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여론조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여론 조작은 의도적으로 정보를 조작하여 특정 개인, 집단, 또는 대중의 여론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전쟁과 독재 정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광고, 인터넷, 소셜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정보 조작은 개인, 집단, 대중을 대상으로 다양한 수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과장된 헤드라인, 정보 세탁, 딥페이크, 사진 조작 등 기술의 발달과 함께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여론 조작은 개인의 판단력을 흐리고, 사회적 불신을 조장하며,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위험성을 지닌다. 정보원 차단, 비판적 사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대응할 수 있으며, 언론의 독립성 확보와 법적 규제, 플랫폼 사업자의 책임 강화 등 사회적 노력도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보조작 - 댓글 알바
    댓글 알바는 특정 세력에 고용되어 온라인에서 특정 의견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며 여론을 조작하는 활동을 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여론 왜곡, 공정성 침해, 정치적 악용 등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고 국가기관이 개입한 사례도 있다.
  • 정보조작 - 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
    더불어민주당원 '드루킹' 김동원 일당이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인터넷 여론을 조작하고 김경수 경상남도지사와 연계했다는 의혹을 받은 2018년 대한민국 사건으로, 특별검사 수사 결과 김경수 지사는 컴퓨터 업무방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지사직을 상실하며 정치권과 여론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 여론 - 필터 버블
    필터 버블은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사용자 맞춤형으로 정보를 필터링하여 사용자가 기존 관점에 맞는 정보만 접하게 되는 현상으로, 개인을 특정 정보에 가두고 사회적으로 시민 담론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여론 - 도덕 감정론
    도덕 감정론은 애덤 스미스가 인간의 도덕 감정과 행위를 분석하고 공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도덕적 판단이 사리사욕을 넘어설 수 있다고 주장하는 책이다.
  • 의사소통 - 번역
    번역은 출발어 텍스트를 목표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직역과 의역 등의 방식을 통해 완역 또는 축약역으로 나뉘며, 기계 번역과 인간 번역의 차이, 그리고 문화와 사상의 교류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의사소통 -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은 인간과 컴퓨터 간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설계, 구현, 평가하는 학제간 분야로, 사용자 중심 설계 원칙을 통해 사용성, 효율성,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며, 인공지능, 감정 컴퓨팅,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그리고 보안 상호작용 등의 새로운 연구 영역이 발전하고 있다.
여론조작
개요
정의특정 목적을 위해 정보를 왜곡하거나 조작하는 행위
관련 분야커뮤니케이션
심리학
정치학
사회학
유형
방법프로파간다
선전
허위 정보 유포
심리전
여론 조작
프레이밍
가스라이팅
체리 피킹
정보 조작
스핀
반쪽 진실
거짓말
침묵의 나선
인터넷 조작
대상언론 조작
정치 조작
사회 조작
여론 조작
선거 조작
기술
정보 왜곡과장
축소
왜곡
날조
통계 조작
맥락 왜곡
감정적 호소감정적 언어 사용
공포 조장
동정심 유발
분노 유발
인지적 편향 이용확증 편향
집단 사고
권위에 대한 호소
군중 심리
사회적 영향력 행사유행 편승 효과
사회적 증거
전문가 의견
유명인 광고
윤리적 문제
문제점민주주의 훼손
사회적 갈등 심화
개인의 자유 침해
판단력 흐림
사회의 불신 조장
잘못된 의사 결정
대응
노력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팩트 체크
정보 공개
비판적 사고
정보 접근 권한 강화
알 권리
관련 개념
관련 개념정치
여론
선전
심리전
광고
홍보
미디어
인터넷
주의사항
참고``
나우루 공식 홈페이지

2. 역사

정보 조작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특히 20세기 이후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더욱 정교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무렵부터 라디오 방송, 영화, 뉴스 영화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지만, 행위 자체는 오래전부터 행해졌다.

