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엿은 곡물이나 기타 재료를 엿기름으로 삭혀서 만든 한국의 전통 과자이다. 엿은 지역 특산물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로 만들어지며, 쌀, 호박, 옥수수, 찹쌀, 고구마 등을 주재료로 한다. 엿은 문화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엿 먹어라"는 욕설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표현은 1964년 중학교 입시 문제 논란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과 - 매잡과
    매작과는 매화 모양을 본떠 만든 한국 전통 과자로, 밀가루 반죽을 꼬아 튀긴 후 조청에 조려 고명을 뿌려 만들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 한과 - 약과
    약과는 꿀로 만든 고급 과자로, 고려 시대 왕실과 귀족, 사찰에서 즐겨 먹었으며 조선 시대 모양 변화를 거쳐 현재는 간식 및 선물로 애용되지만 전통 방식의 맛 저하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 곡물 요리 - 앤잭 비스킷
    앤잭 비스킷은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유래되어 귀리, 코코넛, 버터 등을 주재료로 하며, 1차 세계대전 당시 군인 식량으로 사용된 것과 안작 데이 연관성으로 현재까지 소비 및 생산되고 "안작 비스킷" 명칭과 레시피는 법적으로 보호받는다.
  • 곡물 요리 - 할림
    할림은 10세기 바그다드에서 유래한 아랍 요리에서 발전하여 밀, 보리, 고기, 렌틸콩, 향신료를 오랜 시간 끓여 만든 음식으로, 특히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라마단과 무하람 기간에 인기가 있으며 지역별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 사탕 - 배 드롭
  • 사탕 - M&M's
    M&M's는 1941년 마스에서 출시되어 설탕 코팅으로 "입 안에서 녹고 손에서는 녹지 않는다"는 슬로건과 다양한 색상, 캐릭터 마케팅을 통해 인기를 얻고 있는 초콜릿 캔디이다.
엿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체 엿 및 액체 물엿
국가한국
종류한과
코스디저트
주 재료밥(조리된 쌀), 엿기름(가루 보리 맥아)
영양 정보 (추정치)
칼로리알 수 없음
단백질알 수 없음
지방알 수 없음
탄수화물알 수 없음
혈당 지수알 수 없음
상세 정보
관련 음식엿강정
종류한과

2. 역사

문헌 상에서 가장 오래된 엿에 대한 기록은 고려시대 이규보의 《동국여지승람》이다. 허균의 《성서부부고》 중 제 26권인 《도문대작》에는 흰엿과 검은엿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3. 종류

엿은 사용하는 주재료나 첨가하는 부재료, 만드는 지역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장 기본적인 엿은 이나 옥수수 등 곡물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다. 호박 등을 이용한 엿도 있으며, 각 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하여 만든 지역별 특색 엿도 유명하다. 또한, 약재나 몸에 좋은 재료를 넣어 만든 약용 엿도 존재한다.

3. 1. 지역별 특색 엿

엿은 각 지방의 특색에 따라 그 지역의 특산물을 주 원료에 첨가하여 만들기도 한다. 이때 엿의 이름은 주로 첨가된 재료의 이름을 따서 붙인다.

이름 ! 주재료 ! 지역 및 특징
쌀, 엿기름 |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에서는 엿기름 가루를 삭혀 만들고,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에서는 쌀과 엿기름을 고아 입에 달라붙지 않게 만든다.
| 채 썬 무를 넣고 조려서 만든 물엿 형태이다.
고구마 | 전라남도 무안 지방의 엿으로, 삶은 고구마를 메주처럼 찧어서 만든다.
옥수수가루, 엿기름, 통옥수수 | 강원도의 특산 엿이다. 옥수수가루에 엿기름을 섞거나, 통옥수수를 싹틔워 만든다.
호박엿 | 호박 (주로 애호박), 수수쌀 | 울릉도의 대표적인 특산물이다. 수수쌀을 이용해 만들며 애호박을 넣는다. 과거에는 후박나무를 재료로 사용했다는 설도 있다.
보릿가루 | 제주도의 향토 음식 중 하나로, 보릿가루로 만든다.
참깨 | 엿 표면을 참깨로 덮은 엿이다.[4]
| 경기도 가평의 특산 엿으로, 을 으깨서 만든다.
쌀, 옥수수, 엿기름 | 쌀, 옥수수, 엿기름을 섞어 만든다.[3]
차조, 닭고기 | 제주도의 향토 음식이다. 봄철에 차조와 닭고기를 넣고 조려서 만들며 약용으로도 쓰인다.[5]
차조, 꿩고기 | 제주도의 향토 음식이다. 차조와 꿩고기로 만들며 약용으로 쓰인다.[6]
차조, 돼지고기 | 제주도의 향토 음식으로, 차조와 돼지고기로 만든다.[7][8]
차조, 하늘타리 | 제주도의 향토 음식이다. 차조로 엿을 고다가 하늘타리(하늘애기)를 넣으면 약용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9]
차조, 마늘 | 제주도의 향토 음식으로, 차조와 마늘로 만든다.[10]
곶감 | 경상북도 상주의 향토 음식으로, 말린 (곶감)으로 만든다.
참깨, 호두, 생강, 대추 | 참깨, 호두, 생강을 넣고 나무판에 편 다음 대추를 드문드문 박아 만든 엿이다. 전통적으로 몸이 아픈 사람들의 보혈강장제로 사용되었다.


