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4월 1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4년 4월 1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은 연합함대, 제1기동함대, 제6함대, 제1항공함대, 북동방면함대, 중부태평양방면함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 지나방면함대, 해상호위총사령부, 진수부, 연습연합항공총대로 구성되었다. 각 함대는 일본의 주요 해역 방어, 해상 수송로 보호, 항공 지원, 잠수함 작전 등을 수행했으며, 다양한 함선과 부대가 배속되어 있었다. 특히 중부태평양방면함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는 태평양 전쟁의 주요 전선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2년 7월 14일)
    1942년 7월 14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은 연합함대를 포함한 다양한 함대와 부대의 편성 정보를 상세히 보여주는 자료로, 각 함대별 전력 편성을 통해 당시 일본 해군의 전력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8월 15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8월 15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8월 15일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및 부대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지나방면함대, 제1기동함대, 제4함대, 제5함대, 제6함대, 제8함대, 항공함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 해상호위총사령부 등의 상세 정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과 일본이 괌 점령을 위해 벌인 전투에 참여한 군대와 부대의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미국이 괌을 탈환하여 일본 본토 공격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 전투의 주요 지휘관, 부대 현황, 전투 과정, 지휘관, 그리고 전투 결과에 따른 영향 등을 다룬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계획한 올림픽 작전과 코로넷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던 군대의 편성과 장비를 상세히 설명한다.
  • 1944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4년 일본 - 도조 내각
    도조 내각은 도조 히데키가 이끈 전시 내각으로, 태평양 전쟁을 수행하고 국가 동원 체제를 강화했으나, 무리한 전쟁으로 일본을 패망으로 이끌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4월 1일)
일본 제국 해군 전투 서열 (1944년 4월 1일)
일본 제국 해군 군기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개요
시기1944년 4월 1일
관련 전쟁태평양 전쟁
소속일본 제국 해군
주요 구성 부대
연합 함대연합 함대
제1함대제1함대
제2함대제2함대
제3함대제3함대
제4함대제4함대
제5함대제5함대
제6함대제6함대
제7함대제7함대
제8함대제8함대
제9함대제9함대
제10방면함대제10방면함대
제11항공함대제11항공함대
제12항공함대제12항공함대
제13항공함대제13항공함대
남서방면함대남서방면함대
같이 보기
관련 문서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연합 함대

2. 연합함대

오요도를 기함으로 제11수뢰전대, 제1연합통신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제11수뢰전대는 다쓰타와 제6구축대 (이카즈치, 이나즈마, 히비키), 하야시모, 아키시모, 시모쓰키로 구성되었다. 제1연합통신대는 도쿄 해군통신대, 오와다 통신대로 구성되었다.

부속 부대로는 전함 이세, 휴가, 후소, 야마시로, 호쇼가 있었다. 이외에도 제21구축대(하쓰하루, 하쓰시모, 와카바)와 유키카제, 해방함 (간쥬, 가사토, 만주, 미야케), 표적함(야카제, 하카치)이 있었다.

아카시외 특설공작함, 소야, 특설수뢰모함, 특설측량함, 특설전람부설선, 특설병원선도 포함되었다.

2. 1. 연합함대 직속 부대

오요도를 기함으로 제11수뢰전대, 제1연합통신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제11수뢰전대는 다쓰타와 제6구축대 (이카즈치, 이나즈마, 히비키), 하야시모, 아키시모, 시모쓰키로 구성되었다. 제1연합통신대는 도쿄 해군통신대, 오와다 통신대로 구성되었다.

부속 부대로는 전함 이세, 휴가, 후소, 야마시로, 호쇼가 있었다. 이외에도 제21구축대(하쓰하루, 하쓰시모, 와카바)와 유키카제, 해방함 (간쥬, 가사토, 만주, 미야케), 표적함(야카제, 하카치)이 있었다.

아카시외 특설공작함, 소야, 특설수뢰모함, 특설측량함, 특설전람부설선, 특설병원선도 포함되었다.

