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량 (151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량은 1519년에 태어난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효령대군의 후손이다. 명종의 외척으로서 권력을 얻어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부정부패와 권력 남용으로 비판받았다. 과거 시험에서 부정 행위를 저질렀다는 의혹과 사림파 제거 시도로 인해 유배되었으며,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사후에는 복권되어 증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정 행위 - 신사헌
신사헌은 1520년에 태어난 조선 중기 문신으로, 뇌물로 과거에 급제한 혐의를 받았으며, 이량의 심복으로 활동하다가 이량 몰락과 함께 유배된 인물이다. - 부정 행위 - 찰스 잉그램
영국의 작가이자 전직 육군 소령인 찰스 잉그램은 《백만장자가 되고 싶어?》에서 부정행위로 100만 파운드의 상금을 획득한 혐의로 기소되어 논란이 되었고, 법정 공방 끝에 사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1563년 사망 - 에티엔 드 라 보에시
에티엔 드 라 보에시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작가, 외교관으로 미셸 드 몽테뉴와 교류했으며, 폭군의 권력 유지가 피지배자들의 자발적 복종에 기인한다는 내용을 담은 대표작 『자발적 예속론』을 통해 전제군주제와 폭정을 비판하고 시민 불복종과 비폭력 저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무정부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1563년 사망 - 호소카와 하루모토
호소카와 하루모토는 무로마치 시대 후기의 무장으로, 호소카와 씨 교초가의 당주이자 간레이를 지냈으며, 아버지 호소카와 스미모토의 뒤를 이어 호소카와 다카쿠니와의 대립에서 승리하여 권력을 잡았으나, 미요시 나가요시와의 권력 다툼에서 밀려 쇠퇴한 인물이다. - 을사사화 관련자 - 이황
이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발전시키고 영남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의 저서를 남기고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며, 만년에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다 문묘에 종사되었다. - 을사사화 관련자 - 윤임
윤임은 조선 중기 무신이자 정치가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나, 인종 즉위 후 윤원형과의 갈등 속에 을사사화로 유배되어 사사되었으며, 그의 생애는 당쟁 속 시대상을 보여주며 정치적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논란과 엇갈린 평가를 남긴다.
이량 (1519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량 |
자 | 공거 |
출생 | 1519년 |
사망 | 1583년 |
직업 | 조선의 문신, 정치가 |
출신지 | 경기도 장단군 |
가문 | |
본관 | 전주 이씨 |
아버지 | 이인 |
어머니 | 파평 윤씨 |
배우자 | 정경부인 동래 정씨 |
관력 | |
주요 관직 | 대사헌, 대사성, 예조판서, 형조판서, 병조판서, 지중추부사 |
2. 생애
이량은 전주 이씨 가문의 일원으로, 효령대군의 4대손이었다. 그의 누이 이씨 부인은 심강의 아내였으며, 그들의 딸 인순왕후는 조선 중종의 아들 경원대군(훗날 조선 명종)과 혼인하였다.
젊은 시절 충사룡의 사립 학원에서 공부했으며, 1546년 생원, 진사 시험에 합격하고 1552년 과거에 합격하여 사헌부에서 근무하였다.
1550년 윤원형 지지자들과의 긴장 속에서 조선 명종의 후원으로 빠르게 승진, 2년 만에 종2품 관료가 되었다. 그러나 1563년 재산 축적 문제로 관직에서 물러났으나, 윤원형의 개입으로 처벌이 감해졌다. 1583년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2. 1. 출생과 가계
1519년 효령대군의 4대손 전성군 이대와 동래 정씨 정종보(鄭宗輔)의 딸 사이에서 여섯째 아들로 경상남도 의령군 서간(西干)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동래정씨는 정창손의 증손녀였다. 그의 여동생 중 한 명은 심강에게 시집갔는데, 인순왕후와 심의겸, 심충겸 남매의 어머니가 된다. 따라서 이량은 인순왕후의 외숙부이자, 심의겸, 심충겸에게는 외종숙이 된다.- 5대조 : 효령대군
- 고조부 : 보성군 이합(1416년 - 1499년)
- 증조부 : 율원군 이종(1432년 - 1476년)
- 증조모 : 무안현부인 동래 정씨
- 할아버지 : 여양군 이자겸(? - ?)
