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사시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사시선은 1913년 고료카쿠역과 가미이소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36년 에사시역까지 연장되어 히야마 지역의 화물 및 지역 주민의 교통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1988년 세이칸 터널 개통과 함께 고료카쿠-키코나이 구간이 전철화되어 홋카이도와 혼슈를 잇는 노선으로 기능했으나, 2014년 키코나이-에사시 구간이 폐지되었고,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고료카쿠-키코나이 구간은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었다. 현재는 키코나이-에사시 구간은 버스로 대체되었으며, 고료카쿠-키코나이 구간은 화물 열차 운행만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폐지 노선 - 쓰가루 해협선
    1988년 세이칸 터널 개통과 함께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며 운영되던 쓰가루 해협선은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되어 폐지되었으나, 일부 구간은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어 운영 중이다.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폐지 노선 - 우타시나이선
    우타시나이선은 홋카이도 탄광 철도가 석탄 수송을 목적으로 스나가와와 우타시나이를 연결하기 위해 개통한 철도 노선이었으나, 탄광 산업 쇠퇴로 폐지되었으며, 한때 흑자 노선이었지만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지정된 후 JR 홋카이도로 이관되어 폐선되었다.
  • 홋카이도의 폐지된 철도 노선 - 데미야선
    데미야선은 홋카이도 오타루시의 남오타루역과 테미야역을 잇는 2.8km 철도 노선으로 1880년 개통되었으나 이용객 감소와 국철 경영 악화로 1985년 폐지되었고 폐선 부지는 산책로로 활용되고 있다.
  • 홋카이도의 폐지된 철도 노선 - 세타나선
    세타나선은 일본국유철도가 홋카이도 후타미군의 군누이역에서 세타나군의 세타나역을 잇던 48.4km의 철도 노선으로, 이용객 감소로 1987년 폐지되었다.
에사시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에사시선 (江差線)
노선 종류보통 철도 (재래선, 지방 교통선)
별칭쓰가루 해협선(고료카쿠 - 기코나이 구간)
노선 상태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 (고료카쿠 - 기코나이 구간)
폐선 (기코나이 - 에사시 구간)
노선 기점고료카쿠역 (홋카이도 하코다테시)
노선 종점에사시역 (홋카이도 히야마군 에사시정)
역 수여객역: 21개
화물역: 1개
신호장: 1개소
개업일1913년 9월 15일
전체 개통일1936년 11월 10일
휴지일2014년 5월 12일 (기코나이 - 에사시 구간)
폐지일2016년 3월 26일 (고료카쿠 - 기코나이 구간)
소유자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운영자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전 구간 제1종 철도사업)
일본화물철도 (JR 화물) (고료카쿠 - 기코나이 구간 제2종 철도사업)
차량 기지하코다테 운수소
사용 차량기하40계 디젤 동차
노선 길이79.9km
궤간1,067mm (협궤)
선로 수전 구간 단선
전철화 구간고료카쿠 - 기코나이 구간
비전철화 구간기코나이 - 에사시 구간
전철화 방식교류 20,000V, 50Hz 가공 전차선 방식
최대 경사25‰ (요시호리 - 신메이 구간 등)
최소 곡선 반지름160m
폐색 방식단선자동폐색식 (고료카쿠 - 기코나이 구간)
특수자동폐색식 (궤도 회로 검지식) (기코나이 - 유노타이 구간)
스태프 폐색식 (유노타이 - 에사시 구간)
보안 장치ATS-SN
최고 속도100km/h (고료카쿠 - 기코나이 구간)
65km/h (기코나이 - 에사시 구간)
전보 약호에사세
노선도
에사시선 노선도
에사시선 노선도
기타
노선 기호H (고료카쿠역만 해당)

2. 역사

1913년 9월 15일 카미이소경편선으로 처음 개통되었으며, 1936년 11월 10일 에사시까지 연장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88년 3월 13일, 세이칸 터널 및 카이쿄선 개통에 따라 오료카쿠-키코나이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2012년 8월 7일,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는 재정 문제로 2014년 봄에 키코나이-에사시 간 42km 구간(비전철화 구간)을 폐쇄하기로 발표했다.[1] 2011년 기준 이 구간은 하루 6회 왕복 운행되었으며, 1일 1km당 평균 이용객은 41명으로 JR 홋카이도 노선 중 가장 적었다.[2] 결국 키코나이-에사시 구간은 2014년 5월 12일 폐쇄되었다.[3]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오료카쿠-키코나이 구간은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었다.[3]

2. 1. 일제강점기

1909년(메이지 42년), 하코다테 지역 유지들이 가미이소 지역의 석회석을 하코다테로 운반하기 위해 철도원(일본 철도청의 전신)에 철도 부설을 청원하면서 건설이 시작되었다.[5][6] 1910년 경편철도법에 따라 건설되어, 1913년 9월 15일 고료카쿠역-가미이소역 구간이 '''가미이소경편선'''으로 개통되었다.

