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철 (192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철은 1926년에 태어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민족청년단에서 활동하다가 일본에서 사회민주주의에 입문했다. 4·19 혁명 이후 한국사회당, 통일사회당을 거치며 혁신 정당 운동을 펼쳤으며, 유신 체제 반대 운동에 참여하여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되기도 했다. 이후 사회민주당을 발족하는 등 민주적 사회주의자로서 정치 활동을 이어갔으며, 그의 아들은 소설가 김한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일사회당 당원 - 전진한
    전진한은 일제강점기 협동조합 운동을 펼치다 해방 후 대한노총 위원장, 5선 국회의원, 초대 사회부 장관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노동 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 한국사회당 당원 - 전진한
    전진한은 일제강점기 협동조합 운동을 펼치다 해방 후 대한노총 위원장, 5선 국회의원, 초대 사회부 장관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노동 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김철 (192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철
한자金哲
로마자 표기Gim Cheol
인물 정보
출생일1926년 7월 1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함경북도 무산
사망일1994년 8월 11일
사망지대한민국 인천
배우자윤초옥
자녀김한길(차남)
김누리(삼남)
정치 활동
정당무소속
경력신민당 당무위원 겸 전임고문
민주정의당 당무위원
평화민주당 고문 겸 최고위원
직업정치가
기타 정보

2. 생애

김철은 민족청년단 중앙훈련소 제1기생으로 족청계 청년 조직의 일원이 되었다.[11]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일본에서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에 참여하였다.[11] 귀국하여 자유당 창당에 참여하였으나 족청계가 숙청될 때 탈당하고 다시 일본으로 돌아갔다.[11] 두 번째로 일본에 체류하는 동안 SI이 발표한 『프랑크푸르트 선언』을 읽고 공감하여[4] 사회민주주의에 입문하게 되었고, 이후 혁신계열의 정당 운동을 꾸준히 벌였다.[11] 제1공화국에서도 혁신 정당을 창당하려고 했으나 실패했고, 1960년 4·19 혁명이후 한국사회당에 참여하였다.[11]

1961년 통일사회당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11] 그러나 같은 해 5월 발생한 군사 쿠데타 이후 사실상 망명 상태가 되어, 그 동안 서구 각국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을 방문했다. 군정에서 민정(제3공화국)으로 이행된 후, 1964년 귀국하여 이듬해인 65년 통사당 발기인 대회를 개최했다. 통사당은 1969년 SI의 정회원이 되었다. 1970년 통사당 위원장과 이듬해인 71년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되었으나(후에 야당 후보 단일화를 이유로 사퇴), 대통령 선거 후인 1971년 8월 남북 관계 개선과 평화 통일을 주장했다는 이유로 국가보안법 및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되었다.

1972년 유신 체제(제4공화국)가 수립되자, 1974년 11월 발표된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 중 한 명[5]이 되는 등 유신 체제에 반대하는 운동에 참여했다. 1975년 긴급조치법 위반으로 구속되어 실형을 선고받았으나 2013년 9월 13일 재심에서 무죄가 선고되었다.[9][6] 박정희암살된 이듬해인 1980년,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발족시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에 임명[7]되었고, 1985년에는 사회민주당을 발족시키는 등 민주적 사회주의자의 입장에서 정치 활동에 계속해서 참여했다. 1986년 사회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당수 자리에서 밀려났고, 이듬해 사회주의민중협의회를 구성해 활동했다.

김철의 사상적 성향은 민족적인 민주적 사회주의인 것으로 평가되며, 그의 주도에 의해 통일사회당이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하는 등 국제연대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사회운동의 주류적 흐름과 결합되지 못해 실천의 결실이 크지 못했던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소설가이며 정치인인 김한길이 김철의 아들이다.[10]

저서로는 「민족학생운동의 이념」·「떳떳한 민족으로 살자」·「일본 민주화의 좌절」·「새 역사의 구상」등이 있다.[11]

2. 1. 해방 이전

2. 2. 해방 이후 ~ 제1공화국 시기

김철은 민족청년단 중앙훈련소 제1기생으로 족청계 청년 조직의 일원이 되었다.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일본에서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에 참여하였다.[4] 귀국하여 자유당 창당에 참여하였으나 족청계가 숙청될 때 탈당하고 다시 일본으로 돌아갔다. 두 번째로 일본에 체류하는 동안 사회민주주의에 입문하게 되었고, 이후 혁신계열의 정당 운동을 꾸준히 벌였다. 제1공화국에서도 혁신 정당을 창당하려고 했으나 이승만 정권의 반공 체제 하에서는 실현되지 못했다.[4] 1960년 4월 혁명 이후 결성된 한국사회당에 참여했고, 1961년 통일사회당 결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국제국장에 취임했다.

