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이드리언 번사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이드리언 번사이드는 호주 출신의 야구 선수로, 투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그는 1996년 LA 다저스 산하 루키 리그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으며, 마이너 리그와 일본, 한국, 대만, 멕시코 등 다양한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일본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는 2008년에 5승을 기록했고, 2010년에는 한국 넥센 히어로즈에서 10승을 거두었다. 국가대표로서는 1995년 세계 주니어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에 거주한 오스트레일리아인 - 브래드 토머스
    브래드 토머스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으로 메이저 리그, 일본 프로 야구, KBO 리그, 대만 프로 야구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한화 이글스에서 2008년 KBO 단일 시즌 외국인 투수 최다 세이브 기록을 세웠고, 대만 프로 야구에서는 선수 겸 코치로 2년 연속 세이브 리더를 달성했다.
  • 노던 준주 출신 - 데이비드 걸필리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출신 배우 데이비드 걸필리는 영화 워크어바웃으로 데뷔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영화 출연 외에도 전통 무용가, 화가, 이야기꾼으로서 오스트레일리아 영화와 문화에 기여한 공로로 훈장과 상을 받았다.
  • 노던 준주 출신 - 리즐 존스
    리즐 존스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수영 선수로,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데뷔 후 4번의 올림픽에서 9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선수권, 코먼웰스 게임 등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2005년에는 '올해의 세계 여성 수영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에이드리언 번사이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이드리언 번사이드
이름에이드리언 마크 번사이드
원어 이름Adrian Mark Burnside
출생1977년 3월 15일
출생지노던 준주 앨리스스프링스
포지션투수
투타좌투우타
선수 경력
아마추어센트라리아칼리지 고등학교
프로요미우리 자이언츠 (2008년 ~ 2009년)
넥센 히어로즈 (2010년)
라미고 몽키스 (2011년)
미나티틀란 오일러스 (2011년)
국가대표 경력
국가오스트레일리아
올림픽2004년 하계 올림픽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NPB (일본 프로 야구)
데뷔2008년 5월 26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지막2008년 10월 11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승-패5승 3패
평균자책점3.48
탈삼진47
KBO (한국 프로 야구)
데뷔2010년 3월 30일, 넥센 히어로즈
마지막2010년 9월 17일, 넥센 히어로즈
CPBL (대만 프로 야구)
데뷔2011년 3월 25일, 라미고 몽키스
마지막2011년 5월 29일, 라미고 몽키스
올림픽 메달

2. 선수 경력

에이드리언 번사이드는 1996년 LA 다저스 산하 루키 리그 팀과 계약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좌완 선발 투수로 기대를 모았으나, 마이너 리그에서 오랜 기간 동안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피츠버그 파이리츠,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을 거쳤지만, 메이저 리그에는 승격하지 못했다.[2]

2007년 오프 시즌, '호주-일본 친선 야구 일본 대표 최종 강화 경기'에 호주 대표로 출전하여 2이닝 동안 5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주목을 받았다.[3] 2008년 요미우리에 입단하여 선발과 중간 계투를 오가며 5승 3패, 평균자책점 3.48로 준수한 성적을 기록하며 재계약에 성공했다. 그러나 2009년에는 외국인 선수 경쟁에서 밀려 1군 등판 기회를 얻지 못하고 방출되었다.[2]

2009년 12월, 선발 투수진 보강이 필요했던 넥센 히어로즈와 계약하며 한국 프로 야구에 진출했다. 2010년 시즌 넥센에서 팀 내 최다승인 10승을 기록했지만, 높은 평균자책점(5.34)으로 인해 재계약에는 실패했다.[2]

이후 2011년 라미고 몽키스(대만),[4] 미나티틀란 오일러스(멕시코)와 계약했지만, 각각 한 시즌을 채우지 못하고 방출되었다.

2. 1. 미국 마이너 리그 시절

1996년 LA 다저스 산하 루키 리그 팀과 계약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당시 좌완 선발 투수로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1승 3패 6.80의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했다. 1997년 싱글 A 마이너스 급의 야키마로 승격되어 두 시즌 동안 4점대 평균 자책점을 기록했고, 1998년 싱글 A 플러스급의 샌 버나르디노로 승격되었으나 7점대의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2000년 더블 A 산 안토니오에서 17경기 선발 등판해 6승 5패 2.90의 평균 자책점으로 좋은 활약을 펼쳤고, 2001년 잠시 더블 A 잭슨빌에서 뛰며 4승 3패 2.66의 좋은 모습을 보였다. 2002년 피츠버그 산하 더블A 아이투나로 팀을 옮겨 6승 9패 4.55의 평균 자책점을 기록했고, 2003년 피츠버그에서 방출되었다. 2004년 디트로이트에 마이너 계약으로 입단, 산하 트리플A 톨레도에 합류했으나 6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하여 퇴출당했다. 2005년 토론토로 이적하여 트리플 A 시라쿠스에서 2년 동안 주축 선발 투수로 활약했다. 2007년 잠시 샌디에이고 산하 더블A 샌안토니오에서 활약했고 바로 트리플 A 포틀랜드 비버스로 올라갔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샌디에이고에서 방출되었다.[2]

번사이드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루키, A-A, AA 레벨), 피츠버그 파이리츠 (AA 레벨),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AA 및 AAA 레벨), 토론토 블루제이스 (AAA 레벨),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AA 및 AAA 레벨) 산하 마이너 리그 팀에서 뛰었다. 2004년에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로스터에 포함되어 스프링 트레이닝에 참가했지만 메이저 리그 승격에는 실패했다.