일본이나 미국자유주의 국가에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외국, 에이전트, 독자적인 목적을 가진 정치 단체, 종교 단체, 비정부 기구(NGO), 기업, 혹은 개인조차 정보 조작을 할 수 있는 환경에 있으며, 정보 조작은 쌍방향성(Interactivity)을 띤다. 특히 인터넷의 보급으로 쌍방향성이 증대하고 있다.

문화 간의 기준이나 상식의 차이에 대한 무지에서 의도하지 않게, 또한 정보가 유포되는 시간이 늦어지거나, 정보 자체가 부정확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정보 조작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정보 조작을 의도하는 대상에 따라 수법은 다르며, 어떤 대상에게 유효한 것이 다른 대상에게는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정보 조작을 하는 인원과 대상이 되는 인원의 크고 작음에 따라 수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수 명이 1명을 대상으로 한다면 정보 조작은 용이해지고, 마인드 컨트롤이나 세뇌 등 다양한 수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1명이 집단을 상대로 할 경우에는 수법도 제한되어 더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 인민·대중을 유도하는 수법은 고대 궤변술로서 발전했지만,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성립에 따라 정보 조작의 기법은 시각이나 음향 등 변론 이외의 기술을 포함하게 되었다.

경시청 검열과에 의한 검열 모습 (1938년)

2. 1.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나치 독일의 국민계몽선전성과 같이, 전체주의 국가들은 선전을 통해 대중을 통제하고 전쟁을 정당화했다.[10] 중일 전쟁 당시 대일본 제국, 중국 국민당, 중국 공산당 등은 정보전의 일환으로 여론을 조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무렵부터는 라디오 방송이나 영화, 뉴스 영화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냉전 시대에는 미국소련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심리전을 통해 상대방의 체제를 비방하고 자국의 이념을 전파했다. 심리전은 때때로 선전과 동의어로 간주되기도 한다.[12]

2. 2. 현대 사회

현대 사회에서 정보 조작은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더욱 쉽고 빠르게 확산될 수 있게 되었다. 기업의 상업적 광고, 정치 선전, 가짜 뉴스, 심지어 개인 간의 관계에서도 정보 조작이 발생할 수 있다.

광고는 특정 대상을 설득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형태의 홍보 활동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무렵부터 라디오 방송, 영화, 뉴스 영화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이전에도 오랫동안 행해져 왔다. 과거 나치당 정권 하의 나치 독일에서 국민계몽선전성을 통해 독재자나 정당 등의 지휘 아래 정보 조작을 행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중일 전쟁 당시에는 대일본 제국과 중국 국민당, 공산당 등이 정보전의 일환으로 정보 조작을 행했다.

일본이나 미국자유주의 국가에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외국, 에이전트, 독자적인 목적을 가진 정치 단체, 종교 단체, 비정부 기구 (NGO), 기업, 혹은 개인조차 정보 조작을 할 수 있는 환경에 있으며, 정보 조작은 쌍방향성을 띤다. 특히 인터넷의 보급으로 쌍방향성이 증대하고 있다.

정보 조작을 의도하는 대상에 따라 수법은 다르며, 어떤 대상에게 유효한 수법이 다른 대상에게는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정보 조작을 하는 인원과 대상이 되는 인원의 크고 작음에 따라 수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SNS의 발달로 많은 국민에게 정보 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권위주의 국가에서는 폭동이나 분쟁 등의 유사시에 이어지지 않도록 검열을 하는 경우가 많다. 중동 지역의 아랍의 봄에서는 통신 기기가 활약했지만, 분쟁이나 폭동의 발단이 되는 정보 전달을 막기 위해 차단이나 조작을 한 것은 새로운 일이었다. 차단이나 정보 조작을 당하지 않도록 독자적인 통신망을 전개하는 경우도 있다.