2. 2. 부속 함선

전함 이세, 휴가, 후소, 야마시로, 항공모함 호쇼가 부속 함선으로 포함되었다. 제21구축대 소속 하쓰하루, 하쓰시모, 와카바와 구축함 유키카제도 부속 함선에 포함되었다. 그 외에도 해방함 간쥬, 가사토, 만주, 미야케, 표적함 야카제, 하카치, 공작함 아카시, 수송함 소야가 포함되었다. 특설함선으로는 우라가미마루, 야마시모마루(이상 특설공작함), 가미카제마루(특설수뢰모함), 제306교도마루(특설측량함), 오호시마루(특설전람부설선), 다카사고마루, 히카와마루(특설병원선), 덴노우마루, 무로마루(이상 특설병원선)가 있었다.

3. 제1기동함대

3. 1. 제2함대

제2함대는 나가토, 야마토, 무사시를 포함한 강력한 전함 부대였다. 제1전대는 나가토, 야마토, 무사시로 구성되었다. 제3전대는 콘고와 하루나로 구성되었다. 제4전대는 아타고, 다카오, 마야, 조카이로 구성되었다. 제5전대는 묘코와 하구로로 구성되었다. 제7전대는 구마노, 스즈야, 도네, 지쿠마로 구성되었다. 제2수뢰전대는 노시로와 제27구축대, 제31구축대, 제32구축대, 시마카제로 구성되었다. 제27구축대는 시라쓰유, 시구레, 사미다레, 하루사메로 구성되었고, 제31구축대는 나가나미, 오키나미, 기시나미, 아사기리로, 제32구축대는 후지나미, 하야나미, 다마나미, 하마나미로 구성되었다.

3. 2. 제3함대

제3함대는 다이호, 쇼카쿠, 즈이카쿠를 중심으로 한 항공모함 부대였다. 제1항공전대는 다이호, 쇼카쿠, 즈이카쿠로 구성되었다. 제2항공전대는 준요, 히요, 류호, 제652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다. 제3항공전대는 지토세, 지요다, 즈이호, 제653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다.

제10전대는 야하기가 이끌었다. 제10전대에는 제4구축대 (노와키, 야마구모, 미치시오), 제10구축대 (아키구모, 카자구모, 아사구모), 제17구축대 (우라카제, 이소카제, 다니카제, 하마카제, 유키카제), 제61구축대 (아키쓰키, 스즈쓰키, 하쓰쓰키, 와카쓰키)가 포함되었다.

부속 부대로는 모가미, 제601해군항공대가 있었다.

4. 제6함대

제6함대는 잠수함을 주력으로 하는 함대로, 통상 파괴 작전에 주로 투입되었다.


  • 이10, 이11
  • 제2잠수대 : 이19, 이21, 이39, 이40
  • 제7잠수대 : 이2, 이5, 이6
  • 제12잠수대 : 이169, 이174, 이175, 이176
  • 제15잠수대 : 이16, 이32, 이35, 이36, 이38, 이41, 이42, 이43, 이45
  • 제22잠수대 : 이177, 이180, 이181, 이184, 이185
  • 제34잠수대 : 로36, 로37, 로38, 로39, 로40, 로41, 로42, 로43, 로44
  • 제7잠수전대
  • * 제51잠수대 : 로104, 로105, 로106, 로108, 로109, 로110, 로111, 로112, 로113, 로114, 로115
  • 제8잠수전대 : 이26, 이27, 이29, 이37, 이52, 이165, 이166, 로501
  • 제11잠수전대 : 초게이, 쓰쿠시마루
  • * 이44, 이46, 이53, 이54, 이183, 로45, 로46, 로47, 로48, 로116, 로117

5. 제1항공함대

제1항공함대는 육상 기지 항공대를 중심으로 구성된 함대였다.

6. 북동방면함대

일본 북방 해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 직속


  • 제22전대
  • 제1~4감시정대


; 제5함대

제5함대는 북태평양 지역을 담당했으며, 알류샨 열도 전투 등에 참전했다.

