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부신경 포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부신경 포착은 음부신경이 압박되어 성기, 항문 부위의 무감각, 요실금, 변실금, 샅 부위 작열통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자전거 선수에게 'cyclist syndrome'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서 있거나 누워 있을 때 완화되는 특징이 있다. 음부신경은 엉치신경얼기에서 유래하며, 골반 내에서 주행하다가 여러 가지로 분지된다. 진단은 특이적인 검사가 없어, 낭트 기준을 활용하며, 음부신경 마취, 초음파, MR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치료는 행동 수정, 물리치료, 약물, 신경 차단술, 수술적 감압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음부신경 포착 | |
---|---|
일반 정보 | |
동의어 | 알콕관 증후군 |
진료과 | 신경과 |
임상 정보 | |
증상 | 알려지지 않음 |
합병증 | 알려지지 않음 |
발병 시기 | 알려지지 않음 |
지속 기간 | 알려지지 않음 |
유형 | 알려지지 않음 |
원인 | |
원인 | 알려지지 않음 |
위험 요인 | 알려지지 않음 |
진단 | |
진단 방법 | 알려지지 않음 |
감별 진단 | 알려지지 않음 |
예방 및 치료 | |
예방 | 알려지지 않음 |
치료 | 알려지지 않음 |
약물 | 알려지지 않음 |
예후 | 알려지지 않음 |
역학 | |
빈도 | 알려지지 않음 |
사망자 | 알려지지 않음 |
2. 증상
음부신경 포착에 대한 특이적인 임상적 징후나 보완적 검사는 없다.[53][9]
성기와 항문 부위의 무감각, 변실금, 요실금 등이 일어날 수 있다.[54][55][56][10][11][12] 또한 샅이나 성기 부위에 작열통을 느낄 수도 있다.[67][23]
남성 자전거 경기 선수들 사이에서는 종종 'cyclist syndrome'으로 불린다.[47][4] 선수들은 긴 시간 동안의 자전거 탑승 이후 드물게 음경과 음낭의 재발성 무감각이나 사정 시 감각 이상, 배뇨 시 불편함과 배변 인지 감소 등의 증상을 겪는다.[57][58][13][14] 성기 무감각으로 대표되는 음부신경 포착은 자전거 경기와 연관된 가장 흔한 비뇨생식계 장애이다.[59][15]
통증이 만약 존재한다면 자세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는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일어나고 서 있거나 누워 있을 때, 변기에 앉아 있을 때는 완화된다.[60][16] 샅 부위의 통증이 자세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진다면 음부신경 포착을 의심해 볼 수 있다.[61][17] UCLA의 마취과 의사인 John S. McDonald는 앉아 있을 때 생긴 통증이 서 있거나 변기에 앉아 있을 때 완화되는 것이 진단적으로 가장 믿을 수 있는 척도라고 보고했다.[62][18]
한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review) 연구는 음부신경통이 지속성 성기 흥분 장애, 발기부전, 조루, 유발성 전정염 같은 여러 성기능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63][19] 또한 다른 사이클링과 연관된 성기능 장애에 대한 연구는 사이클링이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의 테스토스테론 신호를 방해하여 성기능 장애를 간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64][20]
2. 1. 일반적인 증상
음부신경 포착에 대한 특이적인 임상적 징후나 보완적 검사는 없다.[53][9]성기와 항문 부위의 무감각, 변실금, 요실금 등이 일어날 수 있다.[54][55][56][10][11][12] 또한 샅이나 성기 부위에 작열통을 느낄 수도 있다.[67][23]
남성 자전거 경기 선수들 사이에서는 종종 'cyclist syndrome'으로 불린다.[47][4] 선수들은 긴 시간 동안의 자전거 탑승 이후 드물게 음경과 음낭의 재발성 무감각이나 사정 시 감각 이상, 배뇨 시 불편함과 배변 인지 감소 등의 증상을 겪는다.[57][58][13][14] 성기 무감각으로 대표되는 음부신경 포착은 자전거 경기와 연관된 가장 흔한 비뇨생식계 장애이다.[59][15]
통증이 만약 존재한다면 자세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는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일어나고 서 있거나 누워 있을 때, 변기에 앉아 있을 때는 완화된다.[60][16] 샅 부위의 통증이 자세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진다면 음부신경 포착을 의심해 볼 수 있다.[61][17] UCLA의 마취과 의사인 John S. McDonald는 앉아 있을 때 생긴 통증이 서 있거나 변기에 앉아 있을 때 완화되는 것이 진단적으로 가장 믿을 수 있는 척도라고 보고했다.[62][18]
한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review) 연구는 음부신경통이 지속성 성기 흥분 장애, 발기부전, 조루, 유발성 전정염 같은 여러 성기능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63][19] 또한 다른 사이클링과 연관된 성기능 장애에 대한 연구는 사이클링이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의 테스토스테론 신호를 방해하여 성기능 장애를 간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64][20]
2. 2. 자세와 관련된 통증
