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은 아프가니스탄과 캅카스가 원산지인 곡물로,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쌀과 함께 세계 2대 식량 작물이다. 기원전 1만 년에서 1만 5천 년 사이에 재배되기 시작하여, 한국에서도 삼국시대 이전부터 재배된 기록이 있다. 밀은 낟알의 단단함, 파종 시기, 배수성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빵, 국수, 과자 등 다양한 음식의 원료로 사용된다. 2022년에는 중국, 인도, 러시아 등이 주요 생산국이며, 밀은 영양학적으로 우수하지만, 글루텐으로 인해 특정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 - 세몰리나
    세몰리나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주로 듀럼 밀을 거칠게 갈아 만든 곡물 가루를 의미하며, 굵기에 따라 파스타, 쿠스쿠스, 푸딩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밀 - 스펠트밀
    스펠트밀은 빵 밀, 엠머 밀과의 잡종으로 추정되는 밀의 한 종류로, 과거 유럽에서 널리 재배되었으나 빵 밀로 대체되었다가 유기농법 확산으로 다시 인기를 얻고 있으며, 글루텐 함량이 높고 영양가가 풍부한 곡물이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지도 정보
식물 분류
학명Triticum L.
이네과
아과이치고츠나기아과
콤기속
일반 정보
콤기밭
영어 이름Wheat
일본어 이름コムギ
종류
T. aestivum
T. aethiopicum
T. araraticum
T. boeoticum
T. carthlicum
T. compactum
T. dicoccoides
T. dicoccon
T. durum
T. ispahanicum
T. karamyschevii
T. monococcum
T. polonicum
T. spelta
T. thaoudar
T. timopheevii
T. turanicum
T. turgidum
T. urartu
T. vavilovii
T. zhukovskyi
재배 정보
재배 면적2억 2070만 헥타르
생산량7억 7100만 톤
언어별 이름
영어common wheat 또는 bread wheat

2. 역사

밀은 아프가니스탄이나 캅카스가 원산지로, 주로 온대 지방에서 재배된다. 기원전 1만∼1만 5000년경에 재배되기 시작한 가장 오래된 작물 중 하나이며, 석기시대에 이미 유럽중국에서 널리 재배되었다.[241]

한국에서도 밀 재배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는데, 평남 대동군 미림리에서 발견된 밀은 기원전 200~1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며, 경주 반월성지, 부여 부소산 백제 군량창고 유적에서도 밀이 발견되었다.[241] 일본의 밀 재배 역사도 3~4세기에 한국에서 전래되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한국 밀 재배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241]

한반도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밀을 재배한 것으로 추정되나 생산량이 적어 매우 귀한 식재료였다. 한국전쟁 때 미국의 원조 물자로 밀이 들어오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243] 1965년 한국의 밀 자급률은 27%였는데,[244] 해외 무상 원조와 유상 수입이 대량으로 이루어지면서 점차 재배 농가가 줄어들어 2020년 생산량은 17000ton으로 자급률은 0.8%이다.[242] 1960년대에 밀이 대량으로 유입되었으나 밀가루 음식에 익숙하지 않아 연간 1인당 소비량은 13.8kg이었다. 1967년 이후 분식장려운동과 제빵, 제과 기술의 발달로 1970년에 26.1kg, 1985년 32kg, 1992년 32.6kg으로 소비량이 증가하였다.[245]

2. 1. 세계

밀은 아프가니스탄이나 캅카스가 원산지로, 온대 지방에서 주로 재배된다. 기원전 1만∼1만 5000년경에 재배되기 시작한 가장 오래된 작물 중 하나이며, 석기시대에 이미 유럽중국에서 널리 재배되었다.[241]

서아시아의 수렵 채집인들은 밀을 가축화하기 수천 년 전부터 야생 밀을 수확해 왔으며, 기원전 2만 1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지만, 그들의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했다.[20] 이러한 가축화 이전 재배 단계에서 초기 재배종들은 이 지역에 퍼져나가면서 점차 가축화된 형태의 특징이 되는 형질들을 발달시켰다.[23]

의 곡물을 반복적으로 수확하고 파종하는 과정에서 돌연변이 형태(스포츠)의 밀이 재배에 더 적합하여 재배종이 만들어졌다. 가축화된 밀은 곡물이 더 크고, 씨앗이 수확 중에 단단해진 수축에 달라붙어 있다.[24] 야생 품종에서는 더욱 약한 수축으로 인해 이삭이 쉽게 탈립되어 소수가 흩어진다.[25] 농부들이 더 큰 곡물과 탈립하지 않는 이삭을 선택한 것은 의도적이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형질로 인해 씨앗을 수집하기가 더 쉬워졌기 때문에 발생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우연한' 선택은 작물 가축화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식량 공급원으로서 밀을 개선하는 형질에는 식물의 자연적인 종자 산포 메커니즘의 상실이 포함되기 때문에, 고도로 가축화된 밀 품종은 야생에서는 생존할 수 없다.[26]

야생 단립밀(''T. monococcum'' subsp. ''boeoticum'')은 서남아시아 전역의 개방된 공원지대와 스텝 환경에서 자란다.[27] 세 가지의 구별되는 종족으로 구성되며, 그 중 동남 아나톨리아 원산인 종족만이 가축화되었다.[28] 가축화된 단립밀과 야생 단립밀을 구별하는 주요 특징은 압력 없이는 이삭이 탈립하지 않는다는 점으로, 인간에게 산포와 번식을 의존하게 만든다.[27] 또한 곡물이 더 넓은 경향이 있다.[27] 야생 단립밀은 텔 아부 후레이라(기원전 10700~9000년경)와 무레이벳(기원전 9800~9300년경)과 같은 유적지에서 수집되었지만, 가축화된 형태에 대한 가장 초기의 고고학적 증거는 터키 남부의 차이외뉘, 카페르 휘위크, 그리고 아마도 네발리 초리에서 기원전 8800년경 이후로 나타난다.[27] 유전적 증거는 여러 곳에서 독립적으로 가축화되었음을 나타낸다.[28]

야생 엠머 밀(''T. turgidum'' subsp. ''dicoccoides'')은 단립밀보다 분포가 덜 넓으며,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구릉지대에서 발견되는 암석 현무암석회암 토양을 선호한다.[27] 그것은 더 다양하며, 가축화된 품종은 두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즉, 탈곡으로 전체 소수를 분리하는 껍질이 있는 혹은 탈립하지 않는 품종과 개별 곡물이 분리되는 자유 탈곡 품종이다. 두 품종 모두 선사 시대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유 탈곡 품종이 더 흔해졌다.[27] 야생 엠머는 기원전 96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남부 레반트에서 처음 재배되었다.[29][30] 유전 연구에 따르면, 단립밀과 마찬가지로 동남 아나톨리아에서 단 한 번 가축화되었다.[28][31] 가축화된 엠머에 대한 가장 확실한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8300~7600년경 차이외뉘에서 나온 것으로, 소수에 있는 독특한 흉터는 껍질이 있는 가축화된 품종에서 나왔음을 나타낸다.[27] 시리아의 텔 아스와드에서 기원전 8500~8200년경으로 약간 앞선 발견이 보고되었지만, 이것들은 곡물 크기를 기반으로 하는 덜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되었다.[27]