2. 3. 제2공화국 ~ 제3공화국 시기

김철은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일본에서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에 참여하였으며, 귀국하여 자유당 창당에 참여하였다가 족청계가 숙청될 때 탈당하고 다시 일본으로 돌아갔다.[4] 일본 체류 중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이 발표한 『프랑크푸르트 선언』을 읽고 공감하여 민주사회주의에 입문하였다.[4]

1960년 4월 혁명 이후 결성된 한국사회당에 참여하였고, 총선에서 혁신 정당이 참패한 후, 1961년 통일사회당(통사당) 결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국제국장에 취임했다. 그러나 같은 해 5월 발생한 군사 쿠데타 이후 사실상 망명 상태가 되어, 그 동안 서구 각국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을 방문했다.

군정에서 민정(제3공화국)으로 이행된 후, 1964년 귀국하여 1965년 통사당 발기인 대회를 개최했다. 1969년 통사당은 사회주의 인터내셔널(SI)의 정회원이 되었다. 1970년 통사당 위원장과 이듬해인 1971년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야당 후보 단일화를 이유로 사퇴하였다. 1971년 8월 남북 관계 개선과 평화 통일을 주장했다는 이유로 국가보안법 및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되었다.

2. 4. 제4공화국(유신 체제) 시기

김철은 제4공화국 하에서 유신헌법 반대 운동을 펼쳤다. 1972년 유신 체제가 수립되자, 1974년 11월 발표된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 중 한 명[5]으로 유신 체제에 반대하는 운동에 참여했다. 1975년 긴급조치법 위반으로 구속되어 실형을 선고받았으나 2013년 9월 13일 재심에서 무죄가 선고되었다.[9][6] 박정희 암살 이후 1980년 신군부의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제의는 받아들였다.[7]

2. 5. 제5공화국 이후 ~

1980년 신군부의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제의는 받아들였다.[9] 1986년 사회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당수 자리에서 밀려났고, 이듬해 사회주의민중협의회를 구성해 활동했다.

김철의 사상적 성향은 민족적인 민주적 사회주의인 것으로 평가되며, 그의 주도에 의해 통일사회당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하는 등 국제연대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사회운동의 주류적 흐름과 결합되지 못해 실천의 결실이 크지 못했던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소설가이며 정치인인 김한길이 김철의 아들이다.[10]

저서로는 「민족학생운동의 이념」·「떳떳한 민족으로 살자」·「일본 민주화의 좌절」·「새 역사의 구상」등이 있다.[11] 박정희암살된 이듬해인 1980년,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발족시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에 임명[7]되었고, 1985년에는 사회민주당을 발족시키는 등 민주적 사회주의자의 입장에서 정치 활동에 계속해서 참여했다.

3. 사상과 평가

4. 저서

5. 가족 관계

6.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60년총선한국사회당19601,626표3.357위낙선서울 성동구 을
1971년대선통일사회당-0-사퇴
1981년총선사회당199821,113표12.683위낙선서울 동작구


참조

[1] 뉴스 전사회민주당위원장 김철씨 별세(前社会民主党委員長 金哲氏 別世) http://www.mediagaon[...] 1994-08-12
[2] 웹사이트 ‘DJ의 리베로’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 http://www.donga.com[...]
[3] 뉴스 「민주당 김한길 체제 출범」박정희 vs 김철… 박근혜 vs 김한길(「民主党金ハンギル体制出帆」朴正熙VS金哲・・・朴槿恵VS金ハンギル) http://news.donga.co[...] 2013-05-06
[4] 웹사이트 フランクフルト宣言 http://homepage2.nif[...]
[5] 뉴스 민주回復 國民宣言 大會 - 各界代表 71명(民主回復国民宣言大会-各界代表71名) http://gonews.kinds.[...] 1974-11-27
[6] 뉴스 김한길 대표 부친 故 김철 선생, 37년 만에 무죄(金ハンギル代表の父上、故・金哲先生、37年ぶりに無罪) http://news.donga.co[...] 2013-09-13
[7] 뉴스 “입법의원 81명 임명”(立法委員81名任命) http://gonews.kinds.[...] 1980-10-28
[8] 뉴스 전 사회민주당 당수 김철씨 어제 별세 http://news.kmib.co.[...] 1994-08-12
[9] 뉴스 김철 전 통일사회당 당수, 37년 만에 재심 무죄 http://news.naver.co[...]
[10] 뉴스 ‘DJ의 리베로’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0-11-01
[11]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