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빈 권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빈 권씨는 조선 태종의 후궁으로, 정의궁주를 거쳐 의빈에 봉해졌다. 1384년에 태어나 안동 권씨 가문 출신으로, 태종의 후궁이 된 후 정혜옹주를 낳았다. 원경왕후의 반대로 가례는 취소되었으나, 정의궁주로 봉해지고 딸을 낳았다. 세종 때 의빈으로 승격되었으나, 태종 사후 삭발하고 승려가 되어 불교에 귀의했다. 세종의 아들 금성대군을 양육했으며, 1453년 늙고 병들어 혜빈 양씨의 처소로 옮겨졌고, 1457년 의빈궁이 영수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84년 출생 - 윤번
    조선 세조의 장인인 윤번은 파평 윤씨 가문 출신으로, 그의 딸 정희왕후는 덕종과 예종을 낳아 조선 왕실과 깊은 관계를 맺었으며, 그의 가족은 조선 왕조의 권력 구조와 정치적 상황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1384년 출생 - 할릴 술탄 이븐 미란 샤
    할릴 술탄은 티무르 제국의 통치자였으며, 티무르의 손자로서 티무르 사후 사마르칸드를 장악했으나 샤 루흐와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사망했다.
  • 조선 태종 - 길재
    길재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자이자 문신으로, 삼은 중 한 명이며 성리학적 학문을 실천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으나 조선 건국 후 관직을 거절하며 사림파 학통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야은집』 저술 및 청백리에 선정되었다.
  • 조선 태종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 조선의 후궁 - 숙의 나씨 (중종)
    조선 중종의 후궁인 숙의 나씨는 나주 나씨로,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26세에 출산 중 사망하여 경빈 박씨와의 관계 속에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그녀의 묘는 이천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조선의 후궁 - 숙의 방씨
    숙의 방씨는 철종의 후궁으로 두 딸을 낳았으나 모두 요절하였고, 사후 조귀인의 예에 따라 장례를 치렀으며 묘는 서삼릉 후궁 묘역으로 이장, 해당 묘역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드라마에서 묘사되기도 했다.
의빈 권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의빈 권씨
한자 표기懿嬪 權氏
다른 이름권궁주(權宮主)
가문안동 권씨
출생일1384년
사망일미상
배우자태종
자녀정혜옹주
아버지권홍
어머니경주 이씨
작위조선 태종의 후궁

2. 생애

1384년(우왕 10년) 안동 권씨 권홍(權弘)과 경주 이씨(慶州 李氏)의 딸로 태어났다. 증조모는 조인규의 손녀이며, 어머니는 이제현의 증손녀이다.

1402년(태종 2년), 태종은 후궁 제도를 법제화하여 권씨를 첫 번째 후궁으로 맞이하였다.[2] 원경왕후의 투기가 심했던 태종은 역대 제왕들의 비빈과 빈첩 제도를 참고하여 새로운 간택 후궁을 맞이하기로 결정하고,[3] 사대부가 출신인 권씨를 왕비나 세자빈에 준하는 가례를 준비하게 하였다.[2] 그러나 원경왕후가 이를 알고 식음을 전폐하고 통곡하자 가례는 취소되었다.[4] 태종은 권씨를 '''정의궁주'''(貞懿宮主)로 봉하고, 대궐 북쪽에 권씨를 위한 연못과 누각을 지어주었다.[5] 이후 권씨는 태종의 총애를 받아 외동딸 정혜옹주를 낳았다. 1409년(태종 9년),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이자 공녀 출신인 현인비 권씨가 정의궁주에게 백은 100냥을 내리자 상의원에서 이를 보관하였다.[6]