2022년 트위터 인수 소동에서 "뉴스" 피드가 일시적으로 업데이트가 중단되었을 때, "트렌드" 피드에서 그전까지 빈번하게 랭크인되던 젠더, 폴리 코레, SDGs, 좌익 계열의 키워드가 격감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트렌드 조작을 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8]

3. 유형 및 방법

정보 조작은 제2차 세계 대전 무렵부터 라디오 방송이나 영화, 뉴스 영화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이전에도 오랫동안 행해졌다. 나치 독일의 국민계몽선전성이나 중일 전쟁 당시 대일본 제국, 중국 국민당, 중국 공산당 등이 정보전의 일환으로 정보 조작을 시행했다. 뉴욕 타임스라이프와 같은 구미의 민간 미디어도 중일 전쟁을 소재로 정보 조작을 하여 독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이라크 전쟁에서의 침공 이유가 대표적),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에서도 정보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독재 국가나 전시 중검열은 정보 조작을 의도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이나 미국과 같은 자유주의 국가에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외국, 에이전트, 정치 단체, 종교 단체, 비정부 기구(NGO), 기업, 개인까지도 정보 조작을 할 수 있다. 특히 인터넷의 보급으로 정보 조작의 쌍방향성이 증대되고 있다.

문화 간의 상식 차이에 대한 무지, 정보 유포 시간 지연, 정보 부정확성 등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정보 조작이 발생하기도 한다.

정보 조작은 대상에 따라 다른 수법을 사용하며, 어떤 대상에게 유효한 수법이 다른 대상에게는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정보 조작을 하는 인원과 대상 인원의 규모에 따라서도 수법을 변경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소수가 1명을 대상으로 할 때는 마인드 컨트롤이나 세뇌 등 다양한 수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1명이 집단을 상대로 할 경우에는 수법이 제한되고 더 어려워진다. 인민·대중을 유도하는 수법은 궤변술로 발전했지만,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시각이나 음향 등 변론 이외의 기술도 활용하게 되었다.

3. 1. 개인 대상

개인을 대상으로 한 정보 조작은 가장 기초적인 정보 조작이지만, 가장 수법을 일반화하기 어려운 대상이기도 하다. 영향력이 높은 인물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정보 조작을 하는 것이 기본이다. 뇌물과 같은 금전 관계나 조직 내 상하 관계, 고용 관계 등 이용할 수 있는 수법은 다양하다. 협박이나 공갈, 폭력과 같은 비합법적인 수법도 유효하며, 실제 효과 이상으로 과대 평가되는 경우가 많지만, 성적인 관계를 맺는 것도 유효하다.[1]

신뢰 관계를 구축하면 대상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학대 피해자가 가해자 곁에 계속 머무는 이유 중 하나로 가해자에 의한 정보 조작을 들 수 있다. 개인의 생사까지 좌우할 수 있다는 점은 다른 개인에 의한 정보 조작이 효과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개인이 그룹 내에서 받는 정보 조작은 밴드왜건 효과(대중에 호소하는 논증) 등에서 개인에 대한 정보 조작에 비해 비교 우위에 기능하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그 이상의 큰 집단 내에서 받는 정보 조작은 메시지가 희석되기 때문에 비교 열위에 기능한다. 그러나 대상에게 쏟는 시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모든 개인에게 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1]

3. 2. 집단 대상

집단 대상 정보 조작은 오피니언 리더를 포섭하거나, 연설, 포스터, 편지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다. 집단이 비대해질수록 정보 조작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3. 3. 대중 대상

매스 미디어를 활용하면 대중을 상대로 한 정보 조작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많은 매스 미디어는 하나의 기업이기 때문에 회사의 이해관계, 경영 방침, 사풍, 주주나 규제 당국의 의향 등에 따라 정보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매스 미디어의 편집 방침에 의한 정보 조작은 편향 보도로 간주된다. 대표적인 수법은 다음과 같다.