신석기 시대에 석제 마이크로 블레이드가 장착된 낫을 사용하여 밀을 수확했습니다. (기원전 8500~4000년경)


단립밀(einkorn)과 엠머밀(emmer)은 신석기 시대 서아시아 최초의 농업 사회에서 재배된 주요 작물 중 두 가지로 여겨진다.[27] 이러한 공동체는 벗겨진 밀(T. aestivum과 T. durum)과 현재 멸종된 재배종인 잔두리밀(T. timopheevii)[32]을 비롯하여 다양한 곡물과 비곡물 작물을 재배했다.[33] 밀은 신석기 시대 초반 1000년 동안에는 비교적 드물었지만 (보리가 우세했던 시기), 기원전 8500년경 이후 주식이 되었다.[33] 초기 밀 재배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처음에는 농부들은 밀이 다년생 초원에 자생하는 능력을 이용하여, 가축의 방목으로부터 들판을 보호하고 수확 후에는 씨앗을 다시 뿌렸으며, 식물을 체계적으로 제거하거나 토양을 경작할 필요가 없었다.[34] 그들은 또한 자연 습지와 충적 평야를 이용하여 범람원 농업을 실천했을 수도 있다. 범람이 물러간 후 남은 토양에 씨앗을 뿌린 것이다.[35][36][37] 밀은 석제 으로 수확했다.[38] 밀과 다른 곡물을 보관하기 쉬웠기 때문에 농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밀에 의존하게 되었는데, 특히 1년 이상의 공급량을 보관할 수 있을 만큼 큰 개별 저장 시설을 개발한 후에는 더욱 그러했습니다.[39]

밀알은 탈곡 후 저장되었으며, 는 제거되었다.[39] 그런 다음 갈돌 절구를 사용하여 밀가루로 가공했다.[40] 단립밀과 골풀(Bolboschoenus glaucus)의 덩이줄기로 만든 은 기원전 12,400년경에 만들어졌습니다.[41] 차탈회유크 (기원전 7100~6000년경)에서는 통밀과 밀가루를 모두 사용하여 빵, , 곡물 죽을 만들었습니다.[42][43] 식량 외에도 밀은 신석기 사회에서 연료, 바구니 만들기 또는 엮은 나무 틀과 진흙 벽 건축에 사용할 수 있는 의 원료로 중요했을 수 있습니다.[44]

밀 생산량 (2022년)
국가백만 톤
중국137.7
인도107.7
러시아104.2
미국44.9
오스트레일리아36.2
프랑스34.6
캐나다34.3
세계808.4
출처: UN 식량농업기구[102]



세계 밀 재배 지역


2022년 세계 밀 생산량은 808.4백만 톤이었으며, 중국, 인도, 러시아가 세계 총 생산량의 43.22%를 차지하며 선두를 달렸다.[104] 2019년 기준, 최대 수출국은 러시아(32백만 톤), 미국(27), 캐나다(23), 프랑스(20)였으며, 최대 수입국은 인도네시아(11백만 톤), 이집트(10.4), 터키(10.0)였다.[105] 2021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220.7e6ha의 면적에서 밀이 재배되어 다른 어떤 식량 작물보다 많은 면적을 차지했다.[106] 밀의 세계 무역량은 다른 모든 작물의 무역량을 합친 것보다 많다.[107] 전 세계적인 산업화 과정과 서구화된 식단으로 인해 가공식품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글루텐 단백질의 독특한 점탄성과 접착성 때문에 밀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108]



19세기, 밀은 전 세계 영국 제국의 중심적인 농업 활동이 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인도에서 매우 중요한 작물로 남아 있다.[110] 광대한 토지와 제한적인 노동력을 가진 호주에서는 관개 및 기계류와 같은 기술 발전에 의존하여 생산량을 확대했다. 1840년대에는 남호주에 900명의 밀 재배 농가가 있었다. 그들은 1843년 존 리들리가 완성한 곡물 수확기인 "리들리 스트리퍼"를 사용하여 곡식의 이삭을 제거했다.[111] 캐나다에서는 1840년대 후반부터 현대적인 농기구 덕분에 대규모 밀 농업이 가능해졌다. 1879년에는 서스캐처원주가 중심지가 되었고, 이어서 앨버타주, 매니토바주, 온타리오주가 뒤따랐으며, 철도 노선의 확장으로 영국으로의 수출이 용이해졌다. 1910년에는 캐나다 수출의 22%를 밀이 차지했고, 세계적인 대공황으로 가격이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1930년에는 25%까지 증가했다.[112]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냐, 인도에서 밀 생산을 확대하려는 노력은 낮은 수확량과 질병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2000년까지 인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밀 생산국이 되었다.[113] 19세기 미국 밀 경작지는 서쪽으로 빠르게 이동했다. 1880년대에는 미국 수출의 70%가 영국 항구로 향했다. 최초의 성공적인 곡물 저장 시설은 1842년 버팔로에 건설되었다.[114] 운송 비용은 급격히 감소했다. 1869년에는 시카고에서 리버풀까지 밀 한 부셸을 운송하는 데 37센트가 들었지만, 1905년에는 10센트로 줄었다.[115]

20세기에는 세계 밀 생산량이 약 5배 증가했지만, 1955년경까지는 대부분 밀 경작 면적의 증가에 따른 것이었고, 단위 면적당 수확량 증가는 그보다 적었다(약 20%). 그러나 1955년 이후에는 연간 밀 수확량 증가율이 10배 증가했고, 이것이 세계 밀 생산량 증가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합성 질소 비료, 관개 및 밀 품종 개량을 통한 기술 혁신과 과학적인 작물 관리가 20세기 후반 밀 생산량 증가의 주요 동인이었다. 북미 지역과 같이 밀 경작 면적이 감소한 경우도 있었다.[116] 더 나은 종자 저장 및 발아 능력(그리고 따라서 다음 해 파종용으로 수확량을 보유해야 하는 요구량 감소)은 20세기의 또 다른 기술 혁신이다. 중세 영국에서는 농부들이 수확한 밀의 4분의 1을 다음 작물의 종자로 저장하여 4분의 3만 식량 및 사료로 소비했다. 1999년 세계 평균 밀 종자 사용량은 생산량의 약 6%였다.[117] 21세기에는 지구 온난화와 관련된 기온 상승으로 여러 지역에서 밀 수확량이 감소하고 있다.[118]

2. 2. 한국

한국에서도 밀 재배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는데, 평남 대동군 미림리에서 발견된 밀은 기원전 200~1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241] 경주 반월성지, 부여 부소산 백제 군량창고 유적에서도 밀이 발견되었다.[241] 일본의 밀 재배 역사도 3~4세기에 한국에서 전래되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한국 밀 재배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241]