1930년부터 1936년까지 히야마군에사시정에사시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1936년 11월 10일 에사시까지 개통하면서 '''에사시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노선은 히야마 지역의 목재, 해산물 등 화물 운송과 하코다테를 오가는 지역 주민들의 교통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1960년 2월 6일에는 모베지역 - 가미노쿠니역 간에 차내 판매가 시작되었다.[9]

일본 시멘트(Japan Cement Co.) 기관차 2호가 1922년부터 1975년까지 가미이소에서 운행되었다.

  • 가미이소역: 1915년부터 1989년까지 일본 시멘트(Japan Cement Co.) 공장에 500m 길이의 지선이 연결되었다. 1921년부터 1956년까지 사설 6.6km 노선이 석회석을 공장으로 수송했으며, 1922년부터 600V 직류로 전철화되었다. 1949년부터 1973년 컨베이어 벨트로 대체될 때까지 석회석 채석장까지 두 번째 3.4km 노선이 운영되었다.
  • 키코나이역: 1937년, 오시마의 제안된 망간 광산을 위한 75km 노선의 시작인 시리우치까지의 8km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1953년 마쓰마에(51km)에 도달했고, 1988년 폐쇄되었다. 망간 매장지까지의 마지막 24km 구간은 건설되지 않았다.

2. 2. 해방 이후

2. 3. 세이칸 터널 및 가이쿄선 개통

1988년 3월 13일, 세이칸 터널가이쿄선 개통으로 고료카쿠역 - 키코나이역 구간이 전철화 (교류 20,000V 50Hz)되었다. 이 구간은 홋카이도와 혼슈를 잇는 간선 루트인 쓰가루 해협선의 일부가 되었다. 이에 따라 홋카이도-혼슈 간 화물 운송 및 세이칸 연락 수송을 담당하게 되었다.[5][6]

전철화와 함께 일본화물철도(JR 화물)이 해당 구간에서 제2종 철도사업을 시작하여 화물 영업이 재개되었다. 또한, 혼슈 연락 특급 "하쓰카리", 침대 특급 "호쿠토세이"・"니혼카이" 1・4호, 급행 "하마나스", 쾌속 "해협" 등의 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반면, 키코나이역 - 에사시역 구간은 홋카이도도도 5호 에사시키코나이선이 정비되지 않은 관계로, 비전철화 로컬선으로 남았다.

2. 4.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도난 이사리비 철도 이관

2014년, 이용객 감소로 키코나이-에사시 구간이 폐지되고 버스 노선으로 전환되었다.[1][2][3] 2011년 회계 연도에 이 구간은 하루 6회 왕복 운행되었으며, 일일 킬로미터당 평균 이용객은 41명으로, JR 홋카이도 노선 중 가장 낮았다.[2]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고료카쿠-키코나이 구간은 JR 홋카이도에서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어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이 되었다.[3] 이 구간은 홋카이도와 혼슈 간 화물 운송을 지속하기 위해 존속되었다.

3. 운행 형태

에사시선은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운행 형태가 크게 변경되었다. 고료카쿠역 - 키코나이역 구간은 도난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었고, 키코나이역 - 에사시역 구간은 이용객 감소로 폐지되어 버스로 전환되었다.

과거에는 하코다테역과 에사시역을 잇는 준급, 급행열차가 운행되었고, 세이칸 터널 개통 이후에는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특급, 침대특급, 쾌속열차가 운행되었다. 2002년부터는 특급 '시라토리', '슈퍼 시라토리'가 운행되었으나,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폐지되었다.[3] 2015년 3월 12일에는 임시 침대 특급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운행이 종료되었고, 같은 해 3월 14일 "호쿠토세이"가 정기 열차 운행을 종료했다. 임시 침대 특급 "카시오페이아"와 급행 "하마나스"는 2016년 3월 21일 운행을 종료하고, 3월 26일 신칸센 개통과 함께 폐지되었다.

