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생활의 균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과 생활의 균형은 개인이 일과 개인 생활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의미하며, 1956년 Dubin의 연구를 기점으로 논의가 시작되었다. 1970년대 후반 Work-Life Balance 개념이 등장했고, 1986년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과 생활의 불균형은 성별, 근무 시간, 가족 특성과 같은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일-가족 간의 갈등, 스트레스, 심리적 긴장,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로 이어진다.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해서는 경제적 조건, 가정 환경, 인간관계, 사회적 분위기, 조직 문화, 업무 특성, 개인의 노력 등이 중요하며, 경계 이론, 분할 이론, 보상 이론, 역할 증진 이론, 파급 효과, 직무 풍요 모델 등 다양한 이론으로 설명된다. 조직과 관리자는 가족 친화적 자원 제공, 관리자 지원 등을 통해 일-가정 갈등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다양성 측면에서 성적 소수자, 종교적 신념 등도 일과 생활의 균형에 영향을 미친다. 국가별로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정책과 제도가 다르며, 미국은 가족 중심 정책에서, 유럽 연합은 가족 친화적인 정책을 장려하며,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도 워라밸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직장 (장소) - 고용 차별
고용 차별은 인종, 성별, 장애, 종교 등을 이유로 동일 자격자를 다르게 대우하는 것으로, 노동 시장의 불평등을 야기하며, 다양한 증거와 이론으로 설명되고, 정부와 고용주는 차별 해소를 위해 노력하며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 직장 (장소) - 폭력 및 괴롭힘 협약
폭력 및 괴롭힘 협약은 국제노동기구(ILO)의 협약으로, 직장 내 폭력과 괴롭힘을 근절하고 피해자 보호 및 권리 구제 수단을 마련하여 폭력과 괴롭힘 없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21년 6월 25일 발효되어 2024년 현재 39개국이 비준하였다. - 시간 관리 - 인내
인내는 심리학, 인지 신경과학, 종교,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과학적으로는 보상 선택의 의사결정 과정이며 종교적으로는 다양한 미덕으로, 철학적으로는 기다림의 어려움으로 다뤄지며 고통을 참는 것을 넘어 긍정적 수용, 공감, 자기 수양과 영적 성장 과정으로 이해된다. - 시간 관리 - 일정
일정은 시간과 순서를 정하여 일이나 과정이 계획된 대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목표 달성, 프로젝트 관리, 컴퓨팅, 통신, 운영 과학, 교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원 배분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 산업의학 - 산업용 로봇
산업용 로봇은 자동 제어 기술을 활용하여 제조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하는 기계이며,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추고 용접, 도장, 조립 등 다양한 작업에 활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428만 대가 가동 중이고 안전 규제가 중요하다. - 산업의학 - 감전
감전은 전류가 인체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으로, 다양한 요인에 따라 위험성이 달라지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예방을 위해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지만, 의료적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윤리적 논란의 여지도 있다.
일과 생활의 균형 | |
---|---|
개요 | |
정의 | 일과 개인 생활 간의 적절한 균형 상태 |
중요성 | 개인의 행복 증진, 스트레스 감소, 생산성 향상, 삶의 질 향상 |
관련 용어 | 일-가정 양립 유연 근무제 시간 관리 워라밸 (Work-Life Balance) |
영향 요인 | |
개인적 요인 | 가치관 성격 생활 방식 기술 |
직업적 요인 | 업무량 업무 강도 직장 문화 고용 안정성 |
사회적 요인 | 가족 관계 사회적 지원 문화적 가치 경제 상황 |
관련 연구 | |
연구 동향 |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일과 삶의 균형이 개인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 연구 다양한 직업 및 산업 분야에서의 일과 삶의 균형 연구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주요 연구 분야 | 일-가정 갈등 (Work-Family Conflict) 일-가정 촉진 (Work-Family Enrichment) 경계 이론 (Boundary Theory) 자원 보존 이론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전략 | |
개인적 전략 | 시간 관리 기술 향상 우선순위 설정 위임 자기 관리 (건강, 수면, 휴식) 취미 및 여가 활동 |
조직적 전략 | 유연 근무제 도입 재택근무 활성화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강화 직장 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운영 일과 삶의 균형을 지원하는 기업 문화 조성 |
참고 자료 | |
관련 서적 | Greenhaus, J. H., & Allen, T. D. (2011). Work–family balance: A review and extension of the literature. In J. C. Quick & L. E. Tetrick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nd ed., pp. 165–183).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Jones, F., Burke, R. J., & Westman, M. (2013). Work-Life Balanc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Taylor & Francis. Friedman, S. D., Saunders, E. G., & Bregman, P. (2019). HBR Guide to Work-Life Balance.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
관련 연구 논문 | Chan, X. W., & Field, J. C. (2018). Contemporary Knowledge Workers and the Boundaryless Work–Life Interface: Implications for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Knowledge Workforce. Frontiers in Psychology, 9, 2414. Wong, K., Chan, A. H. S., & Teh, P.-L. (2020). How Is Work–Life Balance Arrangement Associated with Organisational Performance?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12), 4446. Fan, Y., Potočnik, K., & Chaudhry, S. (2021). A process‐oriented, multilevel, multidimensional conceptual framework of work–life balance support: A multidisciplinar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23(4), 486–515. |
관련 웹사이트 | 일본 내각부 - 일과 생활의 조화 |
추가 정보 | |
긍정적 영향 | 높은 행복감 (Lyubomirsky, King, & Diener, 2005) 경력 성공 (Boehm & Lyubomirsky, 2008; Walsh, Boehm, & Lyubomirsky, 2018) |
2. 배경
일과 생활의 균형에 대한 논의는 1950년대 더빈(Dubin)의 자기중심성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더빈은 산업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응답자의 90%가 일이 아닌 곳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고 응답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81] 이는 자기중심이 일보다는 개인 생활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직장 생활 불균형과 연관된 특성으로는 성별, 근무 시간, 가족 특성 이 세 가지가 있다.[93]
개인의 경제적 조건은 출퇴근 이동 거리를 줄이거나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데 영향을 준다. 경제적 조건은 가정을 전제로 하며, 경제적 수단을 통해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과 생활의 균형에 중요한 조건으로 작용한다.[97]
일과 생활의 갈등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사회적 규범과 기업의 '완벽한 근로자'에 대한 인식은 워킹맘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6]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보다 회사의 워라밸 지원 노력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108] 남성의 경제적 역할이 약화되고 여성의 경제적 역할이 강화되면서, 일부 가정에서는 남성 지배 구조가 약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109] 일하는 부모들은 직장과 가정에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이는 높은 유연성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이어진다.