한반도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밀을 재배한 것으로 추정되나 생산량이 적어 매우 귀한 식재료였다. 한국전쟁 때 미국의 원조 물자로 밀이 들어오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243] 1965년 한국의 밀 자급률은 27%였는데,[244] 해외 무상 원조와 유상 수입이 대량으로 이루어지면서 점차 재배 농가가 줄어들어 2020년 생산량은 17000ton으로 자급률은 0.8%이다.[242]

1960년대에 밀이 대량으로 유입되었으나 밀가루 음식에 익숙하지 않아 연간 1인당 소비량은 13.8kg이었다. 1967년 이후 분식장려운동과 제빵, 제과 기술의 발달로 1970년에 26.1kg, 1985년 32kg, 1992년 32.6kg으로 소비량이 증가하였다.[245]

3. 종류

밀은 배수성에 따라 2배체인 '''1립계''', 4배체인 '''2립계''', 6배체인 '''보통계'''로 분류된다. 1립계는 터키, 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2립계는 중앙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에서 재배되는 듀럼밀(마카로니밀) 등이 있으며, 이집트, 알제리, 에티오피아, 지중해 북안, 이란 고원, 카프카스 등 원산지가 다양하다. 보통계 밀(''T. aestivum'')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카프카스에 이르는 지역, 특히 카프카스 남부 아르메니아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세계 밀 재배의 대부분(90% 이상)을 차지한다. 한국에서 재배하는 밀은 주로 보통계 밀이다.[20]

밀은 낟알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경질밀'''(굳은밀)과 '''연질밀'''(무른밀)로 나뉘며, 재배 품종에 따라 '''가을밀'''(추파성 품종)과 '''봄밀'''(춘파성 품종)로 나뉜다.[20] 일본에서는 파종 시기에 따라 춘파밀, 추파밀로 구분하며, 낱알의 색깔에 따라 적색밀, 백색밀, 낱알의 단단함에 따라 경질밀, 중간질밀, 연질밀로 구분한다.

4. 생태

밀은 중간 키의 억센 벼과 식물이다. 줄기는 마디가 있고 보통 속이 비어 있으며, 짚을 형성한다. 한 포기에 여러 개의 줄기가 있을 수 있다. 잎은 길고 좁으며, 밑부분이 줄기를 감싸고 각 마디 위에 하나씩 붙어 있다. 줄기 꼭대기에는 20~100개 정도의 꽃이 있는 꽃차례가 있다.[6] 꽃은 풍매화이며, 99% 이상이 자가수분이고 나머지는 타가수분이다. 수정된 심피는 밀알 또는 낟알이 되는데, 식물학적으로는 과실이지만 종자라고 불리기도 한다.[6]

밀의 열매는 단단한 과피로 덮여 있으며, 그 안에 식용 부분인 배젖과 배아가 존재한다. 이 세 부분의 부피 비율은 과피가 13.5%, 배젖이 84%, 배아가 2.5%이다.[201]

밀의 게놈 해독은 2018년에 완료되었다. 64개국의 610개 기관으로 구성된 「국제밀게놈해독컨소시엄」에는 한국에서는 농진청과 서울대학교 등이 참가했다.[204]

5. 재배

밀은 고온에 약하므로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20°C~25°C 범위는 재배에 적합하지 않다. 한국에서는 1월 평균 최저 기온이 -14°C 선이 밀 재배 북방한계선이며, 남한 평지에서는 어디서나 재배할 수 있다.[20] 부식질 양토가 적합하며, 사질이나 점질토에서도 보리보다 잘 적응된다.

가을밀은 가을에 씨를 뿌려 이듬해 초여름에 수확하며, 내한성이 강하여 한랭한 지방에서 재배하기에 적합하다. 봄밀은 봄에 파종하면 여름까지 이삭이 패고 결실하며, 온대 지역이나 아열대 지방의 가을뿌림, 겨울이 매우 추운 지역의 봄뿌림에 쓰인다. 한국에서 밀의 주요 품종은 모두 가을밀이다.[20]

한랭지일수록 파종 시기의 폭이 좁고, 너무 일찍 파종하면 동상해를 받기 쉬우며, 너무 늦게 파종하면 수확량이 오르지 않는다. 질소, 인산, 칼륨 비료를 적절히 주어야 하며, 퇴비량은 10a당 1,000kg이 표준이다. 파종 전에는 전염병 예방을 위해 씨앗 소독을 한다. 한국의 파종 시기는 중부 지방은 10월 상순, 남부 지방은 10월 중순이나 하순이다.[20]

밀은 이용 목적에 따라 품질 평가 기준이 다르다. 양조용은 배젖률이 큰 것이 유리하며, 밀가루용은 제분율이 높은 것이 좋다.[20]

6. 생산

2011년 기준 세계 10대 밀 생산 국가는 중화인민공화국, 인도, 러시아, 미국,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파키스탄, 독일, 카자흐스탄이다.[246] 2022년 세계 밀 생산량은 이었으며, 중국, 인도, 러시아가 세계 총생산량의 43.22%를 차지했다.[104]

2011년 세계 10대 밀 생산 국가[246]
순위국가명생산량 (톤)비율
1중화인민공화국117,410,30016.68%
2인도86,874,00012.34%
3러시아56,240,0007.99%
4미국54,413,3007.73%
5프랑스38,037,0005.40%
6오스트레일리아27,410,1003.89%
7캐나다25,261,4003.59%
8파키스탄25,213,8003.58%
9독일22,800,0003.24%
10카자흐스탄22,732,0003.23%



2022년 밀 생산량[102]
국가백만 톤
중화인민공화국137.7
인도107.7
러시아104.2
미국44.9
오스트레일리아36.2
프랑스34.6
캐나다34.3
세계808.4



2021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220.7e6ha의 면적에서 밀이 재배되어 다른 어떤 식량 작물보다 많은 면적을 차지했다.[106] 밀의 세계 무역량은 다른 모든 작물의 무역량을 합친 것보다 많다.[107]

7. 영양

밀은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주식이다. 하지만 필수 아미노산인 류신보다 적게 함유되어 있어, 단백가는 쌀의 78에 비해 밀은 56이다. 밀에는 글루텐이라는 단백질이 들어 있어 반죽을 부드럽게 만든다. 단백질, 녹말, 비타민 E를 비롯해 니아신, 리보플라빈, 티아민과 같은 비타민 B 복합체, 철분, 과 같은 필수 무기질 등 영양분이 풍부하다.[45][46][47][48][49][50][51][52]

겨울밀(생것)은 수분 13%, 탄수화물 71%(식이섬유 12% 포함), 단백질 13%, 지방 2%로 구성된다. 단백질 함량의 약 75~80%는 글루텐이다.[82] 100g 기준 밀은 1368kJ(327kcal)의 식품 에너지를 제공하며, 망간, , 마그네슘, 아연, 철분 등 여러 필수 미네랄의 풍부한 공급원(일일 권장 섭취량의 20% 이상)이다. 또한 니아신(일일 권장 섭취량의 36%), 티아민(일일 권장 섭취량의 33%), 비타민 B6(일일 권장 섭취량의 23%) 등 비타민 B군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78][79]