보통 열차는 모두 원맨 운전을 실시했으며, 하코다테 본선의 하코다테역까지 운행되었다. 하코다테역 - 가미이소역 구간은 1시간에 1편 정도, 가미이소역 - 키코나이역 구간은 3시간 정도 운행이 없는 시간대가 있었다. 키하40형 기동차로 운행되었다. 2014년 5월 12일에 폐지된 키코나이역 - 에사시역 구간은 폐지 시점에 1일 6왕복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그 대부분은 하코다테역에서 직통했다.

아오모리 신호장에서 하코다테 화물역까지 이어지는 쓰가루 해협선의 일부로서, 키코나이역 - 고료카쿠역(하코다테 화물역) 구간에서 JR 화물에 의한 화물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컨테이너 차량으로 편성된 고속 화물 열차만 운행되며, 전용 화물 열차는 정기 열차로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3. 1. 여객 수송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 개통으로, 에사시선 고료카쿠역 - 키코나이역 구간은 JR 홋카이도에서 도난이사리비 철도로 경영이 분리되었다.

혼슈와 홋카이도 간의 화물 수송은 철도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세이칸 터널의 홋카이도 신칸센 공사에서도 화물 수송 유지를 전제로 시공이 이루어져, 화물 열차가 다니는 에사시선의 해당 구간 폐지 가능성은 낮게 여겨졌다.

2011년 10월 31일, 홋카이도는 에사시선의 고료카쿠역 - 키코나이역 구간을 버스 전환하는 방침을 제안했으나, 하코다테시호쿠토시의 반발로 2011년도 내에 결론을 내릴 예정이었다. 이후 홋카이도는 버스 전환안을 철회하고 제3섹터 방식으로 철도를 유지하는 방침을 표명했다. 제3섹터 설립은 JR 홋카이도의 문제로 늦어져 2014년 8월 1일에 설립되었다.

2012년 8월 7일, JR 홋카이도는 이용객이 적은 키코나이역 - 에사시역 구간을 폐선하고 버스 전환하는 방향으로 검토에 들어갔다. 2013년 3월 28일, 연선 지자체들이 버스 전환에 동의했고, 2014년 4월 26일 JR 홋카이도는 국토교통성에 폐지 신고를 제출, 2014년 5월 12일자로 해당 구간이 폐지되었다.

2014년 11월 12일, JR 홋카이도는 2015년도부터 곡선의 캔트를 작게 하는 공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화물 열차 탈선 사고와 신칸센 개통 후 통과 열차 속도 감소를 예상한 조치였다. 2014년 현재 캔트는 특급 전철이 70-80km/h로 통과하는 것을 상정해 80-100mm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신칸센 개통 후에는 저속 화물 열차와 보통 열차가 중심이 되므로 최대 80mm 정도로 낮추게 되었다.

3. 1. 1. 광역 수송

하코다테에사시를 잇는 준급, 급행열차가 과거에 운행되었으며, 세이칸 터널 개통 이후에는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특급, 침대특급, 쾌속열차가 운행되었다. 2002년부터는 특급 '시라토리', '슈퍼 시라토리'가 운행되었으나,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폐지되었다.[3]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2015년 3월 12일(오사카·삿포로 발 모두)부로 임시 침대 특급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운행이 종료되었고, 같은 해 3월 14일 다이어 개정으로 "호쿠토세이"가 정기 열차 운행을 종료했다. 임시 침대 특급 "카시오페이아"와 급행 "하마나스"는 2016년 3월 21일 운행을 종료하고, 3월 26일 신칸센 개통과 함께 폐지되었다.

3. 1. 2. 지역 수송

모든 열차는 하코다테 본선하코다테역까지 운행되었다. 보통 열차는 모두 원맨 운전을 실시했다. 하코다테역 - 가미이소역 구간은 1시간에 1편 정도, 가미이소역 - 키코나이역 구간은 3시간 정도 운행이 없는 시간대가 있었다. 하코다테 운수소에 보통 열차용 전동차가 배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두 키하40형 기동차로 운행되었다. 특급형 전동차인 485계, 785계, 789계의 간이 운용은 없었다.