- 할머니 : 대흥현부인 영광 신씨
- 아버지 : 전성군 이대(1488년 ∼ 1543년)
- 어머니 : 동래정씨, 내자시정 정종보의 딸
관계 | 이름 | 비고 |
---|---|---|
형 | 이즙(李楫) | 부윤 |
형 | 이백(李栢) | |
형 | 이건(李楗) | 1505년 ~ 1571년, 이조참판 |
형 | 이력 | |
형 | 이노(李櫓) | 수안군수 |
형 | 이박(李樸) | 공조참의 |
동생 | 이오(李梧) | 통훈대부 |
누이 | 완산부부인 전주 이씨 | |
매제 | 심강 | 명종의 국구(國舅) |
외조카 | 인순왕후 | |
외조카 | 심의겸 | |
외조카 | 심충겸 |
- 부인 : 함안윤씨, 생몰년 미상, 첨정 윤지청(尹之淸)의 딸, 폐비 윤씨의 종손녀
- * 아들 :이정빈 (1539년 8월 18일 ~ 1592년 9월 7일)
- * 며느리 : 청주한씨, 감찰 한수(韓洙)의 딸
- ** 손자 : 이충(李沖)
- ** 손자 : 이명(李溟)
- * 딸 : 이씨
- * 사위 : 김봉서(金鳳瑞, 군수, 본관은 광산, 헌납 의윤(懿胤)의 아들)
- * 아들 : 이세빈(李世賓, 요절)
- * 아들 : 이언빈(李彦賓, 무후)
- * 아들 : 이한빈(李漢賓, 무후)
- 부인 : 파평윤씨, 생몰년 미상, 윤지양(尹之讓)의 딸, 자녀 없음
- 첩 : 이름 미상
- * 서자 :
- 외할아버지 : 정종보(鄭宗輔)
- 사돈 : 심연원
- 사돈 : 심통원
2. 2. 수학과 과거 급제
1546년(명종 2)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였다.[1] 1551년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1] 1552년(명종 7) 식년문과에 갑과 장원으로 급제하였는데,[4] 이때 스승 정사룡이 고시관으로 참여하여[3] 미리 시험 문제인 전(箋)의 제목을 알려주어 오랫동안 글을 구상하게 해서 시험에 합격하게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논란이 일었다.[5]2. 3. 관료 생활
1558년 7월 왜국 사신의 행동을 제대로 감찰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사간원 관원들이 동시 사퇴할 때 대기하였으나, 명종의 특별 배려로 7월 15일 홍문관 수찬, 7월 27일 홍문관 교리가 되었다. 이후 홍문관 수찬, 교리, 10월 사헌부 지평 등의 삼사와 언관직을 주로 역임하였다. 명종의 총애를 받게 되자, 대소 문무관 중에 그의 심복을 자처하는 자들이 늘어났고, 환관 정번은 그에게 정보를 주고받으며 그의 심복이 되었다. 1558년 초 홍문관 교리, 사헌부 지평, 그해 12월 다시 병조정랑이 되었다. 한편 윤원형 세력을 견제하려던 심통원이 그와 결탁, 심통원 일파와 함께 박소립 등을 공격, 배척하였다.1559년 1월 9일 홍문관 부교리가 되었다가 1월 22일 다시 병조정랑이 되었다. 그러나 2월 홍문관으로 다시 옮겨 2월 6일 부응교가 되고 독서당 학사로 시사에 선발되었다가 3월 8일 다시 홍문관 응교, 5월 15일 홍문관 전한을 지냈다. 이후 문정왕후를 배경으로 하여 세력을 확대시킨 윤원형의 세력을 견제하려는 명종의 의지로 6월 23일 승지로 발탁되었다. 같은 날 승정원 동부승지로 발탁된 뒤, 부제학 등으로 요직에 임명되었으며, 바로 당상관으로 승진하였다.
명종은 그에게 승지직을 과거 급제 직후 초배하려고 하였으나 언론의 반대로 어렵게 여기다가, 집의, 사간, 부응교 이상을 지낸 자도 승지에 추천할 수 있도록 이조에 명해서 이량을 특별히 승지로 임명하였다. 사헌부와 사간원에서는 그의 성품이 어리석다는 이유로 계속 반대하였지만, 그때마다 명종은 그를 특별히 후원해주었다. 1559년 7월 24일 왕명으로 유전, 정윤희, 박순 등과 함께 중국의 고사를 그린 화족 4척을 선물로 받고, 여기에 십운 배율의 시제 4수를 그림 위에 지어 보냈다.
1550년 당시 더 많은 정부 권력을 잡으려던 윤원형 지지자들과의 긴장이 있었고, 명종의 후원으로 빠르게 승진했다. 그는 단 2년 만에 종2품 관료로 승진했다.