밀은 다른 주요 곡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아, 인간 식품에서 중요한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이다.[83] 그러나 소화 가능 필수 아미노산 점수(DIAAS) 단백질 품질 평가 방법에 따르면 밀 단백질은 인간 영양학적으로 품질이 낮다.[84][85] 밀 단백질은 리신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핍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식품(주로 콩류)의 단백질을 보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86][89][87][88]

전 세계 수십억 명이 섭취하는 밀은 인간 영양에 중요한 식품이며, 특히 밀 제품이 주식인 최빈개발국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89][90] 통곡물 형태로 섭취할 경우 밀은 어린이와 성인에게 권장되는 다양한 영양소와 식이섬유를 공급한다.[91][92][93]

경질 적색 겨울밀의 영양 성분 (100g 당)
성분함량
에너지1368 kJ (327 kcal)
탄수화물71.18 g
당류0.41 g
식이섬유12.2 g
지방1.54 g
단백질12.61 g
수분13.1 g
비타민함량 (일일 권장 섭취량 %)
티아민 (B1)0.383 mg (33%)
리보플라빈 (B2)0.115 mg (10%)
니아신 (B3)5.464 mg (36%)
판토텐산 (B5)0.954 mg (19%)
비타민 B60.3 mg (23%)
엽산 (B9)38 µg (10%)
콜린31.2 mg (6%)
비타민 E1.01 mg (7%)
비타민 K1.9 µg (2%)
무기질함량 (일일 권장 섭취량 %)
칼슘29 mg (3%)
철분3.19 mg (25%)
마그네슘126 mg (36%)
망간3.985 mg (190%)
288 mg (41%)
칼륨363 mg (8%)
나트륨2 mg (0%)
아연2.65 mg (28%)
셀레늄70.7 µg (129%)


8. 용도

한국에서는 밀이 보조 식량으로 쓰이지만, 서양에서는 주식이며 쌀과 함께 세계 2대 식량 작물이다. 밀의 90% 이상은 제분되어 면, 빵, 과자, 공업용 등으로 쓰인다. 또한, 밀은 간장과 된장의 원료로도 사용되며, 밀기울은 좋은 사료가 된다. 밀짚은 밀짚모자 등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6]

밀가루, 국수, 마카로니, 스파게티, 케이크, 쿠키, 비스킷, 푸딩, 시리얼 등 다양한 음식에 사용된다.[6] 일본에서는 밀가루를 사용하여 우동, 만두, 호토, 수이톤 등의 음식을 만든다.

9. 유전학 및 육종

밀의 유전체는 복잡하여 품종 개량이 어렵다. 전통적인 밀 육종은 원하는 특성을 가진 단일 식물의 종자를 선발하여 단일 계통 품종을 만드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현대 밀 육종은 20세기 초에 발전했으며, 멘델 유전학의 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77] 근교계 밀 품종을 육종하는 표준 방법은 수기로 주두 제거를 통해 두 계통을 교배한 다음, 자가 수분 또는 근교 수분을 통해 자손을 얻는 것이다. 품종 또는 재배종으로 출시되기 10세대 이상 전에 선발된 개체들이 확인된다.[177]

주요 육종 목표에는 높은 수량, 우수한 품질, 병 저항성 및 해충 저항성, 그리고 무기물, 수분 및 열 저항성을 포함한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포함된다.[146][145] 밀은 감마선, X선, 자외선(총칭하여 방사선 육종) 및 때로는 강한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돌연변이 육종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밀 품종은 수백 종에 달하며, 중국과 같은 인구가 많은 국가에서 더 많이 만들어졌다.[146] 높은 철분과 아연 함량을 가진 빵 밀은 감마선 조사 육종[147]과 기존의 선발 육종을 통해 개발되었다.[148] 국제 밀 육종은 멕시코에 있는 국제옥수수밀개량센터가 주도하고 있다. 국제농업연구센터는 또 다른 주요 공공 부문 국제 밀 육종 기관이었지만,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시리아에서 레바논으로 이전해야 했다.[149]

병원균과 밀은 끊임없는 공진화 과정에 있다.[150] 포자를 생성하는 밀 녹병균은 성공적인 포자 전파에 상당히 적응되어 있으며, 이는 기본 재생산 수라고 할 수 있다.[150]

품종 개량을 통해 증가한 수확량


특정 밀 유전자 변종의 존재는 작물 수확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일본 밀 재배자들이 짧은 줄기의 밀인 노린 10호를 생산하기 위해 처음 사용한 '왜성' 형질 유전자는 전 세계 밀 수확량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먼 볼로그이 이끈 멕시코와 아시아의 녹색 혁명 성공의 주요 요인이었다.[151] 왜성 유전자는 광합성 과정에서 식물에 고정된 탄소를 종자 생산으로 돌릴 수 있게 하고, 도복 문제를 예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152] "도복"은 이삭 줄기가 바람에 쓰러져 땅에서 썩는 현상을 말하며, 밀에 대한 질소 비료 과다 사용은 풀이 더 크게 자라 이 문제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153] 1997년까지 개발도상국의 밀 재배 면적의 81%가 반왜성 밀이었으며, 이는 수확량 증가와 질소 비료에 대한 반응 개선 모두를 가져왔다.[154]

줄기녹병균에 감염된 다양한 밀 품종. 저항성을 갖도록 육종된 품종은 잎에 영향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적다.


1930년대부터 재배 밀의 육종에 있어서 ''Triticum''속 및 관련 속의 야생 잔디와 호밀과 같은 잔디는 많은 병 저항성 형질의 근원이 되어 왔다.[159] 특히 카자흐스탄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1종과 5종에 대해 ''Pyrenophora tritici-repentis''에 대한 몇몇 저항성 유전자들이 확인되었다.[160]

밀은 자가수분하기 때문에, 잡종종자를 만들어 이형접합체 효과(heterosis), 즉 일반적인 옥수수의 F1 잡종에서 볼 수 있는 잡종강세를 얻으려면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잡종 밀 종자의 높은 가격 대비 중간 정도의 효과 때문에 농부들은 90년 가까운 노력에도 불구하고 널리 채택하지 않았다.[174][175]

현대 밀 품종은 글루텐 함량을 높이도록 교배되어 왔는데,[184] 이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빵과 파스타의 품질 향상에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185]

복잡한 밀의 게놈은 밀 개량을 어렵게 만들었다. 2020년 다양한 염색체 의사분자 및 분자 스캐폴드 어셈블리를 사용한 육배체 밀 게놈 비교를 통해 유전자의 저항성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었다.[188] [189]

2010년, 중국춘(Chinese Spring) 품종 42호 밀의 유전체 95%가 해독되었다.[190] 2012년에는 빵밀의 거의 완전한 유전자 세트가 발표되었다.[192] 2018년에는 다른 연구팀에 의해 더 완전한 중국춘 밀 유전체가 발표되었다.[193] 2020년에는 전 세계 여러 지역과 품종의 15개 유전체 서열이 보고되었으며, 특정 해충 및 질병 저항성 인자를 찾는 데 이 서열들을 사용한 사례가 제시되었다.[194]

