피해가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었다.[1]
1867년 브라질은 볼리비아와는 별도로 고무를 수송할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마데이라강 유역의 고무나무 지대가 고무 추출에 적합한 지역이라는 것을 알아냈다.[1]
1869년 볼리비아 정부는 조지 얼 처치(George Earl Church)를 보내 마데이라강과 마모레강을 이을 방법을 찾으라고 했다. 조지 얼 처치는 곧 배로 수송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철도를 놓는 것으로 계획을 바꾸었다. 그는 1870년에 마데이라강의 고무나무 지대를 따라 철도를 건설하자고 브라질 정부에 제안했다.[1]
1903년 11월 페트로폴리스 조약이 체결되어 아크레를 브라질에 넘기고, 브라질은 마투그로수주의 약 3000 km2가량을 볼리비아에 인도하고 200만파운드를 배상하며, 볼리비아가 아마존강을 거쳐 대서양으로 교역할 수 있도록 마데이라강이 급류로 흐르는 구간을 따라 마데이라-마모레 철도를 건설해 주기로 합의하였다.[1]

6천여 명의 노동자가 건설 과정에서 사망하여 '악마의 철도'라는 별명이 붙은 마데이라-마모레 철도는 미국의 기업인 Percival Farquhar이 소유한 기업에 의해 건설되었다. 철도는 1912년 4월 30일에 완공되었다.[1]
3. 3. 아크레 분쟁과 페트로폴리스 조약
브라질인들은 새로운 고무나무를 찾아 아마존 깊숙이 진출했고, 볼리비아는 뒤늦게 아크레 지방에 대한 지배력을 되찾으려고 하면서 충돌이 일어났다. 1899년에 브라질인들이 아크레 공화국을 선포했다가 진압되는 일이 반복되었다.[15] 통제되지 않은 고무 채취의 증가는 긴장을 고조시키고 국제 분쟁을 일으킬 뻔했다. 브라질 노동자들은 채취할 새로운 고무나무를 찾아 볼리비아 영토의 숲 속으로 점점 더 깊숙이 진출하여 19세기 말 국경에서 갈등과 소규모 교전을 일으켰다. 조제 플라시두 데 카스트루가 이끄는 브라질군은 브라질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그 지역으로 파견되었다. 새로 선포된 브라질 공화국은 수익성이 좋은 고무 무역으로 상당한 이익을 얻었지만, 고무 채취로 인한 국경 분쟁인 "아크레 문제"가 공화국을 괴롭혔다.[15]외교관 바랑 두 히우 브랑쿠와 대사 조아킹 프란시스쿠 지 아시스 브라질의 중재는 일부 "고무 남작"의 자금 지원을 받아 볼리비아와의 협상으로 이어졌고, 1903년 11월 17일 프란시스쿠 지 파울라 호드리게스 알베스 대통령 정부 시절 페트로폴리스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볼리비아와의 분쟁을 종식시키는 동시에 브라질이 아크레 숲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권을 확보하도록 보장했다.[15]
브라질은 마투 그로수 영토, 200만파운드 지불, 그리고 마데이라강으로 연결되는 철도 건설 약속과 교환하여 볼리비아로부터 이 지역을 넘겨받았다. 이를 통해 볼리비아는 주로 고무를 아마존 강 하구의 브라질 대서양 항구로 운송할 수 있었다. 처음에 파라의 벨렝이 목적지로 지정되었다.[15]
이 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었기 때문에 아크레의 수도는 브라질 외교관의 이름을 따서 히우 브랑쿠로 명명되었다. 주의 두 개의 자치구는 대사와 또 다른 핵심 인물의 이름을 따서 각각 아시스 브라질과 플라시두 지 카스트루로 명명되었다.[15]
3. 4. 고무 붐의 쇠퇴
영국의 문익점에 비견되는 헨리 위컴은 1876년에 고무나무 씨앗을 반출하여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등 영국의 식민지에서 고무 재배를 확산시켰다.[23] 1899년 존 퍼거슨은 실론에서만 다양한 종류의 고무나무를 재배하는 토지가 1,500~1,600에이커에 달한다고 추정했다.[24] 이로 인해 아마존 고무의 가격은 급락했고, 지역 경제는 침체되기 시작했다. 기업가나 지역 정부는 고무 재배를 대체할 다른 산업을 찾지 못했고, 고무로 큰돈을 번 사람들은 지역을 떠났다. 파나마 운하나 볼리비아에서 아르헨티나로 가는 철도 등 다른 교통로가 발달하고, 고무 추출 산업이 침체되면서 마데이라-마모레 철도의 수요는 급감하여 화려했던 과거의 유산으로 남게 되었다.[22]

영국 정부는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열대 아프리카의 식민지에 고무나무를 심었고,[23] 이 농장들은 더 높은 효율성과 생산성으로 라텍스를 생산하여 대영 제국이 더 낮은 비용과 가격으로 세계 고무 시장을 장악하게 되었다.