경계 이론과 경계선 이론은 연구자들이 일과 삶 사이의 역할 갈등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해 온 두 가지 기본적인 이론이다. 정보 통신 기술(ICT)의 발전으로 언제 어디서든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일과 삶의 영역은 더 많이 혼합되고 경계가 모호해졌다.[2][5]
일-가족 갈등은 한 역할의 참여가 다른 역할의 참여를 방해하는 역할 간 갈등으로 정의된다.[6] Greenhaus와 Beutell (1985)은 일과 가족 간의 갈등에 대해 세 가지 원인을 제시하였다.
일-가정 풍요화 또는 일-가정 촉진은 긍정적인 파급 효과의 한 형태로, 한 영역에서의 참여가 다른 영역에서의 성과 또는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및/또는 자원을 확립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24] 예를 들어, 직무 참여를 통해 가족 역할에 대한 참여가 더 쉬워진다.[25]
연구는 조직과 관리자가 일-가정 갈등(WFC)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직장에서 제공하는 가족 친화적 자원은 WFC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조직의 일반적인 지원은 직원이 일과 가정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기 때문에 WFC를 감소시킨다.[29] 또한, 일-가정 특정 지원은 일-가정 갈등과 더 강한 부정적 연결을 가진다. 가족 친화적인 조직 문화는 관리자 지원 및 동료 지원을 통해 WFC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30]
기업 정책에서 가족 지침과 합의 사항을 이행할 때 성별에 관한 다양성은 종종 간과된다. 이러한 정책들을 수립할 때 성적 소수자들은 종종 간과되는데,[123] 결과적으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LGBT) 배경을 가진 부부나 개인으로 구성된, 예전과는 다른 가정의 요구는 충족되지 않는다. 국제적인 수준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성적 오명과 편견이 존재하며, 일련의 정황적, 사회적 요인들이 성 소수 근로자들에게 주어지는 관심 부족을 나타낸다.[124] 그 결과, 이들 직원은 배제, 무시 및 격리될 수 있으며, 이는 일과 생활의 균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25]
미국은 출산 휴가, 병가 지급, 모유수유 지원 등과 같은 가족 중심 직장 정책에서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뒤처져 있다.[133] 하버드 대학과 토론토 대학 연구원들의 연구에 따르면, 더 많은 나라들이 수백만 명의 미국인들이 꿈꿀 수 있는 직장 보호를 제공하고 있다.[133] 미국은 주당 근로시간의 최대 기간을 정하는 법이 없으며, 매주 근로자가 근무해야 하는 시간 외 근무량에도 제한을 두지 않는다.[135]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는 가장 높은 수준의 출산수당을 가지고 있는데, 스웨덴은 68주, 노르웨이는 56주, 덴마크는 52주의 유급 출산휴가를 제공한다.[135]
[1]
서적
Work–family balance: A review and extension of the literatur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2년 국제 노동계 컨퍼런스에서 도입된 노동환경의 질(QWL) 개념은 근로자의 만족도를 기업의 이윤과 연결 짓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83] 미국의 자동차 노조와 제너럴모터스가 노동 혁신을 위해 처음으로 QWL 프로그램을 도입하면서 QWL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QWL은 근로자의 보상, 직업 안정성, 성장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근로자의 만족감을 지원하고 증대시키는 우호적인 노동 및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초석이 되었다.[86]
1970년대 후반 영국에서 워크-라이프 밸런스(Work-Life Balance) 개념이 등장하고, 1986년에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87] EU에서는 근로자를 위한 여러 사회정책 발달을 시도해왔는데, 특히 영국은 ‘가족친화(family-friendly)’ 정책과 사회보장정책을 도입하여 관련 법률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정비해 나가고 있다. 미국의 경우, 기업이 우수한 여성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탁아소 설치, 휴직 제도, 경제 지원 등의 노력을 주도적으로 해나가고 있다.[88]
대한민국에서는 2004년 주 5일 근무제 시행 이후 개인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과 생활의 균형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 베이비 붐 세대가 물러나고, 일보다 개인의 삶을 중시하는 X, Y세대가 새롭게 조직 구성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91] 또한,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경제활동 참여 증가로 인해 결혼과 출산, 육아 문제는 국가와 기업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었다.[92] 대한민국 정부는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 지원법, 고용보험법 등을 통해 모성보호 정책과 일-가정양립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89]
최근에는 일 중독(워커홀릭) 상태가 되어 우울증을 비롯한 정신 질환을 앓거나, 과로사나 자살에 이르는 등 비극을 낳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65] 장시간 노동은 심신 건강을 해치는 것 외에도 가정이나 지역과의 조화를 깨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양립하기 위해서는 일과 생활의 균형을 잡는 것이 필요하다.[38]
3. 일과 생활의 불균형
성별 차이는 역할 정체성에 대한 뚜렷한 인식으로 인해 일과 생활 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남성들은 가족을 위해 재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반면 여성들은 가정 생활을 우선시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94]
"근무조건의 변화, 시간외 근무 또는 야근"으로 인한 장시간 근무는 일과 가족 업무 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95]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은 "일과 가족 간의 혼선과 가족과 일 사이에 대한 혼선과는 분명히 연관이 있지만 교차 교차 도메인 만족도와는 관련이 없다" 이는 주관적인 만족도의 결과일 수 있다. 장시간 근무는 개인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장시간 근무는 가족의 의무에 영향을 미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 행동에 수반되는 재정적인 이득은 가족의 의무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한다.