제21전대는 나치, 아시가라, 다마, 기소로 구성되었다.

제1수뢰전대는 아부쿠마와 제7구축대의 아케보노, 우시오, 그리고 제18구축대의 가스미, 시라누이, 우스구모로 구성되었다.

; 제12항공함대

북동방면함대의 항공 지원을 담당했던 일본 제국 해군제12항공함대는 직속으로 호로무사로 통신대, 제5기상대, 제41항공기지대를 두었다. 그리고 제27항공전대, 제51항공전대를 예하에 두었다.

6. 1. 제5함대

제5함대는 북태평양 지역을 담당했으며, 알류샨 열도 전투 등에 참전했다.

제21전대는 나치, 아시가라, 다마, 기소로 구성되었다.

제1수뢰전대는 아부쿠마와 제7구축대의 아케보노, 우시오, 그리고 제18구축대의 가스미, 시라누이, 우스구모로 구성되었다.

6. 2. 제12항공함대

북동방면함대의 항공 지원을 담당했던 일본 제국 해군의 제12항공함대는 직속으로 호로무사로 통신대, 제5기상대, 제41항공기지대를 두었다. 그리고 제27항공전대, 제51항공전대를 예하에 두었다.

7. 중부태평양방면함대

1944년 4월 1일, 일본 제국 해군은 중부 태평양 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중부태평양방면함대를 편성하였다.


  • 직속
  • * 제5근거지대 - 사이판
  • ** 소쿠텐, 제21구잠대
  • ** 제54~56경비대, 제5통신대, 제5수송대
  • * 제30근거지대 - 팔라우
  • ** 제21, 22호 소해정, 제31구잠대
  • ** 제45, 46경비대, 제30잠수함기지대, 제3통신대, 제6수송대
  • 부속
  • * 이스즈
  • * 제23어뢰정대
  • * 제59, 60, 82, 83, 91방공대
  • * 제205, 214, 217, 218, 223, 233설상대

7. 1. 제4함대

나가라를 기함으로 하였다. 남양 군도를 담당했으며, 과달카날 전투 등에 참전했다.

  • 제4근거지대
  • * 제32, 57구잠대, 제31~33호 구잠정
  • * 제902해군항공대, 제41, 42, 44, 67경비대, 제85잠수함기지대, 제4통신대, 제4운송대, 제4항무부
  • 제6근거지대
  • * 제61~66경비대
  • 부속: 제2, 31어뢰정
  • * 요코스카 진수부 제2특별육전대, 제6, 43, 46, 48, 81, 84~86방공대, 제221, 227설상대

7. 2. 제14항공함대

아키쓰시마가 제14항공함대에 배속되어 중부태평양방면함대의 항공 지원을 담당했다.

  • 제22항공전대
  • * 제202해군항공대 (함전) - 트럭섬
  • * 제301해군항공대 (함전) - 이오섬
  • * 제503해군항공대 (함폭) - 야프섬
  • * 제551해군항공대 (텐잔) - 티니안섬
  • * 제755해군항공대 (육공) - 티니안섬
  • * 제802해군항공대 (비행정) - 잴루잇 환초

  • 제26항공전대
  • * 제201해군항공대 (함전) - 사이판
  • * 제501해군항공대 (함공) - 사이판
  • * 제751해군항공대 (육공) - 캐비앵

8. 남동방면함대

과달카날 전투 등에 참전한 제8함대는 라바울을 거점으로 활동하였다.