2014년(헤이세이 26년) 5월 12일에 폐지된 키코나이역 - 에사시역 구간은 폐지 시점에 1일 6왕복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그 대부분은 하코다테역에서 직통했다. 또한 오시마쓰루오카역, 요시보리역, 신메이역은 일부 열차가 통과했다.[1]

3. 2. 화물 수송

아오모리 신호장에서 고료카쿠역(하코다테 화물역)까지 이어지는 쓰가루 해협선의 일부로서, 키코나이역 - 고료카쿠역(하코다테 화물역) 구간에서 JR 화물에 의한 화물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컨테이너 차량으로 편성된 고속 화물 열차만 운행되며, 전용 화물 열차는 정기 열차로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열차 수는 하행(고료카쿠 방면행)·상행(키코나이 방면행) 모두 21편이다. 화물역인 하코다테 화물역을 제외하고, 역에서의 화차 연결 작업은 없다.

견인기는 고료카쿠 기관구에 소속된 ED79형 전기 기관차와 EH800형 전기 기관차, 센다이 종합 철도부에 소속된 EH500형 전기 기관차이다.

또한, 고료카쿠역(하코다테 화물역) - 키코나이역 구간에서 열차 교환 설비가 있는 역은 세이칸 터널 개업에 즈음하여 화물 열차와의 대기를 고려하여 구내 대피선을 연장했다. 여객 홈의 유효장은 그 이전과 동일하다.

4. 사용 차량

에사시선에서는 과거에 다양한 종류의 객차, 기동차, 전차가 사용되었다. 보통 열차로는 60계, 35계, 32계, 43계, 50계 객차가 사용되었고, 쾌속 「해협」에는 50계 5000번대 객차가 사용되었다. 침대 특급 「카시오페아」에는 E26계 객차가, 쾌속 「해협」 및 임시 열차에는 14계, 12계 객차가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마야 34, 마야 35 궤도 검측차가 사용되었다.[5][6]

1988년 해협선 개업에 맞춰 교류 전철화 등의 개량 공사가 실시되면서, 홋카이도와 혼슈를 직결하는 특급열차도 운행되었다.

2014년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된 후에도 키하 40형 기동차가 계속 사용되고 있다.[5][6]

4. 1. 과거 사용 차량

키하일본어11형, 키하일본어12형, 키하유니일본어25형, 키하일본어21형, 키하일본어22형, 키하일본어24형, 키하일본어46형, 키하일본어40계, 키하일본어56·27형, 키하일본어183계, 키하일본어80계 등 다양한 기종의 기동차가 운행되었다. 485계, 781계, 789계, 785계 전차와 9600형, C11형, C12형, C56형, C58형 증기 기관차, DD51형, DE15형, DE10형 디젤 기관차, ED79형, ED76형, EH500형, EH800형 전기 기관차가 운행되었다.

과거 에사시선에서 사용되었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에사시선에서 운행했던 객차
종류형식 및 사용 열차
보통 열차60계 62형·60형일본어, 35계일본어, 32계일본어, 43계 45형·43형일본어, 50계 51형 0번대일본어
쾌속 「해협」50계 5000번대·50계 51형 5000번대일본어 (일부 차량은 청函 터널용 구원차로 전용)
급행 「하마나스」, 침대 특급 「일본해」·「북두성」·「트와일라잇 익스프레스」·「카 트레인 홋카이도호」24계일본어
침대 특급 「카시오페아」E26계일본어
쾌속 「해협」, 급행 「하마나스」14계일본어
쾌속 「해협」 및 임시 열차12계일본어 (50계 51형 5000번대일본어 증비 전까지 사용)
궤도 검측차마야 34·마야 35



에사시선에서 운행했던 기동차
종류형식 및 사용 열차
보통 열차키하11형·키하12형일본어·키하유니25형일본어, 키하21형·키하22형일본어, 키하40계일본어 (도난 이사리비 철도 이관 후에도 양도 차량이 계속 사용)
준급행 에사시·오쿠시리·히야마·마쓰마에, 급행 '에사시'키하21형·키하22형일본어
보통 열차, 준급행 마쓰마에, 급행 에사시·'마쓰마에'키하24형·키하46형일본어
보통 열차키하56·27형일본어 (급행형 차량이지만 보통 열차로 사용)
계절 임시 열차키하183계 5200번대 노스 레인보우 익스프레스일본어
임시 열차키하183계 0번대·500번대·1500번대일본어, 키하80계일본어