가족 특성에는 미혼 고용주, 기혼자 또는 동거하는 고용주, 부모 동업 회사, 그리고 맞벌이 부모가 포함된다. 직장 생활 경험이 있는 부모들은 그들의 가족 의무나 요구 때문에 가족 만족도가 감소하였다.[96] 이는 그들이 가족의 의무를 다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직장인 부모들은 가족 지향적인 활동을 중요시한다. 따라서, 장시간 근무는 가족의 의무를 충족시키기 위한 능력을 감소시키고, 그 대신에 가족 만족도를 감소시킨다. 결혼한 부부나 맞벌이 부부에게는 "가정에서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더 높은 수입과 더 높은 공감과 지원을 통해 감정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자원"인 것 같다.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는 이런 요인들 외에도, 많은 사람들은 그들이 높은 사회적 인식을 즐기기 때문에 원치 않는 직업 스트레스에 노출된다. 이러한 측면은 또한 삶의 영역에서의 불균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기타 직업활동은 예를 들어 가정 및 정원작업에 대한 기여, 가족 구성원의 유지 및 지원이나 자원 봉사활동과 같은 미지급 노동력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모든 것들이 만성적인 시간 부족에 대한 인식에 기여한다. 납입 시간은 개인의 연령, 가구 내 아동의 연령과 수, 혼인 여부, 직업 및 고용 수준과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압력을 유발한다. 시간의 강한 압력은 심리적 긴장을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심리적 긴장감은 또한 일의 복잡성, 책임의 증가, 장기 실존 보호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언급된 스트레스는 장기적으로 되돌릴 수 없는 신체적 마모 징후와 인간의 심혈관 및 면역 체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과 생활의 균형이 무너짐으로써 일어나는 비극의 급증은 국민(노동자)에게 일상생활과 미래에 대한 큰 불안감을 안겨주며, 오히려 사회의 활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38]。더욱이, 바쁘고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없게 되면서 출산율 저하, 저출산으로 이어져 인구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고도 생각되고 있다.[38][66]
최근에는 일 때문에 다른 사생활의 많은 부분을 희생하는 일 중독(워커홀릭) 상태가 되어, 심신에 피로를 축적하여 우울증을 비롯한 정신 질환을 앓거나, 과로사나 자살에 이르거나, 가정을 돌볼 시간이 없어 가정 붕괴에 빠지는 등 비극을 낳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65]
4.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조건
가정환경은 결혼 여부, 자녀 유무, 육아 부담, 배우자의 지원 등에 따라 균형이 다르게 나타난다. 기혼 여성과 남성의 경우 결혼과 육아 부담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미혼 여성은 간접 경험을 통해 결혼과 육아가 일과 생활의 균형을 어렵게 할 수 있다고 예상한다.[97]
인간관계는 은퇴 후에도 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언급된다. 일을 잘해도 주변에 사람이 없다면 진정한 관계가 아니라고 여기며, 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97]
통제성은 시간 활용, 스트레스 관리, 통제 불가능한 상황, 일과 생활의 영역 분리 등을 포함한다. 개인이 주도적으로 살고자 하는 의지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일과 생활의 균형을 느끼지 못하는 주된 요인이 된다. 시간 활용의 경우, 근로기준법 상 근로 시간 외 근로가 당연시되는 현실에서 시간 활용이 중요한 조건으로 작용한다.[97]
사회적 분위기는 일에 몰두하는 한국적 사회 분위기가 일과 생활의 균형에 영향을 준다. 또한, 여성과 남성에게 다르게 기대되는 사회적 역할, 육아 부담, 고정 관념 등 성별에 따른 기준도 영향을 미친다.