  • 제3수뢰전대
  • * 유바리
  • * 제22구축대: 사쓰키, 미나즈키
  • * 제30구축대: 우쓰키, 유쓰키
  • 제1근거지대
  • * 제26, 28호소해정
  • * 제87경비대, 제1통신대, 구레 진수부 제7특별육전대, 사세보 진수부 제6특별육전대
  • 제8근거지대
  • * 제23, 24구잠대, 나쓰시마, 나사미
  • * 제81, 86, 89경비대, 제8잠수함기지대, 제8통신대, 제8항무부
  • 제14근거지대
  • * 제83, 88경비대
  • 부속
  • * 유나기, 마쓰카제
  • * 제11어뢰정대
  • * 제938, 958해군항공대, 제2, 5, 14, 21, 22, 36, 44, 45, 52, 63~65, 67, 69방공대, 제1, 2수송대


일본 제국 해군의 제11항공함대는 남동방면함대의 항공 지원을 담당했다. 제11항공함대에는 제25항공전대가 배속되어 있었으며, 제251해군항공대와 제253해군항공대가 소속되어 있었다. 직속 부대로는 아키카제와 제151해군항공대, 제18, 20, 26, 28, 32, 34, 211, 212설상대가 있었다.

  • 부속
  • * 제22어뢰정대
  • * 사세보 진수부 소속 제101특별육전대, 제101, 121, 131설영대

8. 1. 제8함대

제8함대는 라바울을 거점으로 활동했으며, 과달카날 전투 등에 참전했다.

  • 제3수뢰전대
  • * 유바리
  • * 제22구축대: 사쓰키, 미나즈키
  • * 제30구축대: 우쓰키, 유쓰키
  • 제1근거지대
  • * 제26, 28호소해정
  • * 제87경비대, 제1통신대, 구레 진수부 제7특별육전대, 사세보 진수부 제6특별육전대
  • 제8근거지대
  • * 제23, 24구잠대, 나쓰시마, 나사미
  • * 제81, 86, 89경비대, 제8잠수함기지대, 제8통신대, 제8항무부
  • 제14근거지대
  • * 제83, 88경비대
  • 부속
  • * 유나기, 마쓰카제
  • * 제11어뢰정대
  • * 제938, 958해군항공대, 제2, 5, 14, 21, 22, 36, 44, 45, 52, 63~65, 67, 69방공대, 제1, 2수송대

8. 2. 제11항공함대

일본 제국 해군의 제11항공함대는 남동방면함대의 항공 지원을 담당했다. 제11항공함대에는 제25항공전대가 배속되어 있었으며, 제251해군항공대와 제253해군항공대가 소속되어 있었다. 직속 부대로는 아키카제와 제151해군항공대, 제18, 20, 26, 28, 32, 34, 211, 212설상대가 있었다.

9. 남서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는 동남아시아 지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 직속
  • * 제16전대: 아오바, 기누, 오이, 기타가미
  • * 제19구축대: 우라나미, 아야나미, 아마기리
  • * 가모이
  • * 제3연합통신대
  • 부속
  • * 가쓰리키, 기요카와마루
  • * 제36설영대

9. 1. 제1남견함대

제1남견함대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현재의 베트남) 지역을 담당했다. 이 지역은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운동가들의 망명지 중 하나였다.

제1남견함대의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9특별근거지대: 하쓰타카, 에이코마루, 제11구잠대
  • 제10특별근거지대: 제7호소해정, 제44소해대, 제9경비대, 제11잠수함기지대, 제10항무부, 제23위소대
  • 제11특별근거지대: 제19, 20, 21, 41, 43호 구잠정, 에이후쿠마루
  • 제12특별근거지대: 가리, 고쇼마루, 제14, 25경비대, 제21, 22위소대
  • 제13근거지대대: 제12, 13, 17경비대, 제12통신대
  • 부속: 야에야마, 아마쓰카제, 제21어뢰정대(후부키급 구축함), 제936해군항공대, 제34, 51, 55, 58, 70, 88, 102, 104, 108, 112방공대, 제40, 231, 234설상대

9. 2. 제2남견함대

제2남견함대는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의 인도네시아) 지역을 담당했다. 이 지역은 일제강점기 한국인 강제징용의 주요 목적지 중 하나였다.

