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진한은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협동조합 운동을 시작했으며, 해방 후에는 대한민국 초대 사회부 장관, 제헌 국회의원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와세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협동조합운동사 조직,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활동, 대한노동총연맹 위원장 등을 거쳤다. 제헌 국회 의원, 2대, 3대, 5대, 6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자유당, 노동농민당, 한국사회당 등에서 활동하며 진보적 정치 노선을 걸었다. 1967년 대통령 선거에 한국독립당 후보로 출마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일사회당 당원 - 김철 (1926년)
    김철은 일본 유학 중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에 참여한 후 귀국하여 자유당에 입당, 탈당 후 민주사회주의에 눈떠 통일사회당 창당을 주도하고 유신 체제 반대 운동을 전개했으며,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을 지내고 사회민주당을 창당하는 등 민주사회주의 운동을 이끈 대한민국의 정당인이자 김한길의 아버지이다.
  • 한국사회당 당원 - 김철 (1926년)
    김철은 일본 유학 중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에 참여한 후 귀국하여 자유당에 입당, 탈당 후 민주사회주의에 눈떠 통일사회당 창당을 주도하고 유신 체제 반대 운동을 전개했으며,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을 지내고 사회민주당을 창당하는 등 민주사회주의 운동을 이끈 대한민국의 정당인이자 김한길의 아버지이다.
  • 문경 전씨 - 전인화
    전인화는 1965년생으로 1984년 모델로 데뷔하여 1985년 KBS 드라마 《초원에 뜨는 별》을 통해 배우 활동을 시작했으며, 드라마 《여인천하》, 《제빵왕 김탁구》 등에 출연했고, 1989년 배우 유동근과 결혼하여 1남 1녀를 두고 있다.
  • 문경 전씨 - 전주원 (농구인)
    전주원은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플레잉 코치, 지도자로, 현대전자 여자 농구팀 선수 시절과 올림픽 국가대표를 거쳐 선수 겸 코치를 지냈으며,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최초의 올림픽 여성 감독으로도 활동했다.
전진한
기본 정보
한글전진한
한자錢鎭漢
히라가나센 진칸
가타카나チョン・ジンハン / 지난

2. 약력


  • 도쿄 순텐 중학교 졸업
  • 일본 와세다 대학교 부속제1고등학원 문과 수업
  • 일본 와세다대학교 정치경제학부 경제학과 졸업
  • 전국협동조합총본부위원장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전국청년총연맹조직위원장
  •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맹 위원장
  • 33인민족대표단원
  • 초대 대한노총위원장
  • 노농당 당수, 민정당 최고위원
  • 1948년 5월 10일: 제헌 국회의원(경북 상주을)
  • 초대 사회부장관
  • 제3대 대통령 선거 부통령 후보 (낙선, 6위/30만 1천표)
  • 1952년 자유당 참가, 1954년 탈당
  • 민중당 지도위원 및 운영위원
  • 1963년 8월 1일 국민의 당 창당발기인대회 참석
  • 1968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여
  • 경상북도 문경군 출생[1] (일설에는 강원도 고성군 출생[4])

2. 1. 학력 및 초기 활동

학력



1926년 6월, 기미육영회의 선발로 일본 유학을 떠난 그는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협동조합운동사"를 조직했다.[1] 그는 협동조합운동 이론 연구에 몰두하는 한편, 조선에 선전대를 파견하여 조직 설립에 힘썼다.[1] 1927년 1월, 그의 친형 전준한에 의해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면에 "함창협동조합"이 설립되었고, 전국 각지에 이와 유사한 조직들이 잇따라 설립되었다.[1] 1928년 귀국 후, "협동조합운동사" 본부를 서울로 이전하여 협동조합운동에 착수했지만, 같은 해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체포되어 2년간 복역했다.[1] 출옥 후 함경남도 갑산군의 학교 교원으로 부임했지만, 불온 분자로 지목되어 쫓겨났고, 그 후에도 여러 차례 구금되었으며, 1945년 8월 해방까지 금강산, 오대산 등에서 은둔 생활을 했다.[1]

2. 2. 해방 이후 활동

1945년 해방 이후, 전진한은 서울로 돌아와 "협동조합사"를 재건하고 위원장에 취임하였다.[1] 이듬해인 1946년에는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맹(대한노총) 위원장에 취임하였고,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이후 총 5선을 역임하였다.[1] 1948년 8월 30일 공표된 대한민국 대통령령 제1호에 서명하였다.

1948년 8월 30일 공표된 대한민국 대통령령 제1호
대통령 이승만의 수결 서명 왼쪽 여섯번째 줄, 각료명단 맨 오른쪽에서 네번째에 전진한의 자필 서명이 보인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발족하자, 사회부(현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의 초대 장관에 취임하였다.[1] 1949년 런던에서 개최된 국제자유노동조합총연맹 발족 대회에 참가하여 이사로 선출되었으며, 동시에 동 연맹의 아시아 지역 부의장으로도 선출되었다.[1]

1951년 12월, 부산의 조선방직사건으로 이승만과 결별하게 되었다.[1] 1952년 자유당에 참가하였으나, 1954년 탈당하였다. 이후 1955년에는 노농당을, 1960년에는 한국사회당을 결성하는 등, 한국 노동운동의 선구자이자 진보주의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대한노총 대표로 부통령 후보로 출마했으나 30만 1천표를 얻고 6위로 낙선하였다. 1963년 8월 1일 서울 시민회관에서 열린 국민의 당 창당발기인대회에 참석하여,[7] 김병로, 허정, 이범석이 당 공동대표로, 전진한은 김도연, 이인|이인한국어, 이응준, 안호상|안호상한국어과 함께 당 지도위원으로 선출되었다.[7][5][6] 1965년에는 민정당 부총재, 민중당 지도위원 및 운영위원을 역임하였다.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한국독립당 후보로 출마하여 5위로 낙선하였다. 1968년에는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3. 정치 활동