조직 문화는 일과 생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해도 조직 문화나 풍토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구성원들이 지원을 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중요한 조건이다.[98] 가족 친화적 조직 문화는 직장과 가정의 갈등을 낮추고,[99] 일과 삶의 조화를 지원하는 조직 문화일수록 일과 삶의 조화 수준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97] 조직 내 암묵적인 강요는 개인이 '눈치'를 보게 만들어 정해진 퇴근 시간을 지키지 못하거나 암묵적인 강요를 받는 상황을 초래한다.[97]
업무 특성은 8시간 노동 시간과 업무 전문성으로 구성된다. 한국은 OECD 가입국 중 노동 시간이 가장 길며, 많은 사람들이 8시간 근로를 길다고 느낀다. 업무 전문성은 만족감으로 이어져 스트레스 감소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대체 불가능한 직무를 맡게 되면 주도적으로 일과 생활의 균형을 꾸려 나갈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97]
직장 상사는 조직 내에서 근로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의사 결정권을 가진 사람으로, 조직 관리자나 상사의 일과 생활 균형에 대한 태도는 동료 지원보다 중요하다.[100][97] 제도적 지원이 가능하고 '권력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연근무제와 어린이집, 학교 등의 제도적 지원은 일과 생활에 영향을 주는 조건이다.[101]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 지원이 주로 '아이를 가진 여성'에게 한정되어 다른 구성원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주거나 업무 과중을 초래하기도 한다.[97]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실천, 건강, 여가 및 취미 활동은 적극적 실행력과 내면 상태로 구성된다. 개인의 감정은 제도가 있어도 활용하지 못하는 불안감, 일과 생활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압박감 등으로 나타난다.[97] 또한, 삶의 역할에 할애하는 시간과 일과 생활 균형에 대한 신념,[102] 가정을 중요시하는 가치관도 영향을 준다.[103] 개인의 적극적 노력은 장기적으로 미래의 조직이나 사회 풍토에 영향을 줄 수 있다.[104]
5. 성별과 가족의 역할
6. 일과 생활의 균형 관련 이론
일과 삶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주요 이론들은 다음과 같다:[6]
7. 일-가족 갈등 (Work-Family Conflict)
# "한 역할의 요구 사항에 할애된 시간이 다른 역할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p. 76).
# "한 역할에 참여함으로써 생기는 스트레스가 다른 역할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p. 76).
# "한 역할에 필요한 특정 행동이 다른 역할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p. 76).
개념적으로, 일과 가족 간의 갈등은 양방향적이다. 학자들은 일-가족 갈등(WFC)과 가족-일 갈등(FWC)으로 구분한다.
WFC는 과도하고 불규칙하거나 유연하지 않은 근무 시간과 같이 직장 경험이 가족 생활을 방해할 때 발생한다. 가족-일 갈등은 가족 내 경험이 직장 생활을 방해할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부모는 아픈 자녀를 돌보기 위해 직장에서 시간을 낼 수 있다. WFC와 FWC는 서로 강하게 상관 관계가 있지만, WFC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이는 가족의 요구가 일 역할의 경계와 책임보다 더 유연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일 역할이 가족 역할보다 가족 역할이 일 역할에 방해를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7]
Allen, Herst, Bruck, 및 Sutton (2000)[6]은 논문에서 WFC와 관련된 세 가지 범주의 결과를 설명한다. 즉, 업무 관련 결과(예: 직무 만족 또는 직무 성과), 비업무 관련 결과(예: 삶 또는 가족 만족도), 스트레스 관련 결과(예: 우울증 또는 약물 남용)이다. 예를 들어, WFC는 직무 만족도와 부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관성은 여성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8]
WFC의 결과를 연구하는 대부분의 연구는 미국과 같은 서구 국가의 표본을 조사했다. 따라서 그들의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다행히도, 대만[19] 및 인도와 같이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 WFC와 그 결과를 연구하는 문헌도 있다.[20] Lu, Kao, Cooper, Allen, Lapierre, O'Driscoll, Poelmans, Sanchez, 및 Spector (2009)는 영국과 대만을 비교했을 때 WFC의 업무 관련 및 비업무 관련 결과에서 어떤 문화적 차이도 발견할 수 없었다. 마찬가지로 Pal과 Saksvik (2008)도 노르웨이와 인도에서 온 직원 간에 특정 문화적 차이를 감지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FC 구성의 문화적 차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문화 간 연구가 필요하다.
개입을 통해 WFC를 줄이는 연구는 현재까지 매우 제한적이다. 예외적으로 Nielson, Carlson 및 Lankau (2001)[21]은 직장에서 지지적인 멘토가 있는 것이 직원의 WFC와 부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역할 모델 측면과 같은 멘토링의 다른 기능은 WFC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멘토가 있는 것이 일-가족 인터페이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1차 및 2차 개입 측면에서 일부 결과가 있다. Hammer, Kossek, Anger, Bodner, 및 Zimmerman (2011)[22]은 현장 연구를 수행하여 가족을 더 지원하는 행동을 보이도록 감독자를 교육하면 WFC가 높은 직원의 신체적 건강이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WFC 점수가 낮은 직원은 신체적 건강이 감소하기까지 했다. 이는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더라도 올바른 사람에게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지 않으면, 개입이 도움이 되는 것보다 더 많은 피해를 준다.