  • 제21특별근거지대
  • 제11, 12, 101호소해정, 제104호초계정, 제1~3호 구잠정
  • 제932해군항공대, 제3경비대, 제21잠수함기지대, 제1항무부
  • 제22특별근거지대
  • 제4~6호 구잠정, 제2, 36호초계정
  • 제2경비대, 제2항무부
  • 제23특별근거지대
  • 제8호소해정
  • 부속: 제102호 초계정, 만에이마루, 다이고마루
  • 제33, 53, 101, 103, 109, 113방공대, 제24, 201, 241설상대

9. 3. 제3남견함대

필리핀 지역을 담당했던 제3남견함대는 쓰가루가 직속으로 있었다. 제32특별근거지대 예하에는 제30호소해정, 제33경비대가 있었다. 부속으로는 가라쓰, 하야부사, 제36, 45, 46호 구잠정, 제103, 105호 초계정, 기소마루가 있었다. 그 외에도 제31해군항공대, 제32해군항공대, 제954해군항공대, 제31경비대, 제31통신대가 부속되어 있었다.

일제강점기 필리핀은 한국인 강제징용의 주요 목적지 중 하나였으며, 일부 한국인은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기도 했다.

9. 4. 제4남견함대

제4남견함대는 뉴기니 서부 지역을 담당했다. 직속함으로는 이쓰쿠시마가 있었다.

제24특별근거지대는 기지와 제4, 6경비대로 구성되었다. 제25특별근거지대는 와카타카, 제125구잠대, 제7, 20, 21경비대, 제24, 25통신대로 구성되었다. 제26특별근거지대는 아오타카, 제4, 5호소해정, 제18, 19, 21경비대로 구성되었다.

부속 부대로는 제50, 56, 105~107, 110, 114, 115방공대와 제202, 203, 213, 224, 225설상대가 있었다.

9. 5. 제9함대

뉴기니 북부 지역을 담당했던 제9함대는 제27특별근거지대를 주축으로 편성되었다. 제90경비대는 홀린디아에 주둔하였고, 부속함으로 시라타카, 제26호 구잠정, 제34호 구잠정, 제35호 구잠정이 배속되었다. 그 외에 제12어뢰정대, 제2통신대, 제57방공대, 제87방공대가 제9함대 소속이었다.

9. 6. 제13항공함대

1944년 4월 1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제13항공함대는 남서방면함대의 항공 지원을 담당했다. 직속 부대로는 제732해군항공대, 제102, 103, 104항공기지대가 있었다. 제23항공전대는 제153해군항공대, 제381해군항공대, 제75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고, 제28항공전대는 제331해군항공대, 제705해군항공대, 제851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다.

10. 지나방면함대

지나방면함대는 중일 전쟁 발발 이후 1937년 10월 20일에 창설되어 중국 대륙 연안을 담당한 함대였다. 이 함대는 상하이에 근거지를 두고 양쯔강 하구와 화중 연안 일대의 경비, 봉쇄, 그리고 육군의 작전을 지원하였다.

진주만 공격 이후, 지나방면함대는 홍콩 공략전에 참가하여 영국 해군 극동함대와 교전하였다. 1942년 4월 10일에는 제2견지함대가, 1943년 8월 20일에는 제1견지함대가 지나방면함대 예하로 배속되었다.

지나방면함대는 중일 전쟁에 참전하여 한국 독립운동을 탄압하는 데 관여하였다. 또한, 일제강점기 한국의 해안 경비 및 감시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11. 해상호위총사령부

1944년 4월 1일, 일본 제국 해군의 해상호위총사령부는 일본 본토와 점령지 간의 해상 수송로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생산된 물자를 일본으로 수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직속 부대로는 제18전대, 다이요 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제453해군항공대, 제901해군항공대, 제931해군항공대와 같은 항공 부대도 배속되어 있었다. 제18전대는 도키와, 고에이마루, 사이곤마루, 신코마루로 구성되었다. 또한 제1해상호위대와 제2해상호위대가 해상호위총사령부의 지휘를 받았다.

12. 진수부

구레 진수부는 일본 최대의 해군 기지로, 많은 함선들이 이곳에서 건조되고 정비되었다.