음부신경 포착은 특정한 임상적 징후나 보완적 검사로 확인하기 어렵다.[53] 성기와 항문 부위의 무감각, 변실금, 요실금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54][55][56] 샅이나 성기 부위에 작열통이 발생할 수도 있다.[67]통증은 자세에 따라 정도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앉아 있을 때 심해지고 서 있거나 누워 있을 때, 변기에 앉아 있을 때는 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60] 샅 부위 통증이 자세에 따라 달라진다면 음부신경 포착을 의심해 볼 수 있다.[61] UCLA 마취과 의사 John S. McDonald는 앉아 있을 때 발생했다가 서 있거나 변기에 앉으면 완화되는 통증이 진단에 가장 신뢰할 만한 척도라고 보고했다.[62]
남성 자전거 경기 선수들에게는 'cyclist syndrome'으로 불리기도 한다.[47] 선수들은 장시간 자전거를 탄 후 드물게 음경과 음낭의 재발성 무감각, 사정 시 감각 이상, 배뇨 시 불편함, 배변 인지 감소 등의 증상을 겪는다.[57][58] 성기 무감각으로 대표되는 음부신경 포착은 자전거 경기와 관련된 가장 흔한 비뇨생식계 장애이다.[59] 한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에서는 음부신경통이 지속성 성기 흥분 장애, 발기부전, 조루, 유발성 전정염 등 여러 성기능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63] 다른 사이클링 관련 성기능 장애 연구에서는 사이클링이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의 테스토스테론 신호를 방해하여 성기능 장애를 간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64]
2. 3. 사이클리스트 증후군
음부신경 포착은 특이적인 임상적 징후나 보완적 검사는 없다.[53]성기와 항문 부위의 무감각, 변실금, 요실금 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54][55][56] 샅이나 성기 부위에 작열통을 느낄 수도 있다.[67]
남성 자전거 경기 선수들에게는 'cyclist syndrome'으로 불리기도 한다.[47] 선수들은 장시간 자전거를 탄 이후 음경과 음낭의 재발성 무감각이나 사정 시 감각 이상, 배뇨 시 불편함과 배변 인지 감소 등의 증상을 겪는 경우가 드물게 있는데,[57][58] 성기 무감각으로 대표되는 음부신경 포착은 자전거 경기와 연관된 가장 흔한 비뇨생식계 장애이다.[59]
통증은 자세에 따라 정도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앉아 있을 때 통증이 발생하고 서 있거나 누워 있을 때, 변기에 앉아 있을 때는 완화된다.[60] 샅 부위의 통증이 자세에 따라 달라진다면 음부신경 포착을 의심할 수 있다.[61] UCLA의 마취과 의사인 John S. McDonald는 앉아 있을 때 생긴 통증이 서 있거나 변기에 앉아 있을 때 완화되는 것이 진단적으로 가장 믿을 수 있는 척도라고 보고했다.[62]
한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review) 연구는 음부신경통이 지속성 성기 흥분 장애, 발기부전, 조루, 유발성 전정염 같은 여러 성기능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63] 또한 다른 사이클링과 연관된 성기능 장애에 대한 연구는 사이클링이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의 테스토스테론 신호를 방해하여 성기능 장애를 간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64]
3. 해부학
음부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정보를 모두 전달하며, 엉치신경얼기의 척수신경 S2-S4에서 유래한다.[50][65] 골반 내에서는 궁둥구멍근과 꼬리근을 따라 주행하며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을 빠져나간다.[70] 그 후 작은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안으로 다시 들어온 음부신경은 아래곧창자신경, 샅신경, (남성에서) 음경등신경 또는 (여성에서) 음핵등신경, 총 세 개의 가지로 나뉜다.[70] 이 세 가지들은 음부신경의 종말가지이며, 이들의 위치상 손상되기 쉽다.
음부신경 포착은 신경이 포착된 위치에 따라 궁둥구멍근 아래에서 포착된 경우, 엉치가시인대와 엉치결절인대 사이에서 포착된 경우(가장 흔함), 음부신경관에서 포착된 경우, 종말가지가 포착된 경우의 총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70] 음부신경과 엉치결절인대 사이의 직접적인 기능적 관계에 대한 근거는 없지만, 많은 임상적 연구들은 엉치결절인대를 음부신경 포착의 잠재적인 원인으로 지목했다.[66] 궁둥뼈가시 높이 주변에서, 음부신경은 엉치결절인대(뒤쪽)와 엉치가시인대(앞쪽) 사이로 주행한다. 이 때문에 두 인대들에 의해 음부신경이 눌릴 수 있다.[67]
3. 1. 주행 경로
음부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정보를 모두 전달하며, 엉치신경얼기의 척수신경 S2-S4에서 유래한다.[50][65] 골반 내에서는 궁둥구멍근과 꼬리근을 따라 주행하며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을 빠져나간다.[70] 그 후 작은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안으로 다시 들어온다.[70]음부신경은 아래곧창자신경, 샅신경, (남성에서) 음경등신경 또는 (여성에서) 음핵등신경 총 세 개의 가지로 나뉜다.[70] 이 세 가지들은 음부신경의 종말가지이며, 이들의 위치상 손상되기 쉽다.