전진한은 1926년 6월, 기미육영회의 선발로 일본 유학 중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협동조합운동사"를 조직했다. 그는 협동조합운동 이론 연구에 몰두하는 한편, 조선에 선전대를 파견하여 조직 설립에 힘썼다. 1927년 1월, 그의 친형 전준한에 의해 경상북도 함창면에 "함창협동조합"이 설립되었고, 전국 각지에 이와 유사한 조직들이 잇따라 설립되었다.[1]

1928년 귀국 후, "협동조합운동사" 본부를 서울로 이전하여 협동조합운동에 착수했지만, 같은 해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체포되어 2년간 복역했다. 출옥 후 함경남도 갑산군에 학교 교원으로 부임했지만, 불온 분자로 지목되어 쫓겨났고, 그 후에도 여러 차례 구금되었으며, 1945년 8월 해방까지 금강산, 오대산 등에서 은둔 생활을 했다.[1]

해방 이후, 전진한은 전국협동조합 총본부 위원장을 지냈으며, 1945년에는 대한국민독립촉성국민회 전국청년총연맹 조직위원장과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 위원장을 역임했다. 1946년 초대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대한노총) 위원장에 취임했다.

3. 1. 국회의원 활동

전진한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된 이후 총 5선을 역임하였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발족하자 사회부(현 보건복지부)의 초대 장관에 취임하였다.[1] 1949년 런던에서 개최된 국제자유노동조합총연맹 발족 대회에 참가하여 이사로 선출되었으며, 동시에 동 연맹의 아시아 지역 부의장으로도 선출되었다.[1] 1951년 12월, 부산의 조선방직사건으로 이승만과 결별했다.[1]

전진한의 국회의원 당선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수선거구소속 정당비고
상주 을 | 대한노동총연맹 |
부산 무 | 대한노동총연맹 | 1952년 2월 5일 보궐선거 당선
부산 을 | 무소속 |
종로 갑 | 무소속 | 1960년 10월 10일 보궐선거 당선
종로 | 민정당 | 1967년 3월 14일 의원 자격 상실


3. 2. 정부 활동

해방 후, 서울로 돌아와 "협동조합사"를 재건하고 위원장에 취임했다. 이듬해인 1946년에는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대한노총) 위원장에 취임,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고, 이후 총 5선을 역임했다.[1]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발족하자, 사회부(현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의 초대 장관에 취임했다. 1949년 런던에서 개최된 국제자유노동조합총연맹 발족 대회에 참가하여 이사로 선출되었으며, 동시에 동 연맹의 아시아 지역 부의장으로도 선출되었다. 1951년 12월, 부산의 조선방직사건으로 이승만과 결별했다.[1]

3. 3. 정당 활동


  • 1945년, 대한국민독립촉성국민회 전국청년총연맹 조직위원장을 맡았다.[1]
  • 1945년,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 위원장을 맡았다.[1]
  • 1946년, 초대 대한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대한노총) 위원장이 되었다.[1]
  • 1955년, 노동농민당 당수가 되었다.[1]
  •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한노총으로부터 부통령 후보로 출마했으나 6위 (표)로 낙선했다.[1]
  • 1960년, 한국사회당을 결성했다.[1]
  • 1963년 8월 1일, 국민의 당 창당 발기인 대회에 참석했다.[5]
  • 1965년, 민정당 부총재, 민중당 지도위원 및 운영위원을 역임했다.
  •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국독립당 후보로 출마하여 5위로 낙선했다.

4. 대중문화 작품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실시년도대수직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1948년1대국회의원경북 상주군 을대한노동총연맹31,518표 (75.44%)1위당선초선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1950년2대국회의원경남 부산시 갑노농청년연맹9,062표 (20.91%)3위낙선
2.5 재보선1952년2대국회의원경남 부산시 무노농청년연맹9,062표 (34.00%)1위당선재선
대한민국 제2대 대통령 선거1952년2대부통령대한민국노농청년연맹302,471표 (4.2%)6위낙선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1954년3대국회의원경남 부산시 을무소속31,278표 (38.00%)1위당선3선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1958년4대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갑노농당6,379표 (15.52%)3위낙선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1960년5대국회의원서울 성동구 갑한국사회당196013,774표 (25.50%)2위낙선
10.10 재보선1960년5대국회의원서울 종로구 갑한국독립당11,326표 (39.2%)1위당선4선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1963년6대국회의원서울 종로구민정당36,123표 (50.20%)1위당선5선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1967년6대대통령대한민국한국독립당232,179표 (2.09%)5위낙선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1967년7대국회의원서울 종로구한국독립당2,347표 (2.93%)3위낙선


참조

[1] 웹사이트 전진한(錢鎭漢) https://encykorea.ak[...] 2023-08-16
[2] 웹사이트 "근로자와 이익 나누자"고 주장했던 우파 독립운동가, 우촌 전진한 https://www.socialim[...] 2023-10-03
[3] 웹사이트 '4선' 정재철(고성출신) 전 의원 별세 http://www.kado.net/[...] 2023-08-29
[4]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2-03-20
[5] 뉴스 「국민의 당」創黨準備委結成(「国民の党」創党準備委結成) http://gonews.kinds.[...] 東亜日報 1963-08-01
[6] 뉴스 金度演・李仁・李應俊・安造相 指導委員4名選任 http://gonews.kinds.[...] 東亜日報 1963-08-02
[7] 서적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