수십 년 동안 주요 유전자 변형 기술은 비상동말단연결이었다. 그러나 도입 이후 CRISPR/Cas9 기술이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는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 Li 등(2020)은 새로운 웅성불임 형질을 생성하기 위해 ''TaNP1''(글루코스-메탄올-콜린 산화환원효소 유전자)의 세 개의 상동유전자를 의도적으로 손상시켰다.[195]
  • Shan 등(2013)과 Wang 등(2014)은 흰가루병 저항성을 생성하기 위해, 흰가루병 저항성 유전자좌 유전자 중 하나를 편집했다.[195]
  • Zhang 등(2017)은 ''Bmt'' 저항성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녹아웃하여 해당 저항성을 향상시켰다.[195]
  • Su 등(2019)은 유전자를 비활성화하여 푸사리움 병 저항성을 생성했다.[195]
  • Okada 등(2019)은 유전자를 녹아웃하여 또 다른 새로운 웅성불임을 생성했다.[195]
  • Zhang 등(2019)은 유전자에 염기 변화를 가하여 각각 ALS 저해제와 ACCase 저해제에 대한 제초제 저항성을 부여했다.[195]

10. 건강 문제

유전적으로 민감한 사람들에게는 밀 글루텐이 셀리악병을 유발할 수 있다.[82][94] 셀리악병은 선진국의 일반 인구 중 약 1%에 영향을 미친다.[94][95]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평생 동안 엄격하게 글루텐 불내증 식단을 지키는 것이다.[94] 셀리악병은 밀 단백질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지만 밀 알레르기와는 다르다.[94][95] 밀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다른 질병으로는 글루텐 관련 장애인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일반 인구의 0.5%~1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됨[97]), 글루텐 운동실조증, 포진양 피부염이 있다.[96]

밀에 존재하는 특정 단쇄 탄수화물인 FODMAP(주로 프룩토스 중합체)가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의 원인일 수 있다. 현재 연구 결과에 따르면 FODMAP는 팽만감과 같은 특정 위장 증상만 설명할 수 있으며,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 환자가 나타낼 수 있는 장외 증상은 설명하지 못한다.[98][99][100]

다른 밀 단백질인 아밀라제-트립신 억제제는 셀리악병과 비셀리악 글루텐 민감성에서 선천 면역계의 활성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99][100] 이러한 단백질은 식물의 해충 방어 기작의 일부이며, 인간에게 장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99][101]