또 다른 연구(Wilson, Polzer-Debruyne, Chen, & Fernandes, 2007)[23]는 직원을 교육하면 교대 근무와 관련된 WFC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교육은 초점 인물의 배우자도 참여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가족을 개입에 통합하는 것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WFC 개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추가 요인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개입은 WFC보다 가족-일 갈등(FWC)을 줄이는 데 더 적합해 보인다(Hammer 등, 2011). WFC에 대한 최적의 치료법을 도출하기 전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8. 일-가정 풍요화 (Work-Family Enrichment)
일-가정 풍요화는 일-가정 갈등과 대조적으로, 직무 만족도와 노력 같은 긍정적인 조직 성과와 관련이 있다.[25] 풍요화는 한 역할에서 얻은 자원(예: 긍정적인 기분)이 다른 역할에서 더 나은 기능으로 이어지거나,[26] 한 역할에서 습득한 기술과 태도가 다른 역할에서 유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27]
일과 가정 간의 풍요화는 개념적으로 양방향이다. 즉, 일-가정 풍요화와 가정-일 풍요화 두 가지로 구분된다. 일-가정 풍요화는 일에 대한 참여가 가족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술, 행동 또는 긍정적인 기분을 제공할 때 발생한다. 반면, 가정-일 풍요화는 가족 영역에서의 참여가 긍정적인 기분, 성공감 또는 지지를 가져와 개인이 직장에서의 문제에 더 잘 대처하고, 더 자신감을 느끼며, 결국 직장에서 더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 경우에 발생한다.[25]
일-가정 풍요화의 몇 가지 선행 요인이 제안되었다. 성격 특성 중 외향성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일-가정 풍요화와 긍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5] 개인적 선행 요인 외에도, 직장에서 얻은 자원 및 기술과 같은 조직적 환경이 일-가정 풍요화의 발생을 촉진한다.[28] 예를 들어, 대인 관계 의사 소통 기술과 같은 능력은 직장에서 습득되며, 가정에서 가족 구성원과의 건설적인 의사 소통을 촉진할 수 있다.
9. 조직과 관리자의 역할
보육 지원이나 유연 근무와 같은 제공된 자원의 활용이 WFC와 장기적인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31] 이는 일반적인 가정을 반박한다. 관리자는 부하 직원에 대한 사회적 지원 기능을 수행하며, 관리자 지원은 낮은 수준의 WFC와 관련이 있다.[32][33] 조직은 관리자를 위한 교육을 제공하고 신규 직원의 채용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일반적인 관리자 지원은 WFC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며, 일-가정 특정 관리자 지원은 WFC와 더 강한 부정적 연결을 갖는다. 조직과 관리자의 지원 외에도, 동료의 비공식적인 지원은 직무 만족도와 같은 긍정적인 측면과 상관관계가 있고, WFC와 같은 부정적인 변수와도 부정적으로 연관된다.[30][33]
일-가정의 풍요 측면에서 관리자와 조직은 중요한 자원(예: 기술 및 재정적 혜택)과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여 관련이 있다.
10. 다양성
LGBT를 지원하는 기업 정책이 직장에서 보다 폭넓은 환경을 제공한다는 몇 가지 국제적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직원 및 전반적인 회사 실적에 이익을 가져오고,[126] LGBT 지원 정책과 생산성 향상과 같은 비즈니스 관련 결과 사이에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127] 직원들 간의 차별적 행동 감소, 직무 만족도 향상 및 직원 참여는 경제적 수익 증가와 관련이 있다.[128]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포괄적 정책에 대한 개별적 경험은 다른데, 이는 평등과 다양성 정책 사이에 "이행적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부문, 작업 공간, 심지어 조직 건물 내에서도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129]
또한 거시경제 수준에서, 성적인 소수자의 포괄적이고 다양한 작업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개조되고 발전시킨 건강 증진과 공중보건 정책은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국민 건강의 증가와 공공 의료 시스템의 전반적인 비용 감소로 이어진다.[130]
종교와 영성은 직장에서의 다양성의 일부로써 일과 삶의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123] 종교 수용 문제가 논란이 되는 논쟁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종교와 영성은 다양성 관리에 있어 핵심 쟁점이다. 직원의 종교적 신념은 종종 그들의 윤리적 신념과 관련이 있으며, 자아 정체성과[123] 사우디아라비아 또는 이스라엘의 종교 기반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은 정부 법률과 조직 정책에 특별한 조항으로 종교적 합의를 마련한다. 또한 어떤 조직은 직원들이 계약 기간 동안 종교 활동에 시간을 쓰는 것을 허락한다.[131] 종교적 다양성에 대해 잘못된 관리로 근로자들이 종교적 정체성과 직업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강요받았다면, 근로자들의 성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이것은 또한 그들이 조직과 분리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132] 따라서, 종교적 다양성은 직원의 만족스러운 일과 삶의 균형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1964년 The American Title VII of the Civil Rights Act에 '회사들은 합리적인 종교적 합의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11. 국가별 현황
유럽 연합은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다양한 계획을 추진하며 회원국들이 가족 친화적인 정책을 시행하도록 장려하고 있다.[140] 유럽은 최대 48시간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는데,[141] 많은 나라들이 더 적은 시간 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다. 프랑스는 주 35시간 근무제를 도입했고,[142] 영국에서는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들이 좀 더 유연한 근무 일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145]
대한민국에서는 '워라밸'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된다. 워라밸은 연봉에 상관없이 높은 업무 강도, 퇴근 후 SNS로 하는 업무 지시, 잦은 야근 등으로 개인적인 삶이 없어진 현대사회에서 직장이나 직업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147] 2018년부터 정부는 장시간 노동을 개선하고 최저 임금을 인상하는 등 워라밸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69][70] 하지만 노동 시간 단축으로 줄어든 급여를 보충하기 위해 투잡을 하는 노동자가 증가했고, 시간당 임금 인상을 감당하지 못해 노동자가 해고되는 등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69][70]