음부신경 포착은 신경이 포착된 위치에 따라 궁둥구멍근 아래, 엉치가시인대와 엉치결절인대 사이(가장 흔함), 음부신경관 안, 종말가지 포착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70] 음부신경과 엉치결절인대 사이의 직접적인 기능적 관계에 대한 근거는 없지만, 많은 임상적 연구들은 엉치결절인대를 음부신경 포착의 잠재적인 원인으로 지목했다.[66] 궁둥뼈가시 높이 주변에서, 음부신경은 엉치결절인대(뒤쪽)와 엉치가시인대(앞쪽) 사이로 주행하여 두 인대들에 의해 눌릴 수 있다.[67]
3. 2. 포착 부위
음부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정보를 모두 전달하며, 엉치신경얼기의 척수신경 S2-S4에서 유래한다.[50][65] 골반 내에서는 궁둥구멍근과 꼬리근을 따라 주행하며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을 빠져나간다.[70] 그 후 작은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안으로 다시 들어온다.[70]음부신경 포착은 신경이 포착된 위치에 따라 나눌 수 있다.
많은 임상적 연구들은 엉치결절인대를 음부신경 포착의 잠재적인 원인으로 지목했다.[66] 궁둥뼈가시 높이 주변에서, 음부신경은 엉치결절인대(뒤쪽)와 엉치가시인대(앞쪽) 사이로 주행하므로 두 인대들에 의해 음부신경이 눌릴 수 있다.[67]
4. 원인
음부신경 포착은 성기나 항문 부위 수술로 인한 흉터, 골반 부위 수술 시의 사고, 골반의 외상, 임신, 분만, 사이클링, 해부학적 기형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68][24]
질을 통한 분만은 분만 시 산도가 펴지면서 음부신경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평균보다 큰 아기를 분만 시 손상 가능성이 증가한다.[65][21] 음부신경이 골반 부위에 있기 때문에 제왕절개와 같이 골반 부위와 관련된 수술도 신경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65][21]
음부신경이 장시간 압박 또는 신장되면서 사이클링 선수들에서 음부신경 포착이 나타날 수 있다.[69][25] 특히 부적절한 모양을 했거나 잘못 놓여진 자전거 안장을 사용하는 경우, 고강도의 장시간 자전거 타기는 엉치결절인대나 엉치가시인대를 두껍게 만들어 그 사이를 지나가는 신경이 포착되고, 결국 음부신경 포착을 일으킬 수 있다.
해부학적 기형은 음부신경이 다른 해부학적 구조와 섞이거나, 엉치결절인대와 엉치가시인대에 포착되게 만들어 음부신경 포착의 원인이 될 수 있다.[24]
4. 1. 주요 원인
음부신경 포착은 성기나 항문 부위 수술로 인한 흉터, 골반 부위 수술 시의 사고, 골반의 외상, 임신, 분만, 사이클링, 해부학적 기형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68][24]질을 통한 분만은 분만 시 산도가 펴지면서 음부신경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평균보다 큰 아기를 분만 시 손상 가능성이 증가한다.[65][21] 음부신경이 골반 부위에 있기 때문에 제왕절개와 같이 골반 부위와 관련된 수술도 신경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65][21]
음부신경이 장시간 압박 또는 신장되면서 사이클링 선수들에서 음부신경 포착이 나타날 수 있다.[69][25] 특히 부적절한 모양을 했거나 잘못 놓여진 자전거 안장을 사용하는 경우, 고강도의 장시간 자전거 타기는 엉치결절인대나 엉치가시인대를 두껍게 만들어 그 사이를 지나가는 신경이 포착되고, 결국 음부신경 포착을 일으킬 수 있다.
해부학적 기형은 음부신경이 다른 해부학적 구조와 섞이거나, 엉치결절인대와 엉치가시인대에 포착되게 만들어 음부신경 포착의 원인이 될 수 있다.[24]
5. 병태 생리
음부신경에 지속적인 압박과 만성적인 견인 손상이 가해지면 음부신경의 정상적인 미세 혈관이 파괴되어 일련의 생리적 변화가 유발된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는 혈관-신경 장벽의 파괴, 부종 및 결합 조직 변화, 확산성 탈수초화, 왈러 변성 순으로 진행된다.[26][27][28] 급성에서는 혈액 공급 손상으로 인한 대사 차단이 음부신경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한다. 만성에서는 신경무름증 및 축삭 절단(선더랜드 1형 및 2형) 손상이 양성 증상(예: 통증 및 감각 이상)과 음성 증상(감각 상실)을 유발한다.[26][27][28]
6. 진단
Labat 등은 이 질환에 대한 특이적인 임상적 징후나 보완적 검사는 없다고 기술했다.[53][9] Kaur 등은 음부신경 포착 환자에서 특이적이고 일관된 방사선 영상상의 근거는 나타나지 않았단 걸 보였다.[70][29]
음부신경 포착이 의심될 때 시행하는 진단적 검사들은 다음과 같다.