  • 연출 보도
  • 유도적인 질문을 한 후의 답변만을 보도
  • 긴 인터뷰의 일부를 짜깁기하여 발언자의 의도와 다른 취지의 내용으로 편집하여 보도 (언질에 의한 보도)
  • 근거가 희박한 채로 "○○의 우려가 있다"라며 불안만을 조장하는 보도
  • 사실과 다른 보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취소를 하지 않음
  • 앙케이트 대상의 의도적인 축소, 자유 기술형으로 해야 할 답변란을 고의로 객관식으로 만들어 결과를 보도
  • 매스 미디어 및 그 지원자에게 불리한 사실을 보도하지 않음
  • 정보원을 "관계자", "관계자" 등 추상적으로 표현하여 상세 내용을 공개하지 않음


물론, 위에 언급된 수법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정보 조작은 언론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국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기자 클럽을 통한 정보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일본에서의 성청, 지방 공공 단체, 경찰의 기자 회견은 기자 클럽 가맹 매스 미디어의 출석만 허용되는 경우가 많고, 가맹사는 기자실의 독점 사용 등의 편의를 제공받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발표 측에 비판적인 보도를 삼가게 되어 정보 조작에 현혹되기 쉬워진다는 것이다. 기자가 독자적인 정보 확인을 게을리하는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발표 보도). 예를 들어 신문 기자의 경우 마감 시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상세한 검토가 불가능하도록 시간을 조절하여 발표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정보 제공자가 개인적으로 특정 저널리스트에게 몰래 정보를 흘리는 '''정보 누설'''(누설)이라는 수법도 있다. 정보 누설은 불확실한 내부 고발, 라이벌 공격 등의 특별한 의도를 가지고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3. 4. 인터넷 및 소셜 미디어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는 정보 조작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활용되고 있다. 여기에는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클릭베이트: 과장되거나 선정적인 제목으로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클릭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이는 수익 창출뿐만 아니라 특정 집단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확증 편향을 이용해 필터 버블 내에서 공유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16][17]
  • 정보 세탁: 신뢰도가 낮은 플랫폼에 게시된 의심스러운 정보를 더 공신력 있는 매체가 보도하게 하여, 해당 정보의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2차 보도는 자체적으로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 원래 보고서를 인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8]
  • 검색 엔진 마케팅: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에서 특정 웹사이트의 가시성을 높여 검색 결과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방법이다. 배너 광고, 검색 엔진 최적화, 클릭당 지불 마케팅 등의 도구가 사용된다.[19]
  • 어스트로터핑: 특정 입장이나 주장에 대한 지지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행위이다. 주로 인터넷에서 발생하며, 기업이나 정당이 풀뿌리 운동을 모방하여 대중을 속이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14][15]


과장되거나 선정적인 정보를 담은 헤드라인을 가진 일반적인 클릭 유도 광고의 예.


딥페이크 기술은 정보 조작에 악용될 수 있다.

  • 오디오 딥페이크: 인공지능(AI)을 이용하여 특정인의 목소리를 현실적으로 복제하는 기술이다. 주로 속임수나 혼란을 야기하기 위해 사용된다.[24]
  • 사진 조작: 이미지 편집을 통해 제품, 사람, 아이디어 등을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거나, 기만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포토샵이 대표적인 예시이다.[25]
  • 영상 조작: 영상 처리, 영상 편집, 얼굴 인식 등의 기술을 결합하여 대상의 조작된 영상을 만드는 기술이다. 가짜 뉴스 생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정치 캠페인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로 사용된 사례도 있다.[26]


최근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권위주의 국가에서 검열을 통해 정보 조작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2022년 트위터 인수 소동에서는 "트렌드" 피드 조작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28]

3. 5. 기타 방법

선전은 어떤 대의나 입장에 대한 공동체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논쟁의 한쪽 측면만을 제시하는 커뮤니케이션 형태이다.[10] 객관적인 정보 제공과는 반대로, 주로 청중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보를 제시하며,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반복적으로 전달된다. 선전이라는 용어는 나치 선전과 같이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원래는 중립적인 의미였으며 공중 보건 권고나 시민의 선거 참여 독려 등 긍정적이거나 무해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었다.[10]