  • 구레 해병단
  • 오타케 해병단
  • 구레 잠수함기지대
  • 구레 해군항무부
  • 도쿠야마 해군항무부
  • 구레 해군통신대
  • 구레 해군항공대
  • 이와쿠니 해군항공대
  • 구축함: 하루카제
  • 잠수함: 이33
  • 어뢰정: 하토, 사기
  • 구레 해군경비대
  • 구레 방비전대
  • * 사에키 해군항공대
  • * 잠수함: 162
  • * 제17, 18호소해정
  • * 부설정: 유리지마, 누와지마
  • * 제31호초계정
  • * 사에키 방비대
  • * 해방함: 이키, 제1, 5, 7, 11호해방함, 제4, 6, 12, 14, 16, 18, 20, 22, 24호해방함
  • * 제53, 60호구축정
  • * 제31, 33, 34소해대
  • * 시모노세키 방비대
  • 구레 잠수전대
  • * 잠수모함: 진게이
  • * 제19잠수대: 이121, 이122, 이155, 이158, 이156, 이157, 이159
  • * 제33잠수대: 로62, 로63, 로64, 로67, 로68, 로500
  • 구레 연습전대
  • * 연습순양함: 가시마
  • * 장갑순양함: 야쿠모, 이와테, 이즈모
  • * 경순양함: 나토리
  • 제20연합항공대

: 우사 해군항공대, 히메지 해군항공대, 하카타 해군항공대, 오무라 해군항공대, 이즈미 해군항공대

: 다쿠마 해군항공대, 미야자키 해군항공대, 가노야 해군항공대, 제2미호 해군항공대, 지쿠조 해군항공대

요코스카 진수부는 도쿄 인근에 위치한 주요 해군 기지로, 수도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요코스카 해병단
  • 다케야마 해병단
  • 요코스카 잠수함기지대
  • 요코스카 해군항무부
  • 요코스카 해군통신대
  • 요코스카 해군항공대
  • 제302해군항공대
  • 제1001해군항공대
  • 제1081해군항공대
  • 잠수모함: 고마하시
  • 구축함: 사와카제, 하타카제
  • 잠수함: 이57, 이58, 이59
  • 어뢰정 지도리
  • 구잠정 제50호, 제51호, 제52호, 제54호
  • 초계정 제46호
  • 특설구난선 가쓰라가와마루
  • 특설전람부설선 하루시마마루
  • 미나미토리섬 경비대
  • 구레 진수부 제101특별육전대
  • 사세보 진수부 제102특별육전대
  • 제89, 90, 121~129방공대(구레 진수부 소관)
  • 제141~146방공대(사세보 진수부 소관)
  • 제204, 206, 207설영대
  • 요코스카 해군경비대
  • 요코스카 방비전대
  • * 다테야마 해군항공대
  • * 제1소해대
  • * 소해정 제25호, 제27호
  • * 구잠정 제14호, 제42호, 제44호, 제47호, 제48호
  • * 부설정 사루지마
  • * 요코스카 방비대
  • * 제26소해대
  • * 이세 방비대
  • * 오나가와 방비대
  • 지치지마 방면 특별근거지대
  • * 지치지마 해군항공대
  • * 제17소해대
  • * 이오섬 경비대
  • 제11연합항공대
  • * 가스마가우라 해군항공대
  • * 쓰쿠바 해군항공대
  • * 야다베 해군항공대
  • * 햐쿠리하라 해군항공대
  • * 나고야 해군항공대
  • * 가시마 해군항공대
  • * 기타우라 해군항공대
  • * 오쓰 해군항공대
  • * 가미노이케 해군항공대
  • * 제2고리야마 해군항공대
  • * 제2고와 해군항공대
  • 제13연합항공대
  • * 오이 해군항공대
  • * 스즈카 해군항공대
  • * 상하이 해군항공대
  • * 이오시마 해군항공대
  • * 도쿠시마 해군항공대
  • * 스노사키 해군항공대
  • * 다루미 해군항공대
  • * 제2가가야 해군항공대
  • * 고치 해군항공대
  • 제18연합항공대
  • * 사가미노 해군항공대
  • * 제2사가미노 해군항공대
  • * 오하마 해군항공대
  • * 고와 해군항공대
  • * 고리야마 해군항공대
  • * 가토리 해군항공대
  • * 히토요시 해군항공대
  • * 오카자키 해군항공대
  • * 고치 해군항공대
  • 제19연합항공대
  • * 쓰치우라 해군항공대
  • * 미에 해군항공대
  • * 가고시마 해군항공대
  • * 미호 해군항공대
  • * 마쓰야마 해군항공대