일본에서는 2007년 12월 18일 정부, 지방 자치 단체, 경제계, 노동계의 합의로 '일과 생활의 조화(워라밸) 헌장'이 제정되었고,[71] 정부는 워라밸 추진을 위해 국민 운동 '개구리! 재팬 캠페인'을 시작했다.[72] 그러나 일본은 국제 노동 기구의 노동 시간에 관한 조약(1호, 30호, 47호, 153호[73] 등)을 하나도 비준하지 않았으며, 시간 외 노동 요건만 충족하면 노동 시간 상한을 없앨 수 있다. 서비스 잔업이 만연하는 사업소도 있으며,[74][75][76] 휴가 일수도 적고, 연차 유급 휴가 취득률이 다른 선진국보다 현저히 낮다.[74][77]
참조
[2]
논문
Contemporary Knowledge Workers and the Boundaryless Work–Life Interface: Implications for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Knowledge Workforce
[3]
서적
Work-Life Balanc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0-12-01
[4]
서적
HBR Guide to Work-Life Balance
https://books.google[...]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020-12-01
[5]
논문
How to deal with work stress — and actually recover from burnout
https://knowablemaga[...]
2022-07-08
[6]
간행물
Developments in theories and measures of work–family
2014
[7]
서적
Greedy Institutions. Patterns of Undivided Commitment.
The Free Press, New York
1974
[8]
서적
Greedy Institutions. Patterns of Undivided Commitment.
The Free Press, New York
1974
[9]
서적
Greedy Institutions. Patterns of Undivided Commitment.
The Free Press, New York
1974
[10]
서적
Mature Women Students: Separating Or Connecting Family and Educ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3
[11]
간행물
Sacrifices in Greedy Universities: are they gendered?
2000
[12]
간행물
The Military And the Family As Greedy Institutions
1986
[13]
웹사이트
How Employees Are Feeling: Burnout Rises to Top of Stressor List
https://www.linkedin[...]
2023-10-26
[14]
논문
An Exploration Of Theoretical Foundations For Working Mothers' Formal Workplace Social Networks
2010-04
[15]
웹사이트
Employee Burnout Report: COVID-19's Impact and 3 Strategies to Curb It
https://uk.indeed.co[...]
2021
[16]
웹사이트
16 Employee Burnout Statistics You Can't Ignore
https://everyonesoci[...]
2023-10-28
[17]
논문
The Work–Family Interface: Integrating Research and Career Counseling Practice
https://onlinelibrar[...]
2015-03
[18]
간행물
A longitudinal and multi-source test of the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2005
[19]
간행물
Work resources, work-to-family conflict, and its consequences: A Taiwanese–British cross-cultural comparison
2009
[20]
간행물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stressors as predictors of job stress in a cross-cultural study
2008
[21]
간행물
The supportive mentor as a means of reducing Work–Family conflict
2001
[22]
간행물
Clarifying work–family intervention processes: The role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s
2011
[23]
간행물
Shift work interventions for reduced work–family conflict
2007
[24]
간행물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2006
[25]
간행물
Considering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e work–family experience: Relationships of the big five to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2004
[26]
간행물
Toward a theory of role accumulation
1974
[27]
간행물
Spillover from family to work: The neglected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1984
[28]
간행물
The effects of work demands and resources on work-to-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2004
[29]
간행물
Workplace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A Meta Analysis Clarifying the Influence of General and Work Specific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Support
2011
[30]
간행물
Work pressure, workplace social resources and work–family conflict: The tale of two sectors
2009
[31]
간행물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Dual-Earner Couples' Utilization of Family-Friendly Workplace Supports on Work and Family Outcomes
2005
[32]
간행물
Effective work/life strategies: Working couples, work conditions, gender, and life quality
2000
[33]
간행물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family support, job autonomy, perceived control, and employee well-being
2005
[34]
간행물
A review of research methods in IO/OB work–family research
2007
[35]
뉴스
Learn Who We Have to Thank for the Term Work-Life Balance
https://spectrum.iee[...]
2021-03-22
[36]
웹사이트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37]
웹사이트
Collins
https://www.collinsd[...]
[38]
웹사이트
仕事と生活の調和とは
https://wwwa.cao.go.[...]
内閣府
2012-10-18
[39]
논문
How Is Work–Life Balance Arrangement Associated with Organisational Performance? A Meta-Analysis
https://www.mdpi.com[...]
2020-01
[40]
논문
Bridging Work and Life: A Bibliometric Perspective on Balance, Integration, Conflict, and Family
https://journals.int[...]
2023-09-02
[41]
논문
An Analytical Study of Work Life Balance and its Impact on Working People in Service Sector in Shekhawati Region
2023-03
[42]
논문
Meta-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Work-Life Balance(WLB)
https://www.semantic[...]