- 음부신경 마취 이후 통증이 줄어든다면 음부신경이 통증의 원인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70][29] 이런 진단적인 마취는 분만 중 척수마취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65][21]
- 온도 변화 감지가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정량적 감각역치 검사.
- 음부신경 압박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고주파 초음파 검사.
- 신경 압박의 결과로 나타나는 정맥 압박을 탐지하기 위한 도플러 초음파 검사.[70][29]
- 곧창자나 질 검사와 연관되어 시행하는 침습적인 진단 검사인 음부신경 말단운동근 잠복기 측정법.[75][35]
진단은 주로 영상의학적인 방법보다는 신경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MRI나 CT 스캔은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70][29]
티넬 징후와 비슷하게 궁둥뼈가시(좌골극)를 촉진하면 통증이 생길 수 있다. 그와는 반대로 일반적으로 궁둥뼈가시 근처에 행해지는 진단적인 음부신경 마취는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통증이 덜 느껴진다고 생각하게 만들 수 있다.[53][9] 음부신경 마취로 인한 통증 완화의 작용 시간은 사람마다 다르다는 사실이 중요하다.[71][30]
MR 신경조영술을 사용한 영상의학 연구들은 유용할 수 있다. 음부신경관에서 한쪽 음부신경 포착이 발생한 사람들에서, 음부 신경혈관다발에서 비대칭적인 종창과 고음영이 발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72][31]
6. 1. 진단 기준 (Nantes 기준)
음부신경 포착은 진단하기 어려우며, 진단을 명확히 확정할 수 있는 특이적인 검사가 없다. Roger Robert는 의사들이 음부신경 포착을 진단하기 쉽도록 '낭트 기준(Nantes criteria)'을 상정했다.[70] 이 기준은 질환에 포함되는 특징, 질환을 배제할 수 있는 특징, 질환 진단을 보완하는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다.[70] 일각에서는 낭트 기준에서 오류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가이드라인을 권장하지 않는다.[75]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다.[70]
- 통증이 해부학적으로 음부신경과 연관됨[70]
- 통증이 앉은 자세에서 주로 느껴짐[70]
- 통증으로 인해 밤에 자던 중 깨어나게 되진 않음[70]
- 감각 기능은 온전함[70]
- 음부신경 마취 진단 검사로 인해 통증이 경감됨[70]
배제 기준은 다음과 같다.[70]
보완 기준은 다음과 같다.[70]
- 만졌을 때 극도의 민감성을 보이는 신경통[70]
- 작열통이나 쑤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짐[70]
- 배변 이후 통증[70]
Indraccolo 등에 의한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는 만성 골반-항문 주변 부위 통증을 겪는 여성들에서 음부신경 포착에 의한 음부신경통과 음부신경 포착 없이 발생한 음부신경통을 분석했다. 연구는 음부신경 포착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음부신경통을 진단하는 데에 낭트의 기준을 최적의 기준으로 분류했다.[73] 이 때문에 연구자들은 음부신경 포착 치료의 효능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에 낭트 기준이 유용할 수 있다고 추가적으로 주장했다.
6. 1. 1. 포함 기준
음부신경 포착은 진단하기 어려우며, 진단을 명확히 확정할 수 있는 특이적인 검사가 없다. Roger Robert는 의사들이 음부신경 포착을 진단하기 쉽도록 '낭트 기준(Nantes criteria)'을 상정했다.[70] 이 기준은 질환에 포함되는 특징, 질환을 배제할 수 있는 특징, 질환 진단을 보완하는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다.[70] 일각에서는 낭트 기준에서 오류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가이드라인을 권장하지 않는다.[75]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다.[70]
- 통증이 해부학적으로 음부신경과 연관됨
- 통증이 앉은 자세에서 주로 느껴짐
- 통증으로 인해 밤에 자던 중 깨어나게 되진 않음
- 감각 기능은 온전함
- 음부신경 마취 진단 검사로 인해 통증이 경감됨
Indraccolo 등에 의한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는 만성 골반-항문 주변 부위 통증을 겪는 여성들에서 음부신경 포착에 의한 음부신경통과 음부신경 포착 없이 발생한 음부신경통을 분석했다. 연구는 음부신경 포착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음부신경통을 진단하는 데에 낭트의 기준을 최적의 기준으로 분류했다.[73] 이 때문에 연구자들은 음부신경 포착 치료의 효능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에 낭트 기준이 유용할 수 있다고 추가적으로 주장했다.