아마존의 고무는 세계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잃고 수요가 감소하면서 지역 경제가 빠르게 침체되었다. "고무 남작"과 경제 엘리트는 돈을 따라 지역을 떠났고, 개발을 위한 대안을 찾을 기업가적 또는 정부적 비전은 부족했다.
철도와 포르투 벨류, 과자라미림 시는 이 경제 시대의 유산으로 남아 있었지만, 고무 붐의 종말로 인한 불황은 아마존 지역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국가 세입의 막대한 손실, 높은 수준의 실업, 농촌 및 도시 이주, 버려지고 불필요한 주택이 발생했다. 지역에 남은 사람들은 미래에 대한 기대가 거의 없었다. 수입을 박탈당한 고무 노동자들은 마나우스 외곽에 남아 새로운 일자리를 찾았고, 주택 부족으로 인해 1920년대에는 ''cidade flutuante''("떠다니는 도시")가 건설되었는데, 이는 1960년대에 굳어진 형태의 주거지였다.
1930년대에 미국의 자동차왕 헨리 포드는 아마존 일대에서 고무나무 재배를 시도했지만, 잎병 때문에 실패했다.
4. 두 번째 고무 붐 (1942-1945)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세계 경제가 변화하면서 새로운 고무 붐이 일어났지만, 그 기간은 짧았다. 1942년 초부터 일본 제국이 서태평양을 장악하고 말레이시아를 침략하면서, 그곳의 고무 농장은 일본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그 결과, 연합국은 아시아 고무 생산량의 97%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잃었다.[2]
미국 기업들은 이 지역에 투자했고, 관리자들은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벨렝과 마나우스에 새로운 건물들이 건설되었는데, 그 예로 벨렝에 단 3년 만에 건설된 고급 호텔인 그란데 호텔(Grande Hotel)이 있으며 오늘날에는 힐튼 호텔로 사용되고 있다.[3] 미국은 트럭과 자동차 타이어에 대한 고무 공급의 불가피한 격차를 메우기 위해 합성 고무인 정부 고무-스티렌을 개발했다.[3]
4. 1. 제2차 세계 대전과 고무 수급 위기
태평양 전쟁 시기 일본제국이 동남아시아를 장악하고 말레이시아로 침입하자 아시아 지역 고무 생산량의 97%가 일본의 손에 넘어가게 되었다. 이 시기에 미국이 고무를 확보하기 위해 브라질에 거액을 투자하면서 두 번째 고무 붐이 일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세계 경제의 변화는 새로운 고무 붐을 만들어냈지만, 그 기간은 짧았다. 1942년 초부터 일본 제국이 서태평양을 장악하고 말레이시아를 침략하면서, 그곳의 고무 농장이 일본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그 결과, 연합국은 아시아 고무 생산량의 97%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잃었다.[2]
미국 기업들은 이 지역에 투자했고, 그들의 관리자들은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벨렝(Belém)과 마나우스(Manaus)에 새로운 건물들이 건설되었다. 그 예로, 벨렝에 단 3년 만에 건설된 고급 호텔인 그란데 호텔(Grande Hotel)이 있는데, 오늘날에는 힐튼 호텔로 사용되고 있다.[3] 미국은 또한 트럭과 자동차 타이어에 대한 고무 공급의 불가피한 격차를 메우는 데 도움이 되는 합성 고무인 정부 고무-스티렌과 같은 새로운 합성 고무를 개발했다.[3]