2. 3. 1. 외척 세력과의 관계
명종의 처외삼촌이자, 부계로는 12촌 형이었다.[1] 명종의 신임을 바탕으로 정유길(鄭惟吉), 고맹영(高孟英), 신사헌(申思憲), 신충헌(申忠憲), 김백균(金百鈞) 등과 함께 자신의 당여(黨與)를 만들고 세력을 확대하였다.[1] 사돈인 심통원(沈通源) 역시 그의 세력 급성장에 도움을 주었다.[1] 문정왕후를 배경으로 세력을 키운 윤원형(尹元衡)의 세력을 견제하려는 명종의 의지로 요직에 중용되기도 하였다.[1]그의 누이 이씨 부인은 심강의 아내였다. 그들의 딸 심씨 부인은 중종의 아들인 경원대군과 결혼했으며, 경원대군은 나중에 명종이 되었다.
2. 3. 2. 권력 남용과 탄핵
1560년 3월 20일 사간원 대사간에 올랐다. 1563년(명종 18) 이조판서 겸 제학 지제교가 되었다. 그러나 자신의 아들 이정빈이 이조전랑으로 천거되었으나 상피제에 의해 교체되었고, 그 후임으로 이정빈의 친구 유영길이 추천되었다. 그러나 기대승(奇大升), 허엽(許曄) 등이 이를 반대하자, 그는 허엽, 기대승, 이문형, 이산해, 박소립(朴素立), 윤두수, 윤근수(尹근壽) 등을 제거하려다가 사림파의 사주를 받은 기대승의 사촌 형인 홍문관부제학 기대항에게 역으로 공격당했다.[13] 그해 1월 27일 좌부빈객이 되었다. 7월 16일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바로 사직을 청하였지만 왕이 받아들이지 않았다.8월 사헌부대사헌 이감(李戡) 등을 사주하여 기대승, 허엽, 윤근수 등을 제거하려 하면서 8월 19일 홍문관 부제학 기대항에게 공격받고 삭탈관직되었다. 또한 그들과 가까웠던 자신의 외조카 심의겸(沈義謙)을 함께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돈령부영사 심강(沈鋼)과 심의겸 부자의 탄핵을 받고 삭탈관직되었으며, 8월 20일부터 계속된 삼사의 탄핵으로 평안북도 강계로 유배되었다.
2. 4. 유배와 죽음
1583년 유배지에서 사망했다.[8] 손자 이충(李沖)과 이명(李溟)의 영귀로 복권되어 증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다.3. 저서
- 《용사일기》
- 《문수지》
- 《사성강목》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
5대조 | 효령대군 | |||
고조부 | 보성군 이합 | 1416년 | 1499년 | |
증조부 | 율원군 이종 | 1432년 | 1476년 | |
증조모 | 무안현부인 동래 정씨 | |||
할아버지 | 여양군 이자겸 | ? | ? | |
할머니 | 대흥현부인 영광 신씨 | |||
아버지 | 전성군 이대 | 1488년 7월 21일 | 1543년 12월 29일 | |
어머니 | 동래 정씨 | 1489년 | 1557년 1월 9일 | 정종보(鄭宗輔)의 딸 |
형 | 이즙 | 1503년 | 1580년 2월 10일 | 부윤 |
형 | 이백 | 1504년 | ? | |
형 | 이건 | 1505년 | 1571년 | 이조참판 |
형 | 이력 | 1507년 | ? | |
형 | 이노 | 1509년 | 1566년 | 수안군수 |
누이 | 완산부부인 (전주 이씨) | 1512년 | 1559년 | 심강에게 출가 |
형 | 이박 | 1515년 | 1563년 9월 7일 | 공조참의 |
동생 | 이오 | 1520년 | ? | |
부인 | 함안 윤씨 | 1513년 | ? | 폐비 윤씨의 종손녀, 윤지청(尹之淸)의 딸 |
아들 | 이정빈 | 1539년 8월 8일 | 1592년 9월 7일 | [1] |
며느리 | 청주 한씨 | 1543년 | 1592년 11월 9일 | 한수(韓洙)의 딸 |
딸 | 전주 이씨 | 1544년 | ? | |
사위 | 광산 김씨 김봉서 | 1548년 | ? | 김의윤(金懿胤)의 아들 |
아들 | 이세빈 | 1551년 | 1573년 | |
아들 | 이언빈 | 1555년 | ? | |
아들 | 이한빈 | 1560년 | ? | |
부인 | 파평 윤씨 | 1512년 | ? | 윤지양(尹之讓)의 딸, 자녀 없음 |
첩 | 이름 미상 | |||
서자 | ||||
외할아버지 | 정종보(鄭宗輔) | |||
외조카 | 인순왕후 | 1532년 6월 27일 | 1575년 2월 12일 | |
외조카 | 심의겸 | 1535년 | 1587년 | |
외조카 | 심충겸 | |||
사돈 | 심강 | 1514년 | 1567년 | |
사돈 | 심연원 | |||
사돈 | 심통원 |
5. 평가 및 논란
이량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나뉜다. 긍정적으로는 그의 문장력과 학식이 높이 평가되며, 저서들은 당시 사회상과 역사 인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 진보 진영에서는 그를 당쟁의 희생양으로 보기도 한다. 반면, 이량은 명종의 총애를 바탕으로 권력을 남용하고 부정부패를 일삼았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아들 이정빈의 과거 시험 부정 의혹은 그의 도덕성에 대한 심각한 문제 제기를 낳았으며[13], 윤원형, 심통원과 함께 '삼흉'(三凶)으로 불릴 정도로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3]