6. 1. 2. 배제 기준
- 배제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영상 촬영 결과[70]
- 편측 통증[70]
- 비정상적인 진단 검사 결과[70]
- 통증이 급성임[70]
- 통증의 원인을 식별하는 영상 검사 결과[29]
- 통증이 전적으로 발작성인 경우(짧은 발작으로 나타났다 사라졌다 함)[29]
- 가려움증은 피부 병변을 시사합니다.[29]
- 음부신경이 지배하는 부위가 아닌 통증[29]
6. 1. 3. 보완 기준
- 만졌을 때 극도의 민감성을 보이는 신경통[70]
- 작열통이나 쑤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짐[70]
- 배변 이후 통증[70]
- 직장 또는 질 내 이물감[29]
- 직장 또는 질 검사 중 좌골극 주변 압통[29]
- 비정상적인 신경생리학적 검사[29]
6. 2. 진단 검사
Labat 등은 음부신경 포착에 대한 특이적인 임상적 징후나 보완적 검사는 없다고 기술했다.[53][9] Kaur 등은 음부신경 포착 환자에서 특이적이고 일관된 방사선 영상상의 근거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보였다.[70][29]음부신경 포착이 의심될 때 시행하는 진단적 검사로는 음부신경 마취가 있으며, 마취 이후 통증이 줄어든다면 음부신경이 통증의 원인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70][29] 온도 변화 감지가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정량적 감각역치 검사도 진단에 사용된다. 고주파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음부신경 압박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통해 신경 압박으로 인한 정맥 압박을 탐지할 수 있다.[70][29] 음부신경 말단운동근 잠복기 측정법은 곧창자나 질 검사와 연관되어 시행하는 침습적인 진단 검사이다.[75][35]
진단은 주로 영상의학적인 방법보다는 신경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MRI나 CT 스캔은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70][29]
티넬 징후와 비슷하게 궁둥뼈가시(좌골극)를 촉진하면 통증이 생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궁둥뼈가시 근처에 행해지는 진단적인 음부신경 마취는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통증이 덜 느껴진다고 생각하게 만들 수 있다.[53][9] 음부신경 마취로 인한 통증 완화의 작용 시간은 사람마다 다르다.[71][30]
MR 신경조영술을 사용한 영상의학 연구들은 유용할 수 있다. 음부신경관에서 한쪽 음부신경 포착이 발생한 사람들에서, 음부 신경혈관다발에서 비대칭적인 종창과 고음영이 발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72][31]
6. 3. 감별 진단
감별 진단은 음부신경 포착보다 훨씬 흔한 질환인 만성 전립샘염/만성 골반통증 증후군(비세균성 전립샘염)과 간질성 방광염을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한다.[60][16] 음부신경 포착과 비슷한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에는 종양으로 인한 압박, 남성에서의 전립샘염, 여성의 자궁 내 질환,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얕은 피부 감염, 음부신경과 같은 부위에 발생한 기타 신경병증이 있다.[70][29]7. 치료
치료법에는 행동 수정, 물리치료, 진통제나 다른 약물 처방, 음부신경 마취, 수술적인 신경감압술 등이 있다.[51] 새로운 치료 방식에는 펄스용 고주파가 있다.[74] 대부분의 치료는 통증과 같은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한다. 만일 이런 표준적인 치료로 통증이 관리되지 않는다면 수술이 고려된다.[54]
7. 1. 보존적 치료
신경 보호(nerve protection)는 음부신경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게 유지하기 위한 자가 치료의 일종이다. 골반 부위의 통증을 심화시킬 수 있는 모든 활동을 피하는 것이 포함된다.[70][29] 중앙 부분이 사라진 좌석 쿠션은 통증을 완화하고 나아가 예방하는 데에 쓰일 수 있다.[75][35] 예방, 치료 전략에 대한 2021년의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는 바른 자세를 유지하라고 예방 차원에서 들은 사이클링 선수들은 질환이 더 중증의 장애로 발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는 걸 발견했다.[76][36] 사이클링 시 더 넓은 자전거 안장을 쓰는 것은 신경 손상을 예방할 수 있으나, 장기적인 이득이 있는지 보이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근거가 필수적이다.[69][25]골반 부위의 근육과 신경을 움직이는 것은 음부신경 포착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증상을 치료하는 데에 권장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예시는 신경가동술(neural mobilization)이다. 신경가동술의 목표는 하지와 관련된 다양한 운동을 통해 신경과 근육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음부신경을 특히 목표로 하는 운동은 신경의 해부학적인 주행 경로를 바탕으로 정해진다. 그러나 이 치료를 뒷받침하는 근거는 제한적이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77][37]
골반 부위에서 음부신경 포착의 또 다른 가능한 치료법은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이다. 치료 계획은 다양한 종류의 스트레칭 운동을 통해 음부신경을 특별히 다루기 위해 물리치료사가 정한다. 강화 운동 또한 포착에 의한 지나친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추천되지만, 이런 치료 방식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제한적이다.[77][37]