심리전은 선전과 유사하지만, 주로 국가 간에 발생하며, 전쟁이나 냉전 중에 사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다양한 기술을 통해 대상의 가치관, 신념, 감정, 동기, 추론 또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대상은 정부, 조직, 집단, 개인 등이 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서방 연합국은 소련이 미국과 영국에 전단을 살포할 것으로 예상했고, 이라크와의 분쟁 중 미국과 영국군은 전단을 살포하여 사람들에게 항복하는 방법을 알렸다.[12] 한국 전쟁에서는 양측 모두 전선에서 확성기를 사용했다.[12]

"연막"으로 알려진 기술은 대중이 선전자에게 더 편리한 주제에 집중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영화 왝 더 독 (1997)에서 중요한 문제로부터 주의를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희생양 삼기는 허수아비의 오류와 인신 공격의 오류의 조합으로,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게 책임을 전가하여 비난을 돌리는 행위이다. 허수아비 오류는 상대방의 주장을 반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주제를 공격하는 비형식적 오류이다.

4. 한국 사회에서의 정보 조작

한국 사회는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부터 언론 통제와 여론 조작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특히,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신군부는 언론을 통제하고 왜곡된 정보를 유포하여 시민들의 저항을 억압하려 했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통한 가짜 뉴스와 여론 조작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특정 정당이나 정치인을 옹호하거나 비방하기 위한 정보 조작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사이버 렉카: 조회수를 늘리기 위해 자극적인 내용의 영상을 제작하고 유포하는 유튜버들을 비판적으로 지칭하는 한국 특유의 신조어이다. 이들은 가짜 뉴스 확산의 주요 경로 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한다.

5. 대응

정보 조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은 정보원을 의식적으로 차단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정보를 접해야 한다.[1]

5. 1. 개인적 차원

정보원을 의식적으로 차단하고, 다양한 관점의 정보를 접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텔레비전, 신문 등 즉시성이 높은 매체의 열람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서적에만 눈을 돌리도록 한다. 시사 문제에 어두워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사물의 관찰력이 향상된다.[1] 전문적인 문제에 관해서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의 저작 등을 읽는 것이 좋다. 다만, 그 전문가 자신이 이미 정보 조작의 영향을 받고 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맹신은 위험하다.[1]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정보의 진위를 판단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6. 위험성

정보 조작은 개인의 판단력을 흐리고, 사회적 불신을 조장하며,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정보 조작의 위험성은 크게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으로 나눌 수 있으며, 때로는 국가 운영에까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6. 1. 직접적 영향

정보 조작으로 잘못된 결론이 도출되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가 행동하는 것은 정보 조작의 가장 두드러진 영향으로, 매우 위험하다.[1] 특히,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해 정보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더 많은 수의 집단의 손실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정보 검증이 필수적이다.[1] 하지만 정보 조작으로 항상 조작 측의 의도대로 대상자가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1] 대상자의 신뢰가 낮은 경우, 정보 조작을 항상 의심하기 때문에 의도하는 방향과 반대로 행동하는 경우가 있다.[1]

6. 2. 간접적 영향

정보 조작이 발각되면, 조작한 측의 신뢰도는 떨어진다. 한번 잃은 신뢰를 회복하기는 쉽지 않으며, 다시 발각될 경우 회복에 걸리는 시간은 훨씬 늘어난다. 따라서, 항상 정보 조작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만 하고, 평소에는 진실을 보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정보 조작 방법이다.[5] 정보 조작 대상이 아닌 집단은 정보 조작을 비교적 쉽게 알아차릴 수 있으며, 많은 경우 양쪽 모두에 대한 신뢰성 저하로 이어진다.[6]

