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병직은 이승만 대통령의 개인 비서로 활동하며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인물이다. 미국에서 이승만을 보좌하며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과 유엔 주재 한국 대사를 역임했다. 1893년 부여에서 태어나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에 투신, 구미 외교 위원부 위원과 이승만의 비서를 지냈다. 광복 후에는 외무부 장관, 유엔 대표부 대사 등을 역임하며 외교 활동을 펼쳤으며, 1976년 미국에서 사망하여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저서로 《임정에서 인도까지》 등이 있으며,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박동진 (1922년)
박동진은 대구 출신으로 주오대학을 졸업하고 국무총리 비서, 대통령 비서를 거쳐 외무부 차관, 주베트남 대사, 주브라질 대사, 주제네바 대사, 유엔 대사, 외무부 장관, 민주정의당 소속 국회의원, 국토통일원 장관, 주미 대사,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유엔 주재 대한민국 대사 - 김현종
김현종은 대한민국의 법률가, 통상 전문가, 정치인, 외교관으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과 법학을 전공하고 미국 로펌 변호사, 홍익대학교 교수, 외교통상부 통상전문관 등을 거쳐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 주UN 대한민국 대표부 대사, 국가안보실 제2차장, 대통령 외교안보특별보좌관 등을 역임하며 한미 FTA 체결을 주도했고 황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 대한민국의 외무부 장관 - 장택상
장택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임시정부 활동, 수도경찰청장, 초대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지지 후 야당 정치인으로 반독재 투쟁을 전개했다. - 대한민국의 외무부 장관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 나주 임씨 - 임동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임동원은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군과 정부의 요직을 거쳐 나이지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등을 역임하며 김대중 정부 시절 햇볕정책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제2연평해전 발언과 불법 감청 혐의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나주 임씨 - 임채진
임채진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제36대 검찰총장을 역임했으며, 검사로 임용되어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장, 법무부 검찰국장 등을 거쳤고, 검찰총장 재임 중 노무현 전 대통령 관련 비리 수사를 지휘했으나 논란과 노 전 대통령 서거로 사퇴하고 삼성 뇌물 수수 의혹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임병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이름 | 임병직 |
한자 이름 | 任炳稷 |
로마자 표기 | Im Byeongjik |
별칭 | Ben C. Limb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893년 10월 26일 |
출생지 | 조선 충청도 부여군 |
사망일 | 1976년 9월 21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시티 |
배우자 | 창원 황씨 부인 (초취 부인) 전주 이씨 부인 (계취 부인) |
자녀 | 슬하 3남 1녀 |
부모 | 아버지 임연상 |
형제 | 동생 임병설 |
친척 | 조부 임휘수 숙부 임준상 조카 임윤영 |
학력 | |
최종 학력 | 미국 디킨슨 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무소속 |
주요 경력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무관 대한독립군 대령 전역 한국독립당 최고위원 (1948년) UN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외무부 장관 | 제2대 외무부 장관 임기: 1949년 1월 31일 ~ 1951년 4월 15일 |
대통령 | 이승만 |
부통령 | 이시영 |
전임 | 장택상 |
후임 | 변영태 |
군사 경력 | |
소속 | 대한독립군 |
계급 | 대령 |
훈장 | |
훈장 내역 | 대한민국 청조소성훈장 대한민국 수교훈장 광화장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 |
2. 생애
임병직은 이승만 대통령의 개인 비서로 미국에서 활동하며 한국 독립을 위해 투쟁했다. 1941년 미국 내 한국 위원회가 조직되었을 때 집행 위원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으며, 일본 대사에게 이승만의 친서를 전달하여 한국의 독립 승인을 요구하기도 했다.[1] 광복 후에는 이승만이 한국으로 귀국하면서 미국 위원회 회장으로 임명되었다.[1]
이후 대한민국 제2대 외무부 장관, 유엔 주재 한국 대사를 역임했다.[1]
2. 1. 생애 초반 (1893년 ~ 1919년)
임병직은 1893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임연상(林淵相)의 아들로 태어났다. 보성중학교를 졸업하고 관립외국어학교로 진학하였다. 1913년 이승만의 주선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드와이트 무디가 설립한 마운트 허먼 스쿨과 오하이오 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이승만은 미국 유학을 떠나는 임병직에게 다음과 같이 조언하였다.[2]임병직은 대학교 재학 중 잡지 「한국학생평론」을 창간하여 편집장으로 활동하며 한국의 독립운동을 알리는 기고를 통해 한국의 사정을 호소하였다.
2. 2. 독립운동 (1919년 ~ 1945년)
1919년 필라델피아의 재미한인교포 대회 서기장을 지낸 뒤 3.1운동 추진회를 조직했고, 이후 이승만의 비서 겸 구미외교위원부 위원으로 독립운동에 활약하면서 일왕에게 한국의 독립을 승인하라는 이승만의 친서를 일본 공사관에 전달하기도 하였다.[1] 같은 해 3월 1일, 국내에서 3·1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일제의 학살과 고문 등의 만행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1919년 8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9월에는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 이승만의 비서관을 지냈다. 임정 구미위원부 위원으로 활동하며 미국 19개 도시에 한미친우회의 조직을 지원하였다.