음부신경통과 관련된 신경성 동통에는 수많은 치료용 약물이 있다. 사용되는 약물에는 가바펜틴 같은 항뇌전증제[74], 아미트리프틸린과 같은 항우울제[60], 팔미토일에탄올아미드[78] 등이 있다. 종종 약물력이나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약물들을 동시에 사용하기도 한다.[75]
여러 인체공학적인 장치들이 앉은 동안 신경이 눌리지 않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사이클링 중 신경 눌림을 줄이기 위해 권장되는 방법에는 수형으로 놓인 부드럽고 넓은 자전거 안장을 사용하는 것과, 자전거 핸들을 안장보다 낮게 두는 것이 있다.[50] 음부신경이 눌리는 걸 막기 위해 디자인된 자전거 안장도 있는데, 이 안장은 보통 중간에 좁은 통로가 파여 있다. 다른 권장되는 방법에는 푹신한 자전거용 반바지 입기, 주기적으로 쉬기, 고단 기어로 변속하기 등이 있다. 딱딱한 곳에 앉는다면 쿠션이나 꼬리뼈 쿠션을 써 신경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7. 2. 중재적 치료
음부신경통과 관련된 신경성 동통에는 수많은 치료용 약물이 있다. 사용되는 약물에는 항뇌전증제인 가바펜틴[74][34], 항우울제인 아미트리프틸린[60][16], 팔미토일에탄올아미드[78][38] 등이 있다. 종종 약물력이나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약물들을 동시에 사용하기도 한다.[75][35]
음부신경과 연관된 통증을 판별하고 경감시키는 한 방법은 CT를 통한 신경 차단술이다.[79][39] 이 차단술을 시행하는 동안에는 작용 시간이 긴 국소 마취제(염산 부피바카인)과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예: 메틸프레드니솔론)를 주사하여 즉시 음부신경을 마취한다.[60][16] 마취제는 질이나 복막을 통해, 또는 곧창자 주변 등 다양한 해부학적 위치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이 주사를 통한 통증 완화는 일반적으로 빠르게 작용한다. 음부신경 마취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주사 부위의 자극이다.[71][30] 이 마취를 통한 만성 통증 이완은 스테로이드 약물을 통한 염증 감소와 신경 주변 부위에서 염증을 줄여 음부신경에 가해지는 부담을 덜어주는 '스테로이드 유도 지방 괴사'에 의해 일어난다. 이 치료는 증상의 73%까지 경감시킬 수 있다.[60][16] 음부신경 마취를 통한 포착 치료는 국소 마취와 관련된 불편함이나 주요 구조물들을 손상시킬 위험성 때문에 종종 처방되지 않기도 한다.[71][30]
펄스용 고주파(pulsed radiofrequency, PRF)는 음부신경 주변 주사 대신 사용할 수 있다.[75][35] 최근 들어 이 치료법은 만성 통증 관리에 흔히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장기적인 이득과 적은 문제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80][40] 펄스용 고주파는 또한 난치성인 음부신경통 치료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지만, 펄스용 고주파가 음부신경 포착 치료에 정말 효율적인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74][34] 음부신경 자극(pudendal nerve stimulation, PNS)은 음부신경통 환자들에서 환자들이 느끼는 통증 수준을 크게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 음부신경 자극을 받은 다수의 사람들은 치료 이후 2주 간 통증 겸감 수준이 상당했으며 놀라웠다고 보고했다.[81][41]
7. 3. 수술적 치료
음부신경 감압 수술은 수술을 집도하는 외과 의사들에 따르면 "최후의 수단"이다.[17][61] 이는 매우 논란이 많은데, 정상 카데바에서도 음부신경이 포착되거나 붙어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52]음부신경 포착 이론 지지자들에 따르면, 다른 모든 치료를 시행한 후에도 심각한 증상이 남아 있을 때 수술이 이루어진다. 또한, 음부신경 포착 진단을 확인하는 또 다른 선택지로써 수술을 진행할 수도 있다.[75][35] 수술은 제한된 국가들에서 몇몇 소수 외과의에 의해서만 수행된다. 감압 수술의 치료 효과나 골반 부위 통증의 원인으로 포착이 작용하는지는 논쟁이 많다.[82][83][42][43] 몇몇 의사들은 감압 수술을 처방할 수 있으나, 다수는 그러지 않을 것이다. 2003년 2월 유럽 비뇨기학회에서 낸 '골반 통증 가이드라인'[84]에 따르면 유럽의 전문적인 센터들에서 음부신경 포착의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수술적인 성공도 드물었다.
유럽 비뇨기학회/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영어는 골반 통증 가이드라인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통증이 한쪽에만 있고, 작열통으로 나타나며, 궁둥뼈가시에서의 곧창자 촉진에 의해 통증이 심해지며 촉진한 쪽 음부신경 운동근 잠복기 연장 등이 있을 때 음부신경의 신경병증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런 사례는 샅 부위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적은 부분만을 차지한다. 진단의 증명은 음부신경관에서 음부신경의 감압으로 인한 통증 완화에 의존하며, 증명 자체도 드물다. 임상 신경생리학적인 조사의 가치에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유럽의 몇몇 센터들에서는 조사가 굉장한 민감도를 가진다고 주장하지만, 골반바닥의 신경생리학에 대해 특화된 연구를 하는 다른 센터들에서는 조사에 대한 그 어떤 사례도 판별하지 못했다.