에사시선에서 운행했던 전차
종류형식 및 사용 열차
특급 "하쓰카리", "시라토리"485계일본어
특급 "도라에몽 해저 열차"781계일본어 (L7 편성)
특급 "시라토리"789계 0번대일본어
특급 "슈퍼 시라토리" (789계 증결용)785계 300번대일본어



에사시선에서 운행했던 기관차
종류형식
증기 기관차9600형일본어, C11형일본어, C12형일본어, C56형일본어, C58형일본어
디젤 기관차DD51형일본어, DE15형일본어, DE10형일본어 (키코나이역에 세이칸 터널 구원용으로 대기, 임시·화물 열차에도 사용)
전기 기관차ED79형일본어 (침대 열차·쾌속 열차 외에 화물 열차 견인), ED76형 551호기일본어 (객차 열차 견인), EH500형일본어 (화물 열차 견인), EH800형일본어 (EH500형일본어과 동일, 도난이사리비 철도 이관 후에도 ED79형·EH500형 대체)


5. 역 목록

역 이름일본어 이름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
하코다테역函館|하코다테일본어3.4하코다테 시영 전차홋카이도 하코다테시
고료카쿠五稜郭|고료카쿠일본어0.0하코다테 본선홋카이도 하코다테시
나나에하마七重浜|나나에하마일본어2.7rowspan="8" | 홋카이도 호쿠토시
히가시쿠네베쓰東久根別|히가시쿠네베쓰일본어5.3
구네베쓰久根別|구네베쓰일본어6.5
기요카와구치清川口|기요카와구치일본어7.6
가미이소上磯|가미이소일본어8.8
야후라이 신호장矢不来信号場|야후라이 신호장일본어14.3
모헤지茂辺地|모헤지일본어17.6
오시마토베쓰渡島当別|오시마토베쓰일본어22.6
가마야釜谷|가마야일본어27.5rowspan="4" | 홋카이도 가미이소 군 기코나이정
이즈미사와泉沢|이즈미사와일본어30.6
사쓰카리札苅|사쓰카리일본어34.0
기코나이木古内|기코나이일본어37.8홋카이도 신칸센, 가이쿄 선
오시마쓰루오카渡島鶴岡|오시마쓰루오카일본어40.1rowspan="2" | 홋카이도 가미이소 군 기코나이정
요시보리吉堀|요시보리일본어43.2
신메이神明|신메이일본어56.4rowspan="6" | 홋카이도 히야마 군 가미노쿠니정
유노다이湯ノ岱|유노다이일본어59.2
미야코시宮越|미야코시일본어66.3
가쓰라오카桂岡|가쓰라오카일본어68.5
나카스다中須田|나카스다일본어70.6
가미노쿠니上ノ国|가미노쿠니일본어73.8
에사시江差|에사시일본어79.9홋카이도 히야마 군 에사시정


  • 하코다테-키코나이 구간은 2016년 3월 25일(에사시선 폐지), 키코나이-에사시 구간은 2014년 5월 12일(부분 폐지) 시점 기준이다.
  • (화): 화물 취급역, ◆: 화물 취급역, ▽: 일부 보통 열차 통과역
  • 선로(에사시선 내는 전 구간 단선): ◇, ∨: 열차 교환 가능, |: 열차 교환 불가, ∥: 복선(하코다테 본선)

6. 노선 데이터

전 구간이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지사의 관할이었다.

고료카쿠역 - 키코나이역 구간은 세이칸 터널홋카이도 측 접속 노선으로, 1988년 3월 13일 해협선 개업에 맞춰 교류 전철화 등의 개량 공사가 실시되어, 홋카이도와 혼슈를 직결하는 간선 루트인 쓰가루 해협선의 일부가 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하코다테 도시권 지역 수송뿐만 아니라, 홋카이도-혼슈 간의 화물 수송 및 세이칸 구간의 연락 수송도 담당하게 되었다.[5][6] 한편, 키코나이역 - 에사시역 구간은 홋카이도도도 5호 에사시키코나이선이 정비되지 않은 것도 있어, 비전철화 로컬선으로 남겨졌다.