참조

[1] 문서 lectotype designated by Duistermaat, Blumea 32: 174 (1987)
[2] 웹사이트 Serial No. 42236 2002-09-22
[3] 백과사전 wheat
[4] 서적 The American language : an inquiry into the development of English in the United States Alfred A. Knopf 1984
[5] 문서 Wheat
[6] 백과사전 wheat (plant) http://www.britannic[...] 2023-12-23
[7] 웹사이트 Fertilising for High Yield and Quality – Cereals https://www.ipipotas[...] International Potash Institute
[8] 학술지 Photosynthesis of Flag and Second Wheat Leaves During Senescence
[9] 서적 Biological Control of Photosynthesis
[10] 학술지 Stomatal Size, Frequency and Distribution in ''Triticum Aestivum'', ''Secale Cereale'' and Their Amphiploids
[11] 학술지 Shifts in stomatal traits following the domestication of plant species
[12] 웹사이트 Wheat Growth Guide https://cereals.ahdb[...]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Development Board
[13] 서적 Wheat Crop Management https://books.google[...] Scientific Publishers 2008-10-01
[14] 학술지 Labeling of Fructans in Winter Wheat Stems
[15] 학술지 Wheat genotypic variation in dynamic fluxes of WSC components in different stem segments under drought during grain filling
[16] 학술지 Partitioning of assimilates to deeper roots is associated with cooler canopies and increased yield under drought in wheat
[17] 학술지 Awns reduce grain number to increase grain size and harvestable yield in irrigated and rainfed spring wheat
[18] 학술지 Effect of flag leaf and awn removal on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wheat grown under dryland conditions
[19] 학술지 Decline in climate resilience of European wheat
[20] 학술지 Terminology, process and change: reflections on the Epipalaeolithic of South-west Asia https://doi.org/10.1[...]
[21] 학술지 Processing of wild cereal grains in the Upper Palaeolithic revealed by starch grain analysis https://www.nature.c[...] 2004-08
[22] 학술지 "Founder crops" v. wild plants: Assessing the plant-based diet of the last hunter-gatherers in southwest Asia https://www.scienced[...]
[23] 학술지 Cultivation and domestication had multiple origins: arguments against the core area hypothesis for the origins of agriculture in the Near East https://doi.org/10.1[...]
[24] 학술지 μCT trait analysis reveals morphometric differences between domesticated temperate small grain cereals and their wild relatives 2019-03-14
[25] 학술지 How fast was wild wheat domesticated?
[26] 학술지 The nature of selection during plant domestication Springer 2009-02-01
[27] 서적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8] 학술지 AFLP analysis of a collection of tetraploid wheats indicates the origin of emmer and hard wheat domestication in southeast Turkey
[29] 학술지 Domestication of emmer wheat and evolution of free-threshing tetraploid wheat http://www.sciencefr[...]
[30] 서적 The origins and spread of domestic plants in southwest Asia and Europe https://books.google[...] Left Coast Press
[31] 학술지 The structure of wild and domesticated emmer wheat populations, gene flow between them, and the site of emmer domestication https://doi.org/10.1[...]
[32] 학술지 Ancient DNA typing indicates that the "new" glume wheat of early Eurasian agriculture is a cultivated member of the Triticum timopheevii group https://www.scienced[...] 2020-11-01
[33] 학술지 Revisiting the concept of the 'Neolithic Founder Crops' in southwest Asia https://doi.org/10.1[...] 2023-09-01
[34] 학술지 A new functional ecological model reveals the nature of early plant management in southwest Asia https://www.nature.c[...] 2022-06
[35] 학술지 Water, soil and seasonality in early cereal cultivation http://www.tandfonli[...] 1980-02
[36] 서적 Against the Grain: A Deep History of the Earliest State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3-03-19
[37] 서적 The dawn of everything: a new history of humanity Allen Lane 2021
[38] 학술지 Narrowing the Harvest: Increasing sickle investment and the rise of domesticated cereal agriculture in the Fertile Crescent 2016-08-01
[39] 학술지 Towards a Socio-Economic Model for Southwest Asian Cereal Domestication 2021-11-29
[40] 학술지 Long-term trends in Natufian subsistence: a use-wear analysis of ground stone tools https://www.scienced[...] 2004-11-01
[41] 학술지 Archaeobotanical evidence reveals the origins of bread 14,400 years ago in northeastern Jordan 2018-07-31
[42] 학술지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archaeological cereal meals: a case study at Çatalhöyük East (Turkey) https://doi.org/10.1[...] 2017-07-01
[43] 학술지 The Archaeology of Neolithic Cooking Traditions: Archaeobotanical Approaches to Baking, Boiling and Fermenting 2018-12-05
[44] 서적 The dawn of everything: a new history of humanity Allen Lane 2021
[45] 학술지 First wave of cultivators spread to Cyprus at least 10,600 y ago 2012-05-29
[46] 학술지 Crop introduction and accelerated island evolution: archaeobotanical evidence from 'Ais Yiorkis and Pre-Pottery Neolithic Cyprus https://doi.org/10.1[...] 2012-03-01
[47] 서적 Guns, Germs and Steel Vintage
[48]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Food Sciences and Nutrition Elsevier Science
[49] 웹사이트 Britons may have imported wheat long before farming it https://www.newscien[...] 2020-06-04
[50] 학술지 Sedimentary DNA from a submerged site reveals wheat in the British Isles 8000 years ago
[51] 학술지 Ancient genomes indicate population replacement in Early Neolithic Britain
[52] 학술지 The early history of wheat in China from 14C dating and Bayesian chronological modelling 2018
[53] 학술지 Ancient DNA from 8400 Year-Old Çatalhöyük Wheat: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Neolithic Agriculture 2016
[54] 웹사이트 The science in detail – Wheats DNA – Research – Archaeology http://www.sheffield[...] University of Sheffield 2012-05-27
[55] 서적 Bread-Making Quality of Wheat Springer
[56] 서적 Bread Making CRC Press
[57] 서적 Diet for a large plane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
[58] 서적 Oceans of Grain: How American Wheat Remade the World Basic Books
[59] 학술지 Development of a complete set of ''Triticum aestivum''-''Aegilops speltoides'' chromosome addition lines 2000-07
[60] 학술지 The Origin of Spelt and Free-Threshing Hexaploid Wheat 2012-05-01
[61] 학술지 Molecular phylogeny of the genus Triticum L Springer 2007-02-12
[62] 학술지 Wheat 2009-04-01
[63] 백과사전 Wheats: Origins and Development Springer New York 2014
[64] 학술지 Improvement and Re-Evolution of Tetraploid Wheat for Global Environmental Challenge and Diversity Consumption Demand 2022-02-17
[65] 뉴스 Spelt flour 'wonder grain' set for a price hike as supplies run low https://www.theguard[...] 2014-05-15
[66] GRIN Triticum turgidum subsp. dicoccon 2017-12-11
[67] 학술지 A DNA fingerprinting-based taxonomic allocation of Kamut wheat
[68] 서적 Natufian Culture in the Levant Berghahn Books
[69]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The Material Foundations Cornell University Press
[70] 서적 Evolution of Wild Emmer and Wheat Improvemen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2-01-29
[71] 서적 The Oxford Book of Health Foods Oxford University Press
[72] 웹사이트 Field Crop Information https://web.archive.[...] College of Agriculture and Bioresources, University of Saskatchewan 2023-07-10
[73] 백과사전 The Columbia-Viking Desk Encyclope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74] 뉴스 Flour types: Wheat, Rye, and Barley https://www.nytimes.[...] 1981-02-18
[75] 웹사이트 Wheat: Background http://www.ers.usda.[...] USDA 2016-10-02
[76] 학술지 In the Russian Steppes: the Introduction of Russian Wheat on the Great Plains of the UNited States
[77] 웹사이트 Marquis Wheat http://www.thecanadi[...]
[78] 서적 Botany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79] 서적 Bread-Making Quality of Wheat Springer
[80] 서적 Foods & Nutrition Encyclopedia, Two Volume Set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3
[81] 웹사이트 Wheat https://foodallergyc[...] 2019-02-25
[82] 학술지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gluten: An elastic protein from wheat grain
[83] 웹사이트 Genetic markers signal increased crop productivity potential http://cordis.europa[...] 2017-06-01
[84] 서적 Dietary protein quality evaluation in human nutrition http://www.fao.org/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3
[85] Review Update on protein intake: importance of milk proteins for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2015-08