2. 2. 일본 프로 야구 시절

2007년 오프 시즌 11월, '호주-일본 친선 야구 일본 대표 최종 강화 경기'에 호주 대표로 선출되었다.[3] 이 경기에서 일본 대표팀 강타자들을 상대로 2이닝 무안타 5탈삼진으로 호투했다.

이를 본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좌완 중간 계투 요원으로 영입을 결정, 같은 해 12월 25일에 입단이 발표되었다. 등번호는 31번이었다.

2008년 시즌,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했다. 오픈전부터 선발과 중간 계투 양쪽에서 기용되어 괜찮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요미우리는 세스 그라이싱어, 마크 크룬, 알렉스 라미레스, 이승엽 또는 루이스 곤잘레스로 외국인 선수 쿼터가 채워져 개막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던 중 곤잘레스의 도핑 발각으로 인한 계약 해지와 이승엽의 타격 부진이 겹쳐 5월 26일에 처음으로 1군에 승격, 같은 날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전에서 선발로 나서 6회 도중 2실점으로 첫 승리를 거두었다. 그 후에도 선발과 중간 계투 양쪽에서 기용되어 활약했다. 시즌 후반에는 이승엽의 부활로 출전 기회가 줄었지만, 15경기에서 5승 3패, 평균자책점 3.48로 안정적인 성적을 기록하여 재계약을 따냈다.

2009년 시즌에는 제2회 WBC 대표팀을 사퇴했다. 시즌에 전념하여 개막을 맞이했지만, 이 시즌에는 그라이싱어, 크룬에 더해 디키 곤잘레스, 윌핀 오비스포 두 명의 외국인 투수가 전력으로 부상했다. 투수에게 주어진 최대 3개의 외국인 선수 쿼터를 이 4명이 경쟁하는 가운데, 2군(이스턴 리그)에서도 평균자책점 4점대를 기록하며 부진했던 번사이드는 완전히 경쟁에서 밀려 1군 등판 없이 시즌을 마쳤고, 같은 해 12월 2일에 전력 외 통보를 받았다.

2. 3. 한국 프로 야구 시절

2009년 9월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방출된 후, 선발 투수진 보강이 필요했던 넥센 히어로즈의 관심을 받았다. 당시 넥센 히어로즈는 장원삼, 이현승 등 주축 좌완 선발 투수의 부재로 2010년 시즌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결국 넥센 히어로즈는 클리프 브룸바와의 재계약을 포기하고, 2009년 12월에 일본에서 평범한 활약을 했던 번사이드와 계약을 체결했다.

2009년 12월 29일, KBO에 넥센 히어로즈와의 계약이 공시되었다. 그의 등번호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사용했던 "31"번에서 "29"번으로 변경되었다.[1]

2010년 시즌 내내 선발 로테이션을 지켰고, 팀 내 최다승인 10승을 기록했다. 그러나 평균자책점이 5.34로 높아 재계약에는 실패했다.[2]

2. 4. 대만 프로 야구 시절

2011년 2월 대만 프로 야구 팀인 라미고 몽키스와 계약하였다.[4] 그 해 10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6승 3패, 평균자책점 3.74를 기록했지만, 6월 2일에 방출되었다.[4]

2. 5. 멕시코 리그 시절

2011년 시즌 도중에 멕시칸 리그의 미나티틀란 오일러스와 계약을 맺었지만, 같은 해에 퇴단했다.

3. 국가대표 경력

번사이드는 1995년 매사추세츠주 케이프 코드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야구 선수권 대회에 호주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하여 3승을 거두며 팀의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2] 2004년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야구 호주 대표팀에 선출되었고,[2]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호주 대표팀으로도 선출되었다.[2]

4. 투구 스타일

쓰리쿼터 형태로 속구, 슬라이더, 체인지업 등 다양한 구종을 던졌으며, 크로스 파이어 기질과 투구 시 소리를 내는 특징이 있었다.[3] 구속은 140km/h 전후였으나, 독특한 투구폼으로 인해 타자들이 공략하기 까다로워했다. 실제로는 좌타자보다 우타자를 더 잘 상대했다.

2008년 시즌 중에는 코다 이사오에게 지도를 받아 슬로 커브를 습득하여 활용하기도 했다.[3]

5. 연도별 투구 성적

년도구단등판선발완투완봉무사구승리패전세이브홀드승률타자투구 이닝피안타피홈런사사구고의사구탈삼진폭투보크실점자책점방어율WHIP
2008요미우리15150005300.62531275.06771809472533293.481.13
2010넥센2929000101000.500655140.01501682018988191835.341.66
2011라미고10100006300.66728365.07331404310132273.741.34
NPB 통산: 1년15150005300.62531275.06771809472533293.481.13
KBO 통산: 1년2929000101000.500655140.01501682018988191835.341.66
CPBL 통산: 1년10100006300.66728365.07331404310132273.741.34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참조

[1] 서적 プロ野球カラー名鑑 2008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 웹사이트 2006 Tournament Roster http://web.worldbase[...] 2015-06-06
[3] 웹사이트 日豪親善 野球日本代表最終強化試合 オーストラリア代表チーム http://www.npb.or.jp[...] 2015-06-06
[4] 웹사이트 奔薩解約 杜拉克入替 http://www.lamigo-mo[...] 2011-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