1422년(세종 4년) 2월, 세종태종의 병수발을 든 공을 생각하여 정의궁주 권씨를 정1품 '''의빈'''(懿嬪)으로 승격시켰다.[7] 같은 해 5월 태종이 죽자 비관하여 세종에게 알리지 않고 머리를 깎아 중이 되었으며, 밤낮으로 불경을 외우며 태종의 명복을 빌었다. 이에 다른 후궁들도 의빈 권씨를 따라 하였다.[8] 1424년(세종 6년), 정혜옹주가 죽자 박종우가 다시 부인을 맞이하도록 세종이 허락하였다.[9] 한편, 의빈을 비롯한 태종의 후궁들이 머리를 깎고 비구니가 되어 불사를 행하자 정인지 등이 상소를 올려 의빈 등이 원래대로 머리를 기르도록 청하기도 했다.[10]

1453년(단종 1년), 의빈은 늙고 병들어 질병가(궁인이나 나인이 병들면 죽을 때까지 옮겨 두던 대궐 밖의 집)로 거처를 옮겼다. 금성대군은 의빈이 자신의 사저에 머물도록 여러 차례 청했지만 왕이 허락하지 않았다.[11][1] 금성대군은 의빈을 혜빈 양씨의 처소로 옮겼다. 세조가 혜빈 양씨와 금성대군을 처형한 이후, 권씨에 대한 행적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1457년(세조 3년), 예조의 주청에 의해 의빈궁(懿嬪宮)의 칭호는 없어지고 선왕의 후궁들이 거처하는 자수궁과 수성궁의 예에 따라 영수궁(寧壽宮)으로 고쳐졌다.[12]

2. 1. 출생과 가계

1384년(우왕 10년), 성균관 악정 권홍(權弘)과 그의 아내 경주 이씨(慶州 李氏) 사이에서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부계는 고려 말 권문세족과 혼인관계를 맺어 큰 세력을 형성한 안동 권씨 집안의 후손으로, 증조모 조씨는 조인규의 손녀이며, 어머니 이씨는 고려의 성리학자인 이제현의 증손녀이다.

2. 2. 입궁과 후궁 책봉

1402년(태종 2년) 태종은 후궁 제도를 법제화하여 권씨를 첫 번째 후궁으로 맞이하였다.[2] 태종은 원경왕후의 투기가 심한 것을 비판하며, 역대 제왕들의 비빈과 빈첩 제도를 참고하여 새로운 간택 후궁을 맞이하기로 결정하였다.[3]

태종은 사대부가 출신인 권씨를 후궁으로 맞이하면서 왕비나 세자빈에 준하는 가례를 준비하게 하였으나,[2] 원경왕후가 이를 알고 식음을 전폐하고 통곡하자 가례를 취소하였다.[4]

태종은 권씨를 '''정의궁주'''(貞懿宮主)로 봉하고, 대궐 북쪽에 권씨를 위한 연못을 파고 누각을 지어주었다.[5] 이후 권씨는 태종의 승은을 입어 외동딸 정혜옹주를 낳았다.

1409년(태종 9년),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이자 공녀 출신인 현인비 권씨가 정의궁주에게 백은 100냥을 내리자 상의원에서 이를 보관하였다.[6]

2. 3. 불교 귀의와 금성대군 양육

1422년(세종 4년) 2월, 세종은 아버지 태종의 병수발을 든 공을 생각하여 정의궁주 권씨를 정1품 '''의빈'''(懿嬪)으로 승격시켰다.[7] 같은 해 5월에 태종이 죽자 비관하여 세종에게 알리지 않고 머리를 깎아 중이 되었으며, 밤낮으로 불경을 외우며 태종의 명복을 빌었다. 이에 다른 후궁들도 의빈 권씨를 따라하는 일이 벌어졌다.[8]

 