1920년 말, 이승만과 함께 하와이에서 상조회사를 운영하던 윌리엄 보스윅(William Borthwick)의 주선으로 일본을 거치지 않고 상해로 직행하는 중국인 시체가 담긴 관을 운송하는 배를 타고 상해에 도착하였다.[3]
이후 이승만이 탄핵된 후에도 이승만과 함께 활동하며 그가 하와이에 세운 한인중앙학원, 한국기독학원 등에서 교육활동을 하였다.
1921년, 이승만을 종신총재로 하는 동지회가 설립되자 동지회에 입단하여 단원이 되었다. 이후 생계를 위해 일본 제품인 아지노모도 등의 화장품을 수입해서 판매하는 화장품 판매원으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임정 구미위원부에 자금을 송금하였다.
1943년, 구미위원부 무관이 되고, 1945년, UN 창립총회에 옵서버로 참석하고 돌아왔다.
2. 3. 광복 이후 (1945년 ~ 1976년)
이승만의 미국에서의 외교 독립운동 당시 측근으로 보좌하던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이승만이 귀국한 후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위원과 의장을 맡아서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육군 대령, 외무부장관, 주유엔 대사와 주인도 총영사를 역임했다.[1]임병직은 이승만 대통령의 개인 비서로 미국에서 활동하면서, 한국 독립을 위해 투쟁했다. 그는 미국 위원회에서 이승만의 비서로서 일본 대사에게 이승만의 친서를 전달하여 한국의 독립 승인을 요구했다. 1941년, 미국 내 한국 위원회가 조직되었을 때, 그는 집행 위원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다. 광복 후, 이승만은 한국으로 귀국했지만, 임병직은 미국 위원회 회장으로 임명되었다.[1]
2. 3. 1. 정부 수립과 외교 활동
1945년 10월, 이승만 환국 후 워싱턴에 있는 구미위원부를 맡아서 활동하다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귀국 후에 육군 대령[4]에 임명되어 구미위원부 위원장을 겸하였다.귀국 후인 1948년 12월, 외무부장관에 임명되었다. 외무부장관으로 재직하던 1950년 6월, 한국 전쟁을 맞았다. 그는 총무처장 전규홍(全奎弘)으로부터 "38선 동향이 수상하며 아마 전면남침인 것 같다"는 전쟁 발발 소식을 듣고 "이제 올 게 왔구나"라고 생각했다.[5] 마치 예상한 듯한 반응이었다.[6]
1950년 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5차 국제연합 총회에 한국 대표단장으로 참석하였다. 대표단은 임병직 외에도 장면, 장택상, 김동성, 임영신으로 구성되었다. 1951년에도 역시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6차 국제연합 총회에 한국 대표단으로서 단장 장면, 장택상, 이묘묵, 전규홍, 안연생과 함께 참석하였다.[7]
한국 전쟁 중 귀환하며 전시내각에서 활동하다가 주유엔 대표부대사[8]를 거쳤다. 1952년 제7차 국제연합 총회에 한국 대표단으로서 단장 변영태, 양유찬, 한표욱, 이재항, 서재식, 전상진과 함께 참석하였다.[7] 1954년 4월부터 7월까지 제네바에서 열린 제네바 정치회의에 대한민국 대표단[9]의 일원으로 참석하였다.[10]
2. 3. 2. 생애 후반
군정 시기 박정희 지지를 선언했다. 이후 재건국민운동 본부장을 거쳐 1966년 주인도 총영사로 부임, 재직 중 중앙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 귀국 후 국토통일원 고문, 해외선전문제 연구회 명예회장을 역임하고, 1974년 3월부터 9월까지 한국자유총연맹의 전신인 한국반공연맹 이사장을 지냈다.[1]1976년 9월 21일, 미국 뉴욕주 뉴욕에서 사망하였다.[1]
3. 사후
사후 국립묘지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고, 1976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1]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응평리에 추모비가 세워졌다.
4. 저서
- 《임정에서 인도까지》 : 임병직 회고록 (여원사, 1964)
- 《임병직 대사 외교연설 선집》 (문화춘화사, 1958)
5. 학력
5. 1. 명예 박사 학위
6. 상훈
7.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임휘수(林徽洙) | |
부친 | 임연상(林淵相) | |
숙부 | 임준상(林浚相) | |
부인 | 창원 황씨(昌原 黃氏) | |
부인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재혼 |
동생 | 임병설(林炳卨) | |
조카 | 임윤영 | 외교관, 국무총리 비서실장, 타이 주재 대한민국 대사 역임 |
참조
[1]
웹사이트
Ben C. Limb: He waged a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or life treading in Dr. Syngman Rhee's footsteps.
https://knamf.org/be[...]
[2]
서적
雩南 李承晩
太極出版社
[3]
서적
雩南 李承晩
太極出版社
[4]
문서
이승만의 대령 임명
[5]
서적
한국 1950 전쟁과 평화
나남
[6]
서적
한국 1950 전쟁과 평화
나남
[7]
뉴스
歷代유엔總會韓國代表團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2-08-08
[8]
문서
1951.11 ~ 1960.9
[9]
문서
수석대표 변영태, 대표 양유찬
[10]
뉴스
6·25 참전국 모두 모여 만든 ‘유일한 국제공인 통일원칙’
http://shindonga.don[...]
동아일보사
2008-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