음부신경 감압 수술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다른 접근법들이 있다. 접근 가능한 영역들에는 superior transgluteal, superior retrosciatic, inferior retrosciatic, medial transgluteal, inferior transgluteal, transischial 영역 등이 있다.[48][5] 볼기를 통한 진입(transgluteal entry)은 궁둥구멍근 아래쪽에서 음부신경에 행하는 신경박리술과 엉치가시인대 절단을 포함한다. 진입할 수 있는 또 다른 포인트는 아래곧창자신경을 통해 음부신경관으로 따라 들어가는 것인데, 이는 'perineal para-anal pathway'라고 한다.[54][10]
신경 손상이 발견되었을 경우 다른 수술적인 선택지에는 신경절제술이나 신경조절술 등이 있다.[54][10]
8. 역사
참조
[1]
논문
Alcock canal syndrome due to obturator internus muscle fibrosis
2010-09
[2]
논문
Laparoscopic management of endopelvic etiologies of pudendal pain in 134 consecutive patients
2009-04
[3]
논문
"[Update in pudendal nerve entrapment syndrome: an approach anatomic-surgical, diagnostic and therapeutic]"
2010-06
[4]
논문
Pudendal nerve entrapment in an Ironman athlete: a case report
2010-12
[5]
논문
Diagnosis and treatment of pudendal nerve entrapment syndrome subtypes: imaging, injections, and minimal access surgery
2009-02
[6]
논문
Management of pudendal neuralgia
2014-12
[7]
논문
Pudendal neuralgia. Fact or fiction?
2009-03
[8]
논문
Anatomic variations of pudendal nerve within pelvis and pudendal canal: clinical applications
2015-11
[9]
논문
Diagnostic criteria for pudendal neuralgia by pudendal nerve entrapment (Nantes criteria)
[10]
논문
Voiding Dysfunction Associated with Pudendal Nerve Entrapment
2012-12
[11]
논문
Pudendal nerve decompression in perineology: a case series
2004-10
[12]
논문
Role of pudendal canal syndrome in the etiology of fecal incontinence in rectal prolapse
[13]
논문
Bicycling induced pudendal nerve pressure neuropathy
[14]
논문
The Alcock syndrome: temporary penile insensitivity due to compression of the pudendal nerve within the Alcock canal
1994-02
[15]
논문
The vicious cycling: bicycling related urogenital disorders
2005-03
[16]
논문
Chronic Perineal Pain Caused by Pudendal Nerve Entrapment: Anatomy and CT-Guided Perineural Injection Technique
2003-08
[17]
논문
"[The pudendal nerve: clinical and therapeutic morphogenesis, anatomy, and physiopathology]"
2009-10
[18]
논문
Changing paradigms for chronic pelvic pain: a report from the chronic pelvic pain/chronic prostatitis scientific workshop, october 19-21, 2005, Baltimore, MD
[19]
논문
Sexual dysfunction due to pudendal neuralgia: a systematic review
2021-06
[20]
논문
Cycling-Related Sexual Dysfunction in Men and Women: A Review
2014-10
[21]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07-30
[22]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morphology and function of the sacrotuberous ligament
2019-04
[23]
논문
Anorectal and perineal pain: new pathophysiological hypothesis
2004-08
[24]
논문
Sacrospinous colpopexy: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udendal nerve entrapment
1996-10
[25]
논문
Les lanternes rouges: the race for information about cycling-related female sexual dysfunction
2014-08
[26]
논문
Anatomy, function, and pathophysiology of peripheral nerves and nerve compression
1996-05
[27]
논문
Pathophysiology of nerve compression
2002-05
[28]
논문
Pathoanatomy and pathophysiology of nerve root compression
1984
[29]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07-29
[30]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07-28
[31]
논문
Magnetic resonance neurography and diffusion tensor imaging: origins, history, and clinical impact of the first 50,000 cases with an assessment of efficacy and utility in a prospective 5000-patient study group
2009-10
[32]
서적
The ASCRS Textbook of Colon and Rectal Surgery
Springer Nature
2021-11-20
[33]
논문
Estimate of the proportion of uncertain diagnoses of pudendal neuralgia in women with chronic pelvic-perineal pain: A systematic review with a descriptive data synthesis
2020-03
[34]
논문
Successful treatment of refractory pudendal neuralgia with pulsed radiofrequency
http://www.painphysi[...]
[35]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07-29
[36]
논문
Diagnosis, Rehabilitation and Preventive Strategies for Pudendal Neuropathy in Cyclists, A Systematic Review
2021-05
[37]
논문
Nerve Entrapment in the Hip Region: Current Concepts Review
2017-12
[38]
논문
Misdiagnosed chronic pelvic pain: pudendal neuralgia responding to a novel use of palmitoylethanolamide
2010-05
[39]
논문
CT-guided Perineural Injections for Chronic Pelvic Pain
2016-09-01
[40]
논문
Pulsed radiofrequency for chronic pain
2008-01
[41]
논문
Benefits and Harms of Electrical Neuromodulation for Chronic Pelvic Pain: A Systematic Review
https://discovery.uc[...]