2019
[43]
논문
A process‐oriented, multilevel, multidimensional conceptual framework of work–life balance support: A multidisciplinar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https://onlinelibrar[...]
2021-10
[44]
논문
Antecedents, focus, and outcomes of work-life balance: A conceptual review
https://www.banglajo[...]
2020
[45]
논문
Seeing the Forest and the Trees: A Scoping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on Work-Life Balance
https://www.mdpi.com[...]
2023-01
[46]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Employee Mental Health: A systemic review
https://journal.achs[...]
2023-11-30
[47]
웹사이트
Journal of Critical Reviews
https://www.jcreview[...]
2024-08-05
[48]
논문
Work-life balance in Higher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impact on the well-being of teachers
https://www.scielo.b[...]
2021-03-19
[49]
논문
Work-life balance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A bibliometric analysis
https://ijaers.com/d[...]
2020-12-13
[50]
논문
Work-Life Balance,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mong Millennial and Gen Z Employees: A Systematic Review
https://society.fisi[...]
2022-12-30
[51]
논문
Work-Life Balance of Women Medical Professionals in the Healthcare Sector-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https://srinivaspubl[...]
2021-12-15
[52]
논문
Organizacyjne i indywidualne uwarunkowania korzystania z rozwiązań sprzyjających równoważeniu życia zawodowego i prywatnego
https://medpr.imp.lo[...]
2014-10-28
[53]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work-life integration and role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https://doi.org/10.1[...]
2021-01-01
[54]
논문
Work-life balance policies and organizational financial performance: a scoping review
https://doi.org/10.1[...]
2023-01-01
[55]
논문
Work-life integration, job contentment, employee engagement and its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https://doi.org/10.1[...]
2022-01-01
[56]
논문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 open workspaces and relations to occupational stress, need for recovery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https://occup-med.bi[...]
2020-12
[57]
논문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http://doi.apa.org/g[...]
2005-11
[58]
서적
The Rewards of Happines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1-01
[59]
논문
Does Happiness Promote Career Success?
http://journals.sage[...]
2008-02
[60]
논문
Does Happiness Promote Career Success? Revisiting the Evidence
http://journals.sage[...]
2018-05
[61]
논문
Work-Life Balance In Mobile Working Era: A Bibliometric Analysis
https://jurnal.synta[...]
2022-05-20
[62]
논문
THE INFLUENCE OF WORK LIFE BALANCE AND WORK FROM HOME ON WORK PRODUCTIVIT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LR)
https://ijble.com/in[...]
2023-07-30
[63]
논문
Teleworking and work–life bala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coping review.
https://doi.apa.org/[...]
2023-11
[64]
논문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ork Life Balance of Faculties – An Attempt to Review the Optimistic Angles
https://www.ijfmr.co[...]
[65]
문서
The Myth of Work-Life Balance. The Challenge of Our Time for Men, Women and Societies
2006
[66]
서적
実測!ニッポンの地域力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07-09
[67]
간행물
How's Life? 2020 Measuring Well-being
OECD
2020-03
[68]
뉴스
カナダ首相は夫婦で山登り 結婚記念日を満喫
中日新聞
2016-05-26
[69]
웹사이트
時短のはずが…働き方改革、韓国の夢と現実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9-05-16
[70]
웹사이트
韓国人がガッカリの「最低賃金」引き上げ余波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8-02-01
[71]
웹사이트
政府の取組 - 内閣府
https://wwwa.cao.go.[...]
[72]
웹사이트
カエル!ジャパン キャンペーン
https://wwwa.cao.go.[...]
内閣府
2012-10-18
[73]
웹사이트
ILO第153号条約
http://www.ilo.org/p[...]
国際労働機関
[74]
웹사이트
働きすぎ日本人の実像 先進国水準にほど遠い日本の労働時間
http://www.jpc-net.j[...]
生産性新聞
2012-10-18
[75]
웹사이트
神戸製鋼所でサービス残業/賃金未払い、是正を勧告(日本労働研究機構)
http://www.jil.go.jp[...]
共同通信
2003-05-30
[76]
웹사이트
「すき家」未払い残業訴訟終結 ゼンショーが請求認める(47NEWS)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0-08-27
[77]
웹사이트
日本人はまじめで働きすぎ?有給休暇国際比較調査2011
http://www.expedia.c[...]
エクスペディアジャパン
2012-10-18
[78]
웹사이트
ILO第132号条約
http://www.ilo.org/p[...]
国際労働機関
[79]
서적
新・雇用社会の法
[80]
웹사이트
「海外勤務にベストな国ランキング」日本で働きたくない最大の原因は?
https://zuuonline.co[...]
ZUU online
2017-01-04
[81]
논문
Industrial workers' worlds: A study of the “central life interests” of industrial workers
[82]
논문
Leisure and the family
[83]
논문
Quality of Work Life: What can union do?