[86] 웹사이트 Impacts of agriculture on human health and nutrition – Vol. II – Improving the Protein Content and Quality of Temperate Cereals: Wheat, Barley and Rye http://www.eolss.net[...] UNESCO – Encyclopedia Life Support Systems (UNESCO-EOLSS)
[87] 웹사이트 The role of high lysine cereals in animal and human nutrition in Asia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88] 웹사이트 Nutritional quality of cereals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89] 학술지 Review: The contribution of wheat to human diet and health
[90] 학술지 Wheat
[91] 웹사이트 Whole Grain Fact Sheet https://web.archive.[...] European Food Information Council 2009-01-01
[92] 웹사이트 Whole Grain Resource for the National School Lunch and School Breakfast Programs: A Guide to Meeting the Whole Grain-Rich criteria http://www.fns.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and Nutrition Service 2014-01
[93] 웹사이트 All About the Grains Group https://www.choosemy[...]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MyPlate 2016
[94] 웹사이트 Celiac disease http://www.worldgast[...] World Gastroenterology Organisation Global Guidelines 2016-07
[95] 웹사이트 Definition and Facts for Celiac Disease https://www.niddk.ni[...] The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Bethesda, MD 2016
[96] 학술지 The Oslo definitions for coeliac disease and related terms BMJ 2012-02-16
[97] 학술지 Systematic review: noncoeliac gluten sensitivity 2015-05
[98] 학술지 Nonceliac Wheat Sensitivity
[99] 학술지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What Is the Culprit? 2018-02
[100] 학술지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101] Review Gliadin Peptides as Triggers of the Proliferative and Stress/Innate Immune Response of the Celiac Small Intestinal Mucosa
[102] 웹사이트 FAOSTAT https://www.fao.org/[...]
[103] 서적 World Food and Agriculture – Statistical Yearbook 2021 https://doi.org/10.4[...] FAO
[104] 웹사이트 Wheat production in 2022 from pick lists: Crops/World regions/Production quantity/Year https://www.fao.org/[...]
[105] 웹사이트 Crops and livestock products http://www.fao.org/f[...]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Statistics Division, FAOSTAT 2021
[106] 웹사이트 Wheat area harvested, world total from pick lists: Crops/World regions/Area harvested/Year http://www.fao.org/f[...] 2023-10-05
[107] 웹사이트 Bread Wheat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08] Review Wheat-gluten uses and industry needs Elsevier 2006
[109] 웹사이트 Wheat prices in England https://ourworldinda[...] 2020-03-05
[110] 서적 Dictionary of the British Empire and Commonwealth
[111] 서적 A Backward Glance: The Story of John Ridley, a Pioneer https://books.google[...] J. Clarke
[112] 논문 Economic Development of the Saskatchewan Wheat Economy https://onlinelibrar[...] 1977
[113] 논문 Wheat improvement in India: present status, emerging challenges and future prospects https://link.springe[...] 2007
[114] 서적 Diet for a large plane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
[115] 서적 Diet for a large plane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
[116] 서적 Wheat: Ecology and Physiology of Yield Determination Haworth Press
[117] 서적 Plants, Genes and Crop Biotechnology Jones & Bartlett Learning
[118] 논문 Rising temperatures reduce global wheat production http://eprints.white[...] 2015
[119] 웹사이트 How To Grow Wheat Efficiently On A Large Farm https://eos.com/blog[...] 2023-05-10
[120] 서적 Wheat: Ecology and Physiology of Yield Determination Haworth Press
[121] 논문 Effect of heat stress during floral development on pollen tube growth and ovary anatomy in wheat (''Triticum aestivum'' L.)
[122] 서적 Agricultural Revolution in Engl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agrarian economy 1500-185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3] 논문 Rage against the Machines: Labor-Saving Technology and Unrest in Industrializing England
[124] 서적 A Century of Innovation: Twenty Engineering Achievements That Transformed Our Lives, Chapter 7, Agricultural Mechanization http://www.greatachi[...] Joseph Henry Press
[125] 논문 The Transfer and History of "Reduced Height Genes" (Rht) in Wheat from Japan to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7-08
[126] 웹사이트 From east Asia to south Asia, via Mexico: how one gene changed the course of history https://www.cimmyt.o[...] 2016-01-03
[127] 논문 Nobel Peace Prize: developer of high-yield wheat receives award (Norman Ernest Borlaug) 1970-10-30
[128] 논문 Economic Analysis of Post-harvest Losses in Food Grains in India: A Case Study of Karnataka http://ageconsearch.[...]
[129] 논문 Food security: The challenge of feeding 9 billion people
[130] 웹사이트 Stocktake on cropping and crop science for a diverse planet http://www.cropscien[...]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rop Science Congress, Brisbane, Australia 2004
[131] 웹사이트 Umbers, Alan (2006, Grains Council of Australia Limited) Grains Industry trends in Production – Results from Today's Farming Practices http://www.grainscou[...]
[132] 논문 The global burden of pathogens and pests on major food crops https://research.utw[...]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9-02-04
[133] 웹사이트 Disease of Wheat: Get To Know Everything About Wheat Diseases https://agriculturer[...] 2021-01-11
[134] 웹사이트 G4319 Wheat Diseases in Missouri, MU Extension http://muextension.m[...] University of Missouri Extension
[135]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Earth http://www.eoearth.o[...]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136] 논문 Impact of moisture, host genetics and ''Fusarium graminearum'' isolates on Fusarium head blight development and trichothecene accumulation in spring wheat
[137] 서적 Will Stem Rust Destroy the World's Wheat Crop? https://naldc-legacy[...]
[138] 서적 Wheat Blast CRC Press 2020
[139] 논문 Important wheat diseases in the US and their management in the 21st century 2023
[140] 웹사이트 Has Ergot Altered Events in World History? https://cropwatch.un[...]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017-08-17
[141] 논문 Estimating ''Cephus cinctus'' wheat stem cutting damage – can we cut stem counts? http://www.bioone.or[...]
[142] 웹사이트 Biological Control of Stored-Product Pests. Biological Control News Volume II, Number 10 October 1995 http://www.entomolog[...]
[142] 웹사이트 Post-harvest Operations Compendium http://www.fao.org/i[...] FAO
[143] 웹사이트 CSIRO Rodent Management Research Focus: Mice plagues http://www.cse.csiro[...]
[144] 웹사이트 ARS, Industry Cooperation Yields Device to Detect Insects in Stored Wheat http://www.ars.usda.[...]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0-06-24
[145] 논문 Tolerance mechanisms for breeding wheat against heat stress: A review 2021-05-01
[146] 웹사이트 Mutant variety database http://mvgs.iaea.org[...]
[147] 논문 Transfer of useful variability of high grain iron and zinc from Aegilops kotschyi into wheat through seed irradiation approach 2016-03-03
[148] 웹사이트 CIMMYT scientist Ravi Singh receives prestigious award from the Government of India http://www.cimmyt.or[...] 2021-01-20
[149] 웹사이트 Press Release: ICARDA safeguards world heritage of genetic resources during the conflict in Syria http://www.icarda.or[...]
[150] 논문 An epi-evolutionary model for predicting the adaptation of spore-producing pathogens to quantitative resistance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John Wiley & Sons
[151] 논문 A modern Green Revolution gene for reduced height in wheat 2017-09-26
[152] 논문 The role of 'Norin 10' dwarfing genes in photosynthetic and respiratory activity of wheat leaves https://doi.org/10.1[...] 1981-03-01
[153] 서적 Dwarfing genes in plant improvement Academic Press 2001-01-01
[154] 논문 An analysis of the factors determining yields in crosses between semi-dwarf and taller wheat varieties 2009-03-27
[155] 논문 Ectopic expression of ''Triticum polonicum'' VRT-A2 underlies elongated glumes and grains in hexaploid wheat in a dosage-dependent manner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5-01
[156] 웹사이트 Guinness World Records – Highest Wheat Yield http://www.guinnessw[...] 2022-08-10
[157] 웹사이트 Lincs grower scoops top wheat and rapeseed yield awards https://www.fwi.co.u[...] 2018-11-23
[158] 웹사이트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Development Board – 2018 GB Harvest Progress Results https://cereals.ahdb[...]