3. 2. 약용 엿


  • '''하늘애기엿''': 차조로 엿을 만들 때 하늘타리(하늘애기)를 넣어 만든 엿으로, 약용으로 쓰인다.[2][9] 제주특별자치도의 향토 음식이기도 하다.
  • '''약엿''': 참깨, 호두, 생강 등을 넣고 나무판에 편 다음 대추를 드문드문 박아 만든 엿이다. 전통적으로 몸이 아픈 사람들의 보혈강장제로 사용되었다.
  • '''닭엿'''과 '''꿩엿''': 제주특별자치도의 향토 음식으로, 봄철에 차조에 각각 닭고기꿩고기를 넣고 조려서 만든다. 약용으로 쓰인다.[5][6] 제주도에서는 돼지고기를 넣은 '''돼지고기엿'''[7][8]이나 마늘을 넣은 '''마늘엿'''[10]도 향토 음식으로 전해진다.

4. 문화적 의미

엿은 한국 문화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는데, 특히 "엿 먹어라"라는 표현은 욕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14][15] 이 표현의 유래는 1964년 중학교 입시 시험 문제 오류 사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또한, 엿의 모양 때문에 예로부터 남근의 완곡한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12]

4. 1. 부정적 의미: 욕설

"엿 먹어라"라는 욕설로도 쓰인다.[14][15] 이는 '나의 성기를 먹어라'와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영어의 'Fuck you'에 비견된다. 주로 가운뎃손가락을 함께 들어 보이는 행위와 같이 사용되며, '엿같은', '엿같이', '엿먹어' 등의 파생 표현도 존재한다. 한글 자모 '()'가 이 욕설을 나타내는 시각적 상징으로 쓰이기도 한다.

한편, 엿의 모양이 남근과 비슷하여 16세기 초부터 엿이 남근을 비유하는 완곡한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는 설명도 있다.[12]

4. 1. 1. 1964년 입시 문제 논란

한국어 표현 "엿 먹어라"는 오늘날 매우 모욕적인 의미를 가진 욕설로 사용되는데, 그 유래는 1964년 중학교 입시 시험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시험에는 "엿기름 대신 엿을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재료는 무엇인가?"라는 객관식 문제가 출제되었다. 출제자가 의도한 정답은 디아스타아제였으나, 보기 중 하나였던 무 즙 역시 엿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큰 논란이 일었다. 실제로 무즙을 답으로 선택한 수험생들이 많았고, 이 문제 하나로 당락이 뒤바뀌거나 성적이 크게 떨어진 학생들이 발생했다.

이에 분노한 학부모들은 직접 무즙으로 만든 엿을 들고 거리로 나와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정부 교육 당국 건물 앞에서 "엿 먹어라!"라고 외치며 시험 출제 오류와 당국의 미흡한 대처에 강하게 항의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엿 먹어라"는 표현은 부당함에 대한 항의와 분노를 담은 욕설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Yeot http://100.nate.com/[...]
[2] 웹사이트 Yeot http://enc.daum.net/[...]
[3] 웹사이트 Hwanggolyeot http://100.naver.com[...]
[4] 웹사이트 Kkaeyeot http://100.naver.com[...]
[5] 웹사이트 Dak yeot http://www.encyber.c[...]
[6] 웹사이트 Kkwong yeot http://www.encyber.c[...]
[7] 웹사이트 Port yeot http://www.storysear[...] 2009-03
[8] 웹사이트 Pork yeot http://koreanfood.rd[...] 2011-07-22
[9] 웹사이트 Haneultari http://www.encyber.c[...]
[10] 웹사이트 Garlic yeot http://www.encyber.c[...]
[11] 서적 Man and Language PJ Book 2005
[12] 웹사이트 EXPLAINING WHY THE KOREAN SOCCER TEAM WAS PELTED WITH TOFFEE CANDY http://noonchi.us/ar[...] 2014-07-07
[13] 웹사이트 Yeot http://100.nate.com/[...]
[14] 웹인용 청소년 95% 쓰는 이 욕설, 원뜻 알려주니···"몰랐어요" https://mnews.joins.[...]
[15] 웹사이트 wordreference https://www.wordref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