4. 2. 브라질의 '고무 전투'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에 전쟁 장비에 필요한 고무를 공급하기 위해 브라질 정부는 미국 정부와 워싱턴 협정을 맺었다.[27] 이 협정은 아마존 라텍스의 대규모 추출을 목표로 했으며, 투입된 인력과 노력으로 인해 ''Batalha da borracha''('고무 전투')로 알려지게 되었다.당시 브라질 북동부 지역은 파괴적인 가뭄과 농부들에게 전례 없는 위기를 겪고 있었고, 브라질은 이 지역에서 새로운 고무 노동자를 모집하기로 결정했다. 에스타도 노부는 1943년에 북동부에 기반을 둔 ''Serviço Especial de Mobilização de Trabalhadores para a Amazônia''(SEMTA, "아마존을 위한 노동자 동원 특별 서비스")에서 강제 징병을 명령했다.
''SEMTA'' 외에도 정부는 '고무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직을 만들었다.
조직명 | 설명 |
---|---|
Superintendência para o Abastecimento do Vale da Amazônia(SAVA) | 아마존 계곡 공급 감독 |
Serviço Especial de Saúde Pública(SESP) | 공중 보건 특별 서비스 |
Serviço de Navegação da Amazônia e de Administração do Porto do Pará(SNAPP) | 아마존 항해 서비스 및 파라 항 관리 |
Banco de Crédito da Borracha | 고무 신용 은행 (1950년에 Banco de Crédito da Amazônia (아마존 신용 은행)로 변경) |
미국 산업 자본으로 자금을 지원받은 국제 기구 고무 개발 공사 (RDC)는 이주민의 이주 비용을 부담했다. 미국 정부는 아마존에 인도된 모든 노동자에게 브라질 정부에 100USD를 지불했다.
브라질의 여러 지역에서 수천 명의 노동자들이 강제로 징집되어 강제 노역에 시달렸다. 북동부 지역은 아마존으로 54,000명의 노동자를 보냈는데, 이 중 30,000명이 세아라 출신이었다. 이 새로운 고무 노동자들은 전쟁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고무를 미국 공장에 공급하는 라텍스의 역할 때문에 ''soldados da borracha''('고무 병사')라고 불렸다.
많은 노동자들에게 그것은 일방적인 여정이었다. 약 30,000명의 고무 노동자가 "백색 금"을 추출하는 데 에너지를 소모한 후 아마존에서 사망했다. 그들은 말라리아, 황열, 간염으로 사망했으며,[27] 재규어, 뱀, 전갈과 같은 동물들의 공격을 받았다. 브라질 정부는 전쟁이 끝난 후 "고무 병사"들을 영웅으로 칭송하고 군 참전 용사들과 비슷한 주택을 제공하며 고향으로 돌려보내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28] 약 6,000명의 노동자만이 자비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던 것으로 추산된다. 21세기에는 생존자 수가 감소하면서 전쟁 노력에 대한 기여에 대해 정부에 자신과 가족에 대한 인정과 보상을 요구했다.[28]
5. 원주민에 대한 영향
고무 붐은 브라질,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페루, 에콰도르, 콜롬비아 등 아마존 지역 원주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고무 농장이 성장하면서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각해졌고, 원주민들은 가혹한 환경에 놓였다. 농장주들은 막대한 부를 축적했지만, 원주민들은 매우 적은 수입으로 고무 채취에 동원되었다. [3][4]
