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기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기견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39년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등에서 관직을 지냈다. 그는 고려사절요 편찬에 참여하고 봉상시 판사를 역임했으며, 계유정난에 참여한 공로로 좌익원종공신에 녹선되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함안부원군에 추봉되었으나 중종반정 이후 추탈되었다. 그의 딸은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이다.
1439년 친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집현전 등에서 근무하였다. 고려사절요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관직은 봉상시 판사 등을 지냈다. 사후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고 함안부원군에 추봉되었으나, 중종반정 이후 관작이 추탈되었다.
윤기견의 선대는 본래 파평 윤씨(坡平 尹氏)로 윤신달과 윤관의 후손이었다.[1] 파평윤씨 시조 윤신달의 7대손이자 윤관의 증손인 윤위(尹威)는 고려 시대에 남원백(南原伯)에 봉해진 뒤 남원 윤씨(南原尹氏)로 분가하였다. 윤위의 손자 윤돈(尹敦)과 증손 윤희보(尹希輔) 대에 이르러 함안백에 봉해지면서 윤돈의 후손들은 함안 윤씨 (咸安 尹氏)로 다시 분가했다.
2. 생애
2. 1. 가계와 선조
윤기견의 출생 연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아버지는 통훈대부(通訓大夫) 교하현감(交河縣監)을 지내고 사후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된 윤응(尹應)이며, 어머니는 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을 지낸 권소(權紹)의 딸인 안동 권씨이다. 윤기견은 이들 사이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윤기견의 가계는 본래 파평 윤씨(坡平 尹氏)에서 시작되었으며, 시조인 윤신달과 여진 정벌로 유명한 윤관의 후손이다.[1] 파평 윤씨 시조 윤신달의 7대손이자 윤관의 증손인 윤위(尹威)는 고려 시대에 남원백(南原伯)에 봉해진 후 남원 윤씨(南原尹氏)로 분가하였다. 이후 윤위의 손자인 윤돈(尹敦)과 증손자인 윤희보(尹希輔)가 함안백에 봉해지면서, 윤돈의 후손들은 다시 함안 윤씨(咸安 尹氏)로 분가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윤기견의 증조부인 윤희(尹禧)는 윤희보의 장남으로, 고려 말에 정순대부(正順大夫)와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보문각 대제학 등의 높은 관직을 역임하며 가문의 명성을 높였다. 그의 아들이자 윤기견의 할아버지인 윤득룡(尹得龍)은 조선이 건국된 후 조정에 출사하여 자헌대부(資憲大夫)의 품계에 오르고 호조전서(戶曹典書)를 지냈다. 윤득룡은 3남 2녀를 두었는데, 그중 셋째 아들이 윤기견의 아버지인 윤응(尹應)이다.
2. 2. 과거 급제와 관료 생활
1439년(세종 21) 생원으로서 친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세종 말년에는 집현전 등에서 근무하며 김종서, 윤회, 박팽년, 신숙주, 유성원, 이극감 등과 함께 고려사절요 편찬에 참여하였다. 첫 부인은 양성이씨였으며, 사별 후 신숙주의 사촌 누이인 고령신씨와 재혼하였다. 이 후처 고령신씨의 딸이 훗날 성종의 계비가 되는 폐비 윤씨이다.
1450년(문종 즉위) 집현전 부수찬과 사경(司經)을 지냈다. 1452년(문종 2년)에는 집현전 부교리로서 춘추관 기주관, 지제교 및 경연 부검토관(知製敎經筵副檢討官)을 겸임하며 《세종실록》 편찬 작업에 참여하였다.
1453년(단종 즉위년) 계유정난에 참여한 공으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454년 초, 단종에게 불당 철거를 건의하다가 성삼문 등과 함께 좌천되기도 하였다. 세조 즉위 후 지군사(知郡事)로 재직하던 중 1455년 12월 27일, 좌익원종공신(原從功臣) 2등관에 책록되었다. 1456년(세조 2)에는 예천군수로 부임하였다. 이후 관직은 봉상시 판사에 이르렀다.
사후에는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고 함안부원군(咸安府院君)에 추봉되었으나, 중종반정 이후 관작이 추탈되었다.
2. 3. 사후
사후 경기도 양주군 별비면 화접리(현재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산58-4)에 안장되었다. 1473년(성종 4) 그의 딸이 숙의(淑儀)로 책봉되어 연산군을 낳자, 증직(贈職) 의정부 영의정으로 추증되고 함안군(咸安君)에 추봉되었다. 하지만 1479년(성종 11) 딸 폐비 윤씨가 폐위되어 사사되면서, 윤기견에게 내려졌던 증직과 작위 역시 모두 추탈되었다.
그 후 1494년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다시 관직이 복구되었고, 함안부원군(咸安府院君)으로 추봉되었다. 그러나 연산군이 중종반정으로 폐위되자 그의 증직된 벼슬과 작위, 시호 등은 다시 모두 추탈되었다.
아들 윤구(尹遘)는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냈으며, 윤구의 손녀는 효령대군의 5대손인 왕족 이량과 혼인하였다.
3. 가족 관계
윤기견의 증조부 윤희(尹禧)는 고려 말 정순대부(正順大夫)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및 보문각 대제학을 지냈으며, 할아버지 윤득룡(尹得龍)은 조선 조정에 출사하여 자헌대부(資憲大夫) 호조전서(戶曹典書)를 역임했다. 아버지 윤응(尹應)은 윤득룡의 셋째 아들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교하현감(交河縣監)을 지냈고 사후 증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어머니는 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 권소(權紹)의 딸인 안동 권씨이다.
중종 때의 왕족이자 권신인 이량은 그의 증손녀사위이다. 윤기견은 윤기무(尹起畝)로 기록되기도 한다.[2]
'''함안 윤씨(咸安 尹氏)'''
장남 : 윤우(尹遇)
* 손녀 : 윤씨(尹氏), 정진(鄭秦) 또는 정주(鄭奏)에게 출가
차남 : 윤해(尹邂)
삼남 : 윤후(尹逅)
장인 : 신평(申枰, 1390~1455, 사간원 정언)
장모 : 장흥 마씨(長興馬氏), 마천목의 딸
사남 : 윤구(尹遘, ? ~ 1513, 병조참판)
* 손자 : 윤지임(尹之任)
* 손자 : 윤지화(尹之和, 1476~1558)
* 손자 : 윤지청(尹之淸)
** 증손녀 : 함안 윤씨, 이량의 처
장녀 : 폐비 윤씨(廢妃 尹氏, 1455~1482)
사위 : 제9대 성종(成宗, 1457~1495, 재위 1469~1495)
* 외손 : 제10대 연산군(燕山君, 1476~1506, 재위 1494~1506)
* 사돈 : 덕종(德宗)
* 사돈 : 소혜왕후(昭惠王后)
참조
[1]
문서
윤신달에게는 14대손, 윤관에게는 10대손이 된다.
[2]
문서
무(畝)자가 실록 원문에는 ‘畎’와 ‘畝’자로 되어 있는데 《국조방목(國朝榜目)》에는 ‘畝’자로, 만성보(萬姓譜:사본)에는 ‘畝’로 되어 있고, 윤씨 후손들은 ‘畝’자라 말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