:懿嬪權氏와 信寧宮主辛氏가 不啓于王하고

:削髮爲尼라

:後宮이 爭先削髮하고 備佛供具하여

:朝夕行佛事하니 上雖禁之나 不能止라

 |align=center|《세종실록》 16권,
세종 4년(1422년 명 영락(永樂) 20년) 5월 20일 (병자)중국어

1424년(세종 6년), 딸인 정혜옹주가 죽자 사위인 박종우가 다시 부인을 맞이하도록 세종이 허락하였다.[9] 한편, 의빈을 비롯한 태종의 후궁들이 머리를 깎고 비구니가 되어 불사를 행하자 정인지 등이 상소를 올려 의빈 등이 원래대로 머리를 기르도록 청하기도 했다.[10]

2. 4. 최후

1453년(단종 1년)에 의빈은 늙고 병들어 질병가(궁인이나 나인이 병들면 죽을 때까지 옮겨 두던 대궐 밖의 집)로 거처를 옮겼다. 금성대군이 자신의 사저에 의빈이 머물 수 있도록 여러 차례에 걸쳐 청했지만 왕이 허락하지 않았다.[11][1]

錦城大君 李瑜 啓|금성대군 이유 계중국어

臣 於懿嬪處長養 恩甚重 年今七十 居宮中 未便|신 어의빈처장양 은심중 연금칠십 거궁중 미편중국어

臣 非駙馬例 願命出臣家 平安奉養|신 비부마례 원명출신가 평안봉양중국어

《端宗實錄》 6卷, 端宗 1年 6月 26日|《단종실록》 6권, 단종 1년 6월 26일중국어

금성대군은 의빈을 혜빈 양씨의 처소로 옮겨 지내게 하였다. 혜빈 양씨와 금성대군이 세조에 의해 처형된 이후, 권씨에 대한 행적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1457년(세조 3년), 예조의 주청에 의해 의빈궁(懿嬪宮)의 칭호를 없애고 선왕의 후궁들이 거처하는 자수궁과 수성궁의 예에 따라 영수궁(寧壽宮)으로 고쳤다.[12]

3. 가족 관계

할아버지는 權鈞|권균중국어(?~1401), 할머니는 낙안 김씨(樂安 金氏)이다. 아버지는 권홍(權弘, 1360~1446)[13], 어머니는 경주 이씨(慶州 李氏, ?~1442)이다. 외할아버지는 이학림(李學林), 외할머니는 오중경(吳仲卿)의 딸 오씨(吳氏, 본관 미상)이다.

태종(1367~1422)과 혼인하여 정혜옹주(?~1424)를 낳았으며, 사위는 운성군(雲城君) 박종우(?~1464)이다.

참조

[1] 실록 금성대군 이유가 의빈을 자신의 집으로 나가 봉양하기를 청하다 1453-06-26
[2] 서적 조선 공주의 사생활 북성재
[3] 실록 예조에 역대 왕조의 빈첩의 제도를 상고하게 하다 1402-01-08
[4] 실록 성균 악정 권홍의 딸을 별궁으로 맞아들이다 1402-03-07
[5] 실록 정의궁주를 위해 대궐 북쪽에 누각과 연못을 마련하다 1402-08-13
[6] 실록 현인비가 정의궁주에게 내린 백은 1백 냥을 상의원에서 보관토록 하다 1409-10-21
[7] 실록 정의궁주를 의빈으로, 신녕옹주를 궁주로 삼다 1422-02-20
[8] 실록 의빈 권씨 등이 비구니가 되다 1422-05-20
[9] 실록 졸한 운성 부원군 박종우의 아내가 자신을 첩으로 논한 것이 억울하다고 아뢰다 1474-02-01
[10] 실록 지중추원사 정인지 등이 불교를 숭상하는 것에 대한 우려와 실망을 상소하다 1441-12-09
[11] 실록 금성대군 이유가 의빈의 거처하는 곳을 옮기기를 청하다 1453-05-03
[12] 실록 예조가 태종대왕의 후궁의 의빈궁을 영수궁으로 고칠 것을 아뢰다 1457-05-22
[13] 실록 영돈녕부사 권홍의 졸기 1446-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