참조

[1] 논문 Disinformation on digital media platforms: A market-shaping approach 2023-10-30
[2] 간행물 Media manipulation and disinformation online Data & Society Research Institute 2017
[3] 서적 Human Manipulation - A Handbook Cornelio Books 2013-03-02
[4] 서적 Propaganda: The Formation of Men's Attitudes Vintage Books, New York 1973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Activism http://www.merriam-w[...] 2015
[6] 논문 The psychology of online activism and social movements: relations between online and offline collective action https://doi.org/10.1[...] 2020
[7] 웹사이트 Marketing vs. Advertising https://www.ama.org/[...] 2022-10-05
[8] 웹사이트 Non-commercial Advertising http://www.businessd[...] 2015
[9] 서적 A refractured paradigm: Journalism, hoaxes and the challenge of trust Routledge
[10] 웹사이트 Digital Propaganda: The Power of Influencers https://www.journalo[...] JOD 2024-04-24
[11] 웹사이트 Media's Use of Propaganda to Persuade People's Attitude, Beliefs and Behaviors https://web.stanford[...] 2017-12-03
[12] 뉴스 psychological warfare https://www.britanni[...] 2017-12-03
[13] 뉴스 Text messages and phone calls add psychological aspect to warfare in Gaza https://www.theguard[...] 2009-01-03
[14] 뉴스 Astroturfing: what is it and why does it matter? {{!}} Adam Bienkov https://www.theguard[...] 2012-02-08
[15] 뉴스 10 Fake Grassroots Movements Started By Corporations To Sway Your Opinion http://www.businessi[...] 2017-12-03
[16] 뉴스 Is clickbait changing journalism? https://www.bbc.com/[...] 2017-12-03
[17] 뉴스 'Analysis {{!}} This is how Facebook''s fake-news writers make money' https://www.washingt[...] 2022-02-27
[18] 논문 Online information laundering: The role of social media https://www.gmfus.or[...] 2018-01-09
[19] 논문 Is There a Market for Organic Search Engine Results and Can Their Manipulation Give Rise to Antitrust Liability? 2014-05
[20] 논문 Parallel search engine optimisation and pay-per-click campaigns: A comparison of cost per acquisition https://doi.org/10.4[...] 2017
[21] 논문 Search engine optimization: a review https://bibliotekana[...] 2021
[22] 논문 Distract and divert: How world leaders use social media during contentious politics 2024-01
[23] 논문 Ad Hominem Fallacies, Bias, and Testimony https://doi.org/10.1[...]
[24] 논문 A Review of Modern Audio Deepfake Detection Method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2022
[25] 논문 Picture [Im]Perfect: Photoshop Redefining Beauty in Cosmetic Advertisements, Giving False Advertising a Run for the Money 2015
[26] 논문 Navigating legal challenges of deepfakes in the American context: a call to action https://doi.org/10.1[...] 2024-02-24
[27] 서적 "[[Influence: Science and Practice]]" "[[Allyn & Bacon]]" 2000
[28] 뉴스 アルゴリズムは人間が作るもの、アルゴリズムか人間かの違いはあまり重要ではない:Twitterトレンド操作の実態 | ビジネスジャーナル https://biz-journal.[...]
[29] 뉴스 "'사회의 콜레스테롤'서 여론 보호하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9-30
[30] 뉴스 완주군수선거 여론조작시도 50대 항소심 징역2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9-27
[31] 뉴스 개고기 축제 취소, "동물보호단체들의 여론몰이에 밀려~" http://www.consumern[...] 소비자가만드는신문 2011-06-25
[32] 뉴스 삼척 원전 유치 '여론몰이' 재점화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1-06-26
[33] 뉴스 보수언론 ‘반값 등록금’ 반대 여론몰이 http://www.pdjournal[...] PD저널 2011-06-01
[34] 뉴스 민주 “이 기회에” 여론몰이 가속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11-06-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