12. 1. 구레 진수부

구레 진수부는 일본 최대의 해군 기지로, 많은 함선들이 이곳에서 건조되고 정비되었다.

  • 구레 해병단
  • 오타케 해병단
  • 구레 잠수함기지대
  • 구레 해군항무부
  • 도쿠야마 해군항무부
  • 구레 해군통신대
  • 구레 해군항공대
  • 이와쿠니 해군항공대
  • 구축함: 하루카제
  • 잠수함: 이33
  • 어뢰정: 하토, 사기
  • 구레 해군경비대
  • 구레 방비전대
  • * 사에키 해군항공대
  • * 잠수함: 162
  • * 제17, 18호소해정
  • * 부설정: 유리지마, 누와지마
  • * 제31호초계정
  • * 사에키 방비대
  • * 해방함: 이키, 제1, 5, 7, 11호해방함, 제4, 6, 12, 14, 16, 18, 20, 22, 24호해방함
  • * 제53, 60호구축정
  • * 제31, 33, 34소해대
  • * 시모노세키 방비대
  • 구레 잠수전대
  • * 잠수모함: 진게이
  • * 제19잠수대: 이121, 이122, 이155, 이158, 이156, 이157, 이159
  • * 제33잠수대: 로62, 로63, 로64, 로67, 로68, 로500
  • 구레 연습전대
  • * 연습순양함: 가시마
  • * 장갑순양함: 야쿠모, 이와테, 이즈모
  • * 경순양함: 나토리
  • 제20연합항공대

: 우사 해군항공대, 히메지 해군항공대, 하카타 해군항공대, 오무라 해군항공대, 이즈미 해군항공대

: 다쿠마 해군항공대, 미야자키 해군항공대, 가노야 해군항공대, 제2미호 해군항공대, 지쿠조 해군항공대

12. 2. 요코스카 진수부

요코스카 진수부는 도쿄 인근에 위치한 주요 해군 기지로, 수도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요코스카 해병단, 다케야마 해병단, 요코스카 잠수함기지, 요코스카 해군항무부, 요코스카 해군통신대, 요코스카 해군항공대가 있었다. 또한, 제302해군항공대, 제1001해군항공대, 제1081해군항공대가 소속되어 있었다. 잠수모함 고마하시, 구축함 사와카제, 하타카제, 잠수함 이57, 이58, 이59, 어뢰정 지도리 등이 배치되었다.

제11연합항공대는 가스마가우라 해군항공대, 쓰쿠바 해군항공대 등을 운용했다. 제13연합항공대는 오이해군항공대, 스즈카 해군항공대 등을, 제18연합항공대는 사가미노 해군항공대, 제2사가미노 해군항공대 등을, 제19연합항공대는 쓰치우라 해군항공대, 미에 해군항공대 등을 운용했다.

요코스카 해군경비대 예하에는 요코스카 방비전대와 요코스카 방비대가 있었다. 요코스카 방비전대는 다테야마 해군항공대, 제1소해대, 소해정, 구잠정, 부설정 사루지마로 구성되었다. 그 외에 이세 방비대, 오나가와 방비대, 지치지마 방면 특별근거지대가 있었다. 지치지마 방면 특별근거지대는 지치지마 해군항공대, 제17소해대, 이오섬 경비대로 구성되었다.

13. 연습연합항공총대

연습연합항공총대는 일본 해군 항공대의 훈련을 담당했다. 제11연합항공대, 제12연합항공대, 제13연합항공대, 제18연합항공대가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