푸투마요 집단 학살과 같이 끔찍한 사례도 있었지만, 모든 지역이 물리적 폭력에 의해 지배된 것은 아니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후원자-소작인 관계에 따른 자발적 복종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일부 원주민들은 백인 상인과의 거래를 통해 이익을 얻기도 했으며, 고무 사업에 참여하지 않고 주요 강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생활하는 원주민들도 있었다. 채취꾼들은 고립된 환경에서 일했기 때문에 감독이나 시간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웠다.[5]
볼리비아에서는 니콜라스 수아레스의 회사에 의한 원주민 박해가 광범위하게 일어났다. 노예 습격으로 인해 가옥이 파괴되고 사람들이 납치되었으며, 어린이와 노인들이 살해되었다.[15] 많은 원주민들이 노예 상인을 피해 정글로 숨어들었고,[18] 모호스, 타카나, 아라오나, 하라크무트, 마슈코-피로, 카시나와 등 다양한 부족들이 고무 채취나 운송을 위해 노예가 되었다.[18]
5. 1. 원주민 착취와 학살
고무 붐과 그에 따른 대규모 노동력의 필요는 브라질,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페루, 에콰도르, 콜롬비아 전역의 원주민에게 상당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고무 농장이 성장함에 따라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었다. 농장주 또는 고무 거물들은 부유했지만, 고무를 수집하는 사람들은 수익을 내기 위해 막대한 양의 고무가 필요했기 때문에 수입이 매우 적었다. 고무 거물들은 모든 원주민을 모아 나무에서 고무를 채취하도록 강요했다. 한 농장은 5만 명의 원주민으로 시작했지만 발견되었을 때 8천 명만 살아 있었다. 노예제도와 조직적인 잔혹 행위가 만연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원주민의 90%가 몰살되었다.[3][4]푸투마요 집단 학살은 특히 끔찍한 사례였다. 많은 인근 고무 지역은 물리적 폭력에 의해 지배되지 않았지만, 후원자-소작인 관계에 내포된 자발적 복종에 의해 지배되었다. [5]
인류학자 클라우스 룸멘회러는 1902년경 니콜라스 수아레스의 회사로 인해 볼리비아 원주민들이 광범위하게 박해받았다고 묘사했다. 이 지역은 여러 차례의 노예 습격으로 노동력을 얻기 위해 수색되었다. 습격으로 인해 집이 파괴되고, 남녀가 납치되었으며, 어린이와 노인이 살해되었다.[15]
영국 장관 세실 고슬링은 수아레스 영지에서 5개월 동안 머물렀으며, 노동 시스템을 "숨김없는 노예 제도"라고 언급했다.[16] 베니 지역의 노예 제도 혐의에 대해, 미국 장관은 그 제도가 가혹하지만, 이 지역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푸투마요보다 덜하다고 말했다.[17] 볼리비아의 많은 원주민들은 노예 상인들을 피하기 위해 토지와 농업을 버리고 정글로 숨어들었다. 베니, 마데이라, 마모레 지역의 많은 원주민들이 고무 수집이나 강을 따라 운송하는 일을 하기 위해 노예가 되었다.[18] 착취당한 집단에는 모호스, 타카나, 아라오나, 하라크무트, 마슈코-피로, 카시나와 등이 있다.