[159] 논문 Plant genetic resources: What can they contribute toward increased crop productivity?
[160] 웹사이트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puts tan spot-resistant genes in the spotlight http://wheat.org/gen[...] 2021-07-27
[161] 논문 Reap the crop wild relatives for breeding future crops Cell Press
[162] 논문 Defended to the Nines: 25 Years of Resistance Gene Cloning Identifies Nine Mechanisms for R Protein Function American Society of Plant Biologists (OUP) 2018-01-30
[163] 논문 Plant immunity: towards an integrated view of plant–pathogen interactions Nature Portfolio 2010-06-29
[164] 논문 A Putative ABC Transporter Confers Durable Resistance to Multiple Fungal Pathogens in Wheat 2009-03-06
[165] 논문 Abscisic acid is a substrate of the ABC transporter encoded by the durable wheat disease resistance gene Lr34
[166] 논문 Phenomics – technologies to relieve the phenotyping bottleneck Cell Press
[167]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rye (''Secale cereale'' L.) as a source of resistance to pathogens and pests in wheat (''Triticum aestivum'' L.) BioMed Central
[168] 논문 Utilization of KASP technology for wheat improvement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20-07-02
[169] 논문 Map-based isolation of the leaf rust disease resistance gene Lr10 from the hexaploid wheat ( Triticum aestivum L.) genome 2003-12-09
[170] 논문 Genome analysis at different ploidy levels allows cloning of the powdery mildew resistance gene Pm3b from hexaploid wheat 2004
[171] 논문 Wheat Pm4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is controlled by alternative splice variants encoding chimeric proteins 2021-03-11
[172] 논문 A membrane-bound ankyrin repeat protein confers race-specific leaf rust disease resistance in wheat 2021-02-11
[173] 논문 Pyramiding of transgenic immune receptors from primary and tertiary wheat gene pools improves powdery mildew resistance in the field 2023-12-10
[174] 뉴스 Hybrid wheat to make a return http://www.fwi.co.uk[...] 2011-05-17
[175] 뉴스 Hybrid wheat's comeback http://www.agricultu[...] 2013-03-11
[176] 웹사이트 The Hybrid wheat website http://www.hybridwhe[...] 2013-12-18
[177] 서적 Wheat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178] 서적 Heterosis and Hybrid Seed Production in Agronomic Crops Haworth Press
[179] 논문 Transferring diversity of goat grass to farmers' fiel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ynthetic hexaploid wheat 2020-10-01
[180] 논문 An Update of Recent Use of Aegilops Species in Wheat Breeding Frontiers Media SA 2019-05-09
[181] 뉴스 Cambridge-based scientists develop 'superwheat' https://www.bbc.co.u[...] BBC News UK 2013-05-12
[182] 웹사이트 Synthetic hexaploids http://www.k-state.e[...]
[183] 웹사이트 Synthetic hexaploid wheat http://www.niab.co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Botany
[184] 논문 Developments in bread-making processes 2000-01-01
[185] 논문 Wheat gluten functionality as a quality determinant in cereal-based food products https://www.research[...]
[186] 논문 Wheat (Triticum aestivum L.) Breeding from 1891 to 2010 Contributed to Increasing Yield and Glutenin Contents but Decreasing Protein and Gliadin Contents 2020-07-10
[187] 논문 Genotypic variation in carbon isotope discrimination and transpiration efficiency in wheat. Leaf gas exchange and whole plant studies
[188] 논문 Multiple wheat genomes reveal global variation in modern breeding Nature Research/Springer Nature 2020-11-25
[189] 논문 A saturated SNP linkage map for the orange wheat blossom midge resistance gene Sm1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6-05-09
[190] 웹사이트 UK researchers release draft sequence coverage of wheat genome http://www.bbsrc.ac.[...] Biotechnology and Biolog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2010-08-27
[191] 웹사이트 UK scientists publish draft sequence coverage of wheat genome http://www.bbsrc.ac.[...] Biotechnology and Biolog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2011-07-15
[192] 논문 Analysis of the bread wheat genome using whole-genome shotgun sequencing
[193] 웹사이트 U of S crop scientists help crack the wheat genome code https://news.usask.c[...] University of Saskatchewan, Canada 2018-08-16
[194] 웹사이트 Landmark study generates first genomic atlas for global wheat improvement http://news.usask.ca[...] University of Saskatchewan 2020-11-25
[195] 논문 Present and future prospects for wheat improvement through genome editing and advanced technologies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enter for Excellence in Molecular Plant Sciences and Chinese Society for Plant Biology (Cell Press)
[196] 서적 Cézanne to Picasso: Ambroise Vollard, Patron of the Avant-garde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6
[197] 서적 Art, Literature and Culture from a Marxist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
[198] 웹사이트 Wheat https://americanart.[...] Smithsonian Institution
[199] 뉴스 A field of wheat on a $4.5bn patch of New York: the prophetic eco art of Agnes Denes https://www.theguard[...] 2022-07-18
[200] 서적 落ち葉の呼び名事典 世界文化社 2014-10-05
[201] 서적 コムギの食文化を知る事典 東京堂出版
[202] 웹사이트 小麦の栄養と機能 https://www.nisshin.[...] 日清製粉グループ
[203] 웹사이트 商品情報/小麦ふすま https://www.nippn.co[...] 日本製粉
[204] 뉴스 コムギゲノム解読が完了 農研機構など610機関 https://www.nikkei.c[...] 2018-09-16
[205] 서적 両税法成立史の研究 雄山閣
[206] 서적 ヨーロッパの舌はどう変わったか 十九世紀食卓革命 講談社
[207] 서적 中世ヨーロッパ 食の生活史 原書房
[208] 서적 商業史 有斐閣
[209] 논문 アジア・日本への普通系小麦の伝播経路の解明 https://doi.org/10.2[...] 日本育種学会・日本作物学会北海道談話会
[210] 서적 コムギが日本に来た道 北海道大学出版会
[211] 웹사이트 うどん類の歴史と分類 https://ku-food-lab.[...] 関西大学 2020-11-08
[212] 웹사이트 2012 Great American Beer Festival selects the best beer in the USA: Beer Styles http://www.greatamer[...] greatamericanbeerfestival.com 2013-06-12
[213] 웹사이트 FAOSTAT http://faostat.fao.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7-10-20
[214] 서적 日本国勢図会 矢野恒太記念会
[215] 웹사이트 麦の需給に関する見通し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6-10-19
[216] 뉴스 大規模農家の豊かさに隠れた開拓者精神と努力 「たった一晩」で数百万円の損害が出る繊細な作物との格闘 http://business.nikk[...] 日経BP社 2008-07-31
[217] 웹사이트 Countries by commodity imports (Wheat) http://www.fao.org/f[...] 2021-09-06
[218] 웹사이트 Countries by commodity exports (Wheat) http://www.fao.org/f[...] 2021-09-06
[219] 문서 총輸出量と総輸入量が等しくならないのは、輸送に要する時間が原因である。
[220] 웹사이트 消費者の部屋 こどもそうだん 豆・麦・いも 小麦はどこの国から輸入(ゆにゅう)されているのかおしえてください。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 2021-09-06
[221] 서적 アメリカの小麦
[222] 웹사이트 小麦粉・小麦粉の価格のしくみ https://web.archive.[...] 日清製粉
[223] 법률 主要食糧の需給及び価格の安定に関する法律
[224] 보도자료 輸入麦の平成19年10月からの売渡価格について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 2007-08-24
[225] 논문 政府管理下における我が国の小麦価格伝導に関する一考 江戸川大学紀要 2022
[226] 문서 主要食糧の需給及び価格の安定に関する法律の施行に関する件 農林水産省告示第四百五十七号
[227] 웹사이트 農林認定品種データベース http://agriknowledge[...] 農林水産省
[228] 웹사이트 麦の品種別作付面積 http://www.library.m[...] 農林水産省
[229] 웹사이트 Definition and Facts for Celiac Disease https://www.niddk.ni[...] The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Bethesda, MD 2016-12-05
[230] 웹사이트 Celiac disease http://www.worldgast[...] World Gastroenterology Organisation Global Guidelines 2016-12-07
[231] 논문 The Oslo definitions for coeliac disease and related terms 2013-01
[232] 논문 Systematic review: noncoeliac gluten sensitivity 2015-05
[233] Review Clinical and diagnostic aspects of gluten related disorders 2015-03-16
[234] Review Celiac disease from a global perspective 2015-06
[235] Review Spectrum of gluten-related disorders: consensus on new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236] Review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questions still to be answered despite increasing awareness
[237] Review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or wheat intolerance syndrome? 2015-04
[238] Review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questions still to be answered despite increasing awareness 2013-09
[239] Review Developments in bread-making processes 2000
[240] Review Sourdough lactobacilli and celiac disease 2007-04
[241] 백과사전 밀 [wheat]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242] 뉴스 자급률 0.8%‥국수에 진심인 한국은 왜 밀농사를 외면했나 https://imnews.imbc.[...] MBC뉴스 2022-05-22
[243] 서적 밀가루와 설탕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10대와 통하는 문화로 읽는 한국 현대사, 2014. 11. 13., 이임하)
[244] 서적 교양을 위한 음식과 식생활 문화 대한교과서
[245] 서적 교양을 위한 음식과 식생활 문화 대한교과서
[246] 웹인용 식량농업기구 통계 http://faostat3.fao.[...] 2016-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