[84]
논문
주40시간 근무제 실행 후 노동자의 생활양식 변화와 학습에 대한 태도변화 연구
[85]
논문
한국기업의 QWL 구성요인에 한 연구
[86]
논문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한 개념 이해와 효과성
[87]
간행물
경의 새 화두: 일과 삶의 균형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88]
논문
일과 생활의 균형(Work Life Balance)을 위한 법제 고찰
[89]
논문
일-가족 균형의 촉진요인 분석 교육내용개발
[90]
논문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91]
논문
김정운, 박정열.(2008).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이혜정.(2012). 다수 분석을 통한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연구: 세대별 일의 가치와 제도 및 지원분기의 효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오은정.(2016).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과 정서 몰입의 관계에서 WLB지원제도 조절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2]
논문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의 동향 시사
[93]
저널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http://doi.apa.org/g[...]
[94]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Work and Family Roles: Implic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2002-12-01
[95]
논문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2005-10-01
[96]
논문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97]
논문
일과 생활의 균형에 관한 질적 연구 : 심층면접을 기반으로 한 균형조건의 탐색
[98]
간행물
경영의 새 話頭:일과 생활의 균형(WLB)
[99]
논문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100]
논문
남녀근로자의 직장-가정 간 갈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최수찬 외, 2006, 일가족양립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직장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송다영 외, 2010
[101]
논문
업무구조, 조직문화, WLB제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일과 생활의 균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종관, 이윤경, 2009, 중앙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조직 및 개인변인의 영향력 검증 연구, 손영미 외, 2011
[102]
논문
중앙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조직 및 개인변인의 영향력 검증 연구
[103]
논문
일과 삶의 갈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수도권 사무관리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104]
논문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105]
논문
The three faces of work-family conflict the poor, the professionals, and the missing middle center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Hastings College of the Law
[106]
논문
When professionals become mothers, warmth doesn't cut the ice
2004
[107]
논문
"In the Face of Conflict: Work-Life Conflict and Desired Work Hour Adjustments"
2005
[108]
웹사이트
Kenexa Research Institute Finds That When It Comes To Work/Life Balance, Men and Women Are Not Created Equal at the Wayback Machine (archived October 14, 2007)
[109]
논문
Breadwinner status and gender ideologies of men and women regarding family roles
2000
[110]
웹사이트
The CQ Researcher Online
https://web.archive.[...]
2011-06-01
[111]
서적
Innovate Happily
Portfolio
2012
[112]
논문
"Work-Family Spillover and Daily Reports of Work and Family Stress in the Adult Labor Force"
2002
[113]
간행물
Raus aus der Perfektions-Falle
2010
[114]
간행물
Raus aus der Perfektions-Falle
2010
[115]
간행물
Raus aus der Perfektions-Falle
2010
[116]
간행물
Interview: wer lassen kann, wird gelassen
2010
[117]
간행물
Wenn Arbeit krank macht – Burn-out- das Leiden einer modernen Gesellschaft. Warum die Zahl der Ausgebrannten wächst
2010
[118]
연구
직장 내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2001
[119]
문서
Accounting for the quality of work life
[120]
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행동 간의 인과적 관계모형 검증 연구
1997
[121]
연구
직장 내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2001
[122]
연구
직장 내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2001
[123]
서적
Managing Diversity and Inclus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2015
[124]
서적
Managing Diversity and Inclus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2015
[125]
서적
Managing Diversity and Inclus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2015
[126]
문서
The business impact of LGBT-supportive workplace policies
2013
[127]
문서
The business impact of LGBT-supportive workplace policies
2013
[128]
문서
The business impact of LGBT-supportive workplace policies
2013
[129]
논문
Equality and diversity policies and practices at work: lesbian, gay and bisexual workers
2007
[130]
논문
Promoting LGBT health and wellbeing through inclusive policy development
2009
[131]
문서
Accommodating Routine Parental Obligations in an Era of Work-Family Conflict: Lessons from Religious Accommodations
2001
[132]
문서
Accommodating Routine Parental Obligations in an Era of Work-Family Conflict: Lessons from Religious Accommodations
2001
[133]
웹인용
U.S. workplace not family-oriented - Business - Careers | NBC News
http://www.msnbc.msn[...]
MSNBC
2007-05-22
[134]
웹인용
Breastfeeding State Laws
http://www.ncsl.org/[...]
Ncsl.org
null
[135]
웹사이트
UK Human Resource Management Articles
http://www.hrmguide.[...]
[136]
웹인용
The Place for Ergonomics
http://www.ergoweb.c[...]
Ergoweb
null
[137]
웹사이트
10 Things I Do to Balance Work and Life
https://www.jobexper[...]
2018-06-11
[138]
뉴스
Americans get the least paid vacation time in the world
http://www.dailymail[...]
2018-03-12
[139]
웹인용
13 of the happiest companies in America
http://www.businessi[...]
null
2018-03-29
[140]
서적
Reconciling Work and Life. Experiences from Germany (=WWS Series 6)
WWS Worldwide
2016
[141]
웹인용
Working time
http://www.eurofound[...]
Eurofound.europa.eu
[142]
웹인용
'French work week': Do they really work less?
https://www.bbc.com/[...]
2015-10-29
[143]
논문
Work-Life ‘Balance’ in Europe.
2006
[144]
웹인용
European Quality of Life Survey 2007
http://www.eurofound[...]
Eurofound.europa.eu
2010-02-05
[145]
뉴스
More parents to get flexible work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4-06
[146]
논문
When Too Much Is Not Enough: Actual and Preferred Works Hours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2004
[147]
뉴스
워라밸
https://terms.naver.[...]
2018-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