2020-05
[42]
웹사이트
Pudendal Nerve Entrapment
http://www.med.nyu.e[...]
NYU Medical Center
2010-12-14
[43]
논문
Outcomes for peripheral nerve entrapment syndromes
http://www.cns.org/p[...]
[44]
논문
"[A new canal syndrome: compression of the pudendal nerve in Alcock's canal or perinal paralysis of cyclists]"
1987-03
[45]
논문
Alcock canal syndrome due to obturator internus muscle fibrosis
https://archive.org/[...]
2010-09
[46]
논문
"[Update in pudendal nerve entrapment syndrome: an approach anatomic-surgical, diagnostic and therapeutic]"
2010-06
[47]
논문
Pudendal nerve entrapment in an Ironman athlete: a case report
https://archive.org/[...]
2010-12
[48]
논문
Diagnosis and treatment of pudendal nerve entrapment syndrome subtypes: imaging, injections, and minimal access surgery
2009-02
[49]
논문
Laparoscopic management of endopelvic etiologies of pudendal pain in 134 consecutive patients
2009-04
[50]
논문
Management of pudendal neuralgia
2014-12
[51]
논문
Pudendal neuralgia. Fact or fiction?
2009-03
[52]
논문
Anatomic variations of pudendal nerve within pelvis and pudendal canal: clinical applications
2015-11
[53]
논문
Diagnostic criteria for pudendal neuralgia by pudendal nerve entrapment (Nantes criteria)
[54]
논문
Voiding Dysfunction Associated with Pudendal Nerve Entrapment
2012-12
[55]
논문
Pudendal nerve decompression in perineology: a case series
2004-10
[56]
논문
Role of pudendal canal syndrome in the etiology of fecal incontinence in rectal prolapse
[57]
논문
Bicycling induced pudendal nerve pressure neuropathy
[58]
논문
The Alcock syndrome: temporary penile insensitivity due to compression of the pudendal nerve within the Alcock canal
1994-02
[59]
논문
The vicious cycling: bicycling related urogenital disorders
2005-03
[60]
논문
Chronic Perineal Pain Caused by Pudendal Nerve Entrapment: Anatomy and CT-Guided Perineural Injection Technique
2003-08
[61]
논문
"[The pudendal nerve: clinical and therapeutic morphogenesis, anatomy, and physiopathology]"
2009-10
[62]
논문
Changing paradigms for chronic pelvic pain: a report from the chronic pelvic pain/chronic prostatitis scientific workshop, october 19-21, 2005, Baltimore, MD
[63]
논문
Sexual dysfunction due to pudendal neuralgia: a systematic review
2021-06
[64]
논문
Cycling-Related Sexual Dysfunction in Men and Women: A Review
2014-10
[65]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07-30
[66]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morphology and function of the sacrotuberous ligament
2019-04
[67]
논문
Anorectal and perineal pain: new pathophysiological hypothesis
2004-08
[68]
논문
Sacrospinous colpopexy: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udendal nerve entrapment
1996-10
[69]
논문
Les lanternes rouges: the race for information about cycling-related female sexual dysfunction
2014-08
[70]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07-29
[71]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07-28
[72]
저널
Magnetic resonance neurography and diffusion tensor imaging: origins, history, and clinical impact of the first 50,000 cases with an assessment of efficacy and utility in a prospective 5000-patient study group
2009-10
[73]
저널
Estimate of the proportion of uncertain diagnoses of pudendal neuralgia in women with chronic pelvic-perineal pain: A systematic review with a descriptive data synthesis
2020-03
[74]
저널
Successful treatment of refractory pudendal neuralgia with pulsed radiofrequency
http://www.painphysi[...]
[75]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07-29
[76]
저널
Diagnosis, Rehabilitation and Preventive Strategies for Pudendal Neuropathy in Cyclists, A Systematic Review
2021-05
[77]
저널
Nerve Entrapment in the Hip Region: Current Concepts Review
2017-12
[78]
저널
Misdiagnosed chronic pelvic pain: pudendal neuralgia responding to a novel use of palmitoylethanolamide
2010-05
[79]
저널
CT-guided Perineural Injections for Chronic Pelvic Pain
2016-09-01
[80]
저널
Pulsed radiofrequency for chronic pain
2008-01
[81]
저널
Benefits and Harms of Electrical Neuromodulation for Chronic Pelvic Pain: A Systematic Review
https://discovery.uc[...]
2020-05
[82]
웹인용
Pudendal Nerve Entrapment
http://www.med.nyu.e[...]
NYU Medical Center
2010-12-14
[83]
저널
Outcomes for peripheral nerve entrapment syndromes
http://www.cns.org/p[...]
2022-02-26
[84]
저널
Guidelines on chronic pelvic pain.
https://uroweb.org/w[...]
2010-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