'고무 거물'이라는 용어는 1870년부터 1913년 사이의 고무 붐 시대에 성공한 기업가들을 지칭한다. 남아메리카의 고무 거물들은 종종 현지 원주민 부족을 노예로 삼아 그들에게 고무를 채취하게 했다. 훌리오 아라나(Julio Arana), 카를로스 피츠카랄드, 카를로스 샤르프, 니콜라스 수아레스의 채취 노력은 원주민들에게 끔찍한 학대로 이어졌으며, 가장 악명 높은 사례는 아라나의 회사에서 저지른 푸투마요 학살이었다. 아라나는 푸투마요 부족들을 착취하고 학대했으며, 위토토, 보라스, 안도케 등 그 지역의 다른 민족들을 노예로 만들었다.[26]
5. 2. 노예 습격과 강제 이주
고무 붐과 그에 따른 대규모 노동력의 필요는 브라질,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페루, 에콰도르, 콜롬비아 전역의 원주민에게 상당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3][4] 고무 농장이 성장하면서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었다. 농장주나 고무 거물들은 부유했지만, 고무 채취 노동자들은 많은 양의 고무가 필요했기에 수입이 매우 적었다. 고무 거물들은 원주민을 강제로 동원해 고무를 채취하게 했다. 한 농장은 5만 명의 원주민으로 시작했지만, 이후 발견되었을 때는 8천 명만 생존해 있었다. 노예제도와 조직적인 잔혹 행위가 만연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원주민의 90%가 몰살되기도 했다.[3][4]인류학자 클라우스 룸멘회러는 1902년경 니콜라스 수아레스의 회사로 인해 볼리비아 원주민들이 광범위하게 박해받았다고 묘사했다. 이 지역은 노예 습격을 통해 노동력을 확보하려는 수색이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가옥이 파괴되고, 남녀가 납치되었으며, 어린이와 노인이 살해되었다.[15] 영국 장관 세실 고슬링은 수아레스 영지에서 5개월간 머무르며, 노동 시스템을 "숨김없는 노예 제도"라고 언급했다.[16]
많은 볼리비아 원주민들은 노예 상인을 피해 토지와 농업을 포기하고 정글로 피신했다.[18] 베니, 마데이라, 마모레 지역의 많은 원주민들은 고무 채취나 강을 이용한 운송을 위해 노예가 되었다.[18] 착취당한 집단에는 모호스, 타카나, 아라오나, 하라크무트, 마슈코-피로, 카시나와 등이 있다.
판도는 아마존 초목으로 완전히 덮인 볼리비아의 유일한 주이다.
5. 3.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볼리비아의 상황
고무 붐과 그에 따른 대규모 노동력의 필요는 브라질,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페루, 에콰도르, 콜롬비아 전역의 원주민에게 상당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고무 농장이 성장함에 따라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었다. 농장주나 고무 거물들은 부유했지만, 고무 수집꾼들은 많은 양의 고무가 필요했기 때문에 수입이 매우 적었다. 고무 거물들은 원주민을 모아 고무 채취를 강요했는데, 한 농장은 5만 명의 원주민으로 시작했지만 발견 당시에는 8천 명만 살아남았다. 노예제도와 조직적인 잔혹 행위가 만연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원주민의 90%가 몰살되었다.[3][4]존 A. 툴리는 저서 "악마의 우유: 고무의 사회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열대 세계 전역의 원주민들에게, 바다 수평선에 나타난 하얀 돛은 종종 죽음을 예고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아마존의 푸른 '바다'에 살던 인디언들에게 죽음은 고무를 갈망하는 무장한 남성들을 태운 증기선이나 군함의 도착으로 예고되었다. 기술은 정복자 시대 이후로 발전했고, 살해와 노예화는 더욱 효율적으로 변했다. 오늘날 페루 '셀바스'의 외딴 구석에 살고 있는 은둔 부족민들은 최종 해결과 아르메니아 학살과 비례하는 재앙의 기억을 물려받았다.
푸투마요 집단 학살은 특히 끔찍한 사례였다. 많은 인근 고무 지역은 물리적 폭력보다는 후원자-소작인 관계에 내포된 자발적 복종에 의해 지배되었다. 일부 원주민은 백인 상인과의 거래로 이익을 얻었고, 다른 이들은 고무 사업에 참여하지 않고 주요 강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채취꾼들은 고립 속에서 일했기 때문에 감독자와 시간표에 얽매이지 않았다.[5]
인류학자 클라우스 룸멘회러는 1902년경 니콜라스 수아레스의 회사로 인해 볼리비아 원주민들이 광범위하게 박해받았다고 묘사했다. 이 지역은 노예 습격으로 노동력을 얻기 위해 수색되었고, 습격으로 집이 파괴되고 남녀가 납치되었으며 어린이와 노인이 살해되었다.[15] 영국 장관 세실 고슬링은 수아레스 영지에서 5개월간 머물며 노동 시스템을 "숨김없는 노예 제도"라고 언급했다.[16]
볼리비아의 많은 원주민들은 노예 상인을 피해 토지와 농업을 버리고 정글로 숨었다. 베니, 마데이라, 마모레 지역의 많은 원주민들이 고무 수집이나 강을 따라 운송하는 일을 하기 위해 노예가 되었다.[18] 착취당한 집단에는 모호스, 타카나, 아라오나, 하라크무트, 마슈코-피로, 카시나와 등이 있다.
6. 고무 붐의 유산과 현대적 의의
아마존 고무 붐은 경제, 사회, 환경적으로 여러 유산을 남겼다.
경제적으로 고무 붐은 마데이라-마모레 철도 건설 등 아마존 지역에 일시적인 번영을 가져왔지만, 단일 자원 의존 경제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등 영국 식민지에서 고무 재배가 확산되면서 아마존 고무의 경쟁력이 약화되었고, 파나마 운하 개통과 다른 교통로의 발달은 철도의 수요를 감소시켰다. 1930년대 헨리 포드의 고무나무 재배 시도는 잎병으로 인해 실패했다.[15]
사회적으로 고무 붐은 원주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니콜라스 수아레스와 같은 고무 회사들은 원주민들을 노예로 삼고, 그들의 토지와 삶의 터전을 파괴했다.[15] 모호스, 타카나, 아라오나, 하라크무트, 마슈코-피로, 카시나와 등 많은 원주민 집단이 착취당했다.[18]
환경적으로 고무 채취를 위한 무분별한 벌목과 농장 조성은 아마존 열대우림 파괴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이는 기후 변화와 생물 다양성 감소 등 전 지구적인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6. 1. 경제적 유산
마데이라-마모레 철도는 아마존 고무 붐 시기에 건설된 대표적인 인프라 시설이다. 1846년 볼리비아 정부는 아마존강을 통한 교역로 확보를 위해 마모레강과 마데이라강을 잇는 철도 건설을 추진했다.[15] 1869년, 조지 얼 처치는 볼리비아 정부의 의뢰를 받아 철도 건설 계획을 구체화했고, 1870년 브라질 정부의 허가를 받았다.[15] 1907년 아폰수 페나 정부 시절 착공된 이 철도는 1912년에 완공되었으나, 건설 과정에서 약 6,000명의 노동자가 사망하여 '악마의 철도'라는 별명이 붙었다.[15]그러나 철도 완공 시점에는 이미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등 영국 식민지에서 고무 재배가 확산되어 아마존 고무 가격이 폭락한 뒤였다.[15] 파나마 운하 개통(1914년 8월 15일)과 다른 교통로 발달로 철도 수요가 감소했고, 아마존 열대 우림의 자연환경으로 인해 철도 유지 보수도 어려웠다.[15] 결국 1930년대에 부분 운행 중단, 1972년에는 완전히 운행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약 7km 구간만이 관광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15]
고무 붐은 아마존 지역 경제에 일시적인 번영을 가져왔지만, 단일 자원 의존 경제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1930년대 헨리 포드의 고무나무 재배 시도는 잎병으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다.[15]
6. 2. 사회적 유산
인류학자 클라우스 룸멘회러는 1902년경 니콜라스 수아레스의 회사로 인해 볼리비아 원주민들이 광범위하게 박해받았다고 묘사했다. 이 지역은 노동력을 얻기 위한 노예 습격이 여러 차례 있었다. 습격으로 집이 파괴되고, 남녀가 납치되었으며, 어린이와 노인이 살해되었다.[15]
영국 장관 세실 고슬링은 수아레스 영지에서 5개월 동안 머물렀으며, 노동 시스템을 "숨김없는 노예 제도"라고 언급했다.[16] 미국 장관은 베니 지역의 노예 제도 혐의에 대해, 그 제도가 가혹하지만 이 지역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푸투마요보다 덜하다고 말했다.[17] 베니, 마데이라, 마모레 지역의 많은 볼리비아 원주민들은 노예 상인들을 피하기 위해 토지와 농업을 버리고 정글로 숨어들었으며, 고무 수집이나 강을 따라 운송하는 일을 하기 위해 노예가 되었다.[18] 착취당한 집단에는 모호스, 타카나, 아라오나, 하라크무트, 마슈코-피로, 카시나와 등이 있다.
6. 3. 환경적 유산
고무 채취를 위한 무분별한 벌목과 농장 조성은 아마존 열대우림 파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환경 파괴는 기후 변화와 생물 다양성 감소 등 전 지구적인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fate of the forest: developers, destroyers, and defenders of the Amaz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서적
Rubber Techn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3
[3]
웹사이트
Why do they hide?
http://www.survivali[...]
[4]
웹사이트
Rubber Barons' Abuses Live On in Memory and Myth
https://www.sapiens.[...]
2023-02-11
[5]
논문
Rhythms of Everyday Trade: Local Mobilities at the Peruvian-Ecuadorian Contact Zone during the Rubber Boom (c. 1890–1912)
https://www.research[...]
2016
[6]
서적
Informe del ingeniero sr. César Cipriani sobre la ruta Perené-Ugayali
https://books.google[...]
1906
[7]
서적
Intimate Frontiers: A Literary Geography of the Amazon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19
[8]
서적
Intimate Frontiers: A Literary Geography of the Amazon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19
[9]
웹사이트
Mounting Drama for Uncontacted Tribe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2-02-02
[10]
서적
The Devil and Mr. Casement: One Man's Battle for Human Rights in South America's Heart of Darkness
https://books.google[...]
Verso
2023-08-20
[11]
뉴스
Survival International: Horrific treatment of Amazon Indians exposed 100 years ago today
http://www.survivali[...]
[12]
논문
Surviving the Rubber Boom: Cofán and Siona Society in the Colombia-Ecuador Borderlands (1875–1955)
https://www.research[...]
2014
[13]
간행물
The India-rubber World
https://archive.org/[...]
1907
[14]
웹사이트
Gobierno colombiano pide perdón por "genocidio" del caucho
https://www.elespect[...]
El Espectador
2024-04-24
[15]
서적
Los Pueblos Indígenas de Madre de Dios. Historia, etnografía y coyuntura
2003
[16]
논문
The Empire Builders: A History of the Bolivian Rubber Boom and the Rise of the House of Suarez
https://www.jstor.or[...]
2023-08-09
[17]
웹사이트
THE IMPACT OF THE RUBBER BOOM ON THE INDIGENOUS PEOPLES OF THE BOLIVIAN LOWLANDS (1850–1920)
https://repository.l[...]
The University of Georgia
2023-08-20
[18]
웹사이트
THE IMPACT OF THE RUBBER BOOM ON THE INDIGENOUS PEOPLES OF THE BOLIVIAN LOWLANDS (1850–1920)
https://repository.l[...]
The University of Georgia
2023-08-20
[19]
서적
Hugo Chávez and the Bolivarian Revolution
Verso
[20]
서적
istories and historicities in Amazon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Lincoln
2023-08-20
[21]
서적
The Amazon Rubber Boom, 1850–1920
Stanford University Press
[22]
논문
The Empire Builders: A History of the Bolivian Rubber Boom and the Rise of the House of Suarez
2023-08-24
[23]
문서
"1876." The People's Chronology
Thomson Gale
[24]
서적
All about rubber and gutta-percha: the indiarubber planter's manual with the latest statistics and information
https://archive.org/[...]
A.M. & J. Ferguson Collection
1899
[25]
서적
La era del Imperio y las Fronteras de la Civilización en América del sur
Ediciones UniAndes-Pehuén
[26]
논문
"Purús Song": Nationalization and Tribalization in Southwestern Amazonia
https://digitalcommo[...]
2006
[27]
뉴스
Manaus Journal, For the Rubber Soldiers of Brazil, Rubber Checks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28]
뉴스
Brazil 'rubber soldiers' fight for recognition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13-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