키코나이역 - 에사시역 구간의 수송 밀도(1km당 1일 평균 이용객 수)는 JR 발족 초기인 1987년 253명에서 2011년 41명으로 6분의 1 이하로 감소하여, JR 홋카이도 관내에서 승객이 가장 적은 구간이었다. 이에 따라 홋카이도 신칸센 개업에 앞서 2014년 5월 12일에 폐지되었다.

6. 1. 도난 이사리비 철도 이관 직전 (고료카쿠-키코나이)

고료카쿠역 - 키코나이역 구간은 세이칸 터널홋카이도 측 접속 노선으로, 1988년 3월 13일 해협선 개업에 맞춰 교류 전철화 등의 개량 공사가 실시되어, 홋카이도와 혼슈를 직결하는 간선 루트인 쓰가루 해협선의 일부가 되었다. 이에 따라 홋카이도-혼슈 간의 화물 수송 및 세이칸 구간의 연락 수송도 담당하게 되었다.

전 구간이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 하코다테 지사의 관할이었다.

  • 궤간: 1,067 mm(협궤)
  • 역 수: 13개 역 (기점, 종점역 포함)
  • 여객역: 12개 역
  • 화물역: 1개 역
  • 신호장 수: 1개소
  • 복선 구간: 없음(전 노선 단선)
  • 전철화 구간: 전 노선·교류 전철화 20,000 V·50 Hz
  • 폐색 방식: 단선 자동 폐색식
  • 최고 속도: 100 km/h


일본어사이 (km)거리 (km)환승트랙소재지
五稜郭일본어3.40.0하코다테 본선하코다테
七重浜일본어2.72.7호쿠토
東久根別일본어2.65.3
久根別일본어1.26.5
清川口일본어1.17.6
上磯일본어1.28.8
茂辺地일본어8.817.6
渡島当別일본어5.022.6
釜谷일본어4.927.5키코나이
泉沢일본어3.130.6
札苅일본어3.434.0
木古内일본어3.837.8가이쿄 선



구간별 수송 밀도는 다음과 같다.

연도수송 밀도(명/km/일)
고료카쿠역 - 키코나이역 간키코나이역 - 에사시역
2014년(헤이세이 26년)도[1][2]4,377618
2015년(헤이세이 27년)도[3]4,133-


6. 2. 일부 구간 폐지 전 (고료카쿠-에사시)

湯ノ岱일본어 - 江差일본어 구간은 1936년 11월 10일에 개통되었으며,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지사에서 관할했다. 이 구간은 79.9km의 노선 거리에 22개 역 (여객역 21개, 화물역 1개, 신호장 1개)이 있었고, 전 구간이 단선이었다. 木古内일본어 - 江差일본어 분기점 구간은 해협선 하행선과 공용했다. 五稜郭일본어 - 木古内일본어 구간은 교류 20,000V, 50Hz로 전철화되었다. 최고 속도는 65km/h였으며, 최급 구배는 25‰ (吉堀일본어 - 神明일본어 간 등), 최소 곡선 반경은 160m였다.

2014년 5월 12일, 재정난과 낮은 이용률로 인해 木古内일본어 - 江差일본어 구간이 폐지되었다.[1] 2011 회계 연도에 이 구간은 하루 6회 왕복 운행되었으며, 일일 킬로미터당 평균 이용객은 41명으로 JR 홋카이도 노선 중 가장 낮았다.[2]

2014년 폐선 이전의 에사시선 노선도


역 이름일본어 이름거리접속 노선소재지
기코나이木古内일본어37.8가이쿄 선홋카이도가미이소 군
기코나이정
오시마쓰루오카渡島鶴岡일본어40.1rowspan="9" |
요시보리吉堀일본어43.2
신메이神明일본어56.4히야마 군가미노쿠니정
유노타이湯ノ岱일본어59.2
미야코시宮越일본어66.3
가쓰라오카桂岡일본어68.5
나카스다中須田일본어70.6
가미노쿠니上ノ国일본어73.8
에사시江差일본어79.9에사시 정


7. 폐선 후 대체 교통

키코나이 - 에사시 구간 폐선 후, 하코다테 버스의 에사시 키코나이선으로 전환되었다. 폐지 직후인 2014년 5월 12일부터 9월 30일까지는 키코나이역 앞 - 하코다테 버스 에사시 터미널 간에 운행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1일부터는 키코나이역 앞 - 도립 에사시 병원 · 에사시 고등학교 간에 운행되고 있다.[3]

8. 평행 도로

에사시선은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기 전(고료카쿠역-키코나이역 구간)과 폐지 직전(키코나이역-에사시역 구간)에 따라 평행 도로가 달랐다.