5. 1. 긍정적 평가
이량은 뛰어난 문장력과 학식을 갖춘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저서 《용사일기》, 《문수지》, 《사성강목》 등은 당시의 사회상과 역사 인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는 이량을 당쟁의 희생양으로 보기도 하며, 그의 개혁적 성향과 문학적 업적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5. 2. 부정적 평가
이량은 명종의 총애를 바탕으로 권력을 남용하고 부정부패를 일삼아 비판을 받았다. 특히, 자신의 아들 이정빈을 과거에 부정하게 합격시키려 했다는 의혹은 그의 도덕성에 대한 심각한 문제 제기를 낳았다.[13] 축재에도 힘써 그의 집 앞은 시장과 같았다고 한다.[3] 윤원형, 심통원과 더불어 '삼흉'(三凶)으로 지칭될 정도로 당대에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5. 3. 과거 시험 관련 논란
1552년(명종 7) 이량의 스승 정사룡이 고시관으로 참여한 과거 시험에서, 정사룡이 시험 문제(전(箋))를 이량에게 미리 알려주어 합격하게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논란이 되었다.[5][15]1561년(명종 16) 4월 3일에는 이량이 고시관으로 참여한 강경 시험 합격자 중에 아들 이정빈이 있어 의혹을 받았다.
1563년(명종 18) 3월에는 이량이 과거 시험에 응시한 아들 이정빈의 답안을 대신 작성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4] 이 의혹에 따르면, 이량은 환관 정번(丁蕃)을 통해 미리 시험 문제를 입수하고, 아들의 답안을 대신 작성했다는 것이다.[14]
6. 기타
이량은 1519년 효령대군의 4대손 전성군 이대와 정종보의 딸 동래정씨의 여섯째 아들로 경상남도 의령군 서간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동래정씨는 정창손의 증손녀였다. 증조부는 율원군, 할아버지는 여양부정 자겸이었다.[1] 아버지 이대는 용강현령을 지냈지만, 이량과 그의 형제들의 출세로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여동생 중 한 명은 심강에게 시집갔는데, 이들은 인순왕후와 심의겸, 심충겸 남매의 부모이다.
어려서 정사룡의 문하에서 공부했으며, 1546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했다. 이후 음보로 벼슬길에 올라 현신교위를 지냈다. 1551년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하던 중, 사간원과 사헌부에서 불교 양종 혁파를 주장하다 거절당하자 성균관 강학을 거부하기도 했으나, 명종의 설득으로 이틀 만에 복귀했다.
6. 1. 명종과의 관계
명종의 처외삼촌이자, 명종은 그에게 처외조카가 된다. 그러나 부계로는 12촌 형이 된다. 명종은 태종-세종대왕-세조-의경세자-성종-중종-명종이고, 이량은 효령대군-보성군-율원군-여양군-전성군-이량으로 이어진다.그의 누이 이씨 부인은 심강의 아내였다. 그들의 딸 심씨 부인은 중종의 아들인 경원대군과 결혼했으며, 경원대군은 나중에 명종이 되었다.
참조
[1]
문서
사후 그의 출세로 여양군으로 추봉되었다.
[2]
웹인용
이량: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
https://web.archive.[...]
2011-05-15
[3]
웹인용
이량: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2
https://web.archive.[...]
2011-05-15
[4]
웹인용
이량
https://archive.toda[...]
2018-09-03
[5]
명종실록
근정전에서 정시를 보여 생원 이양이 수석을 차지했으나 물의가 생기다
1551-10-13
[6]
웹사이트
http://enc.daum.net/[...]
[7]
명종실록
1559-01-09
[8]
명종실록
1560-09-10
[9]
명종실록
1560-10-18
[10]
명종실록
임꺽정과 한온을 다치지 않게 묶어오도록 전교하다
1561-09-07
[11]
명종실록
1562-01-21
[12]
명종실록
1562-11-04
[13]
문서
기대항은 한때 그의 측근이었다.
[14]
명종실록
1563-03-03
[15]
명종실록
근정전에서 정시를 보여 생원 이양이 수석을 차지했으나 물의가 생기다
1551-10-13
[16]
명종실록
1557-05-22
[17]
명종실록
1562-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