  • 고료카쿠역-키코나이역 구간: 홋카이도도 530호 가미이소 정차장선, 국도 228호(국도 280호 중복), 홋카이도도 5호 에사시 키코나이선, 홋카이도도 383호 키코나이 정차장선
  • 키코나이역-에사시역 구간: 홋카이도도 383호 키코나이 정차장선, 홋카이도도 5호 에사시 키코나이선

8. 1. 도난 이사리비 철도 이관 직전 (고료카쿠-키코나이)


  • 홋카이도도 530호 가미이소 정차장선

:** 홋카이도 호쿠토시 이나리 2초메 (에사시선 가미이소역 앞) - 홋카이도 호쿠토시 이나리 2초메 (가미이소 역 앞 교차점 = 국도 228호 교점) 간

  • 국도 228호 (국도 280호 중복)

:** 홋카이도 호쿠토시 이나리 2초메 (홋카이도도 530호 가미이소 정차장선 교점) - 홋카이도 가미이소군 기코나이정 혼마치 (홋카이도도 5호 에사시 키코나이선 교점) 간

  • 홋카이도도 5호 에사시 키코나이선

:** 홋카이도 가미이소군 기코나이정 혼마치 (국도 228호 교점) - 홋카이도 가미이소군 기코나이정 혼마치 (홋카이도도 383호 키코나이 정차장선 교점) 간

  • 홋카이도도 383호 키코나이 정차장선

:** 홋카이도 가미이소군 기코나이정 혼마치 (홋카이도도 5호 에사시 키코나이선 교점) - 홋카이도 가미이소군 기코나이정 혼마치 (에사시선·해협선 기코나이역) 간

8. 2. 폐지 직전 (키코나이-에사시)

홋카이도도 383호 키코나이 정차장선은 홋카이도 가미이소군 키코나이정 혼마치(에사시선·해협선 키코나이역)에서 같은 곳 (홋카이도도 5호 에사시 키코나이선 교점)까지이다.[1]

홋카이도도 5호 에사시 키코나이선(가미노쿠니 - 에사시 구간은 국도 228호 중복)은 홋카이도 가미이소군 키코나이 정 혼마치(홋카이도도 383호 키코나이 정차장선 교점)에서 홋카이도 히야마군 에사시정 아자 나카우타마치 (국도 228호 상, 국도 227호 교점)까지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hokkaido-[...] The Hokkaido Shimbun Press 2012-08-08
[2] 웹사이트 http://www.tetsudo.c[...] Asahi Interactive Inc. 2012-09-07
[3]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4-05-12
[4] 서적 鉄道電報略号 1959-09-17
[5] 문서 函館市史 通説編3
[6] 문서 函館道南鉄道ものがたり
[7] 문서
[8] 간행물 「鉄道省告示第109号」『官報』1922年9月2日 https://www.ndl.go.j[...] 1922-09-02
[9] 뉴스 松前、江差両線で車内販売を開始 交通協力会 1960-02-06
[10] 문서
[11] 뉴스 日本国有鉄道公示第166号 1982-11-13
[12] 문서
[13] 뉴스 JR北海道 道南3線全面マヒ 豪雨禍、再開メド立たず 交通新聞社 1994-09-27
[14] 뉴스 湯ノ岱-江差間の運転再開 交通新聞社 1994-10-20
[15] 뉴스 不通の江差線きょう全通 交通新聞社 1994-11-10
[16] 웹사이트 JR北海道の安全問題に関し、北海道運輸局に要請行動を実施 http://www.labornetj[...] 2013-06-11
[17] 뉴스 JR江差線レール一部破断…特急など運休 https://www.hakodate[...] 函館新聞社 2009-03-22
[18] 뉴스 JR貨物、脱輪し1・8キロ走行 枕木に傷 北海道函館市 http://sankei.jp.msn[...] 2022-09-15
[19] 뉴스 JR江差線の運転再開 脱線事故から復旧 北海道 http://sankei.jp.msn[...] 2022-09-15
[20] 간행물 北海道新幹線設備切替に伴う列車の運休について - JR北海道プレスリリース https